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9523A -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9523A
KR20040059523A KR1020020084771A KR20020084771A KR20040059523A KR 20040059523 A KR20040059523 A KR 20040059523A KR 1020020084771 A KR1020020084771 A KR 1020020084771A KR 20020084771 A KR20020084771 A KR 20020084771A KR 20040059523 A KR20040059523 A KR 20040059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eviation
calibration
molten ste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호
강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4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9523A/ko
Publication of KR2004005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5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22D2/006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for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디쉬에 저장된 고온의 용강 온도를 설정된 시간 동안에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이 측정된 온도 변화율 편차 등의 온도 트렌드 데이타를 이용하여 고온의 용강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는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턴디쉬(2)의 용강(5)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강의 측정 온도를 연속해서 입력받는 단계(S81); 정해진 시간에 온도 교정을 수행하는 단계(S82); 상기 측정 온도신호를 고속 주기로 반복적으로 샘플링하는 단계(S83); 상기 온도 프로브(6)를 측정봉(8)에 삽입시켜 용강으로 침적하는 단계(S84,S85); 상기 측정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동작온도(1200℃) 이상인지 판단하여 상기 용강(5)의 온도측정이 가능한 상태임을 인식하는 단계(S86,S87); 상기 샘플링된 온도 데이타들을 수집하는 단계(S88,S89); 상기 수집한 온도 데이타들간의 편차를 각각 계산하고, 이 편차가 사전에 설정된 제1 편차 기준온도(5℃) 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높으면 실패로 처리하는 단계(S90-S93); 및 상기 수집된 온도 데이타들중 설정된 개수의 최근 온도 데이타들을 평균하여 평균 온도를 계산하는 단계(S94-S9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의 용강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서, 연주 공정에서 최적의 주조속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브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조정자의 작업부하를 크게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있다.

Description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A METHOD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MELTEN STEEL IN TUNDISH}
본 발명은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턴디쉬에 저장된 고온의 용강 온도를 설정된 시간 동안에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이 측정된 온도 변화율 편차 등의 온도 트렌드 데이타를 이용하여 고온의 용강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서, 연주 공정에서 최적의 주조속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브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조정자의 작업부하를 크게 경감할 수 있는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주공정 개략도이고, 도 2는 턴디쉬 용강온도의 트렌드(Trend)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용강온도 측정절차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측정 대상인 용강(2)의 온도가 1500도 정도의 매우 고온이므로 일반 접촉식 온도계를 이용하여 고온의 용강내에 침적시켜 연속적인 온도측정이 불가하므로, 1회용 소모성 열전대를 이용하여 온도 측정을 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자동 샘플링 설비(7)를 이용하여 측정봉(8)에 온도 프로브(6)를 자동 장착하여 용강에 삽입하게 되면 10초에서 20초 사이에 온도 프로브(6)가 소손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도 추이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 온도측정 정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 포인트는 짧은 순간에 검출된 온도 트렌드 중에서 최적의 온도를 계산하여야 하는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온도 측정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용강온도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온도측정 프로브(6)에서 측정된 미세한 아날로그 온도 신호는 보상도선을 통해 용강온도 연산장치(10)의 온도 교정 모듈(14)을 통해 온도 연산 모듈(15)에서 용강온도를 계산하여 계산된 온도가 지시창(16)에 온도를 지시하도록 되어 있다.
모든 계측장치는 표준기에 의한 제로와 스팬의 조정이 필요하게 되어 있는데, 운전자 또는 정비원은 이동식 온도 교정장치(17)를 가지고 정확한 온도측정을 위해서 적어도 매일 온도 교정을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교정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온도 측정봉(8)에 온도교정장치(17)를 연결하여 온도 지시창(71-1)에 하위 온도 설정치, 즉 1400도를 설정 볼륨(17-2)으로 설정하여 설정 버튼(17-3)을 이용 설정해 놓고 온도 교정 모듈의(14)의 최소 교정볼륨을 이용하여 지시창의 값이 1400도가 되도록 조정을 실시하고, 최대 온도설정치도 동일한 방법으로 1600도의 온도 설정치를 설정 볼륨(17-2)으로 설정하여 설정 버튼(17-3)을 이용하여 설정해 놓고 온도 교정모듈(14)의 최대 교정볼륨(16-1)을 이용하여 지시창의 값이 1600도가 되도록 조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교정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교정작업으로 인해 조정자의 업무부하 증가는 물론 조정자의 숙련도에 따라 계기 조정정도가 크게 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용강온도 측정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2와 같은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온도 데이타중에서 가장 높은 값을 선택, 측정온도로 계산하는 가장 단순한 최대값 선택 (Peak Point Pick-Up) 방법을 채용하고 있어 측정정도 확보에 매우 취약하다.
