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911A - 녹취장치 - Google Patents

녹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911A
KR20040061911A KR1020020088213A KR20020088213A KR20040061911A KR 20040061911 A KR20040061911 A KR 20040061911A KR 1020020088213 A KR1020020088213 A KR 1020020088213A KR 20020088213 A KR20020088213 A KR 20020088213A KR 20040061911 A KR20040061911 A KR 20040061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unit
backup
data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우
임대호
김병구
문종건
Original Assignee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1911A/ko
Publication of KR2004006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9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12High speed serial bus, e.g. IEEE P139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화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는 녹취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녹취부, 전화회선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녹취 데이터를 디지털 녹취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보드, 상기 음성 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지털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녹취 저장부, 일단이 상기 녹취 저장부에 연결되고,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입출력 포트, 상기 녹취 저장부의 사용 공간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녹취 저장부로부터 녹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백업 저장부 및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녹취장치{Apparatus For Recording Voice}
본 발명은 녹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용량의 백업 저장부를 구비한 녹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금융 기관, 통신 판매 업체 등에서는 상담원과 고객간의 전화 통화를 통해 구매나 금융 처리가 이루어지는 폰뱅킹, 텔레 마케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추후에 발생할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객과 상담원간의 통화 내용을 녹취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녹취 장치는 녹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객과 상담원과의 통화 내용을 녹취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 용량이 다 차면 별도의 DAT(Digital Audio Tape Recorder)(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드)나 DVD 등의 저장매체에 백업을 시키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녹취장치에 있어서, DAT는 열에 민감하여 실제 재생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DVD는 오래 보관할 경우 깨지거나 금이 가는 문제점이 있어 장기간의 보관을 요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녹취장치의 녹취 프로그램을 저장한 하드 디스크가 고장이 나면 복구하는데 통상 1 ~ 2 일이 소요되므로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처리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녹취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백업시 전원이 온 상태에서는 외장형 녹취 저장 디스크를 교체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전원을 오프한 상태에서 디스크를 교체해야 하므로 디스크의 교체 시간 동안에는 녹취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음성 응답 시스템의 불합리를 극복하고, 녹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디스크의 고장시에도 녹취가 가능하고 대용량의 외장형 녹취 저장 디스크를 구비하는 녹취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녹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디스크의 고장시에도 정상적인 녹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녹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대용량의 녹취 데이터를 백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녹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도 백업 저장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녹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녹취장치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녹취장치를 관리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녹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취 장치의 구성도,
도 2a는 도 1의 녹취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b는 도 2a의 녹취 장치에서 통화 내용이 녹취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 2의 녹취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서버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3의 관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3의 백업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도 3의 관리부를 구동한 경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 화면의 도구바에서 녹음 청취 메뉴를 선택한 후 폴더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
도 9는 도 7 화면의 도구바에서 녹음 청취 메뉴를 선택한 후 검색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
도 10은 도 7 화면의 도구바에서 메모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
도 11은 도 7 화면의 도구바에서 모니터링 메뉴를 선택한 후 회선모니터링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
도 12는 도 10은 도 7 화면의 도구바에서 로그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
도 13은 도 10은 도 7 화면의 도구바에서 녹음 청취/삭제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
도 14는 도 7 화면의 도구바에서 사용자관리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
도 15은 도 7은 도 3의 백업부를 구동한 경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0 : 단말기, 20 : PSTN망
30 : 사설교환기, 40 : 녹취장치,
41 : 녹취부, 43 : 제어부,
45 : 음성보드, 47 : 녹취 저장부,
49 : 백업 저장부, 50 : 에이전트 그룹,
60 : 주 녹취부, 70 : 서버 제어부,
80 : 관리부, 90 : 백업부,
100 : 데이터베이스 제어부, 65 : 부 녹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녹취장치에 있어서, 통화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는 녹취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녹취부-상기 녹취부는 통화 데이터의 녹취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 녹취 데이터의 청취, 삭제 및 녹취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부, 상기 녹취 저장부에 저장된 녹취 데이터를 상기 백업 저장부로 백업하는 백업 처리를 수행하는 백업부 및 데이터베이스의 저장경로를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부를 포함함-, 전화회선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녹취 데이터를 디지털 녹취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보드, 상기 음성 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지털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녹취 저장부, 일단이 상기 녹취 저장부에 연결되고,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입출력 포트, 상기 녹취 저장부의 사용 공간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녹취 저장부로부터 녹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백업 저장부 및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취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취 장치는 이용자 단말기(10), 사설교환기(30), 녹취 장치(40) 및 에이전트 그룹(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용자 단말기(10)는 무선망(미도시)을 통해 녹취시스템의 PSTN망(20)으로 접속된다. 이용자 단말기(10)는 일반 유무선 전화, 휴대폰, PCS 등을 포함한다.
