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0339A - 재단폭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재단폭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0339A
KR20040060339A KR1020020087110A KR20020087110A KR20040060339A KR 20040060339 A KR20040060339 A KR 20040060339A KR 1020020087110 A KR1020020087110 A KR 1020020087110A KR 20020087110 A KR20020087110 A KR 20020087110A KR 20040060339 A KR20040060339 A KR 2004006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edge
nut
screw nut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535B1 (ko
Inventor
오군재
Original Assignee
오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군재 filed Critical 오군재
Priority to KR10-2002-008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53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05Devices for the automatic drive or the program control of th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1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provision f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리석 또는 화강암 등의 판재를 소정의 폭으로 재단하는 석재용 재단기에서 절삭날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재단폭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석재 재단기의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어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절삭날 이송장치(10a ~ 10e)와,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10a ~ 10e)에 각각 장착되어 절삭날 이송장치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이송량감지장치(40a ~ 40e)와, 상기 이송량감지장치(40a ~ 40e)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연산하고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표시하며 절삭날 이송장치(10)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단폭조정장치{System for controlling cutting widths of a stone panel}
본 발명은 대리석 또는 화강암 등의 판재를 소정의 폭으로 재단하는 석재용 재단기에서 절삭날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재단폭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날 이송장치가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므로서 절삭날들 간의 폭이 조절되고, 이송량측정장치 및 제어부에 의해 절삭날들 간의 간격이 연산되고 표시되는 재단폭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23885호(1998년 6월 3일 등록)에 "석재 판넬 고속재단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석재 판넬 고속재단기는 석재판재를 거치하여 가로방향 이송과 동시에 종단절단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가로이동용 바퀴와 세로이동용 컨베이어로 구성된 이송대차와; 석재판재와 절삭날의 올바른 정렬을 위하여 레이저 빔에 의해 가상절단선을 그어 조정하는 레이저 정렬수단과; 본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절단 작업하는 종단작업부재와 세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절삭작업하는 횡단작업부재로 구성된 절삭수단과; 횡단절삭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스톱퍼장치와; 절단작업완료후 가공판넬을 자동 추출하는 판재추출장치와 판재추출테이블로 된 판재추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석재 판넬 고속재단기는 횡단작업시 재단헤드들 간의 간격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절하였기 때문에 석재 판넬의 재단폭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재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속기 스크류 너트가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므로서 절삭날들 간의 폭이 조절되고, 절삭날들 간의 간격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므로서, 절삭날들의 간격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정되어 정확하게 석재판넬의 폭을 재단할 수 있으며, 감속기 스크류 너트와 스크류 샤프트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경우, 유격조정너트에 의해 조정되어 더욱 정밀하게 석재판넬을 재단할 수 있는 재단폭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단폭조정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재단폭조정장치가 적용된 석재 재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단폭조정장치의 절삭날 이송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량측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포토인터럽터의 신호 파형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패널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날 이송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날 이송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a ~ 10e : 절삭날 이송장치
40a ~ 40e : 이송량감지장치 50 :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단폭조정장치는 석재 재단기의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어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절삭날 이송장치와,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에 각각 장착되어 절삭날 이송장치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이송량감지장치와, 상기 이송량감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연산하고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표시하며 절삭날 이송장치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는 가이드 프레임의 스크류 샤프트에 감속기 스크류 너트가 장착되며, 구동모터가 장착된 본체와 감속기 스크류 너트 사이에 베어링이 배치되어 상기 감속기 스크류 너트가 본체에 대해 상대운동을 할 수 있고, 구동모터의 동력이 헬리컬 기어에 의해 감속기 스크류 너트로 전달되므로서, 상기 감속기 스크류 너트가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는 측부에 유격조정너트와 이송량측정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유격조정너트와 이송량측정장치가 보호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량측정장치는 유격조정너트에 장착되어 상기 유격조정너트와 함께 회전하는 슬릿 플레이트와, 상기 슬릿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절삭날 이송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2개의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어패널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와 토글 스위치가 교대로 배치되어, 