KR20040062222A -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 - Google Patents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2222A
KR20040062222A KR1020030000001A KR20030000001A KR20040062222A KR 20040062222 A KR20040062222 A KR 20040062222A KR 1020030000001 A KR1020030000001 A KR 1020030000001A KR 20030000001 A KR20030000001 A KR 20030000001A KR 20040062222 A KR20040062222 A KR 20040062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variable angle
golf
golf shoes
ang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010B1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030000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0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6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골프화 밑창의 저부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접지력을 발생시키는 골프화용 스파이크가 개시된다.
그 구성은 스파이크의 본체에서 하방으로 이 본체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가변성각부가 방사상으로 외향 설치되고, 이 가변성각부의 외면에는 지지각부가 돌출 형성되어 스파이크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가변성각부가 방사상으로 외향 휘어질 때 이 지지각부가 상기 골프화 밑창의 바닥부와 접촉하여 상기 가변성각부의 휘어짐을 조정하게 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제의 스파이크는 잔디면 또는 바닥면이 손상하는 것이 적고 내구성 및 글립력이 우수하지만 아스팔트면 또는 바닥면등의 딱딱한 노면상을 보행할 시에는 각부가 휘여서 편향하기 때문에 지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무릅,허리 등의 부담이 경감되고 충격 흡수성 및 안정성이 높아 아주 사용하기 좋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Spike for golf shoes}
본 발명은 골프코스와 클럽하우스의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아스팔트면 등의 딱딱한 면을 보행해도 마모나 손상이 적고, 내구성 및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에 관한 것이다.
이 스파이크징은 골프화의 바닥부에 일체성형 된것과 골프화의 바닥부(밑창)에 대해서 볼트 등을 이용해서 착탈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스파이크 징은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적당하다.
골프화의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징으로서는 침상의 것으로된 금속제의 것이 넓게 이용되어 왔었는데, 이 금속제의 스파이크에 의하면 젖어 있는 잔디의 경사면에 있어서도 강력한 그립(grip)력을 발휘할 수 있어, 징으로서 사용되기 위한 유효한 수단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금속제의 스파이크징은 잔디가 자라나는는 흙속에까지 파고들어가는 것에 따라 글립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금속제 스파이크을 장착한 신발을 신고 보행한 후의 잔디면은 가볍게 파이는 형태가 되버린다. 특히,퍼팅(putting) 그린에 있어서는 후의 플레이에 지장이 생길 정도다.
이 문제는 클럽 하우스내의 카펫트상을 보행할 때에 카펫트를 손상시키는 것과 같은 형태라 할 수 있다.
특히, 금속제 스파이크 징을 장착하고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포장로 등의 딱딱한 지면을 보행할 경우에는 스파이크때문에 돌출 되어 있는 감이 있고, 또한,체중을 지탱하는 지점(持點)이 적은 것에 따라 보행시의 불안정한 감이 있고, 신는 느낌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지면에서의 충격이 직접신체에 가중되기 때문에 이 충격을 부담하는 다리,무릅,허리에 피로감이 발생하는 등 문제가 많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비금속제의 스파이크(none metal spike)인, 주로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된 골프화 스파이크가 이용되고 있다. 이 수지제 스파이크징으로 말하자면, 딱딱한 노면에서도 돌출감이 없이 체중을 지지하는 지점이 많은 것에 따라 보행시에도 안점감이 있다. 또한, 금속제 스파이크징 보다도 신체의 충격도 적고, 잔디나 카펫트의 손상도 적은 것 등, 금속제 스파이크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 수지제 스파이크징은 스파이크징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글립성능(파지성능)을 희생하고 있고, 특히, 경사나 젖은 잔디 혹은, 겨울의 마른 잔디에서의 글립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잔디면의 손상을 방지하기위해 일본국 특개평11-262401호에는 합성수지제의 스파이크(100)가 제안된 바 있다.
