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630A - 경성연성콘택트렌즈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성연성콘택트렌즈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630A
KR20040054630A KR1020040032862A KR20040032862A KR20040054630A KR 20040054630 A KR20040054630 A KR 20040054630A KR 1020040032862 A KR1020040032862 A KR 1020040032862A KR 20040032862 A KR20040032862 A KR 20040032862A KR 20040054630 A KR20040054630 A KR 2004005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semi
hard material
material portio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158B1 (ko
Inventor
김쌍기
Original Assignee
(주)미광콘택트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광콘택트렌즈 filed Critical (주)미광콘택트렌즈
Priority to KR1020040032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1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0Tie-plates for flat-bottom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중심부 광학존을 포함한 부분을 경성재질로 구성하고, 광학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동심원상으로 준경성재질과 연성재질로 차례로 구성한 경성연성콘택트렌즈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성연성콘택트렌즈 및 제조방법.{omitted}
콘택트렌즈의 사용목적은 굴절이상을 교정하기 위한 시력보정용이지만 안경과는 달리 안구에 착용하기 때문에 착용감도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굴절이상의 교정을 목적으로 하는 콘택트렌즈에는 크게 2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경성콘택트렌즈이고 다른 하나는 연성콘택트렌즈이다.
경성콘택트렌즈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이 안전성과 경도가가 높은 재료로 되어 있으며 이 재질의 렌즈는 난시증세가 심하거나 불규칙한 각막환자의 시력교정에 좋고 수명이 길며 세척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눈에 삽입과 제거하기도 쉽다. 이와 같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주재질로 사용한 렌즈는 광학적으로 우수한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산소가 투과되지 않아 생리적 관점에서 볼 때 각막세포의 신진대사를 방해할 수 있어 각막부종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근래에는 경성콘택트렌즈인 RGP콘택트렌즈( Rigid gas permeable contactlens)가 개발되어 대중화되었다. 이 RGP콘택트렌즈는 기존 경성콘택트렌즈의 광학적 장점과 또한 산소를 투과시킬 수 있어 각막의 신진대사에 영향을 적게 줌으로서 안정감을 주며 종래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재질의 렌즈보다 각막부종 등 각종 부작용에선 벗어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연성콘택트렌즈는 경성콘택트렌즈에 비해 직경이 크고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N-비닐-2-피롤리돈 등을 이용한 재료로 친수성이다. 이러한 재료를 이용한 렌즈는 재질 자체가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렌즈가 닿을 때 느끼는 이물감과 각막에 대한 압박이 경성렌즈에 비해 적다. 또한 렌즈가 각막을완전히 덮게 됨으로서 외부 이물질에 대한 저항력도 키워주며 심한 운동에도 렌즈를 분실하지 않고 쉽게 눈에 적응하여 편안함과 안정감을 준다. 그러나 난시증세가 심하거나 불규칙한 각막환자의 시력교정용 연성콘택트렌즈는 연성재질이 가진 한계점 때문에 제작이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성콘택트렌즈와 연성콘택트렌즈가 지닌 장단점을 극복한 본 발명의 경성연성콘택트렌즈는, 경성콘택트렌즈와 연성콘택트렌즈의 장점을 두루 갖춘 콘택트렌즈로, 이성질의 재료를 접합한 새로운 콘택트렌즈이며 종래의 일반적인 렌즈와는 또 다른 구조로 내면적인 문제점인 광학성과 착용감을 극복한 콘택트렌즈로서, 중앙부의 광학존을 경성재질로 구성하여 경성콘택트렌즈의 우수한 광학적 장점 즉, 정난시, 부정난시 등의 시력교정에 우수한 장점을 최대한 살리되, 광학존을 제외한 나머지 주변부를 경성재질과 연성재질로 구성하여 안구압박감, 각막상피손상, 위치불안정 및 나쁜 착용감 등과 같은 경질재료자체 때문에 오는 단점을 극복하고 연성콘택트렌즈가 지닌 우수한 착용감, 산소투과성 등과 같은 장점을 동시에 지닌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성연성콘택트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경성, 준경성, 연성의 재질부위용 암수금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중합틀에서 성형된 적층체를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개략도.
도 4는 하부에 성형된 재질층을 볼록하게 선반으로 절삭하고 상부 재질층을 적층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만든 적층체를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개략도.