토글 스위치를 이용하여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연산된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각각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의 다른 예는 구동모터의 동력이 웜과 웜기어에 의해 감속기 스크류 너트로 전달되고, 웜기어가 감속기 스크류 너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의 또 다른 예는 본체의 좌측에 유격조정너트가 배치되고, 본체의 우측에 이송량측정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단폭조정장치는 석재 재단기(도시하지 않음 ; 도 2 참조)의 가이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 도 2 참조)에 배치되어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절삭날 이송장치(10a ~ 10e)와,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10a ~ 10e)에 각각 장착되어 절삭날 이송장치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이송량감지장치(40a ~ 40e)와, 상기 이송량감지장치(40a ~ 40e)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절삭날 이송장치(10a ~ 10e)에 장착된 절삭날(도 2 참조)들 간의 간격을 연산하고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표시하며 절삭날 이송장치(10a ~ 10e)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10a ~ 10e)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석재 재단기(1)의 가이드 프레임(3)에 각각 장착되어 가이드 프레임(3)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전후방에 절삭날(11a ~ 11e ; 11'a ~ 11'e)이 각각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삭날 이송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10)는 가이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스크류 샤프트(5)에 감속기 스크류 너트(21)가 장착되며, 구동모터(23)가 장착된 본체(25)와 감속기 스크류 너트(21) 사이에 베어링(27)이 배치되어 상기 감속기 스크류 너트(21)가 본체(25)에 대해 상대운동을 할 수 있고, 구동모터(23)의 동력이 헬리컬 기어(29)에 의해 감속기 스크류 너트(21)로 전달되므로서, 상기 감속기 스크류 너트(21)가 스크류 샤프트(19)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10)는 측부에 유격조정너트(33)와 이송량측정장치(40)가 배치되고, 상기 유격조정너트(33)와 이송량측정장치(40)가 보호커버 (39)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유격조정너트(33)는 사용 중에 마모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5)와 감속기 스크류 너트(21)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에 의한 오차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워록(35)에 의해 감속기 스크류 너트(21)와 일체화될 수 있다. 즉, 스크류 샤프트(5)와 감속기 스크류 너트(21)가 마모에 의해 유격이 발생하면, 파워록(35)을 풀고, 상기 유격조정너트(33)를 상기 감속기 스크류 너트(21) 쪽으로 조임으로서, 헐거워진 스크류 샤프트(5)와 감속기 스크류 너트(21) 사이의 유격을 조정한 후, 다시 파워록(35)을 록킹시킨다. 상기 파워록(35)은 감속기 스크류 너트(21)와 유격조정너트(33)를 연결하여 감속기 스크류 너트(21)가 스크류 샤프트(5)의 나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후진할 때, 상기 유격조정너트(33)가 감속기 스크류 너트(21)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면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워록(35)의 구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어 여기서 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31은 오일 시일(oil seal)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량측정장치(40)는 유격조정너트(33)에 장착되어 상기 유격조정너트(33)와 함께 회전하는 슬릿 플레이트(43)와, 상기 슬릿 플레이트(43)의 외주면에 배치되도록 절삭날 이송장치(10)의 본체(25)에 장착되는 2개의 포토인터럽터(47, 49)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토인터럽터(47, 49)는 회전하지 않고, 슬릿 플레이트(43)만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슬릿 플레이트(43)는 어느 한 슬릿(44)과 다음 슬릿(45) 사이의 간격 (s)이 스크류 샤프트(5)를 따라 이동하는 감속기 스크류 너트(21)의 이동거리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다.
상기 포토인터럽터(47, 49)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검출물체의 유무에 따라 수광부의 전압이 변동되는 것으로서, 그 구성 및 작동원리가 이미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포토인터럽터(47, 49)는 2개가 서로 90도의 위상차이를 가지므로서, 상기 상기 포토인터럽터(47, 4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50)에서 상기 포토인터럽터(47, 49)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받아 슬릿 플레이트(43)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가)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50)는 제 1 포토인터럽터(47)의 하이신호가 제 2 포토인터럽터(49)의 로신호에 대해 선행성을 가질 때 정회전으로 판정하고,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포토인터럽터(47)의 로신호가 제 2 포토인터럽터(49)의 하이신호에 대해 선행성을 가질 때 역회전으로 판정하고, 상기 포토인터럽터(47, 49)의 하이신호 갯수를 판별하여 감속기 스크류 너트의 이동거리를 연산하므로서,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연산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는 제어패널(53)에 디스플레이(57a ~57d)와 토글 스위치(55a ~ 55e)가 교대로 배치되어, 토글 스위치(55a ~ 55e)를 이용하여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57a ~57d)에 연산된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도 6의 1번 토글 스위치(55a)를 화살표(59) 방향으로 절환시키면, 도 2에 도시된 제 1 절삭날 이송장치(10a)가 정지해 있는 제 2 절삭날 이송장치(10b)에 대해 좌측(도면을 보았을 때)으로 이동하므로서, 제 1 절삭날 (11a)과 제 2 절삭날(11b) 사이의 간격(d)이 조절되고, 상기 간격이 도 6의 제 1 디스플레이(55a)에 표시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다른 나머지 토글 스위치(55b, 55c, 55d, 55e)에 의해 다른 절삭날(11b, 11c, 11d, 11e)들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삭날 이송장치(70)는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이 웜(71)과 웜기어(73)에 의해 감속기 스크류 너트(75)로 전달되고, 웜기어(73)가 감속기 스크류 너트(75)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절삭날 이송장치와 동일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삭날 이송장치(80)는 분리형으로서, 본체(81)의 좌측에 유격조정너트(82)가 배치되고, 본체(81)의 우측에 이송량측정장치(85)의 슬릿 플레이트(86) 및 포토인터럽터(87, 88)가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석재용 재단기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분야 기술을 가진 자라면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타입의 석재 