사설교환기(30)(PBX- Private Branch eXchange)는 이용자단말기(10)로부터 걸려온 전화회선을 에이전트 그룹이 공유하고, 내선에 연결되어 있는 에이전트 그룹간에 전화를 자동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전화교환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회선수가 300회선 이상인 경우에는 사설교환기(30)라고 하고, 300 회선 이하인 경우에는 키폰이라고 칭해진다. 키폰은 여러 기능 버튼 등의 조작으로 국선과 내선의 상호접속이 가능토록 만든 전화기이다.
녹취 장치(40)는 이용자 단말기(10)와 에이전트간의 통화 음성 데이터를 녹음 및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에이전트 그룹(50)은 사설교환기(30)를 통해 이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외부전화회선을 공유하고, 에이전트간의 전화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에이전트는 상담원, 텔레마케터 등의 고객과 전화업무를 수행하는 부서의 일원을 말한다.
도 2a는 도 1의 녹취 장치(4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취장치는 녹취부(41),제어부(43), 음성보드(45), 녹취 저장부(47), 입출력부(48) 및 백업 저장부(49)로 구성되어 있다.
녹취부(41)는 녹취 장치(40)를 작동시키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녹취부(41)는 RAID-1 방식을 이용하여 73GB의 저장용량을 가진 복수개의 SCSI HDD의 쌍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Disk Mirroring이라 불리는 RAID-1은 데이터를 중복 저장한 하드 디스크들을 쌍을 연결한 것으로서, 제어부(43)는 이들을 하나의 하드디스크로 인식한다. 즉, RAID-1은 복수개의 RAID-1 어레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대용량 어레이로 구성시킬 수 있다. 기록은 거울 쌍인 주 녹취부 및 부 녹취부에 동시에 저장되어 각 드라이브가 동일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각 드라이브는 동시 판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녹취부(41)는 주 녹취부(60) 및 부 녹취부(65)로 구성되며, 주 녹취부(60) 및 부 녹취부(65)는 동일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만일 주 녹취부(60)가 고장난 경우 자동적으로 부 녹취부(65)가 동작하여 녹취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따라서, 주 녹취부(60)의 고장시에도 중단없이 녹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주 녹취부(60) 및 부 녹취부(65)에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므로 디스크의 판독시 양 녹취부(60, 65)에서 데이터를 가져옴으로써 판독 속도가 빨라서 프로그램의 수행 속도가 현저히 개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녹취부(41)로서 RAID-1에 국한되지 않고, 그 외에 RAID-0, 2, 3, 4, 5 등의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음성보드(45)는 음성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녹취 저장부(47)는 제어부(43)의 녹취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보드(45)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녹취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80GB의 저장용량을 가진 SCSI HDD를 사용한다.
백업 저장부(49)는 녹취 저장부(47)에 사용 공간이 일정값 이상이 되면 제어부(43)로부터의 백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녹취 저장부(47)에 저장되어 있는 녹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백업 저장부(49)는 80GB의 저장용량을 가진 SCSI HDD를 사용하며, 사용 공간이 일정값 이상이 되면 다른 백업 저장부(49)로 교체된다.
