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779B1 -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 Google Patents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779B1
KR100986779B1 KR1020080031550A KR20080031550A KR100986779B1 KR 100986779 B1 KR100986779 B1 KR 100986779B1 KR 1020080031550 A KR1020080031550 A KR 1020080031550A KR 20080031550 A KR20080031550 A KR 20080031550A KR 100986779 B1 KR100986779 B1 KR 10098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wer body
spike
inclination angle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6058A (ko
Inventor
강동원
Original Assignee
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원 filed Critical 강동원
Priority to KR102008003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77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screw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신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에 관한 것으로, 상측에는 돌출된 결합부재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1, 2지지대를 형성한 몸체가 구성된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제1경사각을 지니되, 제1바닥면에는 제1바닥경사각이 형성되어 제1바닥면의 내측이 외측보다 낮게 형성된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보다 몸체의 외측으로 더 돌출형성되도록 제1경사각보다 작은 제2경사각을 형성한 제2지지경사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지지경사부의 하측으로는 수직형성되는 제2지지바닥부를 구성하되, 상기 제2지지바닥부의 제2바닥면에는 제2바닥경사각이 형성되어 제2바닥면의 외측이 내측보다 낮게 형성된 제2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대의 제1바닥면의 내측은 제2지지대의 제2바닥면의 외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제1지지대의 제1바닥면의 외측은 제2지지대의 제2바닥면의 내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를 제공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를 사용하면, 지면과의 접촉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안정성이 더욱 높아질 뿐만 아니라, 마모현상을 줄어들어 교체시기가 연장되어 지며, 내측에 끼이는 이물질의 제거는 물론, 신발과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체 고정, 미끄럼방지, 스파이크, 경사, 교대

Description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The spike for the lower part of body to be fixed}
본 발명은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과의 접촉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모현상을 줄여 교체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내측에 끼이는 이물질의 제거는 물론, 신발과의 탈부착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스파이크는 신발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몸체에 사각형상의 지지대를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인체의 무게에 의해 몸체에 형성된 지지대가 지면과 마찰을 일으켜 사용자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였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스파이크는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할 결우 몸체에 형성된 지지대가 쉽게 마모되어 잦은 교체를 해야 했을 뿐만 아니라, 사각형상의 지지대가 지면과의 접촉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여 효과적인 미끄럼방지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좀 더 개량된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가 개발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100)는 몸체의 하측으로 제1, 2지지대(110, 120)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1지지대(110)는 제2지지대(1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바닥면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100)를 사용하면, 인체의 무게에 의해 제2지지대(120)가 외측으로 벌어짐과 동시에 지면과 마찰을 일으키는 작용을 하고, 제1지지대(110)는 바닥면에 맞닿게 되어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100)가 장착된 신발(미도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정된 지지를 도와 줄 수는 있었으나, 상기와 같이 지면과 마찰을 일으키는 제2지지대(120)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바닥면의 내측 모서리만이 지면과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마모가 빨리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고, 지지에 따른 효과적인 미끄럼방지를 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안정성 확보에 미흡한 점이 있었으며, 제2지지대(120)의 마모에 따라 미끄러짐 현상이 더욱 많이 생기기 때문에 잦은 교체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교체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2지지대가 제1지지대보다 몸체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경사각을 형성하고 있고, 제2지지대의 바닥면 외측이 내측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이크가 장착된 신발이 지면에 닿을 시, 인체의 무게에 의해 제2지지대가 외측으로 더 벌어지게 되어 바닥면 전체가 지면과 수평하게 맞닿을 뿐만 아니라, 제1지지대의 바닥면의 내측이 외측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지지대가 외측으로 벌어져 지면에 수평하게 맞닿을 시, 제1지지대의 바닥면 내측이 지면에 박히게 되어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지지대보다 크게 형성된 제2지지대의 바닥면 