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249A -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249A
KR20040047249A KR1020020075391A KR20020075391A KR20040047249A KR 20040047249 A KR20040047249 A KR 20040047249A KR 1020020075391 A KR1020020075391 A KR 1020020075391A KR 20020075391 A KR20020075391 A KR 20020075391A KR 20040047249 A KR20040047249 A KR 20040047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information
information
shopping
location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597B1 (ko
Inventor
장세도
장용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애드
Priority to KR10-2002-007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597B1/ko
Priority to PCT/KR2003/000007 priority patent/WO2004051547A1/en
Priority to AU2003201766A priority patent/AU2003201766A1/en
Publication of KR2004004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쇼핑 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들; 및 신호 전송 영역에 속한 단말기들에 위치 정보 식별 신호 및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쇼핑 정보 컨텐츠 중 수신한 신호에 상응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가 위치한 곳에 배치된 상품에 대한 광고 정보가 제공되므로 고객이 원하는 쇼핑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할인 쿠폰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여 고객들이 계속적으로 단말기를 보게 함으로써 광고 효과의 상승 및 매출 증대를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Using Cart}
본 발명은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에 단말기를 설치하고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쇼핑에 필요한 광고 또는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이마트, 월마트와 같은 대형 할인 매장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할인 매장은 물론 대부분의 쇼핑몰들이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쇼핑몰이 대형화됨에 따라, 고객들은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하나의 쇼핑몰에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너무 많은 종류의 상품이 쇼핑몰에 진열되므로, 고객들은 진열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쇼핑몰은 상품의 광고 효과가 크게 작용할 수 있는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광고 제공 수단이 없었다.
종래에 있어서, 카트에 광고판을 부착하거나 대형 멀티미전을 통해 광고를 포함한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쇼핑몰은 다양한 상품을 진열하고 있으며, 쇼핑몰을 찾는 고객들의 취향도 제각각 다르다. 따라서, 카트에 광고판을 부착한다거나 대형 멀티비전 등을 통해 광고를 전달하는 것은 고객의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이와 같은 일방적인 광고에 대해 대부분의 고객들은 관심을 보이지 않는 바, 광고 효과가 극히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품 광고를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광고 방법이 필요한 바, 본 발명은 상품이 진열된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광고를 출력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카트에 단말기를 설치하여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광고를 포함한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쇼핑몰 내에서 고객의 위치를 감지하여 고객이 위치한 곳의 진열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랜을 이용하여 고객의 위치에 따라 차별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 광고 정보와 할인 쿠폰을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광고 데이터를 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편성부를 통해 편성되는 스케줄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필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광고 데이터를 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부착된 쇼핑 카트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쇼핑 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들; 및 신호 전송 영역에 속한 단말기들에 위치 정보 식별 신호 및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쇼핑 정보 컨텐츠 중 수신한 신호에 상응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은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들에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는 쇼핑 매장이 오프라인일 경우에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는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운영자가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편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운영자가 편성한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저장하는 스케줄 편성부; 단말기로부터 손실 패킷 요청 신호를 수신할 경우, 단말기가 요청한 패킷을 단말기에 전송하는 손실 패킷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가 전송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수신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 수신부; 상기 쇼핑 정보 컨텐츠 수신부로 수신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는 쇼핑 정보 저장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쇼핑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의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 상품 카테고리별로 디스플레이할 쇼핑 정보 스케줄을 저장하고 있는 스케줄 데이터 저장부; 상기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에서 판단한 상품 카테고리의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쇼핑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을 선택하는 상품 선택부; 상기 상품 선택부에서 선택한 상품의 쇼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쇼핑 정보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되는 쇼핑정보와 관계되는 할인 쿠폰 또는 쇼핑 정보와 관계 없이 랜덤하게 할인 쿠폰 정보를 출력하는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핑 정보 컨텐츠 수신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쇼핑 정보 컨텐츠 패킷을 수신하는 멀티캐스팅 수신부; 상기 멀티캐스팅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패킷에 손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킷 손실 판단부; 및 손실 패킷이 있을 경우,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에 손실 패킷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손실 패킷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쇼핑 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들; 신호 전송 영역에 속한 단말기들에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들;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 송신기들; 단말기들에 내장되거나 또는 단말기들에 결합되며 상기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들에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 수신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위치 정보 수신기들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쇼핑 정보 컨텐츠 중 수신한 신호에 상응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은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들에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송신기는, 미리 설정된 위치 코드를 생성하는 위치 코드 발생부; 상기 생성된 위치 코드를 상기 위치 코드 수신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전송할 기준 주파수를 생성하는 기준 주파수 발생부; 상기 생성된 기준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부의 출력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조를 수행하는 주파수 변조부; 및 상기 주파수 변조부의 출력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신호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수신기는, 상기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신호 수신부;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복조를 수행하는 주파수 복조부; 및 상기 주파수 복조부의 출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 복수의 쇼핑 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들; 신호 전송 영역에 속한 단말기들에 위치 정보 식별 신호 및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가 전송하는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 중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에 상응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버는, 전송할 쇼핑 정보 컨텐츠들을 스트리밍 데이터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처리부; 운영자가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편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운영자가 