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676B1 -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 Google Patents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676B1
KR102406676B1 KR1020210007247A KR20210007247A KR102406676B1 KR 102406676 B1 KR102406676 B1 KR 102406676B1 KR 1020210007247 A KR1020210007247 A KR 1020210007247A KR 20210007247 A KR20210007247 A KR 20210007247A KR 102406676 B1 KR102406676 B1 KR 102406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proximity sensor
wearer
inductive proximity
st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종
Original Assignee
(주)인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셈 filed Critical (주)인셈
Priority to KR102021000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01D5/2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differentially influencing two coils
    • G01D5/2208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differentially influencing two coils by influencing the self-induction of th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신발 내부에 상하로 이격된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를 설치하고,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밑창 또는 깔창의 가압여부에 따라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확하게 걸음 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Shoes capable of measuring step count}
본 발명은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신발 내부에 상하로 이격된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를 설치하고,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밑창 또는 깔창의 가압여부에 따라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확하게 걸음 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게 되면서, 하루 만보 걷기 등의 생활 속의 운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자신이 얼마나 걸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걷는 사람의 걸음 수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만보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만보계는 허리 춤 또는 주머니 안에 소지하여, 사용자의 걸음 수를 계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직접 소지해야 하고, 신체에 부착된 것이 아니므로 분실의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에 만보계 등의 계측기를 설치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만보계가 결합된 신발'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6835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만보계가 결합된 신발'은, 만보계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지퍼로 개폐 가능하고 측면에 일측 벨크로가 설치된 수납함과, 상기한 일측 벨크로와 탈착되도록 타측 벨크로가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한 수납함의 일측에 줄과 고리를 연결하고 신발에 형성된 구멍에 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신발에 만보계를 설치함으로써, 착용자의 걸음 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만보계를 신발 외부에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외관을 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계측 시스템의 한계로 인하여, 착용자가 걷는 상태가 아닌 신발을 들고 흔드는 경우에도 걸음 수로 측정하는 등 오작동에 의한 정확한 걸음 수를 측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35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신발 내부에 상하로 이격된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를 설치하고,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밑창 또는 깔창의 가압여부에 따라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확하게 걸음 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은, 착용자의 발등과 발목 부위를 덮어서 보호하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저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저면에 위치하며 바닥면에 접촉되는 밑창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밑창 내부에는,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가 구비되는 PCB기판이 삽입 설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의 직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에 의해 감지되는 금속부재가 삽입 설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2삽입부가 각각 구비되며,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상기 밑창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상기 금속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은, 착용자의 발등과 발목 부위를 덮어서 보호하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저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저면에 위치하며 바닥면에 접촉되는 밑창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밑창 내부에는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가 구비되는 PCB기판이 삽입 설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내측 바닥에 위치하는 깔창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부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에 의해 감지되는 금속부재가 부착되되,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상기 깔창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상기 금속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CB기판은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의 유도 코일을 통해 유도전류를 흘려주다가, 상기 금속부재가 가까워지는 경우, 유도 코일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기준 주파수에서 변화된 주파수 만큼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상기 밑창의 가압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CB기판에는 착용자 단말기로 착용자의 걸음 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걸음 수 정보를 착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신발 내부에 상하로 이격된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를 설치하고,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밑창 또는 깔창의 가압여부에 따라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확하게 걸음 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의 구성을 보인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의 걸음 수 측정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의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의 위치 변화에 따른 주파수 변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의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의 구성을 보인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의 걸음 수 측정 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의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의 위치 변화에 따른 주파수 변화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은 착용자의 발등과 발목 부위를 덮어서 보호하는 갑피(10)와, 상기 갑피(10)의 저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중창(20)과, 상기 중창(20)의 저면에 위치하며 바닥면에 접촉되는 밑창(30)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밑창(30) 내부에는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곳에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가 구비되는 PCB기판(100)이 삽입 설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1삽입부(31) 및 상기 제1삽입부(31)의 직상방에 위치하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에 의해 감지되는 금속부재(200)가 삽입 설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2삽입부(32)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삽입부(31) 및 제2삽입부(32)는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와 금속부재(200)가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와 금속부재(200)는 상기 제1삽입부(31) 및 제2삽입부(32)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다가 착용자에 의해 밑창(30)이 가압되는 경우, 상호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구성되며, 이로 인하여,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밑창(30)의 가압여부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와 금속부재(200)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PCB기판(100)은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의 유도 코일을 통해 유도전류를 흘려주다가, 상기 금속부재(200)가 가까워지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코일의 자기장이 변화하게 되는데, 유도 코일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기준 주파수에서 변화된 주파수 만큼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상기 밑창(30)의 가압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를 통해 측정되는 전압차에 해당하는 측정값은 신호변환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로 전송되는데, 이로 인하여, 제어부에서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전압차를 통해 밑창(30)의 가압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PCB기판(100)에는 착용자의 걸음 수 정보를 착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가 구비되는데, 이로 인하여, 착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별, 주간, 월 단위로 걸음 수 정보를 간단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은, 밑창(30)과 깔창(40)을 이용하여 걸음 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를 위하여,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밑창(30) 내부에는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가 구비되는 PCB기판(100)이 삽입 설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33)가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내측 바닥에 위치하는 깔창(40)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부(33)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에 의해 감지되는 금속부재(200)가 부착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상기 깔창(40)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와 상기 금속부재(200)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부재(200)는 간단하게는 깔창(40)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깔창(40)의 저면에 금속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삽입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10)와 금속부재(200)를 통한 걸음 수 측정 방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신발 내부에 상하로 이격된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00)와 금속부재(200)를 설치하고,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밑창(30) 또는 깔창(40)의 가압여부에 따라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100)와 금속부재(200)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확하게 걸음 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갑피 20: 중창
30: 밑창 31: 제1삽입부
32: 제2삽입부 33: 삽입부
40: 깔창 100: PCB기판
110: 유도형 근접센서 200: 금속부재

