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855A - 마사지기 - Google Patents

마사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855A
KR20040048855A KR1020030087246A KR20030087246A KR20040048855A KR 20040048855 A KR20040048855 A KR 20040048855A KR 1020030087246 A KR1020030087246 A KR 1020030087246A KR 20030087246 A KR20030087246 A KR 20030087246A KR 20040048855 A KR20040048855 A KR 20040048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foot
foot lifter
support pa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302B1 (ko
Inventor
모리겐타로
미야타기이치로
사카모토데츠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평상시 일상 생활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단순한 족재대(오토만)로서 또는 지체(특히 하지)를 시료하는 마사져로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구로서도 보기가 좋은 마사지기를 제공한다.
에어 펌프, 에어 유로용의 튜브, 회로 기판 등을 수용한 구동부(1)와, 이 구동부(1)의 양단에 각각 기립하여 설치된 대략 삼각형 형상의 1쌍의 지지부(2)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한 복수 개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발 올림대(3)를 구비한다. 발 올림대(3)는 지체를 시료하는 시료부(3A)를 한쪽에 갖고, 시료부(3A)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에 지체를 얹어 놓는 적재면(3B)을 갖는다. 마사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시료부(3A)를 상측으로 하여 발 올림대(3)를 고정하고, 족재대(오토만)로서 사용하는 경우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 가구로서 놓아두는 경우에는 적재면(3B)을 상측으로 하여 발 올림대(3)를 고정한다.

Description

마사지기{MASSARGER}
본 발명은 특히 의자에 걸터앉아 발을 마사지할 때에 시료하는 부위나 걸터앉는 의자에 따라서 발 올림대의 각도를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족재대(오토만; ottoman)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마사지기에 관한 것이다.
하지의 장딴지, 발바닥을 마사지하는 종래의 마사지기로서는 다음의 것이 있다.
① 마사지 기구를 갖춘 마사지 의자 본체의 시트부의 전단에 오토만부를 연장 설치하고, 오토만부의 겉과 속에 다른 종류의 마사지 장치를 설치하여, 오토만부의 겉과 속을 반전할 수 있게 지지한 마사지 의자(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② 마사지 기구를 내장한 마사지체를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마사지체를 지지대에 대해 하강시킴에 따라, 마사지체와 지지대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마사지체 자세 유지 상태와, 마사지체를 지지대에 대해 상승시킴에 따라, 마사지체와 지지대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유지 자세 해제 상태로 자유롭게 전환하도록 한 마사지기(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③ 각체(脚體)와, 각체의 상부에서 승강 수단을 통해 지지되는 발 올림부를 갖고, 승강 수단에 의해 발 올림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발 올림대 형식의 마사지기(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0866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평3-7161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12834호 공보
그러나, 상기 ①의 마사지기에서는, 오토만부가 마사지 의자 본체의 시트부에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장딴지나 발바닥을 마사지하기 위해서는 그 마사지 의자에 앉지 않으면 오토만부를 사용할 수 없다.
상기 ②의 마사지기에서는 내장된 마사지 기구에 의해 마사지체의 상면에 접촉하는 인체를 마사지하는데, 마사지체의 상면이 평탄하여, 접촉할 수 있는 인체 부분도 허리, 장딴지나 발바닥 등 평탄한 부분만으로 되어, 충분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③의 마사지기에서는, 발 올림부의 높이 조절은 할 수 있지만, 항상 1쌍의 발을 넣는 발 올림부의 오목부가 나와 있기 때문에, 마사지할 때 외에도 울퉁불퉁한 느낌의 발 넣는 오목부가 보여, 평상시 생활할 때에 놓아 두기엔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발 올림대로서 사용할 때에는 어쩔 수 없이 불편한 자세로 된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평상시 생활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단순한 족재대(오토만)로서 또는 지체(특히 하지)를 시료하는 마사져로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 가구로서도 보기가 좋은 마사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기(천으로 만든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마사지기(천으로 만든 커버를 벗긴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사지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마사지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마사지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의 발 올림대의 적재면측의 커버 및 지지부의 커버와 레버를 벗긴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커버 및 지지부의 커버를 벗긴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의 발 올림대의 적재면측의 커버를 벗긴 상태의 이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발 올림대의 시료부를 아래쪽에 위치시켰을 때의 시료 오목부에 대한 구동부의 에어 펌프의 위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마사지기의 전체의 골조가 되는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프레임에 있어서, 발 올림대를 구성하는 부분(회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회전체의 한쪽에 부착된 베어링부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회전체의 다른 쪽에 부착된 베어링부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베어링부를 지지부의 상측에 장착했을 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베어링부를 회전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축 유지부 및 스토퍼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 있어서, 회전축부 