편성한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상품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스케줄 편성부; 각 상품 카테고리의 쇼핑 정보 컨텐츠가 전송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카테고리/ 멀티캐스팅 주소·포트 매핑부; 상기 스케줄 편성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할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카테고리/멀티캐스팅 주소·포트 매핑부를 통해 선택한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들이 각각 전송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들로 해당 쇼핑 정보 컨텐츠들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 방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쇼핑 정보 컨텐츠를 수신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를 선택하는 멀티캐스팅 주소/포트 선택부; 상기 선택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상기 컨텐츠 서버가 전송한 쇼핑 정보 컨텐츠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부; 및 디스플레이되는 쇼핑정보와 관계되는 할인 쿠폰 또는 쇼핑 정보와 관계 없이 랜덤하게 할인 쿠폰 정보를 출력하는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 복수의 쇼핑 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들; 신호 전송 영역에 속한 단말기들에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 송신기들 및; 단말기들에 내장되거나 또는 단말기들에 결합되며 상기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들에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 수신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위치 정보 수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가 전송하는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 중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에 상응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전송 서버(100), 복수의 AP(Access Point, 102, 104, 106, 108, 110, 112) 및 광고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가 설치된 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에 단말기를 설치하고 설치된 단말기가 쇼핑 위치에 해당하는 광고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쇼핑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한다. 고객은 카트를 끌고 쇼핑을 하면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정보를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쇼핑몰에서 라면을 진열하고 있는 위치에 있을 경우 단말기는 라면 광고를 디스플레이한다. 종래의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위치를 인식하여, 고객의 위치한 지점에 진열된 상품의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두 가지 실시예에 따라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컨텐츠 전송 서버(100)에서 광고 데이터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매장이 온라인일 때 단말기가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고객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2 실시예는 컨텐츠 전송 서버(100)에서 고객의 위치에 상응하는 광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것이다.
우선, 제1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전송 서버(100)는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고객에게 제공할 광고 데이터를 복수의 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들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전송 서버(100)는 무선 랜을 이용하여 광고 데이터를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들에 제공한다. 따라서, 컨텐츠 서버에서 전송하는 광고 데이터는 복수의 AP(102~112)로 전송되며, 각각의 AP(102~112)는 자신의 영역에 속한 단말기들에게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데이터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에 의해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니캐스트 방식에 의해이루어진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서버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자에게 각각 패킷을 보내는 방식이다. 따라서, 유니캐스트 방식에 따르면, 100명의 수신자가 같은 동시에 같은 패킷을 요청할 경우, 100개의 패킷을 각각의 수신자에게 전송하여야 한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다양한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서로 다른 다양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도 본 발명과 같이 복수의 단말기가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하나의 패킷만을 전송하고, 수신자들이 해당 포트 및 주소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멀티캐스트 방식을 이용할 경우, 하나의 패킷만을 전송하면 되므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데이터 전송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쇼핑몰의 여러 곳에 흩어져있는 단말기들은 AP(102~112)를 통해 컨텐츠 전송 서버(100)와의 접속을 유지하고, AP(102~112)를 통해 컨텐츠 전송 서버(10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쇼핑몰에 설치된 복수의 AP(102~112)는 고유의 식별 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는 AP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광고 종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카트가 진열대1(114)과 진열대2(116) 사이에 위치할 경우,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230)는 AP1(102)을 통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며, AP1(102)로부터 AP1(102)의 식별 번호를 수신한다. 단말기(230)에는 진열대1과 진열대2 사이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 카테고리가 AP1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매핑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AP1(102)으로부터 식별 번호를 수신할 경우, 단말기(230)는 진열대1(114)과 진열대2(116) 사이에 있는 상품에 관련된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고객이 카트를 이동시켜, 카트가 진열대2와 진열대3 사이에 위치할 경우,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는 AP2(104)로부터 식별 번호를 수신한다. AP2(104)로부터 식별 번호를 수신할 경우, 단말기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상품 카테고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품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상품 광고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이 온라인일 때 컨텐츠 전송 서버(100)는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단말기가 AP(102~104)로부터 전송되는 식별 번호를 이용해 디스플레이할 광고를 판단하고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컨텐츠 전송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매장이 온라인일 때 비교적 용량이 큰 동영상 광고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무선랜을 통해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광고 데이터를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단말기에 광고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전송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광고 데이터를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들에 전송한다.
제2 실시예의 경우에도, 컨텐츠 전송 서버(100)는 멀티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의 경우,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일괄적으로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들이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컨텐츠 전송 서버(100)는 여러 종류의 광고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할 경우, 단말기는 위치에 따라 다른 광고 데이터를 컨텐츠 전송 서버(100)로부터 직접 수신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전송 서버(100)는 AP(102~112)의 개수의 해당하는 다른 종류의 광고를 전송한다. 멀티캐스트 방식에 의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컨텐츠 전송 서버(100)는 각각의 광고 데이터를 해당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전송한다. 즉, 전송되는 광고 데이터는 각각 다른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전송되는 것이다.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의 경우에도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들은 AP(102~112)로부터 식별 번호를 수신한다.
단말기에는 AP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 정보를 기록하는 매핑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트가 진열대1(114)과 진열대2(116) 사이에 위치할 경우,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230)는 AP1(102)로부터 식별 번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식별 번호와 상기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 정보를 판단한다.