도 5는 렌즈의 내부면과 같은 형상의 볼록면이 형성되어쓰는 중합틀을 사용하여 만든 적층체의 상부면을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성재질부위 2 : 준경성재질부위
3 : 연성재질부위 4 : 적층체
5 : 경성재질부위용 암금형 6 : 경성재질부위용 수금형
7 : 준경성재질부위용 암금형 8 : 준경성재질부위용 수금형
9 : 연성재질부위용 암금형 10 : 연성재질부위용 수금형
11 : 중합틀
본 발명의 경성연성콘택트렌즈는, 렌즈 중심부의 광학존 부분을 경성재질로 구성하고, 광학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을 준경성재질과 연성재질로 구성한 것이 주요 요지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경성연성콘택트렌즈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렌즈로서 전면과 후면에 여러 가지 커브가 형성 되는데, 각이 지거나 직선으로 가공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렌즈의 중심부에는 광학존을 포함하는 크기로 경성재질부위가 구성되고, 경성재질부위(RP)의 전면에는 광학존(OZ)을 담당하는 파워커브(PC)가 있고, 경성재질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위는 준경성재질부위(SP1)와 연성재질부위(SP2)가 구성되되 렌즈전체의 두께 및 균형을 위하여 전면 커브(FC)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눈의 모양에 맞춘 렌즈 기준곡율(BC)과 눈물 순환 및 착용감 개선을 위한 베벨(B)이 형성된다.
좋은 콘택트렌즈가 되기 위해서는 광학존 부분은 탁월한 광학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경질의 투명한 재질이어야 하고, 산소투과성이면 각막의 신진대사에 더욱 좋으며, 형상 안정성, 내구성과 같은 필요한 성질을 갖추어야 한다. 광학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연성콘택트렌즈와 같은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성질을 갖는 원자재(단량체:Monomer)를 함유시켜 공중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성콘택트렌즈의 경우에 각막난시의 시력교정이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렌즈와 같이 광학존을 형성한 경성재질부위가 있기 때문이며, 연성콘택트렌즈가 경성콘택트렌즈에 비해 칙용감이 좋은 이유도 본 발명의 렌즈와 같이 가장자리 부위의 재질자체의 부드러움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는 중심부에 광학존을 포함한 크기로 경도가 좋은 재질의 경성재질부위가 있고, 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준경성재질부위와 부드러운 재질인 연성재질부위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성재질부위, 준경성재질부위, 연성재질부위의 원자재를 예시하면 다음 표와 같은 데, 각각의 부위에 사용되는 렌즈 재질은 표에 예시된 원자재(Monomers)를 사용하거나 포함하는 것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밖에도 여러 가지 원자재가 있을 수 있으며, 종래의 경성콘택트렌즈나 연성콘택트렌즈 제조 분야에서 공연히 실시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원자재나 혼합비 등과 같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경성연성콘택트렌즈는 중앙부의 광학존을 시력교정효과가 우수한 경성재질로 구성하고, 나머지 부위는 준경성재질과 연성성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주요 요지이므로 특별히 표에 제시된 원자재를 고집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경성재질부위와 연성재질부위 사이에 준경성재질부위가 더 구성된 이유는, 경성재질부위와 연성재질부위만으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면, 경성재질로 이루어진 부위와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부위가 함수율의 차이에 따라 팽창 정도가 달라서, 안구에 착용하면 경계부에서 불규칙한 주름이 심하게 생기기 때문으로, 경계부에서 주름이 생기기 않도록 순차적으로 경성재질부위와 준경성재질부위 및 연성재질부위를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준경성재질부위를 여러단계의 차준경성재질부위로 세분하여 더 구성할수록 원하지 않는 주름이 경계부에 생길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지만, 제조원가를 고려하여 경성재질부위와 준경성재질부위 및 연성재질부위로도 우수한 수준의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표에서 약어는 다음과 같다.
