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3685A -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3685A
KR20040053685A KR1020020080908A KR20020080908A KR20040053685A KR 20040053685 A KR20040053685 A KR 20040053685A KR 1020020080908 A KR1020020080908 A KR 1020020080908A KR 20020080908 A KR20020080908 A KR 20020080908A KR 20040053685 A KR20040053685 A KR 20040053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sensor
data
outpu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841B1 (ko
Inventor
신종현
Original Assignee
(주)사운드스케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운드스케이프 filed Critical (주)사운드스케이프
Priority to KR10-2002-008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8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매장내의 특정 상품에 관한 음성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일정 범위에 인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광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장치의 각종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광고 출력 횟수를 연산하는 카운터; 상기 횟수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 다수의 음성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광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디코더, 앰프 및 스피커를 통해 음성 광고를 출력하고, 상기 카운터로부터 연산된 광고 출력 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및 방법 {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Commercial Message by Sensor }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센서에 의해 인체 접근이 감지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광고 출력 횟수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하는 광고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퍼마켓이나 대형 마트 등의 상점에서는 진열된 상품의 이름을 표시하거나 상품의 광고를 위하여 상품 표시 스티커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기획 상품의 경우에는 담당자가 상품 진열대 앞에서 확성기를 이용해 육성 광고하거나 실내 방송을 통해서 전 매장의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광고 방법은 담당자가 일일이 상품 홍보에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에 따른 매장 관리비 상승 요인이 되며, 간혹 담당자의 실수로 광고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3046 호는 센서를 이용하여 광고 패널에서 음성 광고를 출력하거나 소비자의 주위를 환기시키는 향기를 방출하는 다기능 표시구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87724 호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인체가 접근하였을 때 음성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고안에 의해 자동으로 광고가 출력됨으로써 많은 효과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언제나 동일한 광고가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것은 소비자에게 소음이 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 출력 횟수를 알 수 없어 소비자의 접근 정도 또는 광고 효과를 피드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광고 출력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광고가 출력되는 횟수를 매장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광고 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광고 데이터를 시간대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시간대 별로 다른 광고를 출력하여 광고 효과를 증진하는 광고 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의 저장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2 : 메모리
14 : 센서 16 : 키입력부
18 : 카운터 20 : 액정표시부
21 : 시계장치부 22 : 디코더
23 : 인터페이스부 24 : 앰프
26 : 스피커 30 : 컴퓨터
40 : 전원공급부 52 : 제 1 메모리
53 : 제 2 메모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는 매장내의 특정 상품에 관한 음성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일정 범위에 인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광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장치의 각종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광고 출력 횟수를 연산하는 카운터; 상기 횟수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 다수의 음성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광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디코더, 앰프 및 스피커를 통해 음성 광고를 출력하고, 상기 카운터로부터 연산된 광고 출력 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액정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현재시간을 체크하는 시계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계장치부로부터 현재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로부터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장치는 배경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별도의 메모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센서 동작에 무관하게 상기 매장내 상기 배경음악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광고 출력장치는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배경음악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피커는 진동 스피커로서 특정 상품에 대한 POP 광고물 후면에 장착되어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매장내의 특정 상품에 관한 음성 광고를 출력하는 방법은 상기 상품에 근접하여 배치된 센서를 통해 일정 범위 내로 인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다수의 음성 광고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하나의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광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출력 횟수를 누적하여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고 출력 장치는 제어부(10), 음성 광고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2), 상품 진열대에 설치되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14), 온-오프 등 장치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6), 음성 광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디코딩하는 디코더(22), 상기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24), 증폭된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스피커(26) 및 이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를 포함한다. 또한, 광고 출력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18)와 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광고 데이터는 사람의 육성 뿐 만 아니라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여 총칭하는 용어이다.