고객이 카트를 이동시켜, 카트가 진열대2와 진열대3 사이에 위치할 경우,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230)는 AP2(104)로부터 식별 번호를 수신하고, AP2(104)의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카트의 위치가 바뀔 때 다른 AP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각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 및 포트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단말기는 카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품 광고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전송 서버(200), 복수의 AP(202, 204, 206) 및 복수의 위치 정보 송신기(224, 226, 228, 230, 232, 234, 236, 2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AP에서 전송되는 식별 번호를 이용해 카트의 위치를 판단하여, 판단된 위치에 대응되는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AP(202~206)는 컨텐츠 전송 서버(20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단말기에 중계하는 역할만을 하며,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 의하면, AP가 위치 정보를 제공하므로 카트의 위치에 따라 12개의 다른 광고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 12개의 AP가 필요하다. 그러나, AP는 가격이 비싼 장비로 단순히 위치 정보의 제공만을 위해 다수의 AP를 설치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시스템에서, AP(202, 204, 206)는 무선 랜에서의 고유의 역할인 데이터 중계만을 담당하며,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송신기(224~238)가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 2에는 도 1과 같이 많은 수의 AP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쇼핑몰 전체로 무선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최소한의 AP(202, 204, 206)만이 설치되어 있다.
단말기가 광고 데이터를 오프라인에서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위치 정보 송신기(224~238)는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에 제공한다. 각 위치 정보 송신기(224~238)는 위치 정보 식별 신호가 다른 위치 정보 송신기의 위치 정보 식별 신호와 간섭되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송신기는 적외선 송신기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카트가 진열대1(208)과 진열대2(210)의 좌측편에 위치할 경우,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는 위치 정보 송신기1(224)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기에는 위치 정보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상품 카테고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기는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이용해 광고가 디스플레이될 상품 카테고리를 판단하고 해당 상품의 광고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진열대1(208)과 진열대2(210) 좌측편에 라면 종류가 진열되어 있을 경우, 단말기는 라면 광고를 디스플레이한다.
고객이 카트를 이동시켜 카트가 진열대1(208)과 진열대2(210)의 우측편에 위치할 경우,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는 위치 정보 송신기2(226)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 송신기2(226)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는 해당하는 상품 카테고리를 판단하고 해당 상품의 광고를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전송 서버(200)가 실시간으로 광고 데이터를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트가 진열대1(208)과 진열대2(210)의 좌측편에 위치할 경우,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는 위치 정보 송신기1(224)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기에는 위치 정보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 정보를 판단한다. 단말기는 판단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고객이 카트를 이동시켜 카트가 진열대1(208)과 진열대2(210)의 우측편에 위치할 경우,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는 위치 정보 송신기2(226)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 송신기2(226)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는 해당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며, 따라서 변경된 위치에 해당하는 상품의 광고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컨텐츠 전송 서버가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단말기가 위치에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광고 이외에도 카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컨텐츠 전송 서버(200)는 카트의 위치에 관계없이 매장 정보 및 뉴스 정보 등을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에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버는 컨텐츠 수신부(300), 컨텐츠 전송부(302), 스케줄 편성부(304), 손실 패킷 전송부(306) 및 매장/뉴스 정보 송신부(308) 및 할인 쿠폰 정보 송신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가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단말기에 광고 데이터를 제공할 경우의 컨텐츠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컨텐츠 수신부(300)는 단말기에 제공되는 광고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단말기들에 제공하는 광고 정보들은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하므로, 새로운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단말기에 제공될 광고 데이터들은 반드시 온라인을 이용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받지 않고 운영자가 오프라인으로 직접 저장할 수도 있으므로 컨텐츠 수신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버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다. 외부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 컨텐츠 수신부(300)는 이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10)에 제공한다.
컨텐츠 전송부(302)는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광고 데이터를 쇼핑몰 내의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전송부(302)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광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컨텐츠 전송 서버와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패킷을 주고받을 주소 및 포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컨텐츠 전송부(302)는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광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케줄 편성부(304)는 운영자가 특정 시간대에 어떠한 상품의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편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편성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 운영자가 스케줄 편성부를 이용하여 작성한 스케줄 정보는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편성부를 통해 편성되는 스케줄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정보에는 상품 카테고리, 시간대 및 해당 시간대에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상품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라면 광고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시간 단위로 다른 종류의 라면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스케줄 정보가 편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정보는 상품 카테고리별로 편성된다. 단말기는 AP 또는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상품 카테고리를 판단한다. 상품 카테고리를 판단한 후, 단말기는 해당 상품 카테고리의 스케줄 편성 정보를 조회하여 현재 시간에 디스플레이할 광고를 인식하고 해당 광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케줄 정보 테이블이 단말기로 직접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 정보는 컨텐츠 전송 서버에서 단말기로 컨텐츠 전송 시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송되는 컨텐츠의 헤더 정보에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스케줄 정보가 전송되는 컨텐츠의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경우, 단말기는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스케줄 데이터를 저장한다.