이 스파이크징(100)은 도면 1에 되시 된 바와 같이, 골프화에 대한 장착용의 볼트부(101)과, 가변성을 가지는 복수의 가변성(가소성)각부(10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제의 스파이크는 골프코스 또는 클럽하우스의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점에서는 우수하지만, 구조상, 가변성각부(102)의 강도가 낮기 때문에 골프화 착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면 도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가변성각부(102)가 휘어져 버리고, 스파이크 본체가 지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잔디면과의 글립력이 약하고, 아스팔트면 또는 클럽하우스내의 바닥면을 보행할 때에 쿠션감이 없으며, 안정성이 나쁘다. 또한, 아스팔트면 등을 보행하는 경우 가변성각부(102)의 마모, 손상이 크고, 내구성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가변성각부(102)의 강도를 높이면 전기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금속성의 스파이크징과 같은 식으로 그린면을 손상시키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변성각부(110)의 사이에 이 가변성각부(110)보다는 높이가 낮은 지지각부(120)를 배치하고 스파이크징의 중앙부에는 지지돌부(130)를 구비하는 스파이크가 일본국 특허공보 제3134155호에 개시되어 있다.(도 2 참고)
이에 의하면, 글립력이 금속제의 스파이크징과 같은 정도이고, 또 샌드페이퍼위에 스파이크징을 배치하고 이 스파이크징을 위에서 1kg의 저울추로 가중하여 이것을 8자형으로 회전시키면서 한 내구 실험에 의하면 종래의 수지제 스파이크보다도 높은 내구성을 가진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잔디면 또는 바닥면이 손상하는 것이 적고 내구성 및 글립력이 우수하지만 아스팔트면 등의 딱딱한 노면상을 보행할 시에는 각부가 휘여서 편양하기 때문에 지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무릅,허리등의 부담이 경감되기 때문에 충격 흡수성 및 안정성이 높고 아주 사용하기 좋다고 한다.
종래기술에서 기재된 상기의 효과는 가변성각부(110)의 사이에 돌출량이 상기 가변성각부(110)보다는 작은 지지각부(120)가 설치되고 본체 중앙부에 하방으로 상기 지지각부(120)와 함께 또는 별도로 지지돌부(130)를 구비시키는 것에 의한 것이지만, 제한된 크기의 스파이크에 지지각부(120)를 설치하다 보면, 그 만큼 가변성각부(110)의 설치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상대적으로 가변성각부(110)가 급격하게 마모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게 된다.
또한 지지각부(120)가 설치되는 개수 만큼 역으로 가변성각부(110)의 설치 자리가 없어지게 되어 버리므로 지면과 접촉하는 가변성각부(110)의 개수는 그 만큼 줄어 들게되며, 따라서 지면과의 안정된 접촉이 힘들어 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잔디면 또는 바닥면이 손상하는 것이 적으면서도 내구성 및 글립력이 우수한 골프화용 스파이크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스팔트면 등의 딱딱한 노면상을 보행할 시에는 각부가 휘여서 골프화 본체로부터 방사되기 때문에 지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무릅,허리 등의 부담이 경감되는 충격 흡수성 및 안정성이 높은 골프화용 스파이크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특히, 각부의 높낮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그립력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골프화용 스파이크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골프화용 스파이크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화용 스파이크의 도면으로서,
도 3 및 4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정면되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화용 스파이크가 골프화 밑창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파이크의 본체(7)에서 하방으로 이 본체(7)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가변성각부(1)가 방사상으로 외향 설치되고, 이 가변성각부(1)의 외면에는 지지각부(2)가 돌출 형성되어 스파이크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가변성각부(1)가 방사상으로 외향 휘어질 때 이 지지각부(7)가 상기 골프화 밑창(50)의 바닥부와 접촉하여 상기 가변성각부(1)의 휘어짐을 조정하게 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골프화용 스파이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하면, 골프화 착용자의 체중이 지지되고, 지지각부(7)가 가변성각부(1)의 휘어짐을 조정하여 가변성각부(1)가 급격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변성각부 사이의 연결면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묻은 흙이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도록 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가변성각부로부터 연장된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이 중앙부로 경사지게 수렴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개의 가변성각부의 높이는 서로 동일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화용 스파이크는 스파이크 본체(7)에 가변성각부(1)와 가변성각부(1)의 외면에 지지각부(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파이크본체(7) 및 각부(1, 2)의 재료로서는 합성고무, ABS,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나이론 등의 어떠한 합성수지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한다.
