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392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392A
KR20040057392A KR1020020084117A KR20020084117A KR20040057392A KR 20040057392 A KR20040057392 A KR 20040057392A KR 1020020084117 A KR1020020084117 A KR 1020020084117A KR 20020084117 A KR20020084117 A KR 20020084117A KR 20040057392 A KR20040057392 A KR 20040057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put mode
character
key
standb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8413B1 (ko
Inventor
조항준
임민택
강은하
임채희
박연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4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화면에서 바로 문자(한글, 영문,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한번의 키 입력에 의해 문자 입력모드를 해지하고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시간에 문자 입력이나 전화번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기화면에서의 키 입력을 전화번호 또는 문자 입력으로 선택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드 설정메뉴를 추가하고, 상기 메뉴 설정에 의해 대기화면을 문자 입력모드로 설정할 경우,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즉시 문자 편집 화면으로 전환하여, 키에 설정된 해당 문자를 입력받게 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 입력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소정의 키 버튼을 지정하고, 그 키 버튼을 누름에 따라 문자 입력모드로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즉시 전환하여, 키에 설정된 해당 숫자를 입력받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화면에서 바로 문자(한글, 영문,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한번의 키 입력에 의해 문자 입력모드를 해지하고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시간에 문자 입력이나 전화번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음성 통화기능 이외에 단문 메시지 전송과 같은 여러 가지 부가기능이 있으며, 특히 SMS 전송이나 메모와 같은 문자를 이용한 부가기능은 음성통화 만큼이나 많이 이용하고 있는 기능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보통 부가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메뉴화면을 호출하여 그 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해야 하고,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대기화면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버튼을 눌러야 한다.
즉, 종래의 경우 대기화면에서는 문자(한글, 영문, 기호)를 입력할 수 없고, 오로지 전화번호와 같은 숫자만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기에 메모장이나 SMS 전송 기능과 같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부가기능이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항상 여러 번의 메뉴 선택 과정을 먼저 거쳐야만, 비로소 해당 메뉴로 이동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메뉴 이동에 따른 번거로움과 많은 시간을 지체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대기화면에서 바로 문자(한글, 영문, 기호)를 입력하여, 단문 메시지(SMS) 전송이나 메모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기화면에서의 키 입력을 전화번호 또는 문자 입력으로 선택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드 설정메뉴를 추가하고, 상기 메뉴 설정에 의해 대기화면을 문자 입력모드로 설정할 경우,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즉시 문자 편집 화면으로 전환하여, 키에 설정된 해당 문자를 입력받게 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 입력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소정의 키 버튼을 지정하고, 그 키 버튼을 누름에 따라 문자 입력모드로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즉시 전환하여, 키에 설정된 해당 숫자를 입력받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대기 화면에서의 문자 입력모드 설정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대기화면에서 바로 메모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대기화면에서 바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문자 입력모드로 설정된 대기화면을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은 대기화면에서 바로 문자(한글, 영문,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한번의 키 입력에 의해 문자 입력모드를 해지하고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시간에 문자 입력이나 전화번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대기 화면에서의 문자 입력모드 설정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로서, 대기화면에서의 키 입력을 전화번호로 처리할 것인지 아니면 문자로 처리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경우 대기화면에 관련된 메뉴는 대기화면으로 표시할 그림을 선택하는 정도로 매우 한정적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대기화면에서 입력되는 키를 문자로 인식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숫자로 인식하도록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있도록 하는 과정이 더 추가된다.
만약, 대기화면에서의 입력모드를 문자 입력모드로 설정할 경우 즉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그 문자 입력모드를 빠르게 해지하고 싶을 경우에는 '통화'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에 의해 해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대기화면에서의 입력모드가 문자 입력모드인 경우, '통화'버튼을 한번 누르면 문자 입력모드가 해지되어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바로 전환됨으로써, 종래와 마찬가지로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럼,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대기화면에서 바로 메모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로서, 대기화면 상태에서 임의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바로 문자 입력화면으로 전환되어 해당 버튼에 설정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고, 문자 입력 후 '저장' 버튼을 누르면 메모 파일로 자동 저장된 후 대기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사용자가 '저장' 버튼을 누르지 않고 폴더를 닫을 경우 그 동안 입력된 문자들을 자동 저장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 도3은 본 발명에 의해 대기화면에서 바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로서, 상기 메모 입력과정에서와 같이 대기화면 상태에서 임의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바로 문자 입력화면으로 전환되어 해당 버튼에 설정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고, 문자 입력 후 '메뉴' 버튼을 누르면 문자입력과 관련된 메뉴 목록이 호출된다.
