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743A -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743A
KR20040061743A KR1020020088035A KR20020088035A KR20040061743A KR 20040061743 A KR20040061743 A KR 20040061743A KR 1020020088035 A KR1020020088035 A KR 1020020088035A KR 20020088035 A KR20020088035 A KR 20020088035A KR 20040061743 A KR20040061743 A KR 2004006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ibration
induced current
pedome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2008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1743A/ko
Publication of KR2004006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74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는, 만보기의 진동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러한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걸음의 횟수를 표시하는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자석에 의해 코일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는 유도 전류 생성부; 상기 유도 전류를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잡음을 제거한 후 순수 진동 신호만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MSM; 및 상기 유도 전류를 입력받고, 상기 유도 전류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BY USING STEP COUNTER}
본 발명은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휴대폰에 만보 기능을 결합하여 일반적인 통화 기능은 물론 사용자의 걸음수를 알려주며, 만보기의 진동 에너지를 배터리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만보기를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보기는 걸음을 걸을 때의 높이 변화를 이용하여 걸음수를 체크하는 장치이고, 휴대폰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로서 두 장치는 항상 휴대해야 하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만보기와 휴대폰을 동시에 휴대해야 할 경우에 각각을 휴대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휴대폰에 만보기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만보기의 동작에 따른 배터리 소모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만보기의 진동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러한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걸음의 횟수를 표시하는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유도 전류 생성부 120 : 진동 감지부
130 : MSM 140 : 충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자석에 의해 코일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는 유도 전류 생성부; 상기 유도 전류를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잡음을 제거한 후 순수 진동 신호만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MSM; 및 상기 유도 전류를 입력받고, 상기 유도 전류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유도 전류 생성부(110), 진동 감지부(120), MSM(130) 및 충전부(140)를 포함한다.
유도 전류 생성부(11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자석에 의해 코일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면, 상기 유도 전류를 후술하는 진동 감지부(120) 및 후술하는 충전부(1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 내에 장착된 진동부(111)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자석이다.
또한,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 내에 장착된 코일부(112)는, 상기 진동부(111)에 의해 변화하는 자계에 따라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 내에 장착된 복수개의 다이오드(113, 114)는, 음극은 후술하는 충전부(140)에 연결되고, 양극은 상기 코일부(112)에 연결되어 상기 유도 전류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120)는, 후술하는 MSM(130)에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유도 전류를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하여 후술하는 MSM(13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MSM(130)은, 만보 동작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 감지부(120)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진동 감지부(120)에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잡음을 제거한 후 순수 진동 신호만을 추출하고, 상기 순수 진동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LCD 표시부(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충전부(140)는,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유도 전류를 입력받고, 상기 유도 전류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유도 전류 생성부(110), 진동 감지부(220), MSM(230) 및 충전부(140)를 포함한다.
유도 전류 생성부(11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자석에 의해 코일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면, 상기 유도 전류를 후술하는 진동 감지부(120) 및 후술하는 충전부(1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 내에 장착된 진동부(111)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자석이다.
또한,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 내에 장착된 코일부(112)는, 상기진동부(111)에 의해 변화하는 자계에 따라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 내에 장착된 복수개의 다이오드(113, 114)는, 음극은 후술하는 충전부(140)에 연결되고, 양극은 상기 코일부(112)에 연결되어 상기 유도 전류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220)는, 후술하는 MSM(230)에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진동부(111)의 양극에 각각 이격되어 장착된 전원단 및 접지단에 의해 생성된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생성된 스위칭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하여 후술하는 MSM(13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MSM(130)은, 만보 동작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 감지부(120)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진동 감지부(120)에서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잡음을 제거한 후 순수 진동 신호만을 추출하고, 상기 순수 진동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LCD 표시부(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충전부(140)는,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유도 전류를 입력받고, 상기 유도 전류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을 움직이면(걸어간다든지 혹은 충전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흔드는 경우), 유도 전류 생성부(110) 내에 장착된 진동부(111)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게 된다. 그 후, 유도 전류 생성부(110) 내에 장착된 코일부(112)는, 진동부(111)에 의해 변화하는 자계에 따라 유도전류를 생성하고, 충전부(140)는, 유도 전류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유도 전류를 입력받고, 이러한 유도 전류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즉, 만보기의 진동 자석을 이용하여 충전 전압을 생성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만보기의 진동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러한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걸음의 횟수를 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임의로 흔드는 동작 등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자석에 의해 코일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는 유도 전류 생성부;
    상기 유도 전류를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잡음을 제거한 후 순수 진동 신호만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MSM; 및
    상기 유도 전류를 입력받고, 상기 유도 전류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류 생성부는,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자석인 진동부;
    상기 진동부에 의해 변화하는 자계에 따라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코일부; 및
    음극은 상기 충전부에 연결되고, 양극은 상기 코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도 전류의 역류를 차단하는 복수개의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의 양극에 각각 이격되어 장착된 전원단 및 접지단에 의해 생성된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생성된 스위칭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하여 출력하는 진동 감지부; 및
    상기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잡음을 제거한 후 순수 진동 신호만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MSM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KR1020020088035A 2002-12-31 2002-12-31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40061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035A KR20040061743A (ko) 2002-12-31 2002-12-31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035A KR20040061743A (ko) 2002-12-31 2002-12-31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743A true KR20040061743A (ko) 2004-07-07

Family

ID=3735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035A KR20040061743A (ko) 2002-12-31 2002-12-31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17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335B1 (ko) * 2011-06-20 2013-02-19 이동광 생활에너지를 이용하는 충전기구
KR102406676B1 (ko) * 2021-01-19 2022-06-10 (주)인셈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335B1 (ko) * 2011-06-20 2013-02-19 이동광 생활에너지를 이용하는 충전기구
KR102406676B1 (ko) * 2021-01-19 2022-06-10 (주)인셈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83683A (ja) 共振型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電力伝送制御方法、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送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受信装置
CN104701955B (zh) 一种无线充电装置
US11652915B2 (en)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and readable storage medium
EP1184834A3 (en) Signal line drive circuit, imag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CN103199603A (zh) 压电发电充电系统以及应用该系统的电子设备
CN105208190B (zh) 通知信号提示方法及终端
CN110061557A (zh) 可穿戴设备的充电方法、可穿戴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187274A (zh) 一种步进电机检测方法、装置和系统
KR20040061743A (ko)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CN104391570B (zh) 穿戴式智能设备及穿戴式智能系统
JP4982594B2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
CN114243162A (zh) 电池加热方法、装置和设备
CN104274168A (zh) 一种心率及行为状态监控手环
CN111835077B (zh) 可重构振动供能物联网节点
KR20000000172A (ko) 휴대폰용 자가발전 팩
CN110460127A (zh) 一种无线充电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101844531B1 (ko) 자가발전기가 내장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CN110323827A (zh) 充电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38932A (zh) 一种电池拆卸的监控装置和电子设备
CN104281045A (zh) 太阳能智能手表组合结构
JP2010183799A (ja) 携帯電子機器
EP43257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driving waveform, an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584369B1 (ko) 적응형 조도 충전 장치 및 방법
CN104224189A (zh) 一种开关电源供电的行为监控手环
CN201937665U (zh) 测振动的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