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9070A -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9070A
KR20040059070A KR1020020085598A KR20020085598A KR20040059070A KR 20040059070 A KR20040059070 A KR 20040059070A KR 1020020085598 A KR1020020085598 A KR 1020020085598A KR 20020085598 A KR20020085598 A KR 20020085598A KR 20040059070 A KR20040059070 A KR 20040059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ain hydraulic
main
pump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808B1 (ko
Inventor
김형호
Original Assignee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80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9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pumps with cross-as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엑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가변용량형 메인유압펌프(P1,P2)와, 복수개의 엑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콘트롤밸브(CV)에 파이롯 유압신호를 제공하는 보조펌프(P3)와, 소경실(16a,16b)과 대경실(15a,15b)에 작용하는 메인유압펌프(P1,P2)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메인유압펌프(P1,P2)의 사판각을 조절하는 서보피스톤(14a,14b)과, 상기 서보피스톤(14a,14b)을 제어하는 제어스풀(20a,20b)를 포함하고, 상기 각 메인유압펌프(P1,P2)의 메인유로(11a,11b)상에 메인유압펌프(P1,P2)의 릴리프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C)에 신호를 입력하는 압력센서(13a,13b)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13a,13b)에서 감지한 메인유압펌프(P1,P2)의 릴리프압력신호를 제어부(C)가 솔레노이드밸브(25)에 인가하여 상기 보조펌프(P3)의 압유를 조정라인(26)을 통하여 제어스풀(20a,20b)의 수압부에 공급함으로써 메인유압펌프(P1,P2)의 토출유량을 감소하도록 사판각을 조절한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APPARATUS FOR CONTROLLING HYDRAULIC PUMP OF AN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의 유압펌프의 유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부하에 따라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유량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굴삭기의 유압펌프의 유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중장비는 주행이나 여러가지 엑츄에이터에 작동유압을 공급하여 작동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가변용량형 유압펌프를 구비하고, 이들 유압펌프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구동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굴삭기는 작업부하에 따라 엔진의 출력과 상기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엑츄에이터(도시생략)에 압유를 공급하는 2개의 가변용량형 메인유압펌프(P1,P2)와,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밸브(CV)에 파이롯압력을 공급하는 보조펌프(P3)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와 보조펌프(P3)는 엔진(E)에 의해 구동되게 연결되어 엔진의 전마력이 상기 유압펌프(P1,P2)들을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2개의 메인유압펌프(P2,22)가 붐, 암, 등과 같은 복수개의 엑츄에이터(도시생략)에 압유를 공급하는 각 메인유로(11a,11b)상에는 그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이 소정의 압력이상이 될 때 탱크(T)로 복귀시키는 릴리프밸브(12)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은 상기 메인유로(11a,11b)상에 설치된 압력센서(13a,13b)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C)로 보내진다.
한편,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경사판(L)은 대경실(15a,15b)과 소경실(16a,16b)을 구비한 서보피스톤(14a,14b)과 연결되어 서보피스톤(14a,14b)의 움직임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서보피스톤(14a,14b)의 대경실(15a,15b)과 소경실(16a,16b)에는 각각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메인유로(11a,11b)에서 분기된 유로(17a,17b)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대경실(15a,15b)을 연결하는 유로(17a,17b)에는 다단피스톤(19a,19b)에 작용하는 2개의 메인유압펌프(P1,P2)의 평균압력과 네가콘압력(Pi1,Pi2)의 합력과, 스프링(S1,S2)의 힘의 차이에 의해 대경실(15a,15b)을 탱크(T) 또는 메인유로(11a,11b)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어스풀(20a,20b)이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부하의 증가에 따라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즉 제어스풀(20a,20b)의 일측에 작용하는 메인유압펌프(P1,P2)의 평균압력이 반대쪽에 작용하는 스프링(S1,S2)의 힘보다 크면 상기 제어스풀(20a,20b)은스프링(S1,S2)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절환되어 메인유압펌프(P1,P2)의 압유를 서보피스톤(14a,14b)의 대경실(15a,15b)에 유입시킨다. 그러면 대경실(15a,15b)의 단면적이 소경실(16a,16b)의 단면적보다 크므로 대경실(15a,15b)에 작용하는 힘이 커서 서보피스톤(14a,14b)은 메인유압펌프(P1,P2)의 사판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인유압펌프(P1,P2)의 토출유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반면, 작업도중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제어스풀(20a,20b)에 작용하는 메인유압펌프(P1,P2)의 유압의 힘에 비하여 스프링(S1,S2)의 힘이 커서 상기 제어스풀(20a,20b)은 서보피스톤(14a,14b)의 대경실(15a,15b)을 탱크(T)에 연결함으로써 서보피스톤(14a,14b)은 메인유압펌프(P1,P2)의 사판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인유압펌프(P1,P2)의 토출유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다단피스톤(19a,19b)의 파이롯실(PL1,PL2)에는 전자비례제어밸브(21)를 통하여 상기 보조펌프(P3)의 유로(17a,17b)가 연결되고, 상기 전자비례제어밸브(21)는 마력모드 선택에 따라 제어부(C)로부터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파이롯실(PL1,PL2)을 보조펌프(P3)의 유로 또는 탱크(T)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게 되어 있다. 