예컨대, 문자입력과 관련된 메뉴 목록에는 '메모작성'이나 기 저장된 '메모불러오기' 또는 'SMS 전송'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된 메뉴 목록에서 'SMS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이후에는 기존의 'SMS 전송' 절차와 마찬가지로, '수신 전화번호' 입력 등 단문 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과정이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대한 절차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문자를 입력한 후 그에 관련된 메뉴들이 자동으로 호출하게 함으로써, 문자입력과 관련된 부가 기능을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대기화면에서 문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은, 문자 입력보다는 전화번호 입력을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오히려 불편한 문제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필수적인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기화면에서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단말기 제작자에 따라서는 다른 소정의 버튼을 이용하여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4는 본 발명에 의해 문자 입력모드로 설정된 대기화면을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로서, 대기화면 상태에서 모드 전환 버튼으로 설정된 '통화'버튼을 누르면,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그때부터는 해당 버튼에 설정된 숫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유/무선 전화기에서 무선 전화기를 이용할 경우, '통화'버튼을 먼저 눌러 통화 대기상태로 전환한 후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와 비슷한 과정으로 먼저 '통화'버튼을 눌러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전환한 후,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전화번호 입력 후 다시 한번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통호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대기화면에서 바로 문자(한글, 영문,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한번의 키 입력에 의해 문자 입력모드를 해지하고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시간에 문자 입력이나 전화번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대기화면에서의 키 입력을 전화번호 또는 문자 입력으로 선택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드 설정메뉴를 추가하고,
    상기 메뉴 설정에 의해 대기화면을 문자 입력모드로 설정할 경우,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즉시 문자 편집 화면으로 전환하여, 키에 설정된 해당 문자를 입력받게 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 입력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소정의 키 버튼을 지정하고, 그 키 버튼을 누름에 따라 문자 입력모드로 전화번호 입력모드로 즉시 전환하여, 키에 설정된 해당 숫자를 입력받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모드 해제를 위한 소정의 키 버튼은, '통화'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모드로 설정된 대기화면 상태에서, 임의의 키를 누름에 의해 전환된 문자 편집화면에서 문자 입력 완료 후, '저장' 버튼을 누르거나 폴더를 닫을 경우, 그 동안 입력된 문자들을 메모 파일로 자동 저장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모드로 설정된 대기화면 상태에서, 문자 입력 완료 후 '메뉴' 버튼을 누르면 'SMS 전송'이나 '메모작성' 등 문자입력과 관련된 메뉴 목록이 호출되고, 그 중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와 관련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20020084117A 2002-12-26 2002-12-2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808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17A KR100808413B1 (ko) 2002-12-26 2002-12-2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17A KR100808413B1 (ko) 2002-12-26 2002-12-2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392A true KR20040057392A (ko) 2004-07-02
KR100808413B1 KR100808413B1 (ko) 2008-02-29

Family

ID=3734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117A KR100808413B1 (ko) 2002-12-26 2002-12-2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568B1 (ko) * 2005-08-05 2006-11-27 주식회사 지엠티소프트 성명검색발신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
KR101394278B1 (ko) * 2007-04-09 201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2638B2 (ja) * 2006-06-21 2011-08-17 住友化学株式会社 繊維およびネ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568B1 (ko) * 2005-08-05 2006-11-27 주식회사 지엠티소프트 성명검색발신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
KR101394278B1 (ko) * 2007-04-09 201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413B1 (ko) 2008-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5580B2 (ja) 電話機
KR970002177B1 (ko) 무선 전화 동작 방법
US5241583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which terminates an electronic keypad lock function upon sensing an incoming call
US6363259B1 (en) User interface for a radio telephone
US2007007264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8285323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put interface auto-lock thereof
WO2007062579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une operation de numerotation rapide
KR1008084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46402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에 의한 제어방법
US200702874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51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JP2001265506A (ja) 入力装置および通信端末
KR100455773B1 (ko)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JP3549828B2 (ja) 電話機
KR100938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0661573B1 (ko) 멀티키를 이용한 커서이동관리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KR200200784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수신시 단문 메시지 저장 방법
KR100618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KR20000026870A (ko) 멀티버튼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 방법
KR970010837B1 (ko) 전화기의 한글 저장 방법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40040541A (ko) 통화 중 메모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JP2006261726A (ja) 電話機能検索方式
KR200600573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발신환경 설정방법
JP2000069535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