재단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적용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단폭조정장치는 감속기 스크류 너트가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므로서 절삭날들 간의 폭이 조절되고, 절삭날들 간의 간격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므로서, 절삭날들의 간격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정되어 정확하게 석재판넬의 폭을 재단할 수 있으며, 감속기 스크류 너트와 스크류 샤프트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경우, 유격조정너트에 의해 조정되어 더욱 정밀하게 석재판넬을 재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석재 재단기의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어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절삭날 이송장치와,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에 각각 장착되어 절삭날 이송장치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이송량감지장치와, 상기 이송량감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연산하고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표시하며 절삭날 이송장치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폭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는 가이드 프레임의 스크류 샤프트(5)에 감속기 스크류 너트(21)가 장착되며, 구동모터(23)가 장착된 본체(25)와 감속기 스크류 너트(21) 사이에 베어링(27)이 배치되어 상기 감속기 스크류 너트(21)가 본체(25)에 대해 상대운동을 할 수 있고, 구동모터(23)의 동력이 헬리컬 기어(29)에 의해 감속기 스크류 너트(21)로 전달되므로서, 상기 감속기 스크류 너트(21)가 스크류 샤프트(19)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폭조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는 측부에 유격조정너트(33)와 이송량측정장치(40)가 배치되고, 상기 유격조정너트(33)와 이송량측정장치(40)가 보호커버(39)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폭조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량측정장치는 유격조정너트(33)에 장착되어 상기 유격조정너트(33)와 함께 회전하는 슬릿 플레이트(43)와, 상기 슬릿 플레이트(43)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절삭날 이송장치(10)의 본체(25)에 장착되는 2개의 포토인터럽터(47, 4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폭조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제어패널(53)에 디스플레이(57a ~57d)와 토글 스위치(55a ~ 55e)가 교대로 배치되어, 토글 스위치(55a ~ 55e)를 이용하여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57a ~57d)에 연산된 절삭날들 간의 간격을 각각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폭조정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의 동력이 웜과 웜기어에 의해 감속기 스크류 너트로 전달되고, 웜기어가 감속기 스크류 너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폭조정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 이송장치는 본체의 좌측에 유격조정너트가 배치되고, 본체의 우측에 이송량측정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폭조정장치.
KR10-2002-0087110A 2002-12-30 2002-12-30 재단폭조정장치 KR100512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110A KR100512535B1 (ko) 2002-12-30 2002-12-30 재단폭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110A KR100512535B1 (ko) 2002-12-30 2002-12-30 재단폭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339A true KR20040060339A (ko) 2004-07-06
KR100512535B1 KR100512535B1 (ko) 2005-09-07

Family

ID=3735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110A KR100512535B1 (ko) 2002-12-30 2002-12-30 재단폭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5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1630A (zh) * 2012-10-30 2013-02-27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 截齿对岩石截割试验的样品夹具装置
CN102941626A (zh) * 2012-10-30 2013-02-27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 截齿对岩石截割机理试验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43B1 (ko) 2008-12-23 2011-09-28 오군재 석판재 협폭 재단장치
KR101498158B1 (ko) * 2013-01-14 2015-03-04 오군재 석판재 재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1630A (zh) * 2012-10-30 2013-02-27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 截齿对岩石截割试验的样品夹具装置
CN102941626A (zh) * 2012-10-30 2013-02-27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 截齿对岩石截割机理试验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535B1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852B1 (ko) 전단기
KR20010007448A (ko) 유리, 석재류 재료 등의 플레이트 에지를 기계 가공하는양면 자동 기계
KR101776294B1 (ko) 전동톱 위치 확인이 가능한 판재 재단기
WO2011107872A1 (en) Machine for the mechanical machining of plate-shaped elements, particularly tiles and slabs of ceramic material, natural stones, glass or the like
KR100847069B1 (ko) 절단대상물의 자동 절단을 위한 프라즈마 절단장치
JP2004099424A (ja) ガラスの加工装置
US20060065091A1 (en) Rotary cutter
KR100512535B1 (ko) 재단폭조정장치
KR20170030792A (ko) 와이어 커팅장치
KR200324786Y1 (ko) 도광판의 패턴가공용 레이저장치
KR101918414B1 (ko) 수평식 절삭장치용 절삭공구 센터링장치
US6058993A (en) Device for machining, preferably shaping machining, of workpieces of wood, plastic etc.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spindle of such device
CN209111151U (zh) 一种橡胶切条机
EP0458002B1 (en) Improvement in moulding machines for woodworking
KR101465952B1 (ko) 러그 잔재물 제거장치
JPH04310397A (ja) 紙ウエブの長手方向切断機の円板ナイフ対の切断エッジの位置決め装置
KR20000003511U (ko) 버마샤 워크롤의 높이 조절장치
JPH0741247A (ja) 折機のチョッパ折装置
JPH0433596B2 (ko)
EP0838296B1 (en) Sawing machine including a sawdust removing device
US4685192A (en) Appliance for removal of burrs on flame-cut slabs; blooms and billets
CN102655972A (zh) 工具机系统、尤其是刺锯系统
US2551876A (en) Paper cutter
CN219665882U (zh) 工件对线调整装置、进给机构及切片机
KR20180112352A (ko) 슬라브 마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