단말기는 스케줄 편성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시간에 정해진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나, 스케줄 편성 정보 없이 상품 카테고리만을 판단한 후 해당 상품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의 광고를 랜덤하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손실 패킷 전송부(306)는 단말기로부터 손실 패킷 요청 신호를 수신할 경우, 단말기가 요청한 패킷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단말기들은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모든 패킷이 정확히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결과, 패킷 수신에 오류가 있을 경우, 단말기들은 오류가 있는 패킷을 재전송할 것을 컨텐츠 전송 서버에 요청하며, 손실 패킷 전송부(306)는 단말기들이 요청한 손실 패킷을 요청한 단말기들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실 패킷 전송부(306)는 TCP/IP 방식으로 손실 패킷을 요청한 단말기에 제공한다. 광고 데이터의 일괄적인 전송은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이루어지나, 손실 패킷은 패킷을 요청한 단말기에만 전송하여야 하므로 TCP/IP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장/뉴스 정보 송신부(328)는 광고 정보 이외에 매장의 세일 정보나 뉴스 정보를 매장 내에 있는 단말기들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매장/뉴스 정보는 단말기들의 위치에 관계없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매장/뉴스 정보는 TCP/IP, UDP/IP 등 일반적인 패킷 전송 방식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IP 멀티캐스팅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뉴스 정보는 컨텐츠 전송 서버가 아닌 외부의 다른 연계 서버를 통해 단말기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10)는 단말기들에 제공할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할인 쿠폰 정보 송신부(312)는 할인 쿠폰의 이미지 및 할인액에 대한 정보를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들이 광고를 계속적으로 보도록 하기 위해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에 할인쿠폰을 디스플레이한다.
할인 쿠폰 정보 송신부(312)는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할인 쿠폰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할인 쿠폰 정보는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전송될 수도 있으며, 매장이 온라인일 때 각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필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 상품 카테고리 필드(700), 상품명 필드(702), 저장 위치 필드(704), 컨텐츠 메타 정보 필드(706) 및 광고 데이터 필드(7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명 필드(702)에는 상품명이 저장되며, 상품 카트고리 필드(700)에는 해당 상품의 카테고리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저장 위치 필드(704)에는 광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저장되며, 광고 데이터 필드(708)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광고 데이터 정보가 저장된다.
컨텐츠 메타 정보 필드(706)에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 및 컨텐츠 실행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의 타이틀, 저작권, 대역폭, 만든 날짜, 파일의 길이, 코덱 및 화면 크기 등에 대한 정보가 컨텐츠 메타 정보 필드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버는 컨텐츠 수신부(400), 스트리밍 처리부(402), 컨텐츠 방송부(404), 스케줄 편성부(406) 카테고리/멀티캐스팅 주소·포트 매핑부(408), 매장/뉴스 정보 송신부(410), 및 할인 쿠폰 정보 송신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컨텐츠 전송 서버는 실시간으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의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컨텐츠 수신부(400)는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말기에 제공되는 광고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에 제공될 광고 데이터들은 반드시 온라인을 이용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받지 않고 운영자가 오프라인으로 직접 저장할 수도 있으므로 컨텐츠 수신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버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다.
스트리밍 처리부는(402)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 데이터를 스트리밍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실시간으로 광고 데이터를 단말기에 제공하여야 하므로 저장된 데이터를 스트리밍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컨텐츠 방송부(404)는 스케줄 편성부(406)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 및 카테고리/멀티캐스팅 주소·포트 매핑부(408)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광고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므로, 컨텐츠 방송부(404)는 스케줄 편성부(406)의 정보를 조회하여 미리 설정된 상품 카테고리의 개수만큼 멀티캐스팅 패킷을 생성한다.
또한, 컨텐츠 방송부(404) 카테고리/멀티 캐스팅 주소·포트 매핑부를 통해 일정한 상품 카테고리의 패킷을 어떠한 멀티 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전송하여야 할 것인가를 판단한다.
패킷을 전송할 멀티 캐스팅 주소 및 포트가 결정되면, 컨텐츠 방송부(404)는 모든 상품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킷을 각각 정해진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전송한다.
매장/뉴스 정보 송신부(410) 및 할인 쿠폰 정보 송신부(414)의 기능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광고 데이터를 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컨텐츠 전송 서버는 멀티 캐스팅 패킷을 생성한다(S500). 생성된 멀티캐스팅 패킷에는 파일의 시퀀스 정보, 사이즈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컨텐츠 전송 서버는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생성된 패킷을 전송한다(S502).
단말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멀티 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S504). 컨텐츠 전송 서버에서 멀티 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은 컨텐츠 서버와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기는 해당 시간에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단말기는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서 패킷 손실이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506).
패킷 손실이 있을 경우, 단말기는 컨텐츠 전송 서버에 TCP 접속을 요청하여 TCP 세션을 형성한다(S508).
단말기와 컨텐츠 전송 서버 사이에 TCP 세션이 형성되면, 단말기는 컨텐츠 전송 서버에 손실된 패킷을 요청한다(S510).
단말기로부터 패킷 요청 신호를 수신한 컨텐츠 전송 서버는 패킷을 요청한 단말기에 손실된 패킷을 TCP/IP 방식으로 전송한다(S512).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광고 데이터를 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컨텐츠 전송 서버는 스케줄 편성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할 광고 컨텐츠들을 선택한다(S800). 스케줄 편성 정보는 각 상품 카테고리별로 저장되므로 모든 상품 카테고리의 스케줄 정보를 조회하여 각 상품 카테고리별로 방송할 광고 컨텐츠를 선택한다.
