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893A - 스피드 센서 - Google Patents

스피드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893A
KR20040051893A KR1020020079582A KR20020079582A KR20040051893A KR 20040051893 A KR20040051893 A KR 20040051893A KR 1020020079582 A KR1020020079582 A KR 1020020079582A KR 20020079582 A KR20020079582 A KR 20020079582A KR 20040051893 A KR20040051893 A KR 20040051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housing
stopper
ring magnet
spe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룡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1893A/ko
Publication of KR2004005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89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variable reluctance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드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변속기 드리븐 기어 샤프트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압입 결합되어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스토퍼 사이에 설치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일측에 끼워지는 링마그넷(RING MAGNET)와, 상기 링마그넷의 회전에 따른 교번력을 센싱하도록 상기 링마그넷의 근접위치에 설치되는 센서와, 상기 조인트의 내부로 형성된 인입부에 마련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 저면의 돌출부에 밀착되는 제1볼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조인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부재와, 상기 조인트의 타측에 끼워지며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관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에 접촉되도록 상기 관로에 설치되는 스프링 와이어를 구비하는 니들 베어링과, 상기 변속기 드리븐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볼베어링과, 상기 핀부재의 밀림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조인트와 상기 스토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위치 조절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피드 센서{SPEED SENSOR}
본 발명은 스피드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기 드리븐 샤프트의 길이의 장단에 대응하여 원활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드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의 드리븐 기어의 샤프트에는 스피드 센서가 장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드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피드 센서(50)는, 변속기 드리븐 기어 샤프트(DRIVEN GEAR SHAFT)(11)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내부에 압입 결합되어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20)와, 하우징(10)의 저면과 스토퍼(20) 사이에 설치되는 조인트(30)와, 상기 조인트(30)의 외측에 끼워지는 링마그넷(RING MAGNET)(40)과, 상기 링마그넷(40)의 회전에 따른 교번력을 센싱하는 센서(49)를 구비한다. 상기 링마그넷(40)은 도넛형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원주방향을 따라서 N극과 S극이 교번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변속기 드리븐 기어의 샤프트의 1회전당 4개 펄스(PULSE)의 전기신호가 출력되어, 이 신호를 센서(49)가 센싱하게 된다. 즉, 차량의 속도가 빨라지면, 상기 전기신호 펄스(PULSE)의 수가 많아지게 되어 이를 센싱함으로 차량의 스피드를 센싱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의 조인트(30)에 끼워지는 링마그넷(40)의 일측과 하우징(10)의 저면과의 사이에는 간격 'A'가 형성되고, 링마그넷(40)의 타측과 스토퍼(20)의 사이에는 간격 'B'가 형성되며, 참조번호 'C'는 변속기 드리븐 샤프트(11) 내부측으로 인입된 조인트(30)의 일부 길이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30)의 일측에는 인입 형성된 인입부(31)가 마련되고, 이 인입부(31)에는 스프링(33)으로 지지되는 볼(35)이 마련된다. 상기 볼(35)은 하우징(10)의 저면에 돌출된 돌출부(13)로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스피드 센서(50)는 변속기의 드리븐 기어 샤프트(11)의 길이에 따라 'A', 'B'의 간격과 'C'의 길이의 영향으로 작동불량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속기의 드리븐 기어 샤프트(11)의 길이가 표준 길이보다 길면(1.5mm 이상) 'A','B'의 간격이 줄어든다. 