예컨대, 굴삭기의 마력모드를 통상의 작업에 적합한 소위 "표준모드"로 설정하면, 제어부(C)는 상기 전자비례제어밸브(21)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으므로 메인유압펌프는 그 부하압력에 따라 토출유량이 제어되게 되고, 고속작업에 적합한 소위 "파워모드"로 설정하면 제어부(C)는 전자비례제어밸브(21)에 소정의 전류(예컨대 600㎃)를 인가하여 다단피스톤(19a,19b)의 파이롯실(PL1,PL2)을 보조펌프(P3)의 유로(17a,17b)와 연통시킴으로써 다단피스톤(19a,19b)의 토출압력(Po)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서보피스톤(14a,14b)이 메인유압펌프(P1,P2)의 사판각의 감소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메인유압펌프(P1,P2)은 더 많은 유량을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의 경우, 작업부하가 그다지 높지 않은 통상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마력모드로서, 펌프의 마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작업성과 엔진의 연비를 양호하게 한 소위 "표준모드"에서는 도 3의 펌프의 특성곡선에서 그래프 "b"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은 펌프의 마력을 설정하여 펌프의 유량제어하는 한편, 작업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엔진의 출력을 높여서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소위 "파워모드"에서는 도 3의 그래프 "a"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의 마력을 높게 설정하여 작업성을 높이도록 펌프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굴삭기의 작업도중 펌프의 부하압력이 릴리프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펌프에서 토출되는 전유량을 릴리프밸브를 통하여 탱크로 드레인되게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도 펌프는 계속 동일한 유량을 토출하도록 작동하므로 불필요한 펌프작동으로 연료가 불필요하게 소모될 뿐아니라 릴리프밸브는 펌프에서 토출되는 전유량을 드레인시키므로 높은 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릴리프부하시 연료소모를 저감할 수 있도록 유압펌프를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함에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엑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가변용량형 메인유압펌프와, 상기 메인유압펌프의 압유의 흐름방향과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개의 엑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와, 상기 콘트롤밸브에 제어용 유압을 공급하는 보조펌프와, 소경실과 대경실을 구비하고 상기 각 메인유압펌프의 압유가 상기 소경실과 대경실을 통하여 작용하는 힘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유압펌프의 사판각을 조절하는 서보피스톤과, 상기 메인유압펌프의 부하압력에 따라 상기 메인유압펌프의 메인유로를 상기 서보피스톤의 대경실 또는 탱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어스풀을 포함한 굴삭기의 가변용량형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펌프의 압유가 분기되어 상기 제어스풀의 수압부에 작용되게 연결된 조정라인과, 상기 조정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펌프의 압유가 상기 제어스풀의 수압부에 공급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각 메인유압펌프의 메인유로상에 설치되어 메인유압펌프의 부하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한 메인유압펌프의 부하압력을 인가받아서 상기 부하압력이 미리 설정된 릴리프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유로를 개방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에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는 굴삭기의 작업부하에 최대로 되어 메인유압펌프의 토출압력이 릴리프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그 메인유압펌프의 토출압력을 압력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신호를 인가하여 조정라인을 개방한다. 이 때 보조펌프의 압유는 조정라인을 통하여 제어스풀의 수압부에 작용하므로 제어스풀을 통과한 메인유압펌프의 압유는 서보피스톤의 대경실과 소경실에 유입되어 서보피스톤을 메인유압펌프의 사판각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동시켜 메인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아울러 메인유압펌프의 유압이 릴리프되는 경우 메인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엔진출력도 줄어들어 연료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릴리프밸브를 통과하는 유량이 줄어서 열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의 개략적인 유압회로도,
도 2 는 종래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유압회로도,
도 3 은 종래 굴삭기의 유압펌프의 압력과 유량의 관계를 나타낸 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1,P2: 가변용량형 메인유압펌프 CV: 콘트롤밸브
P3: 보조펌프 E: 엔진
11a,11b: 메인유로 T: 탱크
12: 릴리프밸브 13a,13b: 압력센서
C: 제어부 L: 경사판
14a,14b: 서보피스톤 15a,15b: 대경실
16a,16b: 소경실 17a,17b,18a,18b: 유로
19a,19b: 다단피스톤 S1,S2: 스프링
20a,20b: 제어스풀 PL1,PL2: 파이롯실
21: 전자비례 제어밸브 22a,22b: 유량제어피스톤
23a,23b: 수압실 24: 파이롯라인
25: 솔레노이드밸브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가변용량형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유압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는 복수개의 엑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2개의 가변용량형 메인유압펌프(P1,P2)와,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밸브(CV)에 파이롯압력을 공급하는 보조펌프(P3)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와 보조펌프(P3)는 엔진(E)에 의해 구동되게 연결되어 엔진의 전마력이 상기 유압펌프(P1,P2,P3)들을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2개의 메인유압펌프(P1,P2)가 붐, 암, 등과 같은 복수개의 엑츄에이터(도시생략)에 압유를 공급하는 각 메인유로(11a,11b)상에는 그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이 소정의 압력이상이 될 때 탱크(T)로 복귀시키는 릴리프밸브(12)가연결되고, 상기 메인유로(11a,11b)상에는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3a,13b)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센서(13a,13b)는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C)로 신호를 보낸다.