도 4는 종래의 온도 측정장치의 동작 순서도로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온도 프로브(6)로부터 검출된 신호는 보상도선을 거처 연산장치(10)로 온도신호(S41)가 입력되고, 이 온도신호는 이전신호(Tn-1)와 현재신호(Tn)로 샘플링하여 상호 비교하여(S42) 보다 큰 수를 이전신호(Tn-1)에 저장하여(S43) 최대값을 선택하여(S44) 용강온도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원리상으로 매우 간편한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온도 측정신호가 매우 낮은 전압(mV)으로 되어 있어 외란의 간섭 영향이 매우 크게되어 특히 정확한 온도 관리가 요구되는 연주공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턴디쉬에 저장된 고온의 용강 온도를 설정된 시간 동안에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이 측정된 온도 변화율 편차 등의 온도 트렌드 데이타를 이용하여 고온의 용강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서, 연주 공정에서 최적의 주조속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브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조정자의 작업부하를 크게 경감할 수 있는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주공정 개략도이다.
도 2는 턴디쉬 용강온도의 트렌드(Trend) 그래프이다.
도 3은 종래의 온도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온도 측정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용강온도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온도 변환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5의 온도 교정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강온도 측정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온도 교정절차를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자동 교정 개념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자동 교정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측정결과와 종래의 온도 측정결과의 비교를 위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턴디쉬 3 : 연주기
4 : 슬라브 5 : 용강
6 : 온도측정 프로브 7 : 자동 샘플링 설비
8 : 측정봉 9 : 래들
20 : 연산장치 21 : 연산처리 및 표시모듈
22 : 온도 변환 모듈 23 : 온도 교정 모듈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은
턴디쉬의 용강 온도를 온도 프로브 및 측정봉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도 프로브에 의해 측정된 온도신호를 연속해서 입력받는 단계;
정해진 시간에 온도 교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측정 온도신호를 고속 주기로 반복적으로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온도 프로브를 측정봉에 삽입시켜 용강으로 침적하는 단계;
상기 측정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동작온도 이상인지 판단하여 상기 용강의 온도측정이 가능한 상태임을 인식하는 단계;
사전에 설정된 제1 지연시간 후에, 상기 샘플링된 온도 데이타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온도 데이타들간의 편차를 각각 계산하고, 이 편차가 사전에 설정된 제1 편차 기준온도 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높으면 실패로 처리하고, 또한, 초기 2개의 온도 데이타의 평균 온도와 각 온도 데이타와의 편차가 제2 편차 기준온도 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높으면 실패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온도 데이타들중 설정된 개수의 최근 온도 데이타들을 평균하여 평균 온도를 계산하고, 이 계산된 평균온도를 화면 표시하는 단계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턴디쉬(2)의 용강(5) 온도를 온도 프로브(6) 및 측정봉(8)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온도 프로브(6)에 의해 측정된 온도신호를 연속해서 입력받는데(S81), 본 발명의 측정 모드에서는 고온의 용강(5)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봉(8)에 장착된 온도 프로브(6)를 용강으로 침적시키면 온도에 비례한 미세 전압신호(mV)가 발생하게 되고, 이 신호는 보상도선을 통해 연산장치(20)의 온도 변환모듈(22)을 통해 전압신호가 온도신호로 변환되어 연산처리 및 표시모듈(21)에 온도가 계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온도변환 모듈(22)은 열전방식의 온도 프로브(6)로 발생되는 전압신호를 온도신호로 변환하는 모듈이다. 