내부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상태에 있어서, 회전축부 내부의 단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때(발 올림대의 고정시)의 레버 부근의 측면도 및 그 때의 베어링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레버를 조작했을 때(발 올림대의 고정 해제시)의 레버 부근의 측면도 및 그 때의 베어링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레버를 조작했을 때(발 올림대의 고정 해제시)의 레버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레버를 조작했을 때(발 올림대의 고정 해제시)의 베어링부 내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의자에 걸터 앉아 장딴지를 시료할 때의 발 올림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그 때의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핀과 스토퍼(원호형 부분)의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소파에 앉아 장딴지를 시료할 때의 발 올림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그 때의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핀과 스토퍼(원호형 부분)의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소파에 앉아 발바닥을 시료할 때의 발 올림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그 때의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핀과 스토퍼(원호형 부분)의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의자에 걸터앉아 장딴지를 얹어 놓는 오토만으로서 사용할 때의 발 올림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그 때의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핀과 스토퍼(원호형 부분)의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소파에 앉아 장딴지를 얹어 놓는 오토만으로서 사용할 때의 발 올림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그 때의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핀과 스토퍼(원호형 부분)의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27a은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의자에 걸터앉아 장딴지를 시료할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7b는 소파에 앉아 장딴지를 시료할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7c는 소파에 앉아 발바닥을 시료할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c)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의자에 걸터앉아 장딴지를 얹어 놓는 오토만으로서 사용할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소파에 앉아 장딴지를 얹어 놓는 오토만으로서 사용할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상기 마사지기에 있어서, 발 올림대의 시료부를 회전 부재와 경사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의 시료부를 이면에서 본 개략 이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부
2 : 지지부
3 : 발 올림대
3A : 시료부
3B : 적재면
5, 6 : 사이드 커버
7 : 레버
15, 16 : 시료 오목부
18 : 공기 주머니
19 : 천으로 만든 커버
20 : 에어 펌프
22 : 튜브(접속선)
23 : 분배기
41, 42 : 베어링부
90 : 회전축(회전 부재)
91, 92 : 안마 휠(경사 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마사지기는 다음의 구성 요건 a∼d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1쌍의 기립형 지지부.
b) 얹어 놓은 지체를 시료 하는 시료부를 한쪽에 갖고, 시료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에 지체를 얹어 놓는 적재면을 갖는 발 올림대.
c) 발 올림대를 지지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각 지지부의 상측에 각각 설치된 회전 지지부.
d) 회전 지지부 부근에 배치되어, 발 올림대의 시료부가 상측에 위치하는 자세 및 발 올림대의 적재면이 상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발 올림대를 고정하는 고정부.
이 마사지기는 마사지를 하는 경우에는, 시료부가 상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발 올림대를 고정하고, 단순한 족재대(오토만)로서 사용하는 경우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 가구로서 두는 경우에는 적재면이 상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발 올림대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마사지기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 고정부는 발 올림대의 회전 위치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한 복수 개의 각도로 고정하는 것으로 하면, 발 올림대의 각도를 단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고정부는 발 올림대의 회전 위치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고정하는 것으로 하면, 발 올림대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어느 쪽의 경우도, 여러 가지 의자(식탁용 의자, 소파 등)에 걸터 앉더라도, 그 시트부의 높이에 따라서 발 올림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같은 시료 부위(예컨대 장딴지)에 대해서는 가장 시료 효과가 올라가는(혹은 원하는 효과가 나오는) 각도로, 다른 시료 부위(예컨대, 장딴지와 발바닥)에 대해서는 각 시료 부위에 알맞은 각도로, 또한 족재대로서 사용할 때에는 가장 편히 쉴 수 있는 각도로, 각각 발 올림대를 용이하게 적응시킬 수 있다.
또, 지지부는 발 올림대의 회전 궤적을 덮는 형상인 것으로 하면, 발 올림대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보다 보기가 좋게 되어, 특히 사용하지 않을 때에 놓아 두더라도 가구로서 겉보기가 한층 더 좋게 될 뿐만 아니라, 회전 중에 발 올림대와 지지부 사이에 물건 등을 끼워 놓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에 배치되어 시료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추고, 시료부와 구동부를 접속하는 접속선을 발 올림대 내부에서부터 회전 지지부를 경유하여 지지부 내부를 따라서 배치하면, 마사지기의 외관을 좋게 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더구나, 접속선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물론, 발 올림대의 시료부 및 적재면을 덮는 커버를 갖추고 있어서, 이들을 노출시킨 상태일 때와 비교하여 미관이 좋다. 또한, 시료부에 의한 시료 동작이 커버를 통하여 시료 부위에 작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닿는 촉감이 좋다.