이 간격의 줄어듦은 변속기의 드리븐 기어(14)를 체결할 때 샤프트(11)가 조인트(30)를 밀면서 조인트(30) 내의 스프링(33)이 수축되면서 간격 'A'와 간격 'B'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조인트(30)와 링마그넷(40)이 하우징(10)에 부딪쳐 작동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속기의 드리븐 기어 샤프트(11)의 길이가 표준 길이 보다 짧으면(1.5mm이하) 'C'의 길이는 커지면서 조인트 속에 있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B'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조인트(30)와 링마그넷(40)이 스토퍼(20)에 부딪쳐 작동불량 발생으로 녹거나, 고착, 부러짐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A', 'B'의 간격을 충분히 크게 하고자 하면, 커진 간격에 의하여 링마그넷(40)이 센서(49) 바로 위쪽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일측으로 치우칠 수 있게 되어, 센서(49)가 자기장을 제대로 센싱하지 못하는 작동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인트(30)와 변속기의 드리븐 기어의 샤프트(11)가 끼워지는 부분에도 유격이 발생하여 조인트(30)의 회전축이 고정되지 않고 유동이 생김에 따라, 조인트(30) 회전시 마다 도 1에 도시된 간격 'D'가 크거나 작아져 센서(49)에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여 센서(49)의 출력이 원활하게 나오지 않는 작동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변속기 드리븐 샤프트의 길이의 장단에 대응하여 원활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드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드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부 상세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피드 센서는, 차량의 변속기 드리븐 기어 샤프트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압입 결합되어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스토퍼 사이에 설치되는 조인트; 상기 조인트의 일측에 끼워지는 링마그넷(RING MAGNET); 상기 링마그넷의 회전에 따른 교번력을 센싱하도록 상기 링마그넷의 근접위치에 설치되는 센서; 상기 조인트의 내부로 형성된 인입부에 마련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 저면의 돌출부에 밀착되는 제1볼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조인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부재; 상기 조인트의 타측에 끼워지며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관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에 접촉되도록 상기 관로에 설치되는 스프링 와이어를 구비하는 니들 베어링; 상기 변속기 드리븐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볼베어링; 및 상기 핀부재의 밀림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조인트와 상기 스토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위치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타원볼이 일체로 돌출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 조절부재는 원형의 볼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센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상세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센서(100)는, 차량의 변속기 드리븐 기어 샤프트(DRIVEN GEAR SHAFT)(51)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53)과,
상기 하우징(53)의 내부에 압입 결합되어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55)와, 하우징(53)의 저면과 스토퍼 사이에 설치되는 조인트(57)와,
상기 조인트(57)의 일측에 끼워지는 링마그넷(RING MAGNET)(59)과, 링마그넷(59)의 회전에 따른 교번력을 센싱하도록 상기 링마그넷(59)의 근접위치에 설치되는 센서(52)와,
상기 조인트(57)의 내부로 형성된 인입부에 마련되는 제1스프링(54)과, 상기 제1스프링(54)에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53) 저면의 돌출부에 밀착되는 제1볼부재(58)를 구비하여 상기 조인트(57)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부재(50)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57)의 타측에 끼워지며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관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핀부재(65)와, 상기 핀부재(65)에 접촉되도록 상기 관로(63)에 설치되는 스프링 와이어(67)를 구비하는 니들 베어링(60)과,
상기 변속기 드리븐 샤프트(51)의 단부에 설치되는 본체(73)와, 상기 본체(73)와 상기 몸체(61)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75)를 구비하는 볼베어링(70)과,
상기 핀부재(67)의 밀림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조인트(57)와 상기 스토퍼(5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위치 조절부재(8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53)의 저면에는 타원볼(81)이 일체로 돌출 삽입 장착된다.
상기 제2위치 조절부재(80)에는 원형의 볼부재로 구비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센서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53)에 변속기의 드리븐 기어(62)를 체결한다.
그러면, 하우징(53) 속에 있는 조인트(57)가 밀려들어가 조인트(57)에 끼워져 있는 링마그넷(59)이 하우징(53) 저면에 마련된 타원볼(81)에 가압된다. 이러한 타원볼(81)에 의하여 하우징(53)과 조인트(57)는 일정한 간격을 항상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볼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하여 조인트(57)가 반대로 밀려나오게 되어 스토퍼(55)에 가까워지면, 니들베어링(60)의 몸체(61)가 가압된다. 이에 따라 몸체(60)의 외부로 소정거리 돌출된 핀부재(65)는 볼베어링(70)의 본체(73)에 가압된다. 최초 몸체(61) 외부로 돌출된 핀부재(65)는 몸체(61) 내부로 가압되어 인입된다.