상기 센서(14)는 제어부(10)의 바이어스 신호에 의해 온(on)되어 인체의 접근을 감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14)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고 적외선 반사파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인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14)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어부(10)는 메모리(12)로부터 음성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더(22)에 전달한다. 상기 메모리(12)는 이이피롬(EEPROM : 전기적 소거 가능 롬) 또는 컴팩트 플레쉬 카드(compact memory car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디코더(22)는 추출된 음성 광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디코딩하고,앰프(24)는 디코딩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6)를 통해 음성 광고를 출력한다. 또한, 디코더(22) 앞단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디지털 신호에 대한 필터의 조작, 변복조, 스펙트럼 분석 등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운터(18)는 광고 출력 횟수를 누적하여 카운트하고 이를 액정표시부(20)에 출력한다. 상기 액정표시부(20)는 세그먼트 LCD 또는 메트릭스 LCD를 사용하고 광고 출력 횟수 뿐 만 아니라 제어부(10)로부터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장치의 동작 상태 등을 출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광고 출력 장치의 작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2에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내 상품 진열대 일단에 배치된 센서(14) 주위에 인체가 접근하면(단계 S100), 센서(14)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10)에 전달한다(단계 S102). 또한 상기 센서(14)는 매장내 여러 구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구역마다 다른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감지신호를 통해 인체가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면 메모리(12)로부터 음성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더(22)에 전달한다(S104). 이 때 제어부(10)는 센서가 설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음료수 코너에 장착된 센서(14)에 의해 인체 접근 신호가 감지되면 음료수와 관계된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12)를 센서가 설치된 영역별로 구분하여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모리(12)내의 제 1 영역은 제 1 센서가 설치된 구역의 광고 데이터, 제 2 영역은 제 2 센서가 설치된 구역의 광고 데이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는 제 1 센서에 의해 신호가 감지되면 메모리(12)의 제 1 영역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추출한다.
디코더(22)는 제어부(10)에 의해 추출된 광고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디코딩한다(단계 S106). 디코딩 과정에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디코딩이 완료되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고 스피커(26)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108, S110).
상기 스피커는 전기적 신호를 가청 주파수의 음성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POP 광고물 후면에 장착되는 진동 스피커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스피커가 차지하는 공간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으며 음원에 부착된 POP 광고물로 인해 소비자 주위를 환기시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광고가 출력되면 상기 카운터(18)는 제어부(10)로부터 광고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광고 출력 횟수를 누적하여 카운트하고(단계 S112), 액정표시부(20)에 상기 횟수를 출력하여 매장 관리자가 광고 출력 횟수를 알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14).
이 때 상기 카운터(18)는 센서가 설치된 구역별로 광고 출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액정 표시부(20)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매장 관리자는 어느 구역에 소비자의 접근도가 높은지를 알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리한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준다. 여기서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광고 출력 장치에 시계장치부(21)를 더 구비하여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가 출력된다. 즉, 제어부(10)는 시계장치부(21)로부터 현재 시간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메모리(12)로부터 추출한다.
시간대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메모리(12)의 구조와 같이 광고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모리(12)는 매장에 센서가 설치된 구역에 대응하여 제 1 영역, 제 2 영역 등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영역은 다시 시간대별로 구분되어 있다. 즉 도면의 제 1 영역(12a)은 매장내 다수의 센서(14) 중 제 1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광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 영역은 다시 시간대 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데 도면의 참조부호 12b는 0 - 6 시 사이에 제 1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광고 데이터가 저장된 부분을 가리킨다. 따라서 제어부(10)는 시계장치부(21)로부터 현재 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시간대에 맞는 광고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12)는 같은 시간대에도 여러 종류의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0)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순차적 또는 랜덤하게 추출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메모리(12)의 구분된 구조는 물리적 구조로서 이해하면 아니되고 개념적인 구조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준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52)와 더불어 배경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53)가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배경 음악 데이터는 광고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디코딩되어 스피커(26)를 통해 출력된다.