한편,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경사판(L)은 대경실(15a,15b)과 소경실(16a,16b)을 구비한 서보피스톤(14a,14b)과 연결되어 서보피스톤(14a,14b)의 움직임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서보피스톤(14a,14b)의 대경실(15a,15b)과 소경실(16a,16b)에는 각각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메인유로(11a,11b)에서 분기된 유로(17a,17b)(18a,18b)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대경실(15a,15b)을 연결하는 유로(18a,18b)에는 다단피스톤(19a,19b)에 작용하는 2개의 메인유압펌프(P1,P2)의 평균압력과 네가콘압력(Pi1,Pi2)의 합력과, 스프링(S1,S2)의 힘의 차이에 의해 대경실(15a,15b)을 탱크(T) 또는 메인유로(11a,11b)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어스풀(20a,20b)이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부하의 증가에 따라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즉 제어스풀(20a,20b)의 일측에 작용하는 메인유압펌프(P1,P2)의 평균압력이 반대쪽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힘보다 크면 상기 제어스풀(20a,20b)은 스프링(S1,S2)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절환되어 메인유압펌프(P1,P2)의 압유를 서보피스톤(14a,14b)의 대경실(15a,15b)에 유입시킨다. 그러면 대경실(15a,15b)의 단면적이 소경실(16a,16b)의 단면적보다 크므로 대경실(15a,15b)에 작용하는 힘이 커서 서보피스톤(14a,14b)은 메인유압펌프(P1,P2)의 사판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인유압펌프(P1,P2)의 토출유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반면, 작업도중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제어스풀(20a,20b)에 작용하는 메인유압펌프(P1,P2)의 유압의 힘에 비하여 스프링(S1,S2)의 힘이 커서 상기 제어스풀(20a,20b)은 서보피스톤(14a,14b)의 대경실(15a,15b)을 탱크(T)에 연결함으로써 서보피스톤(14a,14b)은 메인유압펌프(P1,P2)의 사판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인유압펌프(P1,P2)의 토출유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다단피스톤(19a,19b)의 파이롯실(PL1,PL2)에는 전자비례제어밸브(21)를 통하여 상기 보조펌프(P3)의 유로(17a,17b)가 연결되고, 상기 전자비례제어밸브(21)는 마력모드 선택에 따라 제어부(C)로부터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파이롯실(PL1,PL2)을 보조펌프(P3)의 유로 또는 탱크(T)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게 되어 있다.