이 밖에, 고정부는 한쪽의 회전 지지부 부근에 배치되고, 접속선은 다른 쪽의 회전 지지부를 경유하여 그 회전 지지부가 설치된 지지부 내부를 따라서 배치된 것으로 하면, 접속선 처리에 있어서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시료부는 지체에 비비거나, 두드리는 등의 시료를 할 수 있는 것이면 특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시료부는 공기 주머니를 공기 급배기에 의해서 팽창·수축시킴으로써 시료부에 얹어 놓은 지체를 시료하는 것으로 하고, 구동부는 공기 주머니에 대해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하면, 공기 주머니의 팽창·수축에 의해 지체를 압박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로부터의 공기를 시료부의 공기 주머니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발 올림대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구동부와 공기 주머니의 접속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에 튜브를 사용하면, 튜브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혹은, 시료부는 회전 부재에 평행하지 않게 마주 대하면서 부착된 적어도 1쌍의 경사 부재를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시료부에 얹은 지체를 시료하는 것으로 하면, 경사 부재의 회전에 의해 지체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시료부는 지체를 수용하는 시료 오목부를 갖고, 구동부는 발 올림대를 회전시켰을 때에 시료부의 시료 오목부에 마주 대하도록 지지부의 아래쪽에 배치된 것으로 하면, 발 올림대를 회전시켜 시료부를 아래쪽에 위치시켰을 때에, 구동부와 시료부(특히 시료 오목부를 형성하는 측벽) 사이에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낄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마사지기 전체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마사지기는 지체(하지 또는 상지)를 시료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하지의 경우에는 장딴지, 발바닥, 넓적다리이며, 상지의 경우에는 상완, 하완이다. 이 중, 특히 장딴지와 발바닥이 적합하다.
이하,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기의 외관 사시도(발 올림대에 천으로 만든 커버를 구비한 상태)를 도 1에 도시한다. 또, 천으로 만든 커버를 벗긴 상태의 동 마사지기의 외관 사시도를 도 2에, 그 정면도를 도 3에, 좌측면도를 도 4에, 우측면도를 도 5에 도시한다. 단, 도 2∼도 5에는 공기 주머니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이 마사지기는 에어 펌프, 에어 유로용의 튜브, 회로 기판 등을 수용한 구동부(1)와, 이 구동부(1)의 양단에 각각 기립하여 설치된 대략 삼각형 형상의 1쌍의 지지부(2)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한 복수 개(여기서는 5단계)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발 올림대(3)를 구비한다.
발 올림대(3)는 올려 놓은 지체(앞서 예로 든 하지 또는 상지)를 시료하는 시료부(3A)를 한쪽에 갖고, 시료부(3A)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에 지체를 얹어 놓는 평탄한 적재면(3B)을 갖는다. 통상은 발 올림대(3)의 시료부(3A)와 적재면(3B)은 천으로 만든 커버(19)로 덮여 있다(도 1 참조).
이 실시형태에서는 발 올림대(3)의 시료부(3A)는 신체의 하지 또는 상지를 수용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3개의 측벽(11, 12, 13)에 의해 형성된 1쌍의 시료 오목부(15, 16)를 갖는다.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11, 13)의 시료 오목부(15, 16) 측의 측면과, 시료 오목부(15, 16)의 저면에는 각각 공기 주머니(18)가 부착되어 있다.
구동부(1)는 그 전방측에 전원 스위치(1a)를 갖는 동시에, 그 상측에 리모트 컨트롤러(1b)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지지부(2)의 상측에는 발 올림대(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각각 회전 지지부(상세한 것은 후술함)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회전 지지부 부근에는 발 올림대(3)의 시료부(3A)가 상측에 위치하는 자세 및 발 올림대(3)의 적재면(3B)이 상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발 올림대(3)를 고정하는 고정부(상세한 것은 후기함)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고정부는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를 소정의 각도 범위(예컨대 약 260도) 내에서 미리 설정한 복수 개의 각도로 단계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에 의한 발 올림대(3)의 고정은 후술하겠지만, 한쪽의 지지부(2)의 상측에 설치된 레버(7)의 아래쪽을 바깥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해제되며, 발 올림대(3)는 해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미리 설정된 회전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4 및 도 5로부터도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대략 삼각형 형상의 양 지지부(2)의 내측 반 정도에는 사이드 커버(5, 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사이드 커버(5, 6)는 발 올림대(3)의 회전 궤적(도 4의 부호 T)을 덮는 식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외관이 좋고, 회전시에 발 올림대(3)와 지지부(2) 사이에 물건 등을 끼워 넣을 일도 없다. 또한, 한쪽 지지부(2)의 상측에는 리모트 컨트롤러(1b)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조작부(2a)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마사지기에 있어서, 발 올림대(3)의 적재면(3B) 측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고정부를 지닌 쪽의 지지부(2)의 커버 및 레버(7)도 떼어낸 상태]의 외관 사시도를 도 6에 도시한다. 발 올림대(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으로서의 회전체(33)를 갖고, 이 회전체(33)의 한쪽에 시료부(3A)가 장착되고, 반대측(다른 쪽)이 커버를 부착한 상태에서 평탄한 적재면(3B)으로 된다.