전체가 지면에 맞닿아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마찰에 따른 마모현상을 줄여 교체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고, 몸체의 하측 중앙으로는 볼록한 타원형상의 돌출부를 구성하고 있어 운동을 하거나 보행 시 제1, 2지지대의 내측 공간으로 쌓이는 이물질의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중앙으로는 일자 홈을 형성하고 있어 신발과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는 상측에는 돌출된 결합부재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1, 2지지대를 형성한 몸체가 구성된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제1경사각을 지니되, 제1바닥면에는 제1바닥경사각이 형성되어 제1바닥면의 내측이 외측보다 낮게 형성된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보다 몸체의 외측으로 더 돌출형성되도록 제1경사각보다 작은 제2경사각을 형성한 제2지지경사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지지경사부의 하측으로는 수직형성되는 제2지지바닥부를 구성하되, 상기 제2지지바닥부의 제2바닥면에는 제2바닥경사각이 형성되어 제2바닥면의 외측이 내측보다 낮게 형성된 제2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대의 제1바닥면의 내측은 제2지지대의 제2바닥면의 외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제1지지대의 제1바닥면의 외측은 제2지지대의 제2바닥면의 내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는 제2지지대가 제1지지대보다 몸체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경사각을 형성하고 있고, 제2지지대의 바닥면 외측이 내측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이크가 장착된 신발이 지면에 닿을 시, 인체의 무게에 의해 제2지지대가 외측으로 더 벌어지게 되어 바닥면 전체가 지면과 수평하게 맞닿을 뿐만 아니라, 제1지지대의 바닥면의 내측이 외측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지지대가 외측으로 벌어져 지면에 수평하게 맞닿을 시, 제1지지대의 바닥면 내측이 지면에 박히게 되어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지지대보다 크게 형성된 제2지지대의 바닥면 전체가 지면에 맞닿아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마찰에 따른 마모현상을 줄여 교체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고, 몸체의 하측 중앙으로는 볼록한 타원형상의 돌출부를 구성하고 있어 운동을 하거나 보행 시 제1, 2지지대의 내측 공간으로 쌓이는 이물질의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중앙으로는 일자 홈을 형성하고 있어 신발과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50)는 사용자의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신발(미도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는 돌출된 결합부재(1)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1, 2지지대(10, 20)를 형성한 몸체(3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는 신발에 장착시 탈부착이 가능한 수단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이루질 수 있으며, 특히 신발과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도 3에서 도시된 스크류(1a)를 이용한 결합형태나, 도 4에서 도시된 볼트(1b)를 이용한 결합형태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0)는 도 5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제1경사각(α1)을 지닌 것으로, 제1바닥면(11)에는 제1바닥경사각(β1)이 형성되어 제1바닥면(11)의 내측이 외측보다 낮게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대(10)의 제1경사각(α1)은 지면과의 접촉시 미끄럼방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66±10˚범위 내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바닥면(11)에 형성된 제1바닥경사각(β1)은 제1바닥면(11)의 내측이 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24±4˚범위 내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지지대(10)의 제1바닥면(11)에는 잔디 상에서 우수한 그립성을 제공하도록 제1관통홈(12)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관통홈(12)을 1개 이상으로 형성하고 제1지지대(10)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흡사 제1지지대(10)가 2개 이상으로 연속 나열된 형상(미도시)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20)은 도 5 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10)보다 몸체(30)의 외측으로 더 돌출형성되도록 제1경사각(α1)보다 작은 제2경사각(α2)을 형성한 제2지지경사부(21)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경사부(21)의 하측으로는 수직형성되는 제2지지바닥부(22)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지지바닥부(22)의 제2바닥면(23)에는 제2바닥경사각(β2)이 형성되어 제2바닥면(23)의 외측이 내측보다 낮게 형성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대(20)에 구성된 제2지지경사부(21)의 제2경사각(α2)은 지면과의 접촉시 인체의 무게에 의해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33±5˚범위 내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지지바닥부(22)의 제2바닥면(23)에 형성된 제2바닥경사각(β2)은 인체의 무게에 의해 벌어지는 제2지지대(20)의 제 2바닥면(23) 전체가 지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12±2˚범위 내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지지대(20)의 제2바닥면(23)에는 잔디 상에서 우수한 그립성을 제공하도록 제1지지대(10)의 제1바닥면(11)에 형성된 제1관통홈(12)과 동일한 제2관통홈(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관통홈을 1개 이상으로 형성하고 제2지지대(20)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흡사 제2지지대(20)가 2개 이상으로 연속 나열된 형상(미도시)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제1, 2지지대(10, 20)는 사용자의 안정적인 지지를 이룰 수 있도록 교대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교대의 