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985A - 세탁기의 세탁조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985A
KR20040046985A KR1020020075033A KR20020075033A KR20040046985A KR 20040046985 A KR20040046985 A KR 20040046985A KR 1020020075033 A KR1020020075033 A KR 1020020075033A KR 20020075033 A KR20020075033 A KR 20020075033A KR 20040046985 A KR20040046985 A KR 20040046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embossing
water
laundr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823B1 (ko
Inventor
박석규
정보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823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피세탁물의 세정력이 향상되고 세탁액의 배수가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는 복수개의 수공이 일렬로 형성되고, 내측 방향으로 융기됨과 아울러 중앙부가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엠보싱이 일렬로 형성되며, 상기 수공의 열과 엠보싱의 열은 평행하게 배열되어, 세탁 및 헹굼 행정시 세탁물의 세정 능력이 향상되고, 탈수 행정시 균일 배수가 가능함과 아울러 배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조{A tub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피세탁물을 세정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균일 배수와 배수 성능이 개선된 세탁기의 세탁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에 세제가 용해된 세탁액의 작용으로 의복, 침구 등의 피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을 통해 피세탁물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케이스(2)와, 상기 아웃케이스(2)의 상단측을 커버함과 동시에 덮개(3)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톱 커버(4)와, 이 아웃케이스(2)의 내부에 댐퍼(6)로 매달리듯이 지지되어 세탁액이 담겨지는 저수조(8)와, 상기 저수조(8)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피세탁물(W)이 수용되고 피세탁물(W)의 세탁 및 탈수 작용을 하는 세탁조(10)와, 상기 세탁조(10)의 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세탁액의 회전 수류를 형성시키는 회전 날개(12)와, 상기 세탁조(10) 및 회전 날개(12)를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저수조(8)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14) 및 클러치(16)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조(10)는 세탁 또는 헹굼 행정시 상기 세탁조(1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세탁액에 난류 등을 형성시키는 엠보싱(20)과, 탈수 행정시 피세탁물(W)에서 탈수된 물을 세탁조(10)의 외부로 원심 탈수하는 수공(1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20)은 복수개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고, 세탁조(1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공(10a)은 상기 엠보싱(20)과 같은 열에 복수개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엠보싱(20)의 사이 위치에 불균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탁조(10)의 내부로 세탁액이 공급되고, 저수조(8)와 세탁조(10)에 일정 높이까지 물이 차 오르게 되면, 상기 모터(14) 및 클러치(16)는 동작되어 상기 회전 날개(12) 및 세탁조(10)를 회전시키고, 세탁조(10) 내부의 세탁액은 원형의 회전 수류를 형성하면서 세탁액에 포함된 세제의 작용으로 피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질을 떼어낸다.
이러한 세탁액 중에서 세탁조(10)의 내주면을 따라 안내되는 세탁액은 그 일부가 상기 엠보싱(20)의 주변을 지나고 나머지가 상기 수공(10a)의 주변을 지나게 되는 바, 상기 엠보싱(20)의 주변을 지나는 세탁액은 상기 엠보싱(20)에 튀겨서 세탁조 내측의 세탁액과 난류를 형성하고, 상기 수공(10a)의 주변을 통과하는 세탁액은 상기 수공(10a)을 통해 저수저로 빠져나가거나 수공(10a) 주변을 지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세탁을 실시한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모터(14) 및 클러치(16)는 동작을 멈추고, 상기 저수조(8)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 밸브(9b)가 열리면서 상기 저수조(8) 내부의 물이 배수 호스(9b)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세탁조(10)에 다시 물이 공급되어 세탁조(10) 및 저수조(8)의 일정높이까지 차 오르게 된 후, 헹굼 운전을 하게 되는데, 헹굼 운전은 보통 2 ~ 3회에 걸쳐 이루어지며, 이 경우 세탁조(10)의 내주면을 따라 안내되는 세탁액은 상기 세탁 운전과 같이 엠보싱(20)의 부근과 수공(10a)의 부근을 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탁 및 헹굼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세탁조(10)만 빠른 속도로 회전되어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 