구동부(1)의 커버 및 고정부를 갖추지 않은 쪽의 지지부(2)의 커버를 벗긴 상태의 외관 사시도를 도 7에 도시한다. 구동부(1)는 공기 주머니(18)에 대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20)와, 에어 펌프(2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회로 기판(21)을 갖는다. 에어 펌프(20)는 접속선으로서의 튜브(22)를 통해 공기 주머니(18)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발 올림대(3)의 적재면(3B) 측의 커버를 벗긴 상태의 이면도를 도 8에 도시한다. 에어 펌프(20)로부터의 튜브(22)는 발 올림대(3) 내부에 배치된 분배기(23)에 접속되고, 또한 분배기(23)로부터 지선(支線)으로서의 3라인의 튜브(24a, 24b, 24c)가 각 공기 주머니(18)에 접속되어 있다.
도 7 및 도 8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튜브(22)는 발 올림대(3) 내부[분배기(23)]로부터 한쪽의 회전 지지부를 경유하여 한쪽의 지지부(2) 내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어, 외부에서는 완전히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이러한 튜브(22)의 설치에 의해, 마사지기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튜브(22)가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파손이나 폐색 등의 우려가 없고,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필요한 튜브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회로 기판(21)과 조작부(2a)및 분배기(23)는 배선(25)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배선(25)도 같은 지지부(2) 내부(다른 부분)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발 올림대(3)의 시료부(3A)를 아래쪽에 위치시켰을 때의 시료 오목부(15)에 대한 구동부(1)의 에어 펌프(2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를 도 9에 도시한다. 구동부(1)의 에어 펌프(20)는 발 올림대(3)를 향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9에서, 발 올림대(3)를 회전시켰을 때에 시료부(3A)의 한쪽의 시료 오목부(15)에 마주 대하도록, 구동부(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는, 에어 펌프(20)의 중심이 시료 오목부(15)의 중심선(C)에 거의 일치하도록, 에어 펌프(20)가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발 올림대(3)를 회전시켜 시료부(3A)를 아래쪽에 위치시켰을 때에, 에어 펌프(20)와 시료부(3A)의 특히 측벽(11 및 12) 사이에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이 낄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에어 펌프(20)와 측벽(11, 12)의 높이 방향의 간섭을 피함으로써, 마사지기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마사지기 전체의 골조가 되는 프레임(30)의 사시도를 도 10에 도시한다. 이 프레임(30)은 크게 구분하여 구동부(1)가 장착되는 부분(31)과, 지지부(2)를 구성하는 부분(32)과, 발 올림대(3)를 구성하는 부분(회전체)(33)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체(33)의 평면도를 도 11에 도시한다. 회전체(33)는 양측에 이 회전체(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부(41, 42)가 부착되어 있고, 중앙에 보강 부재(35)가 가설되어 있다. 회전체(33)의 베어링부(41, 42)가 프레임 부분(32)의 상측의 절결부(32a)에 장착됨으로써 회전체(33)[즉, 발 올림대(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베어링부(41, 42)에 발 올림대(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와,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를 단계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축되어 있다.
다음에, 그 발 올림대(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 및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를 단계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의 구조에 관해서, 도 12∼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회전체(33)의 베어링부(41)의 분해 측면도이다. 이 베어링부(41)는 회전체(33)의 일단에 설치된 원통형의 회전축부(50), 환상의 스페이서(51), 환상의 축 유지부(52), 환상의 스토퍼(53), 환상의 축 유지부 이탈 방지재(54)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부(50)는 후기하는 핀(70)이 삽입 관통되는 1쌍의 장원형의 구멍(50a)을 갖는다. 또한, 축 유지부 이탈 방지재(54)는 회전축부(50)의 선단에 형성한 홈(50b)에 끼워 맞춰진다. 이 베어링부(41)에 의하면, 후술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51)와 축 유지부(52) 이외의 회전축부(50), 스토퍼(53) 및 축 유지부 이탈 방지재(54)가 발 올림대(3)와 일체로 회전한다.
한편, 도 13은 회전체(33)의 베어링부(42)의 분해 측면도이다. 이 베어링부(42)는 회전체(33)의 타단에 설치된 원통형의 회전축부(80), 환상의 축 유지부(81), 환상의 축 유지부 이탈 방지재(82)로 구성되어 있다. 축 유지부 이탈 방지재(82)는 회전축부(80)의 선단에 형성한 홈(80a)에 끼워 맞춰진다. 이 베어링부(42)에 의하면, 축 유지부(81) 이외의 회전축부(80) 및 축 유지부 이탈 방지재(82)가 발 올림대(3)와 일체로 회전한다.
