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162A -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162A
KR20040061162A KR1020020086947A KR20020086947A KR20040061162A KR 20040061162 A KR20040061162 A KR 20040061162A KR 1020020086947 A KR1020020086947 A KR 1020020086947A KR 20020086947 A KR20020086947 A KR 20020086947A KR 20040061162 A KR20040061162 A KR 20040061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structure
slope
slope protection
assembling
reinforc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154B1 (ko
Inventor
재 술 나
Original Assignee
재 술 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술 나 filed Critical 재 술 나
Priority to KR10-2002-0086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1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H-빔(110)의 단부를 조립구(120)로 상호 결합시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H-빔(110) 내부 측에 익스팬더메탈(140)을 조립하는 H-빔구조물(100) 조립단계와, 상기 조립된 H-빔구조물(100)을 사면에 설치하고 상하좌우 선택적으로 H-빔구조물(100)을 연접하여 조립하는 H-빔구조물(100)의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H-빔구조물(100)의 조립구(120)에 형성된 고정구(121)를 통하여 락볼트(180) 암반에 압입하여 H-빔구조물(100) 전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100)의 익스팬더메탈(140)에 형성된 전면 홈부(142)에 식생토(212)를 고착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식생토(212)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로 구성하므로 도로 측방 등에 위치한 사면을 보호, 보강하여 낙석발생을 방지하고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 거동으로 인한 토압이나 수압 등이 상승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되 만일의 사태로 붕괴되더라도 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호, 보강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의 식생이 용이하도록 하여 녹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Merhod for protecting and reinforcing slopes}
본 발명은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낙석지역 등의 사면을 보호 및 보강하여 낙석 발생 또는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낙석지역 등의 사면에 낙석방지망을 밀착되게 덮고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와이어를 가로와 세로로 다수개 설치하여 낙석방지망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사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면의 지반 거동 등으로 인하여 압력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 거의 무용지물에 가까워 사면 전체가 붕괴되어 심각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면은 도로 공사로 인하여 도로의 측면에 주로 위치하게 되므로 사고 발생 후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복구하여야 하나 낙석방지망의 경우 사면에 대한 보강이 전혀 없이 단순히 낙석방지망으로 떨어져 내리는 몇 개의 낙석만을 차단하게 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거동 등으로 큰 압력이 작용할 때에 사면 전체가 붕괴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사면 전체가 붕괴되면, 이를 복구하기 위한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투입되어야 하므로 복구비가 상승되고 교통의 흐름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도로 측방 등에 위치한 사면을 보호, 보강하여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 거동으로 인한 토압이나 수압 등이 상승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면에서 강한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붕괴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호,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면에 식물의 식생이 용이하도록 하여 녹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으로 설치한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으로 설치한 구조물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으로 설치한 구조물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위한 구조물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위한 구조물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위한 구조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사면 100 : H-빔구조물
110 : H-빔 120 : 조립구
121 : 고정공 122 : 삽입홈
130 : 조립앵글 140 : 익스팬더메탈
141 : 돌출부 142 : 홈부
150 : 지지편 160 : 턴버클
170 : 매설지지편 180 : 락볼트
210 : 콘크리트지지층 211 : 매설토
212 : 식생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공법은 H-빔을 사각형상의 형성하되 H-빔의 내부 측에 익스팬더메탈(expander metal)을 결합시킨 H-빔구조물 형성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을 사면에 락볼트로 고정시키는 초기설치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을 상하좌우 선택적으로 연접되게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연접된 조립된 락볼트로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으로 설치한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으로 설치한 구조물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으로 설치한 구조물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위한 구조물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위한 구조물의 정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위한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은 H-빔(110)의 단부를 조립구(120)로 상호 결합시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H-빔(110)의 내부 측에 익스팬더메탈(140)을 조립하는 H-빔구조물(100) 조립단계와, 상기 조립된 H-빔구조물(100)을 사면에 설치하고 상하좌우 선택적으로 H-빔구조물(100)을 연접하여 조립하는 H-빔구조물(100)의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H-빔구조물(100)의 조립구(120)에 형성된 고정구(121)를 통하여 락볼트(180) 암반에 압입하여 H-빔구조물(100) 전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H-빔구조물(100)의 익스팬더메탈(140)에 형성된 전면 홈부(142)에 식생토(212)를 고착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식생토(212)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상기 H-빔구조물(100)의 설치단계에서 H-빔구조물(100)의 좌우 연접부분에 H-빔(110)을 수직으로 양분시킨 형상의 한 쌍의 조립앵글(130)로 익스팬더메탈(140)을 조립하도록 하므로 작업성을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H-빔(110)이 이중 설치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H-빔구조물(100)의 설치단계에서 H-빔구조물(100)과 사면(10)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에는 매설토(211)를 채워 넣으면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볼트(180)는 지형의 특성에 따라 H-빔구조물(100)의 연접 설치 과정에서 사용하거나 전체 연접설치 후에 사용할 수 도 있다.