또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경우에 있어서 강도가 다른 합성수지를 복합하여 일체형으로 한 경우, 예를 들면 가변성각부(1)에는 강도가 낮은 재료를 이용해서 충분한 가소성(plasticity)을 담당케하고 한편으로 지지각부(2)에는 강도가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내굴곡성 및 내마모성을 높여서 스파이크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연한 금속(또는 세라믹스)를 합성수지에 복합하여 복합재료 등으로 제조해도 좋다.
스파이크 본체(7)은 후에 기술되는 가변성각부(1) 및 지지각부(2)를 설치 하기위한 매트릭수가 되고 또한 골프화에 장착하기 위한 것도 된다. 따라서 스파이크 본체(7)는 어떤 형상이라도 좋지만 구체적으로는 골프화 밑창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5)을 설치하여 원형으로 형성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형상의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또 볼트(5)의 중심에 금속제의 핀을 삽입하여 강도를 향상시킬수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게다가 골프화의 바닥부와 일체적으로 동시 성형하여 스파이크를 교환할 수 없도록 하는것도 좋다.
다음으로 가변성각부(1)는 잔디 위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거의 휘지 않고 이가변성각부(1)의 선단부분(15)이 잔디에 파고 들어서 강력한 파지력을 발휘한다. 한편, 포장로 등의 딱딱한 지면상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골프화 착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것에 따라 가변성각부(1)가 휘어지면서 방사상으로 외향 휘어지는 것에 따라 지면과의 충격을 흡수하고 무릎 허리 등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이 작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의 것이라도 좋지만 구체적으로는 골프화 착용자의 체중으로 휘는 강도로서 위에서 기술한 스파이크본체(7)에서 하방으로 향해 방사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가변성각부(1)는 골프화 착용자의 체중이 실리게 되면 비교적 외향지게 확개되는 것처럼 약간 변형한다.
한편, 가변성각부(1)는 그 높이가 일정한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높고 낮은 것들이 교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높고 낮은 것들이 교대로 형성된 것의 경우에 있어서의 효과 및 작용은 종래의 기술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가변성각부(1)는 서로 같은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고, 높고 낮은 것들이 교대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높고 낮은 것을 90도씩 교대로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각부(2)는 높은 것에만 또는/및 낮은 것에만 설치할 수 있다.
가변성각부(1) 및 이에 설치되는 지지각부(2)가 형성되는 개수는 합성수지의 강도 각 각부의 두께 및 길이, 글립력, 글립력의 방향성, 내구성, 장착감 등을 고러하여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가변성각부(1)의 선단부(15)에는 선단부에 마모량을 알수 있게끔 마크로서의 역할을 하는 슬리트(slit)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각부(2)는 가변성각부(1)가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완전히 휘어지게 되어 버려 잔디 등에서의 글립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게 되는 점을 보완하는 것으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한 가변성각부(1)가 휘는 것에 따라 지지각부(2)의 선단면(2b)이 골프화의 밑창(50)의 저부에 접촉하여 전기한 가변성각부(1)가 완전히 휘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지면방향으로 가변성각부(1)가 위치할 수 있게 되어 글립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장로 등의 경질의 지면상에 있어서는 골프화 착용자의 체중을 주로 지지하고 가변성각부(1)가 필요 이상으로 휘어져 버리는 것으로부터의 급격한 마찰(과도한 마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것이라면 지지각부(2)의 형상은 어느 것이 되어도 좋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 형태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지지각부의 외면(2a)는 본체(7)의 수평면과 직각으로 형성되어져 있지만, 본체(7)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지지각부의 외측면(2c) 또한 본체(7)의 수평면과 직각이 바람직하지만, 본체(7)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게다가 가변성각부(1)가 둘러싸는 안쪽에는 중앙부에 지지돌부(3)를 설치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골프화 착용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 시에 있어서 비교적 안정감이 증가한다.
이 지지돌부(3)는 전기한 가변성각부(1)보다는 작은치수로 돌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크는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4 에서 나타낸 것처럼 스파이크 본체(7)에 체결볼트(5)를 원형의 본체(7)에 형성하고 이 스파이크 본체(7)에 가변성각부(1)를 그 외면에는 지지각부(2)를, 또한 안쪽에는 지지돌부(3) 폴리우레탄으로 일체형으로 해서 성형한다.