그러면, 상기 핀부재(65)는 스프링 와이어(67)를 밀게 되며, 이 밀린 스프링 와이어(67)는 위치 조절부재(80)인 원형볼부재가 스토퍼(55)와 조인트(57) 사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원활한 회전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인트(57)가 하우징(53) 안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기 드리븐 기어 샤프트(51)의 길이에 관계없이 원활한 회전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센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조인트가 하우징 안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기 드리븐 기어 샤프트의 길이에 관계없이 원활한 회전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변속기 드리븐 기어 샤프트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압입 결합되어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스토퍼 사이에 설치되는 조인트;
    상기 조인트의 일측에 끼워지는 링마그넷(RING MAGNET);
    상기 링마그넷의 회전에 따른 교번력을 센싱하도록 상기 링마그넷의 근접위치에 설치되는 센서;
    상기 조인트의 내부로 형성된 인입부에 마련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 저면의 돌출부에 밀착되는 제1볼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조인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부재;
    상기 조인트의 타측에 끼워지며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관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에 접촉되도록 상기 관로에 설치되는 스프링 와이어를 구비하는 니들 베어링;
    상기 변속기 드리븐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볼베어링; 및
    상기 핀부재의 밀림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조인트와 상기 스토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위치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타원볼이 일체로 돌출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 조절부재는 원형의 볼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센서.
KR1020020079582A 2002-12-13 2002-12-13 스피드 센서 KR20040051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582A KR20040051893A (ko) 2002-12-13 2002-12-13 스피드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582A KR20040051893A (ko) 2002-12-13 2002-12-13 스피드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893A true KR20040051893A (ko) 2004-06-19

Family

ID=3734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582A KR20040051893A (ko) 2002-12-13 2002-12-13 스피드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189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466A (ja) * 1981-09-21 1983-03-24 Isuzu Motors Ltd 回転速度検出装置
JPS61271462A (ja) * 1985-05-28 1986-12-01 Nissan Motor Co Ltd 車輪回転速度検出装置の隙間調整構造
KR960032328U (ko) * 1995-03-07 1996-10-24 마그네틱 펄스센서
KR19990019822U (ko) * 1997-11-21 1999-06-15 정몽규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휠 스피드 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466A (ja) * 1981-09-21 1983-03-24 Isuzu Motors Ltd 回転速度検出装置
JPS61271462A (ja) * 1985-05-28 1986-12-01 Nissan Motor Co Ltd 車輪回転速度検出装置の隙間調整構造
KR960032328U (ko) * 1995-03-07 1996-10-24 마그네틱 펄스센서
KR19990019822U (ko) * 1997-11-21 1999-06-15 정몽규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휠 스피드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315B2 (en) Throttle valve control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utomobile using the same
IL149382A0 (en) Reduced-energy-consumption actuator
US11411456B2 (en) Motor, rotary apparatus including motor, and vehicle including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rotary apparatus
US20110148555A1 (en) Linear solenoid for vehicle
US6693424B2 (en) Magnetic rotation angle sensor
KR850007516A (ko) 자기헤드 위치결정장치
KR20040051893A (ko) 스피드 센서
KR19980080049A (ko) 정류자 모터
CA1292196C (en) Electromagnetic clutch mechanism
US20190252952A1 (en) Motor
TR199900565A2 (xx) �yile�tirilmi� iplik seyir tertibatl� iplik sevk cihaz�.
KR840004384A (ko) 인자 헤드
KR100307678B1 (ko) 센서 하우징과 센서 바디의 결합장치
JP2721257B2 (ja) 燃料タンクから内燃機関へ燃料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EP0761949A3 (en) A wireless control system of a throttle valve for automobiles
KR20150031702A (ko) 차량용 후륜 조향장치의 엑츄에이터
US20230417338A1 (en) Driving device and valve
KR100501384B1 (ko) 차량용 스피드 센서
KR950013269B1 (ko) 모터의 속도검출장치
KR200392046Y1 (ko) 유니버셜 모터
KR100351364B1 (ko) 범용성을 갖는 차량용 스피드센서
KR20070009258A (ko) 브러시리스 타입 편평형 진동모터
KR200276863Y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로터리 인코더와 회전체의커플링장치
KR200239960Y1 (ko) 압축기용클러치
KR100457212B1 (ko) 소음 저감형 스피드미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