열전방식의 온도계는 측정접점(6)과 기준접점간의 온도차에 해당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므로 실제 온도 프로브(6)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기준접점이 있는 모듈상의 온도를 검출하여 보상을 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간단한 반도체 온도센서(22-1)를 설치하여 전압 변환회로(22-2)에서 전압을 생성하여 가산회로(22-3)를 통해 실제 온도에 해당하는 전압을 생성시켜 온도 변환회로(22-10)를 통해 온도로 변환하여 상기 연산처리 및 표시모듈(21)로 보내어 최적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자동교정을 위해 온도 교정 모듈(23)로부터 생성된 최소 교정신호 발생부(23-1)의 최소 교정신호와 최대 교정신호 발생부(23-2)의 최대 교정신호를 온도 변환모듈(22)의 선택회로(22-6)로 신호를 연결해 준다. 이때 교정용 신호는 임의 발생 신호이기 때문에 열전방식의 온도 프로브(6)에서 발생한 신호와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준접점이 있는 온도변환모듈(22)의 온도를 감산회로(22-7)에서 보상하여 선택회로(22-6)로 입력한다. 선택회로(22-6)에 입력된 신호는 상기 연산처리 및 표시모듈(21)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측정, 최소값 교정, 최대값 교정이 될 수 있도록 해준다.
그 다음, 도 7,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정해진 시간에 온도 교정을 수행하는데(S82), 본 발명의 교정 모드에서는 온도 교정 모듈(23)로부터 발생된 표준신호를 이용 용강온도의 교정을 실시하게 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을 참조하여 온도 교정 모듈(23)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전온도 프로브는 온도에 비례한 전압신호를 갖게 되고, 즉 온도교정에 사용되는 온도와 전압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면, 1400도는 16.035(mV), 1600도는 18.842(mV)가 된다. 따라서 교정 최소, 최대값을 생성하기 위해 먼저 최소 교정값으로 사용되는 16.035(mV)는 오피앰프의 반전 입력단에 15(V)를 입력하고, R1로 100KΩ저항을 설치하고, R2에는 가변저항을 설치하면, 그 출력이 반전되기 때문에 후단에는 다시 반전 오피앰프를 설치하고 증폭이 발생되지 않도록 R3과 R4저항은동일한 저항을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요구되는 출력은 R2가변저항을 이용 실시하면 된다. 최대 교정값도 상기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설계, 제작 및 조정을 행하면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온도 교정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온도신호가 입력되면 온도측정 정도확보를 위해 신호교정을 실시하게 되며, 상기 온도 교정 단계(S82)는 교정모드로 진입하고(S821), 사전에 설정된 표준 최소온도(x1) 및 온도편차에 따라 최소 교정계수(y1)를 계산하며(S822,S823), 사전에 설정된 표준 최대온도(x2) 및 온도편차에 따라 최대 교정계수(y2)를 계산한다(S824,S825). 이후 임의로 표준 온도(Y)를 설정하고, 상기 표준 최소 및 최대온도(x1,x2), 상기 최소 최대 교정계수(y1,y2)에 따라 상기 표준 온도(Y)를 교정 연산하여 교정된 온도(X)를 산출한다(S826). 교정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표준온도를 연산처리 및 표시모듈(21)에 입력하여 연산처리된 후 지시되는 표준온도 지시치와 상기 교정후의 온도를 비교하여 그 온도 편차를 계산하고(S827), 상기 편차가 허용 오차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하고, 허용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최소 교정계수 계산 단계로 진행하고, 허용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교정모드를 종료한다(S828). 여기서, 예를 들면, 상기 온도 편차가 허용오차범인 1℃이내가 되면 정상적으로 조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이상의 편차가 발생되면 재조정이 필요로 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드 절체기(75)에는 조정모드(75-1)와 측정모드(75-2)두가지가 있으며 교정모드는 표준계기(76)를 이용하여 용강온도 측정장치를 교정하여 그 결과 데이타를 이용하는 교정알고리즘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측정모드가 선택되면 현장 온도 프로브(6)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교정 알고리즘을 거처 교정된 온도가 측정되게 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표준계기(76)를 기준으로 얼마만큼의 편차가 있는가를 계산하는 것인데,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준신호를 이용 최소값(x1)과 최대값(x2)의 온도를 온도측정장치에 입력했을 때 표준계기와 동일한 최소,최대값이 표시되어야 하는데 상이한 최소값(y1)과 최대값(y2)의 온도가 검출될 때 교정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서 표준신호의 입력값이 81의 직선을 표시하며, 그때 온도측정장치의 출력값이 직선 80으로 나타날 때 교정을 통해서 직선 80을 직선 81로 일치시키게 된다.