MMA(Methyl methacrylate)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GM(Glycidyl methacrylate) : 그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TFEM(2,2,2-Trifluorethyl methacrylate) : 2,2,2-트리플르오르에틸 메타크레이트
TEM(2-(trimethylsilyloxy)ethyl methacrylate) : 2-(트리메틸실리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TSPM(3-[Tris(trimethylsilyloxy)sily]propyl methacrylate : 3-[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리레이트
MA(Mathacrylic acid) : 메타크릴산
NVP(N-Vinyl-2-pyrrolidone) : N-비닐-2-피롤리돈
E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렌즈 중심부위의 경성재질에 의한 뛰어난 광학성과 렌즈 가장자리의 연성재질에 의한 부드러움을 동시에 가지는 콘택트 렌즈로서 높은 시력 교정 효과를 제공함과 아울러 눈을 순목할 때 이물감을 느끼지 않는 뛰어난 착용감을 가지는 콘택트렌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경성연성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에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주입하고 중합하여 경성재질부위를 성형한 후, 성형된 경성재질부위를 준경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이 안치하고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주입하고 중합하여, 경성재질부위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준경성재질부위를 성형한 다음, 일체로 성형된 경성재질부위와 준경성재질부위를 연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에 안치하고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주입하고 중합하여, 준경성재질부위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성재질부위를 성형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콘택트렌즈 제조 분야에서 암수금형을 사용한 제조는 일반적인 기술이나, 본 발명의 주요 요지는 광학존을 포함하는 경성재질부위를 먼저 한 벌의 암수금형으로 성형한 후, 다른 한 벌의 금형(준경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 내에 앞서 성형된 경성재질부위를 안치한 상태에서 준경성재질용 원자재를 주입하여 경성재질부위 가장자리와 일체로 준경성재질부위를 성형하며, 다음 공정으로 또다른 한 벌의 금형(연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 내에 앞서 일체로 성형된 경성재질부위 및 준경성재질부위를금형내에 안치한 상태에서 연성재질용 원자재를 주입하여 준경성재질부위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성재질부위를 성형함으로, 중심부에 경성재질부위가 성형되고 가장자리에 동심원 모양으로 준경성재질부위와 연성재질부위가 순차적으로 성형되어있는 적층체를 선반으로 절삭가공함으로서 본 발명의 경성연성콘택트렌즈가 제조되는 것이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금형의 암금형(경성재질부위용 암금형, 준경성재질부위용 암금형, 연성재질부위용 암금형)은 금형홈의 크기가 다르므로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지만 수금형(경성재질부위용 수금형, 준경성재질부위용 수금형, 연성재질부위용 수금형)은 구분할 필요 없이 동일한 모양의 금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준경성재질부위 또는 연성재질부위를, 일련의 보다 세분된 암수금형이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금형 내에 보다 연성의 원자재가 주입되고 중합되는 일련의 성형방법으로, 가장자리방향으로 나아가면서 보다 경도가 낮아지는 재질로 세분된 다수개의 재질부위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둘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합틀에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적당량 투입하여 중합한 후, 다시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여 중합한 다음,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일련의 방식으로 경성, 준경성, 연성 재질의 적층체를 만든 후, 선반으로 적층체의 상하부면을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셋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합틀에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적당량 투입하여 중합한 후, 다시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여 중합한 다음,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일련의 방식으로 연성, 준경성, 경성 재질의 적층체를 만든 후, 선반으로 적층체의 상하부면을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둘째와 셋째 방법은 중합틀 내에서 경성재질부위와 연성재질부위가 상호 바뀌어 성형되는 차이점만 있을뿐 동일한 기술임은 자명하다. 중합틀에서 만들어진 적층체를 선반으로 절삭하여 콘택트렌즈로 제조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공지의 기술인 데, 다만 적층체의 상하부면을 모두 선반으로 절삭하여 렌즈로 제조하는 특성상 상기 중합틀은 중공형의 투명한 원통형 용기 모양이되 상하부가 뚜껑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합틀의 외주면을 선반 지그에 물린 상태에서 내부의 적층체를 렌즈모양으로 절삭하면 된다.
또한, 상기 둘째 또는 셋째 방법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재질층을 중합 성형하는 단계와 상부의 재질층의 원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사이에 하부 재질층을 볼록 또는 오목하게 선반으로 절삭하는 단계가 더 포함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층의 상부면을 절삭한 후 상부면을 성형하는 것은, 적층체를 렌즈 모양으로 절삭하며 제조하였을 때, 수평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렌즈 모양으로 절삭하여 제조한 것과 비교하여 서로 다른 재질층으로 이루어진 부위의 결합경계면의 면적을 보다 크게 하거나 줄이기 위한 것으로, 결합력을 높이는 목적뿐만 아니라 안구에 착용시 서로 다른 재질층이 지닌 함수율의 차이에 의하여 경계부위에서 생길 수 있는 불규칙한 주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려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의 내부면(안구에 착용한 상태에서 안구와 접촉하는 면)과 같은 형상의 볼록면이 형성되어있는 중합틀에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여 중합한 후, 다시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한 다음,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일련의 방식으로 연성, 준경성, 경성 재질의 적층체를 만든 후, 선반으로 렌즈의 외부면(안구에 착용한 상태에서 바깥 면)과 같은 형상으로 적층체의 상부면을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방법은 열을 가온하여 중합하는 열중합방법과 자외선을 이용한 자외선중합방법이 있으며, 이와 같은 중합기술은 당업자에 의하여 실시되는 공지의 기술이다.