입출력부(48)는 녹취 저장부(47)로부터 백업 저장부로 녹취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포트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IEEE-1394 포트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가 사용된다. IEEE-1394 포트는 최대 63대까지의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초당 400메가비트의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USB 포트도 최신버전인 2.0 은 초당 500메가비트의 전송속도를 가지므로 고속 대용량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IEEE-1394 포트 또는 USB포트는 사용중인 본체 장비의 전원을 끄지 않고도 새로운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핫 플러그 인(hot plug-in) 기능을 제공하므로, 백업 저장부(49)의 용량 초과로 다른 백업 저장부(49)로 교체할 경우에 전원을 새로 켤 필요가 없어서 백업 저장부(49)의 교체시간 동안의 녹취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3)는 상기 녹취부(41)로 녹취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통화 내용을 녹취하여 녹취 데이터로서 상기 녹취 저장부(47)에 저장하게 하고, 녹취 저장부(47)의 용량이 일정값 이상이 되면 녹취 저장부(47)에 저장되어 있는 녹취 데이터를 백업 저장부(49)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도 2b는 도 2a의 녹취 장치에서 통화 내용이 녹취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43)가 녹취부(41)의 서버 제어부(70, 75)의 녹취 부(71)로 녹취 제어명령을 전송하면, 녹취 제어부(71)는 이에 기초하여 녹취 처리를 시작한다(S200). 녹취부(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RAID-1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녹취부(71)의 녹취 실행 속도가 매우 빠르며, 주 녹취부(60)의 고장시에도 부 녹취부(65)를 구동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녹취 제어부(71)가 녹치 처리를 시작하면, 음성 보드(45)는 사설 교환기(30) 및 에이전트 그룹(50)으로부터 고객과 에이전트간의 통화 내용이 포함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S210).
음성 보드(45)는 제어부(43)의 데이터 변환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된 고객과 에이전트간의 통화 내용이 포함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녹취 데이터로 변환시킨다(S220).
녹취 저장부(47)는 제어부(43)의 저장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보드(45)로부터 녹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230). 본 실시예에서는 녹취 저장부(47)로서 80GB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녹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3)는 녹취 저장부(47)의 현재 저장량을 정해진 시간마다 체크하여 사용 공간이 90%가 되면 입출력 포트(48)을 통해 녹취 저장부(47)로부터 백업 저장부(49)로 녹취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S240).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 공간이 90% 이상이면 백업이 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80%, 85%, 95% 등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백업 저장부(49)는 제어부(43)의 저장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녹취 저장부(47)로부터 수신된 녹취 데이터를 저장한다(S250). 만일, 백업 저장부(49)의 사용 공간이 90% 이상이 되면 다른 백업 저장부(49)로 교체해야 하는데, USB포트나 IEEE-1394 포트를 입출력 포트로 이용함으로써 전원을 켜둔 상태에서 바로 백업 저장부(49)를 교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녹취부(4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 녹취부(60) 및 부 녹취부(65)는 각각 서버 제어부(70, 75), 관리부(80, 85), 백업부(90, 95) 및 데이터베이스부(100, 105) 및 녹취 제어부(62, 64)를 포함한다.
서버 제어부(70, 75)는 이용자 단말기(10)와 에이전트 그룹간의 통화 내역인 음성 데이터의 녹취를 담당한다. 서버 제어부(70, 75)는 항상 녹취장치가 실행되었는지를 감시하여 실행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으로 실행해 주도록 한다.