광고 컨텐츠들이 선택되면, 컨텐츠 전송 서버는 카테고리/멀티캐스팅 주소·포트 매핑부를 통해 각 컨텐츠들이 전송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를 결정한다(S802).
컨텐츠 전송 서버는 선택한 광고 컨텐츠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해당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전송한다(S804).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는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AP로부터 식별 번호를 수신한다(S806).
단말기는 수신한 AP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를 판단한다(S808).
데이터를 수신할 멀팅캐스팅 주소 및 포트가 결정되면, 단말기는 해당 주소 및 포트로부터 컨텐츠 서버가 전송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한다.
고객이 카트를 이동시켜 위치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에 상응하는 AP로부터식별 번호를 수신하며, 단계(S804-S808)의 과정이 반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부착된 쇼핑 카트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의 이동 중에 광고 및 쇼핑 정보를 고객이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단말기는 카트의 손잡이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는 AP 또는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신호에 상응하는 광고 또는 쇼핑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위치 정보 수신부(1000),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1002), 출력 광고 판단부(1004), 스케줄 데이터 저장부(1006), 광고 정보 저장부(1008), 광고 정보 출력부(1010) 및 광고 데이터 수신부(1012),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1014), 광고/할인쿠폰 연동 정보 저장부(1016) 및 할인 쿠폰 저장부(10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단말기는 광고 컨텐츠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카트의 위치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실시예에 사용되는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서, 위치 정보 수신부(1000)는 AP 또는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AP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할 경우, 단말기는 무선 랜카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위치정보 송신기로 전술한 적외선 송신기가 사용될 경우, 단말기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1002)는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000)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 신호를 이용하여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의 카테고리를 판단한다.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상품의 카테고리는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의 카테고리이다. 단말기에는 위치 정보 신호와 상품 카테고리의 매핑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1002)는 상기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의 카테고리를 판단한다.
스케줄 데이터 저장부(1006)는 컨텐츠 전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 정보는 전송되는 컨텐츠의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으며, 독립적인 스케줄 데이터가 전송될 수도 있다.
스케줄 정보가 컨텐츠의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 스케줄 데이터 저장부(1006)는 수신되는 컨텐츠의 헤더 정보를 분석하고 스케줄 정보를 추출하여 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정보는 상품 카테고리별로 저장된다.
출력 광고 선택부(1004)는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1002)에서 판단한 상품 카테고리의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을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1002)에서 판단한 상품 카테고리가 라면이고, 라면의 스케줄 데이터가 도 6과 같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현재 시간이 11시이면 출력 광고 선택부(1004)는 C 라면의 광고를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광고를 선택하는 과정 없이,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의 광고를 랜덤하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광고 정보 출력부(1010)는 상기 출력 광고 선택부에서 선택한 상품의 광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광고 정보 출력부(1010)는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영상 재생 도구를 호출하고, 호출한 영상 재생 도구를 이용하여 해당 광고를 디스플레이한다.
광고 데이터 수신부(1012)는 매장이 오프라인일 때 컨텐츠 전송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며, 광고 정보 저장부(1008)에는 광고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광고 데이터가 저장된다.
할인 쿠폰 저장부(1018)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할인 쿠폰 정보를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할인쿠폰 정보는 할인 쿠폰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할인액 정보를 포함한다.
광고/할인 쿠폰 연동 정보 저장부(1016)는 특정 광고가 디스플레이될 때 어떠한 할인 쿠폰이 디스플레이될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광고/할인 쿠폰 연동 정보 저장부(1016)는 고객이 라면 매장에 있어서 라면 광고가 디스플레이될 때, 특정 라면에 대한 할인 쿠폰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연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광고/할인 쿠폰 연동 정보 저장부(1016)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며, 광고와 관계없이 할인 쿠폰이 랜덤하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1014)는 단말기에 할인쿠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1014)는 광고/할인 쿠폰 연동 정보에 따라 할인 쿠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랜덤하게 할인 쿠폰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할인 쿠폰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경우 고객은 할인 혜택을 받기 위해 계속적으로 단말기를 보게 되므로, 지역별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객은 디스플레이되는 할인 쿠폰를 터치 스크린 등으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된 할인 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고객의 할인 쿠폰 선택 정보는 단말기에 저장되며, 결제 시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고객의 할인 쿠폰 선택 정보가 단말기에서 서버로 전송되어 결제 시 할인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 할인 쿠폰을 선택할 경우 할인액에 상응하는 바코드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바코드를 리드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결제 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바코드를 리드하여 고객이 선택한 할인 쿠폰에 해당하는 금액을 할인한다.
그러나, 할인을 적용하는 방법이 상기한 바코드 디스플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객의 할인 쿠폰 선택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기 또는 컨텐츠 전송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단말기가 미리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위치에 따라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가 AP 또는 위치 정보 송신기의 영역 내에 없을 경우에는 단말기는 디폴트로 설정된 일반 광고를 디스플레이한다(S1100).
고객이 카트를 이동시킬 경우, 단말기는 AP 또는 적외선 송신기와 같은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2).
AP 또는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가 수신될 경우, 단말기는 수신한 위치 정보 신호를 이용하여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의 카테고리를 판단한다(S1104).
상품의 카테고리가 판단되면, 단말기는 판단한 상품 카테고리의 스케줄 정보를 조회하고(S1106),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을 선택한다(S1108).