상기 온도 교정 연산 단계에서의 교정후의 출력 온도치(X)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다.
여기서, X는 교정후 온도치이고, Y는 교정전 온도치이고, 표준 최소온도치 및 표준 최대온도치는 x1 및 x2이고, 최소,최대 교정계수는 y1, y2이다.
그 다음, 상기 측정 온도신호를 고속 주기로 반복적으로 샘플링하는데(S83), 즉, 상기 교정된 신호는 정확한 온도측정을 위해 최대한 빠른 주기로 샘플링을 실시한다.
그 다음, 상기 온도 프로브(6)를 측정봉(8)에 삽입시켜 용강으로 침적하는데(S84,S85), 이는 온도측정 준비상태를 점검하는 단계로서 용강온도 측정봉(8)에 온도 프로브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략 0℃ 가 지시되며 온도 프로브(6)를 측정봉(8)에 삽입시키면 대략 30℃ 정도로 상승되므로 이때 준비상태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온도 프로브(6)가 용강에 침적되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데 온도가 40℃ 이상이 되면 이것은 용강에 침적되어 온도가 측정중이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동작중 상태를 발생시킨다.
그 다음, 상기 측정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동작온도(1200℃) 이상인지 판단하여 상기 용강(5)의 온도측정이 가능한 상태임을 인식하는데(S86,S87), 즉,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온도 프로브가 용강에 용해되면서 검출되는 온도 변화추이를 도 12를 참조하면, 자동 샘플링 설비(7)에서 자동으로 측정봉(8)에 온도 프로브(6)를 장착하여 용강에 침적시키면 온도는 급격히 거의 최대 측정온도인1550도 정도까지 상승하여 5~6초간 안정된 후에 온도 프로브(8)가 소멸되면서 온도는 하강하게 된다.
그 다음, 사전에 설정된 제1 지연시간(대략 3초) 후에, 상기 샘플링된 온도 데이타들을 수집하는데(S88,S89), 이는 동작온도인 1200 ℃ 이상이 되면 온도 측정을 위해 온도프로브 특성상 통상 3초 이후에 온도 안정화 단계로 진입하고 온도측정용 데이타 확보를 위해 3초간 지연 후 30개의 샘플링온도 데이타를 확보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수집한 온도 데이타들간의 편차를 각각 계산하고, 이 편차가 사전에 설정된 제1 편차 기준온도(5℃) 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높으면 실패로 처리하고, 또한, 초기 2개의 온도 데이타의 평균 온도와 각 온도 데이타와의 편차가 제2 편차 기준온도(5℃) 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높으면 실패로 처리한다(S90-S93).
