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3686A - 시각 장애자용 시설물 음성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자용 시설물 음성 안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53686A KR20040053686A KR1020020080909A KR20020080909A KR20040053686A KR 20040053686 A KR20040053686 A KR 20040053686A KR 1020020080909 A KR1020020080909 A KR 1020020080909A KR 20020080909 A KR20020080909 A KR 20020080909A KR 20040053686 A KR20040053686 A KR 200400536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code
- voice
- output
- transmitt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이 찾고자 하는 시설물이 위치한 곳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음성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 버튼의 입력에 따라 특정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부;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부; 발생된 신호를 부호화(encoding)하는 부호기; 부호화된 신호를 고유한 RF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 변조된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선택부의 입력에 따라 소정 신호를 발진시켜 이 신호를 고유한 부호(code)로 부호화해서 무선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해서 구성된 발신기와, 부호화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복조된 신호의 일그러짐을 수정하는 정현부; 정현된 신호에서 부호를 복호화(decoding)하는 복호기; 시설물을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복호된 부호에 따라서 동작을 제어해서 수신된 RF 신호에 코딩된 부호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독출해서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각 장애자용 시설물 음성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이 선택한 시설물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음성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장애인의 편의를 위한 장치나 서비스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아직까지 장애인은 주변의 도움 없이 정상인처럼 외부활동을 하기는 불가능하다.
이는 주변의 편의 시설을 포함해서, 공공건물, 지하철 역사, 버스정류장, 공공 화장실등 거의 모든 시설물에 장애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며, 있다고 하더라도 일부에만 설치되어 있어 장애인의 외부활동을 돕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 음성 안내 장치인데, 대한민국 출원 제1997-61810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개시하고 있는 음성 안내 장치는 장애인이 소지하는 발신기와 시설물에 부착된 수신기로 구성해서, 시각 장애인이 소지한 발신기를 동작시키면 발신기의 특정 RF 신호가 무선 송출되게 되고, 시설물에 설치되어 있는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특정 RF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 특정 RF 신호에 따라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독출해서 출력함으로써 시설물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 61810호에 의하면, 장애인이 위치한 곳과 인접한 시설물에 관한 음성 안내는 가능하도록 동작하나, 장애인이 목적한 시설물에 관한 음성 안내는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음성 안내에 있어 장애인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은 목적한 시설물의 안내이지, 인접한 곳의 시설물이 아니다.
이는 상기 61810호의 발신기가 신호를 구분해서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발진된 하나의 신호만을 RF 신호로 변조해서 송출하도록 구성된 사실로부터 쉽사리 알 수가 있다.
또한, 발신기의 송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다수의 수신기가 설치된 경우에 송출 신호에 따라 모든 수신기가 응답하므로 제대로 된 음성 안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장애인이 목적한 시설물의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음성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성 안내 장치 중 발신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발신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성 안내 장치 중 수신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발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발신기 14 : 부호기 20 : 수신기
24 : 정현부 25 : 복호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버튼의 입력에 따라 특정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부;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부; 발생된 신호를 부호화(encoding)하는 부호기; 부호화된 신호를 고유한 RF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변조된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선택부의 입력에 따라 소정 신호를 발진시켜 이 신호를 고유한 부호(code)로 부호화해서 무선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해서 구성된 발신기와, 부호화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복조된 신호의 일그러짐을 수정하는 정현부; 정현된 신호에서 부호를 복호화(decoding)하는 복호기; 시설물을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복호된 부호에 따라서 동작을 제어해서 수신된 RF 신호에 코딩된 부호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독출해서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발신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외관을, 도 2는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발신기(10)는 