의미는 제1지지대(10)와 제2지지대(20)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배치되는 것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관통홈(12)에 의해 제1지지대(10)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제2관통홈에 의해 제2지지대(20)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등의 교대 배치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든 상관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지지대(10)의 제1바닥면(11)의 내측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대(20)의 제2바닥면(23)의 외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고, 제1지지대(10)의 제1바닥면(11)의 외측은 제2지지대(20)의 제2바닥면(23)의 내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제1, 2지지대(10, 20)가 효율적임과 동시에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지지대(20)의 제2바닥면(23)은 상기 제2지지대(20)가 제1지지대(10)보다 몸체(30)의 외측으로 더 돌출형성된 만큼 제1지지대(10)의 제1바닥면(11)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큰 지지력을 발휘함은 물론, 지면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율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50)의 교체시기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제1, 2지지대(10, 20)가 형성된 몸체(30)의 하측 중앙으로는 흙이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삽입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돌출부(4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40)는 볼록한 타원형상으로 형성하고, 중앙으로 일자 홈(41)을 형성함으로써, 신발과 탈부착 되는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50)의 탈부착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50)를 부착하고자 하는 신발에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는 스크류(1a) 또는 볼트(1b)를 이용한 결합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부착하고자 하는 신발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50)가 부착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사용자가 보행을 하거나 운동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신발에 부착된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50)가 지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인체의 무게에 의해 제2지지대(2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지지대(20)에 구성된 제2지지경사부(21)는 33±5°범위 내의 제2경사각(α2)을 형성하고 있어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지지대(20)가 인체의 무게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면, 12±2°범위 내의 제2바닥경사각(β2)을 형성한 제2지지대(20)의 제2바닥면(23) 전체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어 사용자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2지지대(20)가 외측으로 벌어져 제2바닥면(23) 전체가 지면에 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24±4°범위 내의 제1바닥경사각(β1)이 형성된 제1지지대(10)의 제1바닥면(11) 내측이 지면에 박히면서 미끄럼이 완전히 방지되어 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지지대(10)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66±10°범위 내의 제1경사각(α1)을 형성하고 있어 지면에 박힌 제1지지대(10)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정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기 지면에서 발을 이격시키게 되면, 인체의 무게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있던 제1, 2 지지대(10, 20)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작용은 사용자가 보행을 하거나 운동을 하기 위해 지면 상에서 이동하는 동안 반복적으로 일어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을 하거나 움직임이 많은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2지지대(20)가 외측으로 벌어짐과 동시에 지면과의 잦은 마찰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지지대(20)는 지면과의 마찰시 제2바닥면(23) 전체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마모가 적게 일어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지지대(20)의 제2바닥면(23)은 제2지지대(10)가 제1지지대(10)보다 몸체(3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된 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더 커지게 되어 마모량을 더욱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50)의 교체시기를 더욱 늦출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몸체(30)의 하측 바닥면으로 타원형상의 볼록한 돌출부(40)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중에 내측 공간으로 흑과 같은 이물질이 삽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 물론, 삽입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40)의 중앙으로는 일자 홈(41)을 형성하고 있어 신발과의 탈부착을 더욱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류 결합형태를 지닌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볼트 결합형태를 지닌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α1, α2 : 제1, 2경사각 β1, β2 : 제1, 2바닥경사각
1 : 결합부재 1a : 스크류
1b : 볼트 10 : 제1지지대
11 : 제1바닥면 12 : 제1관통홈
20 : 제2지지대 21 : 제2지지경사부
22 : 제2지지바닥부 23 : 제2바닥면
30 : 몸체 40 : 돌출부
41 : 일자 홈 50 :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Claims (11)