베어링부(41)를 지지부(2)의 상측[프레임 부분(32)의 상측]에 부착했을 때의확대 사시도를 도 14에 도시한다. 이에 의하면, 축 유지부(52)는 거의 사각 형상의 플랜지(60)와, 중심으로부터 180도의 각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2개의 원호형의 핀 끼워맞춤부(61, 62)와, 핀 끼워맞춤부(62)보다도 바깥쪽 위치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 리브(63)를 갖는다. 축 유지부(52)는 그 플랜지(60)가 나사(65)에 의해 지지부(2)의 상측에 부착됨으로써 지지부(2)에 고정된다.
핀 끼워맞춤부(61, 62)는 끼워맞춤 홈(61a, 62a)을 각각 3개씩 갖고, 이들 3개씩의 끼워맞춤 홈(61a, 62a)은 각각 180도의 각도 간격으로 대향하고 있어, 하나의 끼워맞춤 홈(61a와 62a)으로 핀(70)이 끼워맞춰지는 1쌍의 홈이 형성된다. 즉, 여기서는 3개의 끼워맞춤 홈(61a, 62a)과 협동하여 3쌍의 홈이 형성되게 되어, 임의의 홈에 핀(70)이 끼워맞춰짐으로써,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가 고정된다.
스토퍼(53)는 소정 각도 범위(예컨대 약 100도)에 걸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호형 부분(53a)과, 핀(70)을 수용하는 홈(53b)을 갖는다. 이 스토퍼(53)의 원호형 부분(53a)의 일단부가 축 유지부(52)의 스토퍼 리브(63)에 맞닿는 위치에서부터, 타단부가 스토퍼 리브(63)에 맞닿는 위치까지, 스토퍼(53)가 회전 가능하다. 즉, 발 올림대(3)는 소정 각도 범위(약 260도)에 걸쳐 회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베어링부(41)를 회전체(33)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축 유지부(52) 및 스토퍼(53)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를 도 15에, 도 15의 상태에서 회전축부(50) 내부의 측면도를 도 16에, 도 16의 상태에서 회전축부(50) 내부의 단면도를 도 17에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핀(70)은 회전축부(50)의 구멍(50a)에 삽입 관통되어,핀(70)의 양단이 구멍(50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축부(50)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핀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고, 이 핀 가이드(71)도 핀(70)을 삽입 관통하는 1쌍의 구멍(71a)을 갖는다. 또, 핀 가이드(71)는 그 전단에 레버 받침부(72)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레버 받침부(72)에는 레버(7)의 레버 핀(7a)(도 18∼도 20 참조)이 삽입되는 구멍(72a)이 형성되어 있다.
핀 가이드(71)에는 핀 홀더(73)가 일체로 부착되고, 핀 홀더(73)의 후단은 플랜지형의 스프링 걸림부(73a)로 되어 있다. 이 스프링 걸림부(73a)와 회전체(33) 사이의 핀 홀더(73) 부분에 스프링(74)이 끼워 들어가, 스프링(74)은 평상 상태에서는 핀 홀더(73), 즉 핀 가이드(71)를 회전체(33) 측으로 압박한다.
이 스프링(74)에 의한 압박 상태에서는 핀 가이드(71)가 회전체(33) 측으로 잡아당겨지기 때문에, 핀(70)이 축 유지부(52)에 있어서의 핀 끼워맞춤부(61, 62)의 끼워맞춤 홈(61a, 62a)에 끼워 맞춰진다. 이에 따라,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대하여, 레버(7)를 바깥쪽으로 당기면, 레버 핀(7a)에 의해 레버 받침부(72)도 바깥쪽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이에 따라 핀 가이드(71)와 일체의 핀 홀더(73)가 스프링(74)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바깥쪽으로 잡아 당가져, 핀(70)이 핀 끼워맞춤부(61, 62)의 끼워맞춤 홈(61a, 62a)으로부터 나온다. 이에 따라, 발 올림대(3)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발 올림대(3)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베어링부(42)를 지지부(2)의 상측[프레임 부분(32)의 상측]에 부착했을 때의 확대 사시도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축 유지부(52)와 마찬가지로, 축 유지부(81)는 그 플랜지(81a)가 나사에 의해 지지부(2)의 상측에 부착됨으로써 지지부(2)에 고정된다(도 10 참조). 이 베어링부(42)는 발 올림대(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뿐으로,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를 고정·해제하는 기구는 갖고 있지 않다.