배경음악 출력과 음성 광고 출력은 제어부(10)의 프로그래밍된 내용에 따라 출력 우선 순위 및 출력 방법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배경음악은 센서 작동과 무관하게 항시 출력하고 음성 광고를 배경음악 위에 오버래핑하여 출력하거나, 센서에 의해 인체 접근이 감지되면 배경음악의 출력은 인터럽트하고 음성 광고만 출력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배경음악에 대해서 출력 순서 등이 조절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여러 가지 모드의 조절은 상기 키입력부(16)를 통해 제어부(10)에 입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준다. 여기서 역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의 특징에 따르면, 외부의 컴퓨터(30)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23)가 더 포함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음성 광고 및 배경 음악 데이터는 외부 컴퓨터(30)를 통해 제공되어 제 1 메모리(52) 및 제 2 메모리(53)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컴퓨터(30)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음성 광고 및 배경 음악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서버는 다양한 음성 광고 및 배경 음악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상기 컴퓨터(30)에 전송하고 이는 다시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제 1 메모리(52) 및 제 2 메모리(53)에 저장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에 따르면 각 센서가 설치된 구역 및 시간대에 따라 다른 광고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 출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표시함으로써 매장 관리인은 광고 효과를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출력 수단으로 POP 광고물 후면에 부착된 진동 스피커를 이용함에 따라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소비자의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매장내의 특정 상품에 관한 음성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일정 범위에 인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광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장치의 각종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광고 출력 횟수를 연산하는 카운터;
    상기 횟수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
    다수의 음성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광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디코더, 앰프 및 스피커를 통해 음성 광고를 출력하고, 상기 카운터로부터 연산된 광고 출력 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현재시간을 체크하는 시계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계장치부로부터 현재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로부터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배경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별도의 메모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센서 동작에 무관하게 상기 매장내 상기 배경음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배경음악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광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배경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별도의 메모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센서 동작에 무관하게 상기 매장내 상기 배경음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배경음악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광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진동 스피커로서 특정 상품에 대한 POP 광고물 후면에 장착되어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10.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매장내의 특정 상품에 관한 음성 광고를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상품에 근접하여 배치된 센서를 통해 일정 범위 내로 인체가 접근하지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다수의 음성 광고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하나의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광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출력 횟수를 연산하여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진동 스피커로서 특정 상품에 대한 POP 광고물 후면에 장착되어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방법.
KR10-2002-0080908A 2002-12-17 2002-12-17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KR100488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908A KR100488841B1 (ko) 2002-12-17 2002-12-17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908A KR100488841B1 (ko) 2002-12-17 2002-12-17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685A true KR20040053685A (ko) 2004-06-24
KR100488841B1 KR100488841B1 (ko) 2005-05-11

Family

ID=3734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908A KR100488841B1 (ko) 2002-12-17 2002-12-17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8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07B1 (ko) 2006-12-18 2008-10-06 (주) 지테크놀로지 무선 동영상 피오피 광고장치 및 그 방법
KR100871351B1 (ko) * 2006-12-05 2008-12-02 (주) 지테크놀로지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동영상 피오피 광고장치 및 그 방법
CN104217665A (zh) * 2014-09-29 2014-12-17 刘林贵 一种森林防火宣传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351B1 (ko) * 2006-12-05 2008-12-02 (주) 지테크놀로지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동영상 피오피 광고장치 및 그 방법
KR100861707B1 (ko) 2006-12-18 2008-10-06 (주) 지테크놀로지 무선 동영상 피오피 광고장치 및 그 방법
CN104217665A (zh) * 2014-09-29 2014-12-17 刘林贵 一种森林防火宣传装置
CN104217665B (zh) * 2014-09-29 2017-03-08 刘林贵 一种森林防火宣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8841B1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66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etail terminal having a proximity detector that is operable to ascertain movement and distance of a consumer relative to the retail terminal
US8208014B2 (en) Electronic shopping cart display system
US5351186A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concerning a product or a service
US20080278408A1 (en) Floor display systems and additional display systems, an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using floor display systems and additional display system
JPH02501237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7356357B2 (en) Passive display unit and system and method of use
WO2008082785A3 (en) Dynamic updating of product profiles for active lifestyles
CN106796671B (zh) 食品管理系统、冰箱、服务器以及记录介质
JP5481954B2 (ja) 処理装置、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センサシステム
JP2006518485A (ja) フロア広告およびメッセージ表示のための電子表示装置
EP1249804A3 (e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n item by an electronic display
KR100488841B1 (ko) 센서를 이용한 광고 출력 장치
KR20180092503A (ko) 스마트 자동판매기 시스템
WO1991014984A1 (en) Device for providing advertising to shoppers
US20110246311A1 (en) Advertisement System and Advertisement Broadcasting Method
JP2007504724A (ja) デバイスの受入れの方法、その目的に使用できる配置、および機器
KR100302920B1 (ko) 광고기능이 구비된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032851A (ja) 広告出力システム、及び、広告出力方法
KR20150017044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단말
KR200209330Y1 (ko) 광고기기
WO2001069864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luetooth communications
KR20140114250A (ko) 기상 알람용 시계 및 방법
JPH0816905A (ja) 自動販売機
KR10167690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led 전광판 시스템 및 그 출력 방법
CN201018519Y (zh) 数字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