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116A -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116A
KR20040055116A KR1020020081726A KR20020081726A KR20040055116A KR 20040055116 A KR20040055116 A KR 20040055116A KR 1020020081726 A KR1020020081726 A KR 1020020081726A KR 20020081726 A KR20020081726 A KR 20020081726A KR 20040055116 A KR20040055116 A KR 2004005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user
signal
epg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6796B1 (ko
Inventor
이서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7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인식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디지털 방송을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EPG 객체의 위치를 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 및 디지털 TV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OBJECT MOVING IN DIGITAL TV}
본 발명은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디지털 TV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객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TV는 EPG를 통해 화면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별 및 시간별 각 방송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주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EPG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세부 프로그램 정보가 객체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객체(object)란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기본적인 컴포넌트를 말하며, 예를 들어 GUI(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되는 테이블, 챠트, 아이콘, 버튼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제공되는 객체들은 제작자가 미리 설정한 위치 및 배열로 고정되어 제공되므로 사용자들은 획일적인 화면 구성에 싫증을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가지는 사용자들은 획일적으로 제공되는 객체들의 위치 및 배열을 자신의 기호에 맞도록 위치 이동 및 재배열을 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생길 수 있다.
국내특허 10-0308038(티브이의 메뉴 표시 방법)은 티브이의 메뉴 각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문자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에 따라 모양이 변형되어 찌그러지므로써, 변별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메뉴 표시 영역의 화면 크기에 따라 아이콘과 문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티브이의 메뉴 표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된 아이콘과 문자의 크기만 조절될 뿐 그 위치를 이동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아이콘을 배열하고 싶은 욕구는 여전히 충족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따라 EPG 객체의 위치 및 배열을 변경할 수 있는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에서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 200 : 중앙처리부
300 : 사용자 입력부 400 : 디스플레이 처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인식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디지털 방송을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EPG 객체의 위치를 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 및 디지털 TV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100), 중앙처리부(200), 사용자 입력부(300) 및 디스플레이 처리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100)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방송 신호를 수신받는 튜너부(110), 상기 튜너부(110)로부터 입력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기저대역의 신호로 검파하고 에러 정정을 수행하는 채널 디코더부(120) 및 상기 채널 디코더부(120)에서 전송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음성신호, 영상신호 및 데이터신호로 분리한 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TV 디코더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TV 디코더부(130)에서 분리된 데이터 신호는 EPG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 입력부(300)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채널 탐색 명령, EPG 선택 명령, EPG 객체의 위치 이동 명령 및 모드 설정 명령 등을 인식한다.
디스플레이 처리부(400)는 상기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디지털 방송을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EPG 객체의 위치를 재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서, 즉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 EPG 객체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처리부(400)는 디스플레이되는 EPG 객체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EPG 객체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EPG 객체의 위치 정보를 재 저장한다.
중앙처리부(200)는 디지털 TV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100)가 수신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처리부(400)로 출력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30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 명령을 디스플레이 처리부(400)에 전송해 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순서도로서, 먼저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10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신호가 전송되면, 중앙처리부(200)는 전송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처리부(400)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처리부(400)는 상기 전송된 디지털 방송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 후,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EPG 객체를 자신의 기호에 맞게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리모콘의 모드를 객체 선택 모드로 설정한다(S100). 그러면,사용자 입력부(300)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모든 설정 명령을 중앙처리부(200)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처리부(200)는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 따른 명령을 디스플레이 처리부(400)에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은 모드 설정을 위하여 각각의 기능을 가진 다수개의 특정 모드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고, 다수의 기능이 부과된 하나의 모드 설정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모드 설정 버튼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모드 설정 버튼을 한번 누르면 객체 선택 모드로, 두번을 연속적으로 누르면 객체 이동 모드로 리모콘의 모드가 변경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방향키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된 EPG 객체들 중 이동시키고자 하는 객체를 선택한다(S102). 여기서, 상기 EPG 객체의 선택은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하나의 객체만을 선택할 수도 있고, 다수개의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먼저, 하나의 객체를 선택할 경우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방향키를 조절하며 원하는 객체를 선택하고,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객체를 클릭(click)하여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가 다수개의 객체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반복 수행하여 다수개의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고, 임의의 선택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영역내에 다수개의 객체를 포함함으로써 다수개의 객체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의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원하는 다수개의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고, 포인팅 디바이스의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객체가 포함된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영역내에 포함된 객체들을 모두 선택할 수도 있고, 설정된 영역내에 포함된 객체들 중 임의의 객체들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EPG 객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리모콘의 모드를 객체 이동 모드로 설정하면(S104), 중앙처리부(200)는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 따라 명령을 디스플레이 처리부(400)에 전송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EPG 객체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106).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처리부(400)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객체의 움직임 경로를 화면상에서 그대로 보여 주거나, 이동되는 객체의 움직임을 점선으로 표시하여 보여 준다.