관리부(80, 85)는 관리자가 녹취된 파일을 청취하고,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통계와 시스템 설정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백업부(90, 95)는 녹취 시일이 지나면서 쌓이는 데이터를 백업 저장부로 백업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00, 105)는 녹취된 통화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경로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녹취 제어부(62, 64)는 녹취부(60, 65)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녹취 처리, 백업 처리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서버 제어부(7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제어부(70)는 녹취 처리부(71), 소켓 서버부(73)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부(75) 및 녹취 제어부(77)를 포함한다.
녹취 처리부(71)는 에이전트와 고객간의 통화 내용을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녹취 저장부(47)에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소켓 서버부(73)은 녹취 장치(40)의 상태를 관리부(75)로 전송하여 녹취 장치(4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75)은 녹취된 통화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녹취 제어부(77)는 서버 제어부(70)의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녹취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도 3의 관리부(8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부(80)는 녹음 청취부(80-1), 메모부(80-2), 청취내역부(80-3), 통계 관리부(80-4), 모니터링부(80-5), 로그인 정보부(80-6), 녹음 청취/삭제 정보부(80-7), 코드 관리부(80-8) 및 시스템 관리부(80-9) 및 관리 제어부(81)로 구성된다.
녹음 청취부(80-1)는 녹취 저장부(47)에 저장된 파일을 네트워크상에서 조회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녹음 청취부(80-1)는 트리 형태로 녹취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폴더모드와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원하는 녹취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모드의 두 가지 모드로 이루어져 있다.
메모부(80-2)는 관리자가 녹음된 음성데이터에 대해 기록을 남기고자 할 경우, 관리자가 메모 메뉴를 이용하여 메모를 하면 메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메모가 존재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메모된 데이터에 부가한다.
청취내역부(80-3)는 관리자가 특정 녹취 데이터 항목의 청취 내역을 알고 실을 경우 청취 내역 메뉴를 통해 해당 녹취 데이터의 사용자 목록 및 청취 회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통계 관리부(80-4)는 예를 들면, 상담원별, 지점/부서별 녹음사항을 월별, 일별, 시간별로 통계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통계값을 인쇄, 보기, 그래프로 보기 등을 통해 표시하여 녹취 현황 및 녹취 데이터의 활용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모니터링부(80-5)는 녹취장치(40)의 백업 저장부(49)의 용량 상태와 회선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메뉴이다. 모니터링 부(80-5)은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 감시 메뉴 및 현재 회선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가를 감시하는 회선 모니터링 메뉴로 나누어진다.
로그인 정보부(80-6)는 사용자가 녹음파일을 청취/삭제하거나 로그인/로그아웃 했을 때에 그에 대한 기록을 남겨놓을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열람 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녹음 청취/삭제 정보부(80-7)는 녹음청취 부(80-1)에서 청취를 하거나 파일을 삭제할 때 그 기록을 남겨놓을 필요가 있는 경우 누가 언제 어떤 파일을 청취 혹은 삭제했는지 검색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코드 관리부(80-8)는 관리자 정보나 시스템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정의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관리자 정보나 시스템 정보를 입력하기 전이나 다를 부를 실행하기 전에 꼭 필요한 사항이므로 처음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가장 먼저 입력해야 할 사항이다.
시스템 관리부(80-9)는 현재 설치되어 있는 녹취 채널 정보와 관리자 정보를 등록하고, 각 채널의 관리자 정보를 입력하는 프로그램이다.
관리 제어부(81)는 관리부(80)의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관리부(80)의 각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3의 백업부(9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부(90)는 자동 백업부(90-1), 수동 백업부(90-3), 드라이버 설정부(90-5), 초기화 설정부(90-7) 및 백업 제어부(91)로이루어진다.
자동 백업부(90-1)는 설정한 백업 시간에 백업을 시작해서 설정된 리셋 시간에 백업상태가 초기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간을 설정할 때는 사용이 적은 시간대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수동 백업부(90-3)는 원하는 시간에 수동백업 버튼을 누르면 시간에 관계없이 백업을 시작하도록 한다.