  1. 상측에는 돌출된 결합부재(1)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1, 2지지대(10, 20)를 형성한 몸체(30)가 구성된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상기 몸체(3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제1경사각(α1)을 지니되, 제1바닥면(11)에는 제1바닥경사각(β1)이 형성되어 제1바닥면(11)의 내측이 외측보다 낮게 형성된 제1지지대(10);
    상기 제1지지대(10)보다 몸체(30)의 외측으로 더 돌출형성되도록 제1경사각(α1)보다 작은 제2경사각(α2)을 형성한 제2지지경사부(21)를 구성하고, 상기 제2지지경사부(21)의 하측으로는 수직형성되는 제2지지바닥부(22)를 구성하되, 상기 제2지지바닥부(22)의 제2바닥면(23)에는 제2바닥경사각(β2)이 형성되어 제2바닥면(23)의 외측이 내측보다 낮게 형성된 제2지지대(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대(10)의 제1바닥면(11)의 내측은 제2지지대(20)의 제2바닥면(23)의 외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제1지지대(10)의 제1바닥면(11)의 외측은 제2지지대(20)의 제2바닥면(23)의 내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는 스크류(1a)를 이용한 결합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는 볼트(1b)를 이용한 결합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4. 제 1항에 있어서, 제1지지대(10)의 제1경사각(α1)은 66±10˚범위 내의 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제1바닥면(11)에 형성된 제1바닥경사각(β1)은 24±4˚범위 내의 경사를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5.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10)의 제1바닥면(11)에는 제1관통홈(12)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20)에 구성된 제2지지경사부(21)의 제2경사각(α2)은 33±5˚범위 내의 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바닥부(22)의 제2바닥면(23)에 형성된 제2바닥경사각(β2)은 12±2˚범위 내의 경사를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지지대(10, 20)는 교대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제2지지대(20)의 제2바닥면(23)은 상기 제2지지대(20)가 제1지지대(10)보다 몸체(30)의 외측으로 더 돌출형성된 만큼 제1지지대(10)의 제1바닥면(11)보다 크게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10. 제 1항 또는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지지대(10, 20)가 형성된 몸체의 하측 중앙으로는 돌출부(40)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는 볼록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으로 일자 홈(41)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KR1020080031550A 2008-04-04 2008-04-04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KR10098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550A KR100986779B1 (ko) 2008-04-04 2008-04-04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550A KR100986779B1 (ko) 2008-04-04 2008-04-04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058A KR20090106058A (ko) 2009-10-08
KR100986779B1 true KR100986779B1 (ko) 2010-10-12

Family

ID=4153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550A KR100986779B1 (ko) 2008-04-04 2008-04-04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679B1 (ko) * 2020-10-12 2021-02-01 진해진 골프용 스파이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508A (ja) * 2000-01-31 2001-07-31 Mizuno Corp 樹脂製スパイク
KR20040062222A (ko) * 2003-01-02 2004-07-07 김진호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
KR100775021B1 (ko) * 2007-05-14 2007-11-08 강동원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508A (ja) * 2000-01-31 2001-07-31 Mizuno Corp 樹脂製スパイク
KR20040062222A (ko) * 2003-01-02 2004-07-07 김진호 골프화용 스파이크 징
KR100775021B1 (ko) * 2007-05-14 2007-11-08 강동원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058A (ko)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1671B2 (ja) ヒールクッションシステムを持つ履物
US7310894B1 (en) Footwear for use in shower
US8656662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resilient support members
CA2566875A1 (en) Footwear outsole and reversible attachment therefor
US9220313B2 (en) Spare cleat
EP0515547A1 (en) SHOCK ABSORPTION OUTSOLE SOLE.
JP4681553B2 (ja) 靴のクリート
JP4773638B2 (ja) ゴルフシューズ用スパイク鋲
AU2013403601A1 (en) A shoe heel cup protection device
KR101087620B1 (ko) 미끄럼 방지 및 충격 흡수를 위한 신발 바닥구조
KR100986779B1 (ko) 하체 고정용 스파이크
KR200433240Y1 (ko) 욕실용 슬리퍼
KR102555764B1 (ko) 구두 밑창, 구두 및 미끄럼방지 부재
KR20170055052A (ko) 착용이 간편한 미끄럼 방지구
KR20130000751U (ko) 미끄럼방지 덧신
KR200451483Y1 (ko) 하이힐 뒷굽용 구두 굽
KR20080101099A (ko) 계단의 논슬립 구조
WO2018106376A1 (en) Footwear system
KR101879876B1 (ko) 낚시용 신발 및 신발창
KR200492733Y1 (ko) 뒷굽 교체형 신발
JPH11346801A (ja) スポーツシューズ
KR100775021B1 (ko)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
AU2008344976A1 (en) Heel Protection Device
KR20150012829A (ko) 미끄럼방지수단이 탈착 가능한 신발
KR100632210B1 (ko) 골프화용 스파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