상기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의해 EPG 객체의 위치가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처리부(400)는 상기 변경된 EPG 객체의 위치 정보를 재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EPG 객체의 위치 뿐만 아니라 EPG 객체의 배열을 재배열할 수도 있다.
또한, EPG 객체 뿐만 아니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객체 형태의 이미지들은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이동 및 재배열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에서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G 객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이동시키고자 한다면, 리모콘 모드를 객체 선택 모드로 설정하여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선택하고, 다시 리모콘 모드를 객체 이동 모드로 설정하여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EPG 객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수개의 객체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인트 디바이스의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다수의 객체를 선택한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순한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게 임의로 EPG 객체의 위치 및 배열을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는 화면 구성을 제공할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EPG 객체의 위치가 사용자 기호에 맞게 배열됨으로써 사용자는 EPG 정보를 효율적으로 열람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인식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디지털 방송을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EPG 객체의 위치를 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 및
    디지털 TV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TV 신호 수신부는,
    방송 신호를 수신받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로부터 입력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기저대역의 신호로 검파하고 에러 정정을 수행하는 채널 디코더부; 및
    상기 채널 디코더부에서 전송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음성신호, 영상신호 및 데이터신호로 분리한 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TV 디코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처리부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변경된 EPG 객체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 시스템.
  4.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EPG 객체를 선택하기 위하여 리모콘의 모드를 객체 선택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EPG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EPG 객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리모콘의 모드를 객체 이동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EPG 객체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EPG 객체 선택을 위하여 방향키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EPG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하고자 하는 EPG 객체가 하나 이상인 경우 선택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KR10-2002-0081726A 2002-12-20 2002-12-20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0466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726A KR100466796B1 (ko) 2002-12-20 2002-12-20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726A KR100466796B1 (ko) 2002-12-20 2002-12-20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116A true KR20040055116A (ko) 2004-06-26
KR100466796B1 KR100466796B1 (ko) 2005-01-17

Family

ID=3734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726A KR100466796B1 (ko) 2002-12-20 2002-12-20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7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796B1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2657B2 (en) Controlling program guide in broadcast receiving device
KR100436317B1 (ko) 프로그램가이드제어장치
JP5484730B2 (ja) グラフィック機能の連続スクロールによりリストを通して閲覧する方法及び関連する端末
EP129175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crollable cross point navigation in a user interface
EP2184918A2 (en) Broadcas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2096122A1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US7689934B2 (en) Method of scrolling through a document
US20080244467A1 (en) Method for executing user command according to spatial movement of user input device and image apparatus thereof
KR100648312B1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KR20150142347A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US8209725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broadcast program and AV apparatus therefor
JPH10191193A (ja) 電子プログラムガイド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12209829A (ja) 番組表示制御装置
JP4473739B2 (ja) 映像装置、及びそのメニュー操作方法
JP3966339B2 (ja) 受信装置
KR100466796B1 (ko)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JPH11215444A (ja) 電子番組表表示装置
KR10032046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01320645A (ja) 画面選択方法及び画面選択装置
KR10099815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리스트 표시방법
JPH07284036A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階層表示方法
KR100696814B1 (ko) 디지털 tv 동작 환경 설정 방법
JP2007295463A (ja) 電子番組表作成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345392A (ja) データ放送受信機及びデータ放送受信機における操作表示方法
KR20080075578A (ko)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