드라이버 설정부(9-5)는 백업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킬 백업 저장부(49)를 선택해 각 백업 저장부(49)의 우선순위와 필요한 설정값을 정해 주는 것이다.
초기화 설정부(90-7)는 백업을 실행하기 전의 초기화, 즉 초기 조건을 설정하는 프로그램이다.
백업 제어부(91)는 백업부(90)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백업처리가 일어나도록 하고, 드라이버를 설정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3의 관리부를 구동한 경우의 그래픽 관리자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자가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하면 화면(110)의 상단에 메뉴바(115)가 표시되고, 그 하단에 도구바(120)가 표시되며, 화면(110)의 하단에 권한창(190)이 표시된다.
메뉴바(115)는 녹취관리, 통계관리, 모니터링, 로그정보, 코드관리, 시스템관리, 환경설정, 창, 도움말, 종료로 구성되어 있다.
도구바(120)는 메뉴바(115) 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메뉴를 도구바(120)의 형태로 표시한 것으로서, 로그아웃(125), 녹음 청취(130), 통계 관리(140), 모니터링(150), 코드 관리(160), 환경 설정(170) 및 종료(180)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메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권한창(190)은 현재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중인 사용자의 사용자명, 사용자가 녹취 데이터를 청취할 권한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청취권한(191), 청취 내역 등을 조회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조회권한(193), 평가권한(195) 및 시스템 관리 권한(197)이 표시된다.
도 8은 도 7 화면(110)의 도구바(120)에서 녹취 검색 메뉴를 선택한 후 폴더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110)이다.
녹취 검색 메뉴를 선택한 후, 화면(110) 상단의 아이콘 중 폴더를 클릭하면 폴더모드가 나타난다.
폴더 선택창(200)에서 부서별과 녹취 장치(40)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녹취 데이터가 트리형태의 폴더모드로 정렬되어 나타난다. 도 8에는 부서별로 선택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다시 전화번호순이나 날짜순으로도 검색할 수 있다. 화면(110) 좌측(210)에는 각 부서 폴더(211)가 표시되며, 원하는 부서 폴더(211)를 검색하면 해당 부서의 직원 또는 에이전트(213)가 표시된다. 도 8에는 연구소 폴더를 선택한 경우 연구소의 직원 또는 에이전트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직원중의 한 사람을 선택하면 그 사람이 고객과 통화한 내역에 관한 녹취 데이터(221)의 목록이 화면(110) 우측(220)에 표시된다. 만일, 사용자가 날짜순을 선택하면 녹취 데이터(221)가 날짜순으로 표시된다.
도 9는 도 7 화면(110)의 도구바(120)에서 녹음 청취 메뉴(130)를 선택한 후 검색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110)이다.
녹취 청취 메뉴(130)를 선택한 후, 화면(110) 상단의 아이콘 중 검색을 클릭하면 도 9와 같은 검색모드가 나타난다.
검색 조건창(230)에서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검색(241)을 클릭하면 해당 조건과 일치하는 녹취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조건창(230)은 상담원 ID, 상담원명, 고객 ID, 상담시간, 상담 유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관리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유형의 검색 조건을 입력하여 검색을 할 수 있다.
녹취 검색 메뉴를 선택한 후, 화면(110) 상단의 아이콘 중 폴더를 클릭하면 폴더모드가 나타난다. 또한, 관리자는 검색 조건창(230) 하단의 서버명, 부서명, 지점명, 녹음 전화번호, 송수신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녹취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관리자는 기간, 시간을 입력하여 녹취 데이터를 검색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7 화면(110)의 도구바(120)에서 메모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110)이다.
도 9에서 검색된 녹취 데이터 항목(269)을 선택한 후, 도구창에서 메모(261)를 클릭하면 도 10에 도시된 메모창(265)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메모장에 메모할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하면 메모된 내용이 저장되며, 선택된 녹취 데이터 항목(269)의 옆에 "★" 표가 표시되어 나중에 녹취 데이터를 검색할 때 녹취 데이터에 메모가 되어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도 7 화면(110)의 도구바(120)에서 모니터링 메뉴를 선택한 후 회선모니터링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110)이다.