그 다음, 상기 수집된 온도 데이타들중 설정된 개수의 최근 온도 데이타들을 평균하여 평균 온도를 계산하고, 이 계산된 평균온도를 화면 표시하는데(S94-S98), 예를 들어, 30개의 데이타중 최근 20개의 데이타를 확보하기 위해 2초간 대기 후 20개의 데이타를 평균하여 온도를 계산하게 되고, 이렇게 측정된 온도를 연산장치(20)의 연산처리/표시모듈(21)에 지시해준다. 또한 BCD 디지털 전송을 위해 신호변환을 실시하는 단계이며 새로운 온도측정을 준비하기 위해 모든 상태신호를 초기상태로 리셋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측정결과와 종래의 온도 측정결과의 비교를 위한 그래프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기존 방법에 의한 측정 편차는 1559도에서 1550도 까지로 9도의 편차를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측정방법은 1558도에서 1553도로 5도의 편차를 나타냄으로서 연주 조업에서 관리하고 있는 목표온도 편차범위인 10도에 비하여 매우 안정된 온도측정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동 교정을 실시함으로서 작업부하를 크게 경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용강 온도 측정방법은, 고온의 용강에 침적되어 소손되면서 검출되는 약 20초간의 온도 트렌드 데이타로부터 최적의 온도를 연산해 내는 방법으로서 기존의 단순한 최고온도 선택에 의한 온도측정법과는 달리 본 발명의 측정방법은 각 측정단계를 준비, 측정중, 완료의 3단계로 구분하여 수행하는데 외부의 별도 신호없이 자체 온도 트렌드 데이타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즉, 온도 프로브를 측정봉에 장착하면 실내온도인 20~30도 정도가 되는데 이때를 준비단계, 측정 프로브가 삽입되면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를 측정중 단계, 온도 연산이 완료되는 시점을 완료단계로 구분, 실시함으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온도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온도 측정 트렌드 데이타의 분석 및 지속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측정중 3초간을 최적의 구간으로 설정하여 온도 연산 데이타를 샘플링할 수 있도록 하였고 100ms 단위로 20개 샘플링 데이타로부터 온도 변화율, 표준편차 등의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온도측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 자동교정방법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이동식 온도 교정장치(17)의 의한 사람에 의한 수동방식의 교정방법과는 달리 열전방식의 온도계가 전압신호에 비례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연주 턴디쉬 용강온도측정치에 가장 근접한 최대,최소 온도 즉, 1600도와 1400도에 대한 전압신호를 발생시켜 매 측정시마다 온도 연산장치를 자동으로 교정함으로서 편리하고 정확한 온도측정이 가능토록 해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턴디쉬에 저장된 고온의 용강 온도를 설정된 시간 동안에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이 측정된 온도 변화율 편차 등의 온도 트렌드 데이타를 이용하여 고온의 용강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서, 연주 공정에서 최적의 주조속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브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조정자의 작업부하를 크게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1500℃ 이상의 매우 고온의 용강온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단순한 최대값 선택(Peak Point Pick-Up) 방법과는 달리, 측정단계를 세분화하여 샘플링 데이타간의 변화율 편차 감시 및 기준평균온도와의 표준편차 감시기능을 통해서 최적의 온도가 연산가능토록 하였으며, 특히 용강온도 측정장치의 자동교정 방법을 발명하여 기존의 이동식 온도교정장치를 이용 사람이 직접 볼륨으로 조정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용강온도의 정도하락 및 잦은 조정으로 인한 문제점을 완전 해결할 수 있으며, 온도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적으로 용이하게 교정을 실시함으로서 정밀한 조정이 가능토록 해서 용강온도 측정장치의 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턴디쉬(2)의 용강(5) 온도를 온도 프로브(6) 및 측정봉(8)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도 프로브(6)에 의해 측정된 온도신호를 연속해서 입력받는 단계(S81);
    정해진 시간에 온도 교정을 수행하는 단계(S82);
    상기 측정 온도신호를 고속 주기로 반복적으로 샘플링하는 단계(S83);
    상기 온도 프로브(6)를 측정봉(8)에 삽입시켜 용강으로 침적하는 단계(S84,S85);
    상기 측정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동작온도(1200℃) 이상인지 판단하여 상기 용강(5)의 온도측정이 가능한 상태임을 인식하는 단계(S86,S87);
    사전에 설정된 제1 지연시간(대략 3초) 후에, 상기 샘플링된 온도 데이타들을 수집하는 단계(S88,S89);
    상기 수집한 온도 데이타들간의 편차를 각각 계산하고, 이 편차가 사전에 설정된 제1 편차 기준온도(5℃) 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높으면 실패로 처리하고, 또한, 초기 2개의 온도 데이타의 평균 온도와 각 온도 데이타와의 편차가 제2 편차 기준온도(5℃) 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높으면 실패로 처리하는 단계(S90-S93); 및