다수 버튼(11)의 입력에 따라 특정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부(12),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부(14), 발생된 신호를 부호화(encoding)하는 부호기(15), 부호화된 신호를 고유한 RF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16), 변조된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17) 및 상기 선택부(12)의 입력에 따라 소정 신호를 발진시켜 이 신호를 고유한 부호(code)로 부호화해서 무선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도 1과 같이, 발신기(10)는 시각 장애인이 휴대할 수 있도록 크기와 부피가 작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신기(10)는 다수의 버튼(11)이 음성 안내되는 시설물에 따라 구비되는데, 이 버튼(11)에는 시설물의 점자가 도둘 새김된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발신기(10)로부터 시설물이 구분되어 송출된 신호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시설물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수신기(2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발신기(20)는 부호화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21),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증폭부(22), 증폭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23), 복조된 신호의 일그러짐을 수정하는 정현부(24), 정현된 신호에서 부호를 복호화(decoding)하는 복호기(25), 시설물을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7), 상기 음성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출력부(28) 및 복호된 부호에 따라서 동작을 제어해서 수신된 RF 신호에 코딩된 부호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독출해서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6)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저장부(27)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는 사람의 음성을 녹음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없이 시각 장애인이 시설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28)는 스피커(29)를 포함해서 구성되는데 독출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조해서 상기 스피커(29)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부(28)는 출력되는 가청음의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음량 조절기(미도시)를 더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음량 조절기는 제어부(26)의 동작 하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출력되는 가청음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 음량 조절기는 도로변과 같은 소음이 심한 지역, 또는 시간적으로 출근 시간대와 같이 주변의 소음이 심한 경우에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시작 장애인이 주변의 소음으로 안내되는 음성을 듣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늦은 시간 또는 주택가와 같이 소음이 적은 지역에서는 소리의 크기를 낮게 조절함으로써 음성 안내가 소음이 되지 않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음량 조절기를 대신해서 이퀄라이저(equalizer)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이퀄라이저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필터링해서 출력되는 소리의 음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이퀄라이저는 주변의 소음과 동일한 주파수대의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고, 상기 소음과 명확히 구분되는 다른 주파수대의 소리로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여 줌으로서 음량 조절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해서 발신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각 장애인은 발신기(10)를 휴대하고 있는 중에 알고자 하는 시설물이 있으면, 발신기(10)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11)중 원하는 시설물이 점자로 새겨진 버튼을 입력한다. 그러면, 입력 신호가 이 버튼에 연결된 저항을 거쳐 선택부(12)로 인가된다.
선택부(12)는 인가된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해서 제어부(13)에 입력한다(S11).
그러면, 제어부(12)는 발진부(14)를 제어해서 소정의 신호를 발진하게 된다(S12).
상기 발진부(14)에서 발진된 신호는 변조부(16)에서 RF 신호로 변조되기 전에 부호기(15)에서 부호화되는데(S13), 이 부호화는 시각장애인이 알고자 하는 시설물이 무엇인지 수신기(20) 편에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부호기(15)에서 부호화된 신호는 변조부(16)에서 RF 신호로 변조되어 안테나(17)를 통해 무선 송출된다(S14).
다음으로, 부호화된 RF 신호를 복조해서 시각 장애인이 선택한 시설물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수신기(20)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발신기(10)에서 부호화되어 송출된 RF 신호는 안테나(21)를 통해서 수신되고, 수신된 RF 신호는 증폭부(22)에 인가되어 소정의 크기로 증폭된다(S21, S22).
증폭된 신호는 복조부(23)에 의해 원래의 신호로 복조되고, 다시 정현부(24)에서 복조나 전송에서 발생한 신호의 일그러짐이 수정된다(S23, S24).
수정된 신호는 복호기(25)에 인가되어 RF 신호로부터 부호를 복호한다(S25).
그러면, 제어부(26)는 복호된 부호에 근거해서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S26). 예컨대, 수신된 RF 신호가 '버스 정류장'을 부호화하고 있다면,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수신기는 음성 안내가 방송되도록 제어부(26)는 동작하지만, 버스 정류장외 다른 시설물에 설치된 수신기인 경우에는 수신기(2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부(26)는 동작한다.
제어부(26)는 저장부(27)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 독출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부(28)에 인가한다(S27).