이어서, 레버(7)에 의한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의 고정·해제에 관해서, 도 18a∼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레버(7)를 조작하지 않을 때[발 올림대(3)의 고정시]의 레버(7) 부근의 측면도를 도 18a에, 그 때의 베어링부(41)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 18b에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에서, 레버(7)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도 18a)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74)에 의해 핀 가이드(71)가 발 올림대(3) 측(도면의 우측)으로 잡아 당겨져, 핀(70)은 핀 끼워맞춤부(61, 62)의 끼워맞춤 홈(61a, 62a)에 끼워 맞춰진다(도 18b).
레버(7)를 조작했을 때[발 올림대(3)의 고정 해제시]의 레버(7) 부근의 측면도를 도 19a 및 도 20에, 그 때의 베어링부(41)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 19b에, 베어링부(41)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 21에 도시한다. 발 올림대(3)의 고정 상태로부터, 도 19a 및 도 20과 같이 레버(7)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레버(7)는 축(7b)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여, 레버 핀(7a)이 화살표 방향(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레버 핀(7a)에 의해 레버 받침부(72) 및 핀 가이드(71)가 스프링(74)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고, 핀(70)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21). 이에 따라, 핀(70)이 핀 끼워맞춤부(61, 62)의 끼워맞춤 홈(61a, 62a)에서 빠져, 핀 끼워맞춤부(61, 62)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스토퍼(53)의 홈(53b)에 들어가(도 19b), 발 올림대(3)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지지부(2)에 고정된 축 유지부(52)에 대하여, 핀(70)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핀(70)의 회전 가능 상태를 유지하면서, 발 올림대(3)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 위치에서 레버(7)를 놓으면, 스프링(74)의 작용에 의해 핀(70)은 핀 끼워맞춤부(61, 62)의 끼워맞춤 홈(61a, 62a)에 끼워 맞춰져, 발 올림대(3)가 고정된다.
이어서, 이 마사지기의 각종 의자에 대한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에 관해서, 도 22a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a 및 도 27a는 의자(100)에 걸터 앉아 장딴지를 시료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53)의 원호형 부분(53a)이 축 유지부(52)의 스토퍼 리브(63)의 일단에 맞닿고 있고, 이 때의 핀(70)은 핀 끼워맞춤부(61, 62)의 각 3개의 끼워맞춤 홈(61a, 62a) 중, 핀 끼워맞춤부(61)의 좌측의 끼워맞춤 홈과, 핀 끼워맞춤부(62)의 우측의 끼워맞춤 홈이 끼워맞춰진다(도 14에 도시하는 상태). 이 위치에서 발 올림대(3)를 고정함으로써, 시트부의 위치가 비교적 높은 의자(100)라도, 장딴지를 편한 자세로 앞으로 내민 상태에서 시료부(3A)에 의해 마사지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7b는 소파(101)에 앉아 장딴지를 시료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소파(101)의 시트부는 의자(100)의 시트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서 발 올림대(3)를 완만한 경사 상태로 고정한다. 이 경우,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53)의 원호형 부분(53a)은 도 22의 (b)일 때보다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토퍼 리브(6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 핀 끼워맞춤부(61) 상에 완전히 오버랩하고 있다. 이 때의 핀(70)은 핀 끼워맞춤부(61)의 한가운데의 끼워맞춤 홈과, 핀 끼워맞춤부(62)의 한가운데의 끼워맞춤 홈에 끼워 맞춘다. 이 고정 위치에서는, 소파(101)에 앉아 자연스러운 자세로 장딴지를 시료부(3A)에 의해 마사지할 수 있다.
도 24a 및 도 27c는 소파(101)에 앉아 발바닥을 시료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때문에, 발 올림대(3)를 의자측[소파(101)측]으로 향한 위치에서 고정한다.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53)의 원호형 부분(53a)은 도 23b의 위치에서부터 더욱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의 핀(70)은 핀 끼워맞춤부(61)의 우측의 끼워맞춤 홈과, 핀 끼워맞춤부(62)의 좌측의 끼워맞춤 홈과 끼워 맞춘다. 이 고정 위치에서는 소파(101)에 앉아 편한 자세로 발바닥을 시료부(3A)에 의해 마사지할 수 있다.
도 25a 및 도 28a는 의자(100)에 걸터 앉아 장딴지를 얹는 오토만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의자(100)의 시트부는 어느 정도의 높이에 있기 때문에, 장딴지를 가볍게 얹을 수 있도록, 발 올림대(3)를 도 24의 (a)의 상태에서부터 더욱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위치에서 고정한다. 이 경우,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53)의 원호형 부분(53a)은 핀 끼워맞춤부(62) 상에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위치까지 달한다. 즉, 핀(70)은 도 22의 (b)의 상태에서 180도 회전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때의 핀(70)은 도 22의 (b)아 마찬가지로, 핀 끼워맞춤부(61)의 좌측의 끼워맞춤 홈과, 핀 끼워맞춤부(62)의 우측의 끼워맞춤 홈에 끼워 맞춰진다. 이 고정 위치에서는 적재면(3B)이 대략 상측을 향하기 때문에, 의자(100)에 걸터 앉은 자세로 장딴지를 적재면(3B)에 가볍게 올릴 수 있다.