예컨대, 굴삭기의 마력모드를 통상의 작업에 적합한 소위 "표준모드"로 설정하면, 제어부(C)는 상기 전자비례제어밸브(21)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게 되고, 고속작업에 적합한 소위 "파워모드"로 설정하면 제어부(C)는 전자비례제어밸브(21)에 소정의 전류(예컨대 600㎃)를 인가하여 다단피스톤(19a,19b)의 파이롯실(PL1,PL2)을 보조펌프(P3)의 유로(17a,17b)와 연통시킴으로써 다단피스톤(19a,19b)의 토출압력(Po)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서보피스톤(14a,14b)이 메인유압펌프(P1,P2)의 사판각의 감소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메인유압펌프(P1,P2)은 더 많은 유량을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다단피스톤(19a,19b)이 작용하는 상기 제어스풀(20a,20b)의 수압부에는 유량제어피스톤(22a,22b)이 구비되고, 이 유량제어피스톤(22a,22b)의 수압실(23a,23b)은 상기 보조펌프(P3)의 유로(17a,17b)에서 분기된 파이롯라인(24)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롯라인(24)상에는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3a,13b)의 감지신호를 제어부(C)로부터 받아 유로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밸브(25)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이 릴리프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C)는 압력센서(13a,13b)로부터 그 릴리프압력신호를 받아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5)에 인가함으로써 파이롯라인(24)을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펌프(P3)의 압유는 파이롯라인(24)을 통하여 유량제어피스톤(22a,22b)의 수압실(23a,23b)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어스풀(20a,20b)을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서보피스톤(14a,14b)은 메인유압펌프(P1,P2)의 사판각을 줄여줌으로써 토출유량을 감소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는, 굴삭기가 작업도중에 고부하의 작업부하를 받아서 메인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이 릴리프되는 경우에 메인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줄여 불필요한 메인유압펌프의 구동을 줄이므로 엔진의 연료소모를 줄이며, 나아가 메인유압펌프의 유량의 릴리프시 토출유량이 감소하므로 릴리프밸브에서 발생하는 열량을 줄여주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복수개의 엑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가변용량형 메인유압펌프(P1,P2)와,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압유의 흐름방향과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개의 엑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콘트롤밸브(CV)에 제어용 파이롯유압신호를 제공하는 보조펌프(P3)와, 소경실(16a,16b)과 대경실(15a,15b)을 구비하고 상기 각 메인유압펌프(P1,P2)의 압유가 상기 소경실(16a,16b)과 대경실(15a,15b)을 통하여 작용하는 힘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사판각을 조절하는 서보피스톤(14a,14b)과,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에 따라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메인유로(11a,11b)를 상기 서보피스톤의 대경실(15a,15b) 또는 탱크(T)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어스풀(20a,20b)을 포함한 굴삭기의 가변용량형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펌프(P3)의 압유가 분기되어 상기 제어스풀(20a,20b)의 수압부에 작용되게 연결된 조정라인(26)과, 상기 조정라인(26)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펌프(P3)의 압유가 상기 제어스풀(20a,20b)의 수압부에 공급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25), 상기 각 메인유압펌프(P1,P2)의 메인유로(11a,11b)상에 설치되어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3a,13b) 및 상기 압력센서(13a,13b)에서 감지한 상기 메인유압펌프(P1,P2)의 부하압력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부하압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릴리프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5)를 개방시키는 제어부(C)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유압펌프유량제어장치.
KR1020020085598A 2002-12-27 2002-12-27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KR100953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598A KR100953808B1 (ko) 2002-12-27 2002-12-27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598A KR100953808B1 (ko) 2002-12-27 2002-12-27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070A true KR20040059070A (ko) 2004-07-05
KR100953808B1 KR100953808B1 (ko) 2010-04-21

Family

ID=3735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598A KR100953808B1 (ko) 2002-12-27 2002-12-27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124B1 (ko) * 2007-12-24 2014-05-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393A1 (ko) * 2014-12-10 2016-06-1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유압 회로
KR102045075B1 (ko) 2018-09-27 2019-11-14 썬 하이드로릭스 코리아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메인 컨트롤 밸브용 전자제어 밸브블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868Y1 (ko) * 1998-07-24 2001-03-15 양재신 건설중장비의 유압펌프 토출유량제어장치
KR200407224Y1 (ko) * 1998-09-30 2006-09-2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가변용량형유압펌프의제어장치
JP4026969B2 (ja) * 1999-01-22 2007-12-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油圧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124B1 (ko) * 2007-12-24 2014-05-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808B1 (ko)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9767B2 (ja) 油圧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KR101572293B1 (ko) 하이브리드 건설기계의 제어장치
JP4128482B2 (ja) 油圧制御システム
KR101272978B1 (ko) 하이브리드 건설 기계
US5469646A (en) Fine operation mode changeover device for hydraulic excavator
EP1764515B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JP2014522953A (ja) 建設機械の圧力制御システム
KR101514465B1 (ko)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6282890B1 (en)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s
US11225983B2 (en) Fluid circuit
CN115324954A (zh) 工程机械作业系统电负载敏感-电静液复合驱动控制方法
JP2006027351A (ja) 作業車両の油圧駆動装置
KR101401124B1 (ko) 건설 기계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KR100953808B1 (ko) 굴삭기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JP2003343511A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100988405B1 (ko) 건설중장비의 유압펌프 마력제어장치
JP2005140153A (ja) 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
KR101281232B1 (ko)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용량 제어장치
JPH04285303A (ja) ロ−ドセンシング油圧回路
JP4148884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ラグダウン抑制装置
JP2014228101A (ja) 作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3655910B2 (ja) 油圧駆動機械の制御装置
JP3064520B2 (ja) 油圧掘削機における作業油量切換制御装置
KR20100073496A (ko)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JP3523518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