회선 모니터링은 요약 정보와 전체 정보 두 가지가 각각 하위 메뉴로 나뉘는데 도 11은 회선상태에 관한 요약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요약정보는 단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회선의 연결상태만 보여지며 실시간 통계가 화면(110) 우측에 그래프와 함께 나타나게 된다. 현재 회선상태는 채널번호와 전화번호 두 가지 중 선택해서 볼 수 있는데, 화면(110) 상단의 번호 유형창(285)에서 "Tel"을 선택하면 전화번호별 상태가 표시되고, "VPM"을 선택하면 채널번호별 상태가 표시된다.
회선 모니터링을 선택하면 도 11의 화면(110) 우측과 같은 현재의 회선 상태를 도시한 막대 그래프가 도시되는데, 우측 상단의 그래프창(287)을 클릭하면 그래프가 원형 그래프로 변환되고, 그래프창(287)의 모양이 막대 그래프 모양으로 바뀐다. 그래프의 하단(293)에는 총 회선의 상태가 각 상태별 회선수로 표시된다.
화면(110)의 좌측 상단에는 회선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창(270)이 표시되는데, 상태창(270)은 현재 회선이 대기상태임을 나타내는 대기 아이콘(271), 현재 회선이 예약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예약 아이콘(273), 현재 에이전트와 고객간의 통화 내용이 녹취중임을 나타내는 녹취 아이콘(275), 현재 회선이 초기상태임을 나타내는 초기 아이콘(279), 현재 회선이 이상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에러 아이콘(281), 회선이 모니터링의 대상이 아닌 회선임을 나타내는 비대상 아이콘(283)의 여섯 가지 아이콘들로 구성된다.
화면(110) 우측 상단의 종료창(291)을 클릭하면 화면(110)을 닫는 동시에 회선 상태를 보기 위한 연결이 해제된다.
만일, 사용자가 전체정보를 선택하면 요약정보와 거의 동일하나 전호번호 및 채널번호를 동시에 볼 수 있고, 초단위로 상태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도 12는 도 7 화면(110)의 도구바(120)에서 로그정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110)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면(110) 좌측 상단에 검색 조건창(300)이 표시되는데, 검색조건에는 기간, 시간, 관리자ID, 관리자이름, 부서명 및 지점명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례에 불과하며, 그 외에도 여러 검색조건이 있을 수 있다.
로그정보를 검색할 때 구분창(313)에서 전체 정보, 로그인 정보 및 로그아웃 정보 중에서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하여 원하는 항목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로그아웃 정보를 선택하면 로그아웃에 관한 정보만이 표시된다.
관리자가 검색 조건을 입력하여 검색창(315)을 클릭하면 로그인 또는 로그아웃을 한 사용자명, 사용자 ID, 시간, 지점, 부서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만일, 관리자가 검색창(315) 하단의 종료창(317)을 클릭하면 로그 정보 메뉴가 종료된다.
도 13은 도 7 화면(110)의 도구바(120)에서 녹음 청취/삭제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110)이다.
녹음 청취/삭제 메뉴를 이용하여 녹취 데이터의 청취자 및 삭제자의 이름, ID, 지점, 부서, 청취 및 삭제 일시 등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면(110) 상단의 검색 조건창(321)에서 서버명, 청취자 ID, 청취자 이름, 전화번호, 청취자 부서명, 청취자 지점명 등의 청취자의 정보 및 상담원 ID, 상담원 이름, 상담원 부서명, 상담원 지점명 등의 상담원의 정보에 관한 조건을 입력한 후, 조회(327)를 입력하면 도 13과 같은 화면(110)이 표시된다.