단말기는 선택한 상품의 광고가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0).
선택한 상품의 광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을 경우, 단말기는 재생 중인 광고의 재생을 중지하고(S1112), 선택된 광고를 재생한다(S1114).
선택된 광고가 이미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는 광고의 재생을 계속 진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데이터 수신부는 멀티캐스팅 수신부(1200), 데이터 손실 판단부(1202), 손실 데이터수신부(1204)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캐스팅 수신부(1200)는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컨텐츠 전송 서버가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패킷 손실 판단부(1202)는 멀티캐스팅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패킷이 손실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되는 패킷에는 시퀀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손실 판단부는 시퀀스 정보를 통해 데이터의 손실을 판단한다.
손실 패킷 수신부(1204)는 패킷이 손실될 경우 손실된 패킷을 컨텐츠 전송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실 패킷의 요청 및 수신은 TCP/IP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위치 정보 수신부(1300), 멀티캐스팅 주소/포트 선택부(1302) 및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부(1304), 할인 쿠폰 저장부(1306), 광고/할인 쿠폰 연동 정보 저장부(1308) 및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컨텐츠 전송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위치 정보 수신부(1300)는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AP 또는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멀티캐스팅 주소/포트 선택부(1302)는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300)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멀티캐스팅 주소 및포트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서버는 각각의 상품 카테고리의 광고를 각각 다른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전송하므로, 단말기는 AP 또는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 중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를 선택한다.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부(1304)는 상기 선택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스트리밍 광고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할인 쿠폰 저장부(1306), 광고/할인 쿠폰 연동 정보 저장부(1308) 및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1310)의 기능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송신기는 위치 코드 발생부(1400), 데이터 변환부(1402), 주파수 변조부(1404), 기준 주파수 발생부(1406) 및 적외선 신호 변환부(1408)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코드 발생부(1400)는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 코드를 발생시킨다. 위치 코드 발생부에서 발생시키는 위치 코드는 운영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변환부(1402)는 위치 코드 발생부(1400)에서 발생시킨 코드 정보를수신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코드를 변환할 수 있을 것이다.
기준 주파수 발생부(1406)는 위치 정보를 실은 무선 신호의 기준 주파수를 발생시키며, 주파수 변조부(1404)는 기준 주파수 발생부(1406)에서 생성하는 주파수와 데이터 변환부(1402)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 변조를 수행한다.
적외선 신호 변환부(1408)는 주파수 변조부(1404)에서 출력하는 전기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수신기는 적외선 신호 수신부(1500), 주파수 복조부(1502) 및 데이터 변환부(1504)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신호 수신부(1500)는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주파수 복조부(1502)는 적외선 신호 수신부(1500)에서 변환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복조를 수행한다.
복조된 신호는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가 아니므로, 데이터 변환부(1504)는 복조된 신호를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다.
위치 정보 수신기는 단말기에 내장될 수도 있으며, 단말기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수신기가 단말기 외부에 구비될 경우, 데이터 변환부(1504)의출력신호는 단말기의 포트를 통해 단말기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광고 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으나, 광고 정보 이외에 다른 쇼핑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카트가 위치한 곳에 배치된 상품에 대한 광고 정보가 제공되므로 고객이 원하는 쇼핑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할인 쿠폰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여 고객들이 계속적으로 단말기를 보게 함으로써 광고 효과의 상승 및 매출 증대를 꾀할 수 있다.

Claims (22)

  1.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쇼핑 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들; 및
    신호 전송 영역에 속한 단말기들에 위치 정보 식별 신호 및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쇼핑 정보 컨텐츠 중 수신한 신호에 상응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들에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는 쇼핑 매장이 오프라인일 경우에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는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운영자가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편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운영자가 편성한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저장하는 스케줄 편성부;
    단말기로부터 손실 패킷 요청 신호를 수신할 경우, 단말기가 요청한 패킷을 단말기에 전송하는 손실 패킷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가 전송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수신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 수신부;
    상기 쇼핑 정보 컨텐츠 수신부로 수신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는 쇼핑정보 저장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쇼핑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의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
    상품 카테고리별로 디스플레이할 쇼핑 정보 스케줄을 저장하고 있는 스케줄 데이터 저장부;
    상기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에서 판단한 상품 카테고리의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쇼핑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을 선택하는 상품 선택부;
    상기 상품 선택부에서 선택한 상품의 쇼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쇼핑 정보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되는 쇼핑정보와 관계되는 할인 쿠폰 또는 쇼핑 정보와 관계 없이 랜덤하게 할인 쿠폰 정보를 출력하는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정보 컨텐츠 수신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쇼핑 정보 컨텐츠 패킷을 수신하는 멀티캐스팅 수신부;
    상기 멀티캐스팅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패킷에 손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킷 손실 판단부; 및
    손실 패킷이 있을 경우,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에 손실 패킷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손실 패킷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7.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쇼핑 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들;
    신호 전송 영역에 속한 단말기들에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들;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 송신기들;