    상기 수집된 온도 데이타들중 설정된 개수의 최근 온도 데이타들을 평균하여 평균 온도를 계산하고, 이 계산된 평균온도를 화면 표시하는 단계(S94-S98)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교정 단계(S82)는
    교정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821);
    사전에 설정된 표준 최소온도(x1) 및 온도편차에 따라 최소 교정계수(y1)를 계산하는 단계(S822,S823);
    사전에 설정된 표준 최대온도(x2) 및 온도편차에 따라 최대 교정계수(y2)를 계산하여 단계(S824,S825);
    임의로 표준 온도(Y)를 설정하고, 상기 표준 최소 및 최대온도(x1,x2), 상기 최소 최대 교정계수(y1,y2)에 따라 상기 표준 온도(Y)를 교정 연산하여 교정된 온도(X)를 산출하는 단계(S826);
    상기 교정후의 온도와 표준온도 지시치를 비교하여 그 온도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S827); 및
    상기 편차가 허용 오차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하고, 허용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최소 교정계수 계산 단계로 진행하고, 허용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교정모드를 종료하는 단계(S8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교정 연산 단계는
    수학식,에 의해 계산되고,
    여기서, X는 교정후 온도치이고, Y는 교정전 온도치이고, 표준 최소온도치 및 표준 최대온도치는 x1 및 x2이고, 최소,최대 교정계수는 y1, y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KR1020020084771A 2002-12-27 2002-12-27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KR20040059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771A KR20040059523A (ko) 2002-12-27 2002-12-27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771A KR20040059523A (ko) 2002-12-27 2002-12-27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047A Division KR20100080881A (ko) 2010-05-31 2010-05-31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523A true KR20040059523A (ko) 2004-07-06

Family

ID=3735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771A KR20040059523A (ko) 2002-12-27 2002-12-27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95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352B1 (ko) * 2012-02-29 2014-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주조 온도 제어방법
KR101485663B1 (ko) * 2013-04-16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 주편의 폭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352B1 (ko) * 2012-02-29 2014-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주조 온도 제어방법
KR101485663B1 (ko) * 2013-04-16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 주편의 폭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9180A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the accuracy of a thermocouple probe u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molten steel
JP5678044B2 (ja) 温度測定ポイントのオンライン校正
US7637657B2 (en) Electronic thermometer
JP4591105B2 (ja) 校正方法
US10209143B2 (en) Thermo wire testing circuit
KR20190030602A (ko) 전자 유량계의 오차 검출 회로 및 오차 검출 방법 및 전자 유량계
KR910001240B1 (ko) 힘 측정장치
JPH02136754A (ja) 微小電気信号を測定する方法と装置
KR20040059523A (ko)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KR20190113569A (ko) 열식 플로우 센서 장치 및 유량 보정 방법
JPS63204103A (ja) ロ−ドセルの温度補償方法及びその装置
US5130640A (en) Soldering iron testing apparatus
KR20100080881A (ko) 연주 턴디쉬 침적식 용강온도 측정 방법
BR112017010567B1 (pt) Lança de medição e amostragem, método e aparelho de deposição para inserir lança de medição e amostragem
JP4246006B2 (ja) 重量信号のクリープ誤差補償装置および補償方法
KR101128500B1 (ko) 스트레인게이지용 계측장치
JP4744025B2 (ja) ガスセンサの接続状態判定方法及び定電位電解式ガス測定器
JPWO2007125602A1 (ja) 電子天びん
JP2008202939A (ja) 電子天びん
JP3705019B2 (ja) 計測装置
JP2009053211A (ja) 重量信号のクリープ誤差補償装置
JPH0192630A (ja) 放射温度計用変換器
CN113504725B (zh) 转炉的实时炉渣状态监测装置
JPS633231A (ja) 放射温度計
KR100354837B1 (ko) 금속재료의 균열길이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30

Effective date: 201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