상기 한 본 발명의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제조된 건조상태의 렌즈를 70∼90℃로 가열된 식염수(0.9% NaCl용액)에 2시간 이상 담가 수화시키면 완성된 콘택트렌즈가 얻어지며 이는 공지의 기술이다.
상기의 렌즈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원자재(Monomer)와 그 원자재의 분량을 증감할 수 있으며, 렌즈의 디자인 변형이 가능하고 또한 부위를 경성재질부위, 준경성재질부위, 연성재질부위의 3단계를 그 이상으로 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성연성콘택트렌즈는 중심부에 광학존을 포함하는 원형의 경성재질부위가 성형되고, 상기 경성재질부위의 가장자리에는 일체로 준경성재질부위가 성형되며, 상기 준경성재질부위의 가장자리에는 일체로 연성재질부위가 성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준경성재질부위 또는 연성재질부위는 가장자리방향으로 나아가면서 보다 경도가 낮아지는 재질로 세분된 재질부위가 다수개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성재질부위의 전면에는 광학존을 담당하는 파워커브가 형성되며, 경성재질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위는 준경성재질부위와 연성재질부위가 구성되되 렌즈전체의 두께 및 균형을 위하여 전면커브가 형성되며, 렌즈 후면에는 눈의 모양에 맞춘 렌즈 기준곡율과 눈물 순환 및 착용감개선을 위한 베벨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경성연성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경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에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주입하고 중합하여 경성재질부위를 성형한 후, 성형된 경성재질부위를 준경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 내에 안치하고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주입하고 중합하여 경성재질부위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준경성재질부위를 성형한 다음, 일체로 결합성형된 경성재질부위와 준경성재질부위를 연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 내에 안치하고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주입하고 중합하여 준경성재질부위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성재질부위를 성형하는 방식으로, 중심부의 광학존을 포함하는 크기의 경성재질부위와 나머지 가장자리의 준경성재질부위 및 연성재질부위를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준경성재질부위 또는 연성재질부위를, 일련의 세분된 암수금형이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금형 내에 보다 연성의 원자재가 주입되고 중합되는 일련의 성형과정으로, 가장자리방향으로 나아가면서 보다 경도가 낮아지는 재질로 세분된 다수개의 재질부위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경성연성콘택트렌즈의 또다른 제조방법으로, 중합틀에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적당량 투입하여 중합한 후, 다시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여 중합한 다음,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일련의 방식으로 경성, 준경성, 연성 재질의 적층체를 만든 후, 선반으로 적층체의 상하부면을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중합틀에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적당량 투입하여 중합한 후, 다시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여 중합한 다음,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일련의 방식으로 연성, 준경성, 경성 재질의 적층체를 만든 후, 선반으로 적층체의 상하부면을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중합틀을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에 있어서, 하부의 재질층을 중합 성형하는 단계와 상부의 재질층의 원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사이에 하부 재질층을 볼록 또는 오목하게 선반으로 절삭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내부면(안구에 착용한 상태에서 안구와 접촉하는 면)과 같은 형상의 볼록면이 형성되어있는 중합틀에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여 중합한 후, 다시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한 다음,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일련의 방식으로 연성, 준경성, 경성 재질의 적층체를 만든 후, 선반으로 렌즈의 외부면(안구에 착용한 상태에서 바깥면)과 같은 형상으로 적층체의 상부면을 절삭하여 본 발명의 렌즈를 제조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성연성콘택트렌즈는 종래의 경성콘택트렌즈의 뛰어난 시력 교정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연성콘택트렌즈와 같은 우수한 착용감을 가질 수 있으며 각막난시 환자도 눈물도수에 의해 시력교정도 가능한 우수한 콘택트렌즈이다.

Claims (9)

  1.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중심부에는 광학존을 포함하는 원형의 경성재질부위(1)가 성형되고, 상기 경성재질부위(1)의 가장자리에는 일체로 준경성재질부위(2)가 성형되고, 상기 준경성재질부위(2)의 가장자리에는 일체로 연성재질부위(3)가 성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성연성콘택트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준경성재질부위(2) 또는 연성재질부위(3)는 가장자리방향으로 나아가면서 보다 경도가 낮아지는 재질로 세분된 다수개의 재질부위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성연성콘택트렌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재질부위(1)의 전면에는 광학존을 담당하는 파워커브가 형성되며, 경성재질부위(1)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위는 준경성재질부위(2)와 연성재질부위(3)가 구성되되 렌즈전체의 두께 및 균형을 위하여 전면커브가 형성되며, 렌즈 후면에는 눈의 모양에 맞춘 렌즈 기준곡율과 눈물 순환 및 착용감 개선을 위한 베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성연성콘택트렌즈.