나아가, 락볼트(180)는 사면(10)이 암반지형인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사면(10)이 일반지형(암반이 아니 지형)인 경우에는 네일을 삽입하여 그라우팅하여 고정시킬 수 도 있다.
한편, 도 2 와 같이, H-빔구조물(100)을 연접하여 조립하는 경우, 지형에 따라 상측 연결부분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할 때에는 상측 H-빔구조물(100)의 하단과 과 하측 H-빔구조물(100)의 상단을 턴버클(160)로 연결하여 조립한다.
이 경우 계단부분의 상면에는 식생토(212)를 고착화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러한 연결수단은 턴버클(16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H-빔(110) 등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도 3 과 같이, 계단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H-빔구조물(100)의 상단에매설지지편(170)을 결합하고 계단부분에 콘크리트지지층(210)을 형성하여 매설지지편(170)을 매설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이 경우도 계단부분의 콘크리트지지층(210) 상면에는 식생토(212)를 고착화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H-빔구조물(100)을 상세히 살펴보면, 조립구(120)는 센터에 고정공(121)을 형성하여 락볼트(180)를 암반에 압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하좌우에 H-빔(110)의 단불글 삽입하여 결합하는 삽입홈(122)을 형성하되, 삽입홈(122)은 2방향과 3방향 및 4방향으로 각각 형성시켜 조립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조립구(120)와 H-빔(110)의 결합은 핀으로 결합하여 지형에 따라 구조물(100)이 절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익스팬더메탈(140)은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전면 홈부(142)에는 식생토(212)를 고착화시켜 녹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익스팬더메탈(140)의 홈부(142)에는 지지편(150)을 밀착시키되 지지편(150)의 양단을 익스팬더메탈(140)과 함께 H-빔(110)에 고정시킨다.
상기 락볼트(180)는 지압판(도시하지 않음)등을 구비하여 조립구(120)를 통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턴버클(160)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H-빔(110)에 결합하여 지형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H-빔구조물(100)의 상측 H-빔(110)에는 매설지지편(170)을 결합하여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H-빔구조물(100)의 좌우 연접부분에는 H-빔(110)을 수직으로 양분시킨 형상의 한 쌍의 조립앵글(130)로 익스팬더메탈(140)을 조립하도록 하므로 작업성을 향상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면(10)의 형상에 따라 H-빔구조물(100)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H-빔구조물(100)의 하부 일측에서 상하 일측으로 연접시키면서 조립하여 전체 사면에 조립한다.
여기서 H-빔구조물(100)의 조립 완료 또는 조립 중에 조립구(120)의 고정공(121)을 통하여 락볼트(180)를 지중에 설치하여 H-빔구조물(100)을 견고하게 사면(10)에 고정시킨다.
나아가, H-빔구조물(100)과 H-빔구조물(100) 사이의 계단부분에는 매설지지편(170)을 콘크리트지지층(210)으로 고정시키므로 사면에 H-빔구조물(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더불어 H-빔구조물(100)과 사면(10)에 발생되는 공간에는 매설토(211)를 삽입하면서 설치하고 익스팬더메탈(140)의 홈부(142)와, H-빔구조물(100)과 H-빔구조물(100) 사이의 계단부분에 식생토(212)를 고착시켜 식생식물을 식생하므로 녹화공사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은 H-빔(110)의 단부를 조립구(120)로 상호 결합시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H-빔(110) 내부 측에 익스팬더메탈(140)을 조립하는 H-빔구조물(100) 조립단계와, 상기 조립된 H-빔구조물(100)을 사면에 설치하고 상하좌우 선택적으로 H-빔구조물(100)을 연접하여 조립하는 H-빔구조물(100)의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H-빔구조물(100)의 조립구(120)에 형성된 고정구(121)를 통하여 락볼트(180) 암반에 압입하여 H-빔구조물(100) 전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100)의 익스팬더메탈(140)에 형성된 전면 홈부(142)에 식생토(212)를 고착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식생토(212)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로 구성하므로 도로 측방 등에 위치한 사면을 보호, 보강하여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 거동으로 인한 토압이나 수압 등이 상승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되 만일의 사태로 붕괴되더라도 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호, 보강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의 식생이 용이하도록 하여 녹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H-빔(110)의 단부를 조립구(120)로 상호 결합시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H-빔(110) 내부 측에 물결형상의 익스팬더메탈(140)을 조립하는 H-빔구조물(100) 조립단계와,