도 26a 및 도 28b는 소파(101)에 앉아 장딴지를 올려 놓는 오토만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소파(101)의 시트부는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서 장딴지를 얹을 수 있도록, 발 올림대(3)를 도 25의 (a)의 상태에서 더욱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위치에서 고정한다. 이 때는 스토퍼(53)의 원호형 부분(53a)은 스토퍼 리브(63)의 타단에 맞고, 핀(70)은 핀 끼워맞춤부(61)의 한복판의 끼워맞춤 홈과, 핀 끼워맞춤부(62)의 한복판의 끼워맞춤 홈에 끼워 맞춰진다. 이 위치에서는 적재면(3B)이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소파(101)에 느긋하게 앉아 발을 내밀어, 장딴지를 적재면(3B)에 놓아 둘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시료부(3A)가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마사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이 상태로 해 둠으로써 가구로서도 보기가 좋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시료부(3A)는 공기 주머니(18)를 에어 펌프(20)에 의해 팽창·수축시켜 시료 부위를 시료하는 것인데, 회전 부재에 평행하지 않고 마주 대하면서 부착된 적어도 1쌍의 경사 부재를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시료부에 올려 놓은 지체를 시료하는 예를 도 29에 도시한다. 도 29는 시료부(3A')를 이면에서 본 개략적인 이면도이다.
여기서는, 회전축(회전 부재)(9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2쌍의 안마 휠(경사 부재)(91, 92)이 회전축(90)에 평행하지 않게 마주 대하면서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공기 주머니(18)를 부착하는 측벽(11, 12, 13)은 필요 없으며, 안마휠(91, 92)로 시료 오목부를 형성하는 측벽을 구성하면 된다. 물론, 안마 휠(91, 92)은 천으로 만든 커버(19)로 덮인다.
이 시료부(3A')에 있어서, 회전축(90)이 회전하면, 1쌍의 안마 휠(91, 92)도 회전하여, 각 쌍의 안마 휠(91, 92)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함으로써, 시료 부위를 비벼 마사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마사지기에 따르면,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를 5단계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부의 높이 위치가 다른 의자나 소파에 걸터 앉더라도, 시료 부위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에 발 올림대를 고정할 수 있어, 각 시료 부위에 대하여 효과적인 마사지를 할 수 있다. 물론, 발 올림대(3)의 고정은 5단계일 필요는 없으며, 핀 끼워맞춤부(61, 62)의 끼워맞춤 홈(61a, 62a)의 수를 많게 하여, 보다 미세한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혹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의 자유 위치에 무단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시료 하지 않을 때는 오토만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세련된 디자인이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 놓아 두더라도 방에 잘 어울린다.
또, 지지부(2)에는 사이드 커버(5, 6)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발 올림대(3)의 회전 궤적이 사이드 커버(5, 6)에 의해 덮여, 발 올림대(3)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보다 보기가 좋게 되어, 특히 사용하지 않을 때에 놓아두더라도 가구로서 보기가 한층 더 좋아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사지를 하는 경우는, 시료부가상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발 올림대를 고정하고, 단순한 족재대(오토만)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 가구로서 놓아두는 경우에는 적재면이 상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발 올림대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평상시 일상생활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단순한 오토만으로서 또는 지체(특히 하지)를 시료하는 마사져로서 간단히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 가구로서도 위화감이 없어 보기가 좋다.