또한, 검색 조건창(321) 하단의 기간 입력창(323)에서 청취기간, 청취시간, 녹음 기간, 녹음 시간 등의 기간 정보를 입력하여 녹음 청취/삭제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취 기간을 선택하면 도 13과 같은 달력창(325)이 표시되고, 이중 한 날짜를 선택하면 그 날 녹음이 청취 또는 삭제된 녹취 데이터에 관한 목록이 표시된다.
도 14는 도 7 화면(110)의 도구바(120)에서 사용자관리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110)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 즉, 사용자 ID, 암호, 사용자 이름, 지점, 부서명, 직위 등의 정보를 사용자정보 입력창(333)에 입력한 후, 하단의 사용 권한창(335)에서 사용자에게 부여할 권한을 선택한다. 도 14에는 사용자에게 조회 권한, 녹음청취 권한, 녹취평가 권한 및 시스템 관리 권한의 모든 권한을 부여하였음이 도시되어 있다.
즉, 관리자는 사용자마다 권한을 다르게 부여할 수 있으며, 권한 사항이 없는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마다 권한이 없는 메뉴는 열수 없도록 되어 있다.즉, 모든 권한이 있어야 모든 메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도 7은 도 3의 백업 부를 구동한 경우의 그래픽 관리자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백업 부에서 드라이브 설정을 클릭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110)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화면(110) 상단에는 백업 로그 리스트가 표시되고, 그 우측에는 현재 백업되고 있는 매체의 레이블명을 표시하는 레이블명창(345)이 표시된다.
그 우측 상단에는 백업 저장부(49)를 교체하기 위한 교체창(347)이 위치하는데, 백업이 완료되면 활성화되며 백업 저장부(49)를 교체한 후에 클릭해야 한다.
백업 로그인창(343)의 하단에는 백업 드라이브 설정창(341)이 표시되는데, 관리자는 저장할 백업 저장부의 이름, 우선순위, 백업시작 시점 및 종료시점을 선택하고, 추가를 클릭하면 우측의 순번, 소스 드라이브, 백업 시작시점, 백업 종료시점 및 목적 드라이브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창(351)이 나타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녹취 장치에 한정하여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그 외에 각종 데이터 녹음 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녹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디스크의 고장시에도 정상적인 녹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녹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백업 저장부로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함으로써, 대용량의 녹취 데이터를 백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녹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EEE-1394 포트를 이용함으로써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도 백업 저장부를 교체할 수 있는 녹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녹취장치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녹취장치를 관리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녹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3)

  1. 녹취장치에 있어서,
    통화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는 녹취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녹취부-상기 녹취부는 통화 데이터의 녹취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 녹취 데이터의 청취, 삭제 및 녹취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부, 상기 녹취 저장부에 저장된 녹취 데이터를 상기 백업 저장부로 백업하는 백업 처리를 수행하는 백업부 및 데이터베이스의 저장경로를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부를 포함함-;
    전화회선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녹취 데이터를 디지털 녹취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보드;
    상기 음성 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지털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녹취 저장부;
    일단이 상기 녹취 저장부에 연결되며,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입출력 포트;
    상기 녹취 저장부의 사용 공간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녹취 저장부로부터 녹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백업 저장부; 및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부는
    녹취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주 녹취부; 및
    주 녹취부의 고장시 상기 주 녹취부를 대체하기 위한 부 녹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포트는
    IEEE-1394 포트 또는 USB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저장부는
    하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통화 내용을 녹취 처리하도록 하는 녹취 처리부;
    녹취장치의 상태를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소켓 서버부;
    녹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부; 및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녹취 제어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사용자명 정보, 청취 권한 정보, 조회 권한 정보, 평가 권한 정보 및 시스템 관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녹취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녹취 검색부를 포함하되,
    상기 녹취 검색부는
    녹취 데이터를 폴더별로 분류 또는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녹취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녹취 데이터에 대한 메모가 기록되는 경우, 상기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메모 식별 데이터를 녹취 데이터에 부가시키는 메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녹취 데이터를 청취한 관리자정보, 청취 회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하기 위한 청취 내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담원별, 지점/부서별, 월별, 일별, 시간별 통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청취 내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녹취 삭제 데이터 및 녹취 데이터를 삭제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녹취 삭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백업 저장부의 용량 상태 또는 회선 동작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부는
    미리 설정된 백업 시간에 백업을 시작하고, 미리 설정된 리셋 시간에 백업상태를 초기화하도록 하는 자동 백업부;
    백업 명령의 입력에 의해 백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수동 백업부;
    백업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킬 백업 저장부를 선택해 각 백업 저장부의 우선순위 및 설정값을 지정하는 백업 저장부 설정부;
    백업 처리를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화 설정부; 및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백업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취장치.