Claims (4)

  1. 착용자의 발등과 발목 부위를 덮어서 보호하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저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저면에 위치하며 바닥면에 접촉되는 밑창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밑창 내부에는,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가 구비되는 PCB기판이 삽입 설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의 직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에 의해 감지되는 금속부재가 삽입 설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2삽입부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는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금속부재를 이격된 상태로 위치시키며,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상기 밑창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상기 금속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CB기판은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의 유도 코일을 통해 유도전류를 흘려주다가, 상기 금속부재가 가까워지는 경우, 유도 코일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기준 주파수에서 변화된 주파수 만큼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상기 밑창의 가압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2. 착용자의 발등과 발목 부위를 덮어서 보호하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저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저면에 위치하며 바닥면에 접촉되는 밑창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바닥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밑창 내부에는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가 구비되는 PCB기판이 삽입 설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내측 바닥에 위치하는 깔창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부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에 의해 감지되는 금속부재가 부착되되,
    착용자가 걷는 과정에서 상기 깔창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와 상기 금속부재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1싸이클을 통해 걸음 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CB기판은 상기 유도형 근접센서(Inductive Proximity Sensor)의 유도 코일을 통해 유도전류를 흘려주다가, 상기 금속부재가 가까워지는 경우, 유도 코일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기준 주파수에서 변화된 주파수 만큼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상기 밑창의 가압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에는 착용자 단말기로 착용자의 걸음 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착용자의 걸음 수 정보를 착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KR1020210007247A 2021-01-19 2021-01-19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KR10240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247A KR102406676B1 (ko) 2021-01-19 2021-01-19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247A KR102406676B1 (ko) 2021-01-19 2021-01-19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676B1 true KR102406676B1 (ko) 2022-06-10

Family

ID=8198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247A KR102406676B1 (ko) 2021-01-19 2021-01-19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6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743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368351Y1 (ko) 2004-08-25 2004-11-18 이수미 만보계가 결합된 신발
KR20170060334A (ko) * 2015-11-24 2017-06-01 권동혁 체험 공유를 통한 포인트 취득 및 사용 그리고 다이어트 가능한 스프링 신발의 앱을 이용한 다이어트 체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743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만보기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368351Y1 (ko) 2004-08-25 2004-11-18 이수미 만보계가 결합된 신발
KR20170060334A (ko) * 2015-11-24 2017-06-01 권동혁 체험 공유를 통한 포인트 취득 및 사용 그리고 다이어트 가능한 스프링 신발의 앱을 이용한 다이어트 체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3492C (zh) 鞋和罩壳
JP7261282B2 (ja) アスレチック活動を分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10196151A1 (en) Miniaturized electronic unit for integration in any sole
KR101608481B1 (ko) 센서 시스템을 가지는 신발류
TWI766763B (zh) 用於安裝於鞋件物件的自動鞋件系統
US7463997B2 (en) Pedometer device and step detection method using an algorithm for self-adaptive computation of acceleration thresholds
US8775012B2 (en) Motor vehicle ignition key, motor vehicle navigation device, motor vehicle system, and methods
CN205107688U (zh) 智能鞋
KR102406676B1 (ko)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한 신발
CN106037151B (zh) 一种智能鞋带
CN102564448B (zh) 具有鞋装传感器和发射机的计步器
TWI725118B (zh) 可移除之鞋類劣化感測器讀取器
CN108567431A (zh) 一种用于测量人体步态及步速的智能传感靴
CN107853790A (zh) 一种基于无线通信的智能穿戴设备及其方法
CN206101750U (zh) 一种鞋子
CN209284399U (zh) 一种防水智能鞋垫
KR101626556B1 (ko) 교체형 스마트 인솔을 포함하는 운동정보 획득 시스템
JP2010219976A (ja) 通信システム
CN212260643U (zh) 一种智能拖鞋
TWI495849B (zh) 安裝感測器與傳送器之鞋的計步器
CN212911922U (zh) 一种与风冷式空调服配合使用的空调靴
JP2012113527A (ja) 靴装着型センサ及び送信機を有する歩数計
Pila et al. Human footstep detection using proximity compensation algorithm withaccelerometer and time of flight sensor
CN205848804U (zh) 感应矫步鞋
JP6711127B2 (ja) 生体情報取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