Claims (12)

  1.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1쌍의 기립형의 지지부와,
    얹어 놓은 지체를 시료하는 시료부를 한쪽에 갖고, 시료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에 지체(肢體)를 얹어 놓는 적재면을 갖는 발 올림대와, 발 올림대를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각 지지부의 상측에 각각 설치된 회전 지지부와, 회전 지지부 부근에 배치되어, 발 올림대의 시료부가 상측에 위치하는 자세 및 발 올림대의 적재면이 상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발 올림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발 올림대의 회전 위치를 소정의 각도 범위내 에서 미리 설정한 복수 개의 각도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발 올림대의 회전 위치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발 올림대의 회전 궤적을 덮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어 시료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시료부와 구동부를 접속하는 접속선을 발 올림대 내부에서부터 회전 지지부를 경유하여 지지부 내부를 따라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올림대의 시료부 및 적재면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한쪽의 회전 지지부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선은 다른 쪽의 회전 지지부를 경유하여 그 회전 지지부가 설치된 지지부 내부를 따라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한쪽의 회전 지지부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선은 다른 쪽의 회전 지지부를 경유하여 그 회전 지지부가 설치된 지지부 내부를 따라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공기 주머니를 공기의 급배기에 의해 팽창·수축시킴으로써, 시료부에 얹어 놓은 지체를 시료하는 것이며, 상기 구동부는 공기 주머니에 대해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공기를 시료부의 공기 주머니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발 올림대 내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회전 부재에 평행하지 않게 마주 대하면서 부착된 적어도 1쌍의 경사 부재를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시료부에 얹어 놓은 지체를 시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지체를 수용하는 시료 오목부를 갖고, 상기 구동부는 발 올림대를 회전시켰을 때에 시료부의 시료 오목부에 마주 대하도록 지지부의 아래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KR10-2003-0087246A 2002-12-04 2003-12-03 마사지기 KR100530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2067A JP3624908B2 (ja) 2002-12-04 2002-12-04 マッサージ機
JPJP-P-2002-00352067 2002-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855A true KR20040048855A (ko) 2004-06-10
KR100530302B1 KR100530302B1 (ko) 2005-11-22

Family

ID=32753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246A KR100530302B1 (ko) 2002-12-04 2003-12-03 마사지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24908B2 (ko)
KR (1) KR100530302B1 (ko)
CN (2) CN1255085C (ko)
TW (1) TWI24691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4885A (zh) * 2021-01-26 2021-05-07 山西白求恩医院(山西医学科学院) 一种用于预防下肢深静脉血栓按摩器
KR20230174096A (ko) * 2022-06-20 2023-12-27 복정제형 주식회사 공기 및 기계 가압 방식의 경사 조절 가능한 발 또는 다리 마사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3238A1 (ja) * 2004-09-24 2006-03-30 Family Co., Ltd. マッサージ機能付きオットマン
JP4201801B2 (ja) 2006-03-31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足用マッサージ機
JP4646885B2 (ja) * 2006-09-29 2011-03-09 三洋電機株式会社 足用マッサージ機
JP7257672B2 (ja) 2018-04-04 2023-04-14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TWI694819B (zh) * 2018-12-28 2020-06-01 巫東和 鐘擺式下肢按摩機構
TWI745222B (zh) * 2021-01-21 2021-11-01 巫東和 抬腿按摩之升降結構
CN113230105B (zh) * 2021-03-29 2023-11-28 深圳市科舒诺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角度使用美腿按摩器
CN114468648B (zh) * 2022-01-26 2023-09-15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按摩功能的搁脚凳
TWI818794B (zh) * 2022-11-02 2023-10-11 巫東和 兩用式按摩椅結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4885A (zh) * 2021-01-26 2021-05-07 山西白求恩医院(山西医学科学院) 一种用于预防下肢深静脉血栓按摩器
CN112754885B (zh) * 2021-01-26 2022-09-06 山西白求恩医院(山西医学科学院) 一种用于预防下肢深静脉血栓按摩器
KR20230174096A (ko) * 2022-06-20 2023-12-27 복정제형 주식회사 공기 및 기계 가압 방식의 경사 조절 가능한 발 또는 다리 마사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4898A (en) 2004-08-16
CN1255085C (zh) 2006-05-10
JP3624908B2 (ja) 2005-03-02
KR100530302B1 (ko) 2005-11-22
TWI246915B (en) 2006-01-11
CN2673369Y (zh) 2005-01-26
CN1541636A (zh) 2004-11-03
JP2004180967A (ja)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6258145U (zh) 一种康复训练设备以及康复训练系统
KR100530302B1 (ko) 마사지기
US7374549B2 (en) Massage machine, massager for hands and massaging method
WO2006134680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3969388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010014057A (ko) 의자식 에어 마사지기
CN208823130U (zh) 老年护理用坐便辅助装置
WO1998048762A1 (fr) Appareil de massage
KR20140130262A (ko) 회전근개 재활운동 장치
CN109771223A (zh) 一种电动一体化脚踝活动足底穴位按摩器
KR20020069501A (ko) 의자식 마사지기
JP4245758B2 (ja) マッサージ機
KR100517416B1 (ko) 마사지기
WO2006033238A1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オットマン
IL157480A (en) Treatment bed, treatment apparatus and treatment device
JPS6352902B2 (ko)
US20120157896A1 (en) Massage device
JP2009022789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0209114Y1 (ko) 의자의 발 맛사지 장치
KR200158128Y1 (ko) 발안마기 장착 의자
KR200335862Y1 (ko) 이동형 발바닥 안마장치를 갖는 매트리스
KR0122956Y1 (ko) 책상용 발 받침구
KR200287058Y1 (ko) 안마용 매트
KR20100054958A (ko) 다기능 4인용 소파
KR200377974Y1 (ko)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다리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