이후, 출력부(28)는 인가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해서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시킨다(S2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은 찾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음성 안내를 자신의 요구에 의해서 받을 수 있으며, 수신기가 인접해서 다수 설치된 곳에서도 장애인은 자신의 선택에 의해 제대로 된 음성 안내를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장애인은 다른 도움 없이도 자신이 찾고자 하는 시설물을 편리하게 찾을 수가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의 음성안내 장치는 장애인의 생활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이 정상인처럼 사회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Claims (5)
- 다수 버튼의 입력에 따라 특정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부;와,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부;와, 발생된 신호를 부호화(encoding)하는 부호기;와, 부호화된 신호를 고유한 RF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와, 변조된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선택부의 입력에 따라 소정 신호를 발진시켜 이 신호를 고유한 부호(code)로 부호화해서 무선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해서 구성된 발신기; 그리고부호화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와,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와, 복조된 신호의 일그러짐을 수정하는 정현부;와, 정현된 신호에서 부호를 복호화(decoding)하는 복호기;와, 시설물을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음성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복호된 부호에 따라서 동작을 제어해서 수신된 RF 신호에 코딩된 부호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독출해서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신기를 구비해서,시각 장애인이 상기 발신기를 이용해서 다수의 시설물에 설치된 수신기로부터 찾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음성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동작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발신기의 버튼에는 점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신기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음량 조절기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소리의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신기는 출력되는 가청음을 필터링해서 음색 조절을 하는 이퀄라이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성 안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0909A KR20040053686A (ko) | 2002-12-17 | 2002-12-17 | 시각 장애자용 시설물 음성 안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0909A KR20040053686A (ko) | 2002-12-17 | 2002-12-17 | 시각 장애자용 시설물 음성 안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3686A true KR20040053686A (ko) | 2004-06-24 |
Family
ID=3734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0909A KR20040053686A (ko) | 2002-12-17 | 2002-12-17 | 시각 장애자용 시설물 음성 안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5368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291B1 (ko) * | 2011-11-15 | 2013-07-24 | 이장우 | 온열매트용 컨트롤러 |
KR101304542B1 (ko) * | 2011-09-09 | 2013-09-05 | (주)윌텍 |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용 종합촉지판 |
-
2002
- 2002-12-17 KR KR1020020080909A patent/KR200400536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4542B1 (ko) * | 2011-09-09 | 2013-09-05 | (주)윌텍 |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용 종합촉지판 |
KR101289291B1 (ko) * | 2011-11-15 | 2013-07-24 | 이장우 | 온열매트용 컨트롤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6471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data using acoustical tones | |
US9936311B2 (en) | Wireless control system for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 |
KR20040053686A (ko) | 시각 장애자용 시설물 음성 안내 장치 | |
KR100275669B1 (ko) | 시각장애인 전용 횡단보도 음성 안내장치 | |
GB2320117A (en) | A signalling system | |
US5708723A (en) |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audio signal | |
JP4072167B2 (ja) | 聴覚補助装置及びその信号伝送方法並びに聴覚補助システム | |
JP2003015574A (ja) | 音声案内システム | |
JPH09206329A (ja) | 聴力補助装置 | |
KR100282748B1 (ko) | 시각장애인용 시설물위치 알림장치 | |
JP2002084518A (ja) | オブジェクト選択式情報通信方法及びその装置 | |
US6507730B1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peech and data | |
JPH079462Y2 (ja) |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 |
JP3370194B2 (ja) | 音声入力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 |
JP3234044B2 (ja) | 音声通信装置及びその受信制御回路 | |
JP2003110511A (ja) | 市町村防災行政無線システム | |
JPH1013507A (ja) | 携帯電話機及びそのキー操作確認方法 | |
KR100429544B1 (ko) | 이산신호 송/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
JP2000269838A (ja) | 受信機及び受信方法 | |
KR20240130954A (ko) | 청각장애자를 위한 음성신호-진동신호 변환장치 | |
JP2004128566A (ja) |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およびその送受信システム | |
FR2786300A1 (fr) | Systeme de guidage et/ou d'information | |
CA1309467C (en) | Paging receiver utilizing digital voice coding with improved voice r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 |
KR200162405Y1 (ko) | 위성방송용 무선헤드폰 | |
JPH05241495A (ja) | 無線式情報通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