KR1020020088213A 2002-12-31 2002-12-31 녹취장치 KR20040061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213A KR20040061911A (ko) 2002-12-31 2002-12-31 녹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213A KR20040061911A (ko) 2002-12-31 2002-12-31 녹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911A true KR20040061911A (ko) 2004-07-07

Family

ID=3735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213A KR20040061911A (ko) 2002-12-31 2002-12-31 녹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19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535B1 (ko) * 2015-08-06 2017-02-22 주식회사 미디어와사람들 결함내성 설계반영의 멀티데이터 녹취시스템 및 안전성 향상 방법
KR102330750B1 (ko) * 2021-08-26 2021-11-24 동양엘리베이터앤아이씨티솔루션(주) 이중화된 녹취 보드를 구비한 상황실 관제센터 녹취 시스템의 고장 대응 장치 및 그 방법
CN115426436A (zh) * 2022-08-31 2022-12-02 天津津航计算技术研究所 一种通信机实时录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535B1 (ko) * 2015-08-06 2017-02-22 주식회사 미디어와사람들 결함내성 설계반영의 멀티데이터 녹취시스템 및 안전성 향상 방법
KR102330750B1 (ko) * 2021-08-26 2021-11-24 동양엘리베이터앤아이씨티솔루션(주) 이중화된 녹취 보드를 구비한 상황실 관제센터 녹취 시스템의 고장 대응 장치 및 그 방법
CN115426436A (zh) * 2022-08-31 2022-12-02 天津津航计算技术研究所 一种通信机实时录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2023B1 (ko) 계산기 네트워크용 단말장치 및 조작이력 기록방법
US5982857A (en) Voice recording method and system providing context specific storage and retrieval
US7995710B2 (en) Telephone-receiving call center system
US68293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outing incoming calls
US20060198504A1 (en) Call recording platform
US20080086305A1 (en) Digital dictation workflow system and method
US2007002789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keeping records
JPH031653A (ja) 画像処理装置の遠隔診断装置
US9451086B2 (en) Complex recording trigger
US10855837B2 (en) Call recording system and method of reproducing recorded call
CN104133915B (zh) 一种数据库管理员运维行为的监控方法及系统
US8688821B2 (en) Automatic transmission of support information from storage apparatus
US7313650B2 (en)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volume storing digital archive
US9185209B2 (en) Call-details recording device and call-details recording method
KR20040061911A (ko) 녹취장치
US68650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writing data on a magnetic tape
KR100954515B1 (ko) 전화상담 기록 및 재생장치
JP4122046B1 (ja) 対面音声録音システム及び対面音声収集装置
CN1722757B (zh) 基于话音通讯的录音系统
US20080126257A1 (en) Capacity ordering from storage apparatus
EP1590944A1 (en) Means and method for computerized call logging
CN112907110A (zh) 机房数据管理系统、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JP3029415B2 (ja) データベース保守管理システム
JPH11252255A (ja) 通話記録システム
KR100982911B1 (ko) 전화상담 기록 및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