    단말기들에 내장되거나 또는 단말기들에 결합되며 상기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들에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 수신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위치 정보 수신기들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쇼핑 정보 컨텐츠 중 수신한 신호에 상응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들에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는 쇼핑 매장이 오프라인일 경우에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는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운영자가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편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운영자가 편성한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저장하는 스케줄 편성부;
    단말기로부터 손실 패킷 요청 신호를 수신할 경우, 단말기가 요청한 패킷을 단말기에 전송하는 손실 패킷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위치 정보 수신기들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가 전송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수신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 수신부;
    상기 쇼핑 정보 컨텐츠 수신부로 수신된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저장하는 쇼핑 정보 저장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쇼핑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의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
    상품 카테고리별로 디스플레이할 쇼핑 정보 스케줄을 저장하고 있는 스케줄 데이터 저장부;
    상기 상품 카테고리 판단부에서 판단한 상품 카테고리의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쇼핑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상품을 선택하는 상품 선택부;
    상기 상품 선택부에서 선택한 상품의 쇼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쇼핑 정보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되는 쇼핑정보와 관계되는 할인 쿠폰 또는 쇼핑 정보와 관계없이 랜덤하게 할인 쿠폰 정보를 출력하는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정보 컨텐츠 수신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쇼핑 정보 컨텐츠 패킷을 수신하는 멀티캐스팅 수신부;
    상기 멀티캐스팅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패킷에 손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킷 손실 판단부; 및
    손실 패킷이 있을 경우,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에 손실 패킷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손실 패킷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송신기는,
    미리 설정된 위치 코드를 생성하는 위치 코드 발생부;
    상기 생성된 위치 코드를 상기 위치 코드 수신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전송할 기준 주파수를 생성하는 기준 주파수 발생부;
    상기 생성된 기준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부의 출력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조를 수행하는 주파수 변조부;
    상기 주파수 변조부의 출력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기는,
    상기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신호 수신부;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복조를 수행하는 주파수 복조부; 및
    상기 주파수 복조부의 출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15.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
    복수의 쇼핑 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들;
    신호 전송 영역에 속한 단말기들에 위치 정보 식별 신호 및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가 전송하는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 중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에 상응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는,
    전송할 쇼핑 정보 컨텐츠들을 스트리밍 데이터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처리부;
    운영자가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편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운영자가 편성한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상품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스케줄 편성부;
    각 상품 카테고리의 쇼핑 정보 컨텐츠가 전송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카테고리/ 멀티캐스팅 주소·포트 매핑부;
    상기 스케줄 편성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할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카테고리/멀티캐스팅 주소·포트 매핑부를 통해 선택한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들이 각각 전송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들로 해당 쇼핑 정보 컨텐츠들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 방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쇼핑 정보 컨텐츠를 수신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를 선택하는 멀티캐스팅 주소/포트 선택부;
    상기 선택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상기 컨텐츠 서버가 전송한 쇼핑 정보 컨텐츠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부 및 디스플레이되는 쇼핑정보와 관계되는 할인 쿠폰 또는 쇼핑 정보와 관계 없이 랜덤하게 할인 쿠폰 정보를 출력하는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18.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
    복수의 쇼핑 카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들;
    신호 전송 영역에 속한 단말기들에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 송신기들 및;
    단말기들에 내장되거나 또는 단말기들에 결합되며 상기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들에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 수신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위치 정보 수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가 전송하는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 중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에 상응하는 쇼핑 정보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서버는,
    전송할 쇼핑 정보 컨텐츠들을 스트리밍 데이터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처리부;
    운영자가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편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운영자가 편성한 쇼핑 정보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상품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스케줄 편성부;
    각 상품 카테고리의 쇼핑 정보 컨텐츠가 전송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카테고리/ 멀티캐스팅 주소·포트 매핑부;
    상기 스케줄 편성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할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카테고리/멀티캐스팅 주소·포트 매핑부를 통해 선택한 복수의 쇼핑 정보 컨텐츠들이 각각 전송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를 선택하며, 선택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들로 해당 쇼핑 정보 컨텐츠들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 방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서버.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위치 정보 수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쇼핑 정보 컨텐츠를 수신할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를 선택하는 멀티캐스팅 주소/포트 선택부;
    상기 선택한 멀티캐스팅 주소 및 포트로부터 상기 컨텐츠 서버가 전송한 쇼핑 정보 컨텐츠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부 및 디스플레이되는 쇼핑정보와 관계되는 할인 쿠폰 또는 쇼핑 정보와 관계 없이 랜덤하게 할인 쿠폰 정보를 출력하는 할인 쿠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송신기는,
    미리 설정된 위치 코드를 생성하는 위치 코드 발생부;
    상기 생성된 위치 코드를 상기 위치 코드 수신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전송할 기준 주파수를 생성하는 기준 주파수 발생부;
    상기 생성된 기준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부의 출력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조를 수행하는 주파수 변조부;
    상기 주파수 변조부의 출력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기는,
    상기 위치 정보 송신기로부터 위치 정보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신호 수신부;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복조를 수행하는 주파수 복조부; 및