또한 가변성각부(1)의 측면(10, 20)은 선단부(15)에서 그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안쪽면(16)의 길이가 바깥쪽(17)면의 길이보다 길다.
또한 가변성각부(1)의 사이에는 양측의 가변성각부(1)에서 연장 형성된 연결면(11, 21)이 중앙으로 경사지게 수렴하여 접해 지고 연결면(11, 21)은 스파이크의 안쪽(30)에서부터 바깥쪽(40)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가변성각부(1) 사이에 묻은 흙이 잘 털리는 효과가 있게된다.
가변성각부(1)는 골프화 착용자의 체중으로 휘는 정도의 강도 및 두께로서 위에서 기술한 본체(7)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방사형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는 스파이크를 골프화에 장착하기 위한 홈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제의 스파이크는 잔디면 또는 바닥면이손상하는 것이 적고 내구성 및 글립력이 우수하지만 아스팔트면 또는 바닥면등의 딱딱한 노면상을 보행할 시에는 각부가 휘여서 편향하기 때문에 지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무릅,허리 등의 부담이 경감되고 충격 흡수성 및 안정성이 높아 아주 사용하기 좋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골프화 밑창의 저부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접지력을 발생시키는 골프화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의 본체에서 하방으로 이 본체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가변성각부가 방사상으로 외향 설치되고, 이 가변성각부의 외면에는 지지각부가 돌출 형성되어 스파이크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가변성각부가 방사상으로 외향 휘어질 때 이 지지각부가 상기 골프화 밑창의 바닥부와 접촉하여 상기 가변성각부의 휘어짐을 조정하게 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골프화용 스파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성각부 사이의 연결면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묻은 흙이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도록 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스파이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가변성각부로부터 연장된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이 중앙부에서 경사지게 수렴되도록 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스파이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가변성각부의 높이는 서로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용 스파이크.
KR1020030000001A 2003-01-02 2003-01-02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 KR10055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001A KR100554010B1 (ko) 2003-01-02 2003-01-02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001A KR100554010B1 (ko) 2003-01-02 2003-01-02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222A true KR20040062222A (ko) 2004-07-07
KR100554010B1 KR100554010B1 (ko) 2006-02-22

Family

ID=3735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001A KR100554010B1 (ko) 2003-01-02 2003-01-02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0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295B1 (ko) * 2003-10-31 2007-05-2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저항저감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0775021B1 (ko) * 2007-05-14 2007-11-08 강동원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
KR100986779B1 (ko) * 2008-04-04 2010-10-12 강동원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912B1 (ko) * 2020-03-06 2021-08-02 주식회사 스윙레스큐 체중 이동 연습용 골프화 스파이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295B1 (ko) * 2003-10-31 2007-05-2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저항저감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0775021B1 (ko) * 2007-05-14 2007-11-08 강동원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
KR100986779B1 (ko) * 2008-04-04 2010-10-12 강동원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4010B1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4707B2 (en) Indexable shoe cleat with improved traction
EP1505889B1 (en) Indexable shoe cleat with improved traction
US8661708B2 (en) Crampon for golf shoes and climbing irons
EP0922401B1 (en) Athletic shoe cleat
EP0967900B1 (en) Footwear cleat
US5794367A (en) Sports shoe cleats
US8181367B1 (en) Cleats and footwear for providing customized traction
EP1545991B1 (en) Shoe cleat with improved traction
JPS6329522B2 (ko)
WO2003001936A1 (fr) Crampons pour chaussures de golf
KR100554010B1 (ko)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
JPH11164703A (ja) ゴルフシューズ
US20020069559A1 (en) New golf shoe soft spike/cleat design
US4004356A (en) Studded sole and heel plates for shoes
JP3343202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
KR100968159B1 (ko) 아이젠
JPH11202A (ja) ゴルフシューズ
JPH11276211A (ja) ゴルフ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及びスパイク鋲
KR100533707B1 (ko) 골프화의 밑창
KR200335415Y1 (ko) 등산용 아이젠
GB2298563A (en) Removable golf shoe cleat
JP2004305247A (ja) ゴルフ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体
JP3887439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用スタッド
JP3134155B1 (ja) ゴルフシューズ用スパイク鋲
KR200313413Y1 (ko) 교환가능한 스파이크가 장착된 골프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