  4. 경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5, 6)에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주입하고 중합하여 경성재질부위(1)를 성형한 후, 성형된 경성재질부위(1)를 준경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7, 8) 내에 안치하고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주입하고 중합하여 경성재질부위(1)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준경성재질부위(2)를 성형한 다음, 일체로 결합성형된 경성재질부위(1)와 준경성재질부위(2)를 연성재질부위용 암수금형(9, 10) 내에 안치하고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주입하고 중합하여 준 경성재질부위(2)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성재질부위(3)를 성형하는 방식으로, 중심부의 광학존을 포함하는 크기의 경성재질부위(1)와 나머지 가장자리의 준경성재질부위(2) 및 연성재질부위(3)를 성형하는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준경성재질부위(2) 또는 연성재질부위(3)를, 일련의 세분된 암수금형이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금형 내에 보다 연성의 원자재가 주입되고 중합되는 일련의 성형과정으로, 가장자리방향으로 나아가면서 보다 경도가 낮아지는 재질로 세분된 다수개의 재질부위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6. 중합틀(11)에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적당량 투입하여 중합한 후, 다시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여 중합한 다음,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일련의 방식으로 경성(1), 준경성(2), 연성(3) 재질의 적층체(4)를 만든 후, 선반으로 적층체(4)의 상하부면을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7. 중합틀(11)에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적당량 투입하여 중합한 후, 다시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여 중합한 다음,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일련의 방식으로 연성(3), 준경성(2), 경성(1) 재질의 적층체(4)를 만든 후, 선반으로 적층체(4)의 상하부면을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8.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하부의 재질층을 중합 성형하는 단계와 상부의 재질층의 원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사이에 하부 재질층을 볼록 또는 오목하게 선반으로 절삭하는 단계가 더 포함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9. 렌즈의 내부면(안구에 착용한 상태에서 안구와 접촉하는 면)과 같은 형상의 볼록면이 형성되어있는 중합틀(11)에 연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여 중합한 후, 다시 준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한 다음, 경성재질의 원자재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일련의 방식으로 연성(3), 준경성(2), 경성(1)재질의 적층체(4)를 만든 후, 선반으로 렌즈의 외부면(안구에 착용한 상태에서 바깥 면)과 같은 형상으로 적층체(4)의 상부면을 절삭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KR1020040032862A 2004-05-06 2004-05-06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KR10058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62A KR100586158B1 (ko) 2004-05-06 2004-05-06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62A KR100586158B1 (ko) 2004-05-06 2004-05-06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630A true KR20040054630A (ko) 2004-06-25
KR100586158B1 KR100586158B1 (ko) 2006-06-08

Family

ID=3734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862A KR100586158B1 (ko) 2004-05-06 2004-05-06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1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1606A (ja) * 1987-02-04 1988-08-09 Tome Sangyo Kk 眼用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成形型
KR20010016207A (ko) * 2000-11-22 2001-03-05 김쌍기 콘택트 렌즈의 재료 및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6158B1 (ko)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53930A1 (en) Contact lenses having a reinforcing scaffold
US10191303B2 (en) Multifocal bimodulus contact lenses
US8662663B2 (en) Hybrid soft contact lens, and production method and hydration treatment method thereof
AU2016201940B2 (en) Increased stiffness center optic in soft contact lenses for astigmatism correction
US7537339B2 (en) Hybrid contact lens system and method of fitting
US7543936B2 (en) Hybrid contact lens system and method of fitting
US20060290882A1 (en) Laminated contact lens
JP2006528373A5 (ko)
CA2533304A1 (en) Junctionless ophthalmic lens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070082563A1 (en) Hybrid contact lens system and method of fitting
CN1739045A (zh) 混合的多焦点接触透镜片
US20220163821A1 (en) Comfort-optimized contact lens system for non-rotationally symmetric eye aberration
CN107003541A (zh) 接触镜和用于构造接触镜的方法和系统
TW201502637A (zh) 具周邊高模數區之隱形眼鏡
JP2010529491A (ja) 視覚障害によって生じる眼精疲労を治療するレンズデザイン
KR100586158B1 (ko) 경성연성콘택트렌즈 제조방법
JP4367645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樹脂型
JP5621118B2 (ja)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33605B1 (ko) 친수성 터폴리머와 실리콘을 공중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
JPH0577487B2 (ko)
KR100523723B1 (ko) 경성연성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JPS6361225A (ja) 眼用レンズの製造方法
JP6899399B2 (ja) 非矯正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H05313107A (ja) マルチフォーカルコンタクトレンズ
RU2575054C2 (ru) Податливые динамические зоны перемещения для контактных лин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