    상기 주파수 복조부의 출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2-0075391A 2002-11-29 2002-11-29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497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391A KR100497597B1 (ko) 2002-11-29 2002-11-29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PCT/KR2003/000007 WO2004051547A1 (en) 2002-11-29 2003-01-03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using cart
AU2003201766A AU2003201766A1 (en) 2002-11-29 2003-01-03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using c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391A KR100497597B1 (ko) 2002-11-29 2002-11-29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249A true KR20040047249A (ko) 2004-06-05
KR100497597B1 KR100497597B1 (ko) 2005-07-01

Family

ID=3246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391A KR100497597B1 (ko) 2002-11-29 2002-11-29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97597B1 (ko)
AU (1) AU2003201766A1 (ko)
WO (1) WO200405154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55B1 (ko) * 2007-06-04 2007-12-27 (주)디엠씨미디어 매장내 고객에 대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859179B1 (ko) * 2006-02-28 2008-09-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단말 장치,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단말프로그램 및 정보 출력 시스템
KR101013366B1 (ko) * 2008-04-21 2011-02-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매장안내시스템
KR20110081332A (ko) * 2008-10-31 2011-07-13 선라이즈 알앤디 홀딩스, 엘엘씨 소매 시설에서 첫 번째 진실의 순간에 쇼핑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법들
KR101508305B1 (ko) * 2008-09-17 2015-04-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배경화면 변경 시스템 및 방법
US9773268B2 (en) 2008-06-16 2017-09-26 Sunrise R&D Holdings, Llc System of acquiring shopper insights and influencing shopper purchase decis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763B1 (ko) * 2007-08-07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물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9064206A2 (en) * 2007-11-14 2009-05-22 Cabco Group Limited Shopping cart with variable search function
SG176866A1 (en) * 2009-06-10 2012-01-30 1Media8 Pte Ltd Communications-enabled shopping cart
CN107846662A (zh) * 2016-09-20 2018-03-27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用于基于无线接入点推送营销信息的方法与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0789A (en) * 1991-10-31 1993-10-05 Johnsen Edward L Shopping cart
JPH05189454A (ja) * 1992-01-10 1993-07-30 Oki Joho Syst:Kk 商品探索装置付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H0840276A (ja) * 1994-08-02 1996-02-1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H11152041A (ja) * 1997-11-20 1999-06-08 Fujitsu General Ltd ショッピングカート用表示システム
CA2316123A1 (en) * 1999-09-23 2001-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onveying a location of a product within a defined (retail) environment
KR20000053959A (ko) * 2000-05-13 2000-09-05 박은일 통합 쇼핑 카트 장치 및 온라인 구매 예약 방법
AU2000251640A1 (en) * 2000-05-25 2001-12-11 Smartmedia, Inc. Self-service shopping cart
KR20030029645A (ko) * 2000-08-02 2003-04-14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내장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를 갖는 전자 장치 커버 및그 사용 방법
KR20010016412A (ko) * 2000-12-08 2001-03-05 이옥현 지능형 물류배차시스템과 물류배차방법, 그물류배차시스템을 이용한 물류배송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179B1 (ko) * 2006-02-28 2008-09-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단말 장치,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단말프로그램 및 정보 출력 시스템
KR100788955B1 (ko) * 2007-06-04 2007-12-27 (주)디엠씨미디어 매장내 고객에 대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013366B1 (ko) * 2008-04-21 2011-02-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매장안내시스템
US9773268B2 (en) 2008-06-16 2017-09-26 Sunrise R&D Holdings, Llc System of acquiring shopper insights and influencing shopper purchase decisions
KR101508305B1 (ko) * 2008-09-17 2015-04-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배경화면 변경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1332A (ko) * 2008-10-31 2011-07-13 선라이즈 알앤디 홀딩스, 엘엘씨 소매 시설에서 첫 번째 진실의 순간에 쇼핑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법들
KR20110089862A (ko) * 2008-10-31 2011-08-09 선라이즈 알앤디 홀딩스, 엘엘씨 소매 시설에서 첫 번째 진실의 순간에 쇼핑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597B1 (ko) 2005-07-01
WO2004051547A1 (en) 2004-06-17
AU2003201766A1 (en)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2103E1 (en) Apparatus and method of automatically accessing on-line services in response to broadcast of on-line addresses
US8831577B2 (en) Venue-oriented commerce vi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40049779A1 (en) Interactive television
US200201780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redeeming electronic paperless coupons
KR100497597B1 (ko) 카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US20080134255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20133393A1 (en) Viewing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ata braodcasting, and broadcast receiver, viewing information server, shop terminal, and advertiser terminal used therein
EP2136560A1 (en) System of using set-top box to obtain ad information
JP2014523674A (ja) 近距離無線通信(nfc)を用いてディスプレイとインタラクト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N104160724A (zh) 用于实现对关注内容的回忆以供后续回顾的方法、装置和系统
JP3449355B2 (ja) ハンドヘルド・デバイスにブロードキャスト情報を散布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301100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 advertising
US84116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interaction
US20060156346A1 (en) Method of ordering goods and services
CN104469414A (zh) 基于多屏互动的信息系统及信息投放方法、iptv系统
CN103796077B (zh) 实现在线购物的方法和装置以及系统
CN101868959A (zh) 使用消息服务在内容分发环境内进行控制和交互的方法和系统
JP2009069407A (ja) 情報出力装置
JP2001285830A (ja) デジタルテレビシステム
KR20030079160A (ko) 양방향 멀티미디어 매체의 리턴채널로서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JP2002236838A (ja) クーポン券配信方法、クーポン券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
WO2005039080A1 (ja) 情報配信システム
KR20010091771A (ko) 동영상을 통한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JP2007110557A (ja) 商品購入システム、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10067722A (ko)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