    상기 조립된 H-빔구조물(100)을 사면에 설치하고 상하좌우 선택적으로 H-빔구조물(100)을 연접하여 조립하는 H-빔구조물(100)의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H-빔구조물(100)의 조립구(120)에 형성된 고정구(121)를 통하여 락볼트(180)를 암반에 압입하여 H-빔구조물(100) 전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100)의 익스팬더메탈(140)에 형성된 전면 홈부(142)에 식생토(212)를 고착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식생토(212)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빔구조물(100)의 설치단계에서 H-빔구조물(100)의 좌우 연접부분에 H-빔(110)을 수직으로 양분시킨 형상의 한 쌍의 조립앵글(130)로 익스팬더메탈(140)을 조립하도록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보강 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빔구조물(100)의 설치단계에서 H-빔구조물(100)과 사면(10)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에는 매설토(211)를 채워 넣으면서 설치하는 것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볼트(180)는 사면(10)이 암반지형인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사면(10)이 일반지형인 경우에는 네일을 삽입하여 그라우팅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빔구조물(100)을 연접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지형에 따라 상측 연결부분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할 때에는 상측 H-빔구조물(100)의 하단과 과 하측 H-빔구조물(100)의 상단을 턴버클(160) 또는 H-빔(110)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빔구조물(100)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하는 경우 H-빔구조물(100)의 상단에 매설지지편(170)을 결합하고 계단부분에 콘크리트지지층(210)을 형성하여 매설지지편(170)을 매설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H-빔구조물(100)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계단부분의 상면에 식생토(212)를 고착화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2002-0086947A 2002-12-30 2002-12-30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050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47A KR100505154B1 (ko) 2002-12-30 2002-12-30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47A KR100505154B1 (ko) 2002-12-30 2002-12-30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162A true KR20040061162A (ko) 2004-07-07
KR100505154B1 KR100505154B1 (ko) 2005-08-03

Family

ID=3735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947A KR100505154B1 (ko) 2002-12-30 2002-12-30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1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373B1 (ko) * 2004-09-18 2006-08-29 재 술 나 평면식 사면안정화 보강용 구조물
CN111827310A (zh) * 2020-07-27 2020-10-27 内江师范学院 一种边坡变形防治用防护装置
CN113412698A (zh) * 2021-08-12 2021-09-21 济南市中两山生态科技中心 一种农田综合防治与修复方法
CN113955667A (zh) * 2021-11-18 2022-01-21 芜湖天航重工股份有限公司 钢结构加工提升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373B1 (ko) * 2004-09-18 2006-08-29 재 술 나 평면식 사면안정화 보강용 구조물
CN111827310A (zh) * 2020-07-27 2020-10-27 内江师范学院 一种边坡变形防治用防护装置
CN111827310B (zh) * 2020-07-27 2022-02-11 内江师范学院 一种边坡变形防治用防护装置
CN113412698A (zh) * 2021-08-12 2021-09-21 济南市中两山生态科技中心 一种农田综合防治与修复方法
CN113955667A (zh) * 2021-11-18 2022-01-21 芜湖天航重工股份有限公司 钢结构加工提升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5154B1 (ko)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231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09686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0505154B1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1000915B1 (ko) 전면부와 보강체의 직접 연결형 옹벽
KR101390354B1 (ko) 산지 사면 안정화 공법 및 그 보강 구조
KR100520122B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200309072Y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100405269B1 (ko)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0466491B1 (ko) 암반붕괴 방지용 락볼트(네일) 연계 고정장치
KR100538981B1 (ko)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KR19990068283A (ko) 자연석을이용한옹벽구조물및그시공방법
KR100988994B1 (ko) 차수토류벽
KR100483967B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100451954B1 (ko) 와이어블록을 이용한 사면 보강 및 보호 방법
KR200386922Y1 (ko) 씨-형강을 이용한 암 파쇄 방호용 패널
KR200376547Y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200227271Y1 (ko) 법면 보호블록
KR200234915Y1 (ko) 굴곡이 심한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용 연결구
KR200287888Y1 (ko) 경사면 보강구조물
KR200245925Y1 (ko) 낙석방지터널 설치구조
KR20020058928A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0384067B1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2511386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