운전이 진행되는 바, 상기 세탁조(10)가 빠른 속도로 회전되고, 상기 피세탁물(W)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상기 수공(8a)을 통해 저수조(8)로 이동된 후 세탁기 외부로 배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10)는 하나의 수직 열에 엠보싱(20)과 수공(10a)이 나뉘어서 배치되어 세탁 또는 헹굼 행정시 엠보싱(10) 부근에서만 난류가 형성되고, 수공(10a) 부근에서는 난류가 형성되지 못하므로, 세탁물의 세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 탈수 행정시 엠보싱(10) 부근에서는 탈수가 되지 못하고, 수공(10a)을 통해서만 탈수가 이루어지므로, 배수 및 이물질 제거가 원활하게 행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세탁물의 세정력이 향상되고 세탁액의 배수가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조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조 엠보싱의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조 엠보싱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세탁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세탁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60: 세탁조62: 수공
70: 엠보싱72: 융기부
80: 함몰부W: 피세탁물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는 복수개의 수공이 일렬로 형성되고, 내측 방향으로 융기됨과 아울러 중앙부가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엠보싱이 일렬로 형성되며, 상기 수공의 열과 엠보싱의 열은 평행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장물을 보호하는 아웃케이스(52)와, 상기 아웃케이스(52)의 상단측을 커버함과 동시에 내장물을 보호하도록 덮개(53)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톱 커버(54)와, 이 아웃케이스(52)의 내부에 댐퍼(56)로 매달리듯이 지지되어 세탁액이 담겨지는 저수조(58)와, 상기 저수조(58)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피세탁물(W)이 수용되고 피세탁물(W)의 세탁 및 탈수 작용을 하는 세탁조(60)와, 상기 세탁조(60)의 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세탁액의 회전 수류를 형성시키는 회전 날개(63)와, 상기 세탁조(60) 및 회전 날개(63)를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저수조(58)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64) 및 클러치(66)를 포함한다.
상기 톱 커버(54)에는 급수호스(54a)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밸브(54b)와, 상기 급수밸브(4b)를 통해 급수되는 물에 세제가 용해될 수 있도록 세제 저장부가 형성되고 배출구가 형성된 세제 박스(54c)와, 상기 세제 박스(54c)가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박스 하우징(54d)이 배치되어, 세탁 행정시 세탁조(60) 내부로 물에 세제가 용해된 세탁액을 공급하고, 헹굼 행정시 세탁조(60) 내부로 깨끗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저수조(58)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에는 피세탁물(W)의 상향 이탈을 막는 커버(59)가 장착되고, 그 하부 일측에는 담겨진 세탁액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 호스(59a)와 배수 밸브(59b)가 배치된다.
상기 세탁조(6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에 세탁조(60)의 평형을 유지시켜 진동 발생을 방지하는 밸런스(61)가 장착되며, 둘레면에 탈수 행정시 세탁조(60) 내부의 물을 외부로 원심 탈수하는 수공(62)과, 세탁 및 헹굼 행정시 회전되는 세탁액에 난류를 생성, 확산시키는 엠보싱(70)이 복수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조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조 엠보싱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조 엠보싱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엠보싱(70)은 세탁조(60)의 내,외 방향으로 돌출되어 세탁조(6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세탁액의 난류를 생성, 확산시킨다.
즉, 상기 엠보싱(70)은 세탁조(60)의 내측 방향(C)으로 융기되는 융기부(72)가 일렬로 이격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복수 열 배치되고, 상기 융기부(72)의 각각중앙에는 세탁조(60)의 외측 방향(D)으로 함몰되는 함몰부(8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융기부(72)의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융기부(72)의 옆에서 부딪히는 세탁액 중 일부를 융기부(72)의 상, 하측 방향(A,B)으로 안내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향해 점차 돌출되게 형성되어, 융기부(72)의 옆에서 부딪히는 세탁액 중 나머지를 세탁조(60)의 내측 방향(C)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80)의 각각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융기부(72)에서 꺽이는 부위(81)가 부드럽게 라운드지지 않고 각지게 형성되어, 융기부(72)를 타고 넘은 세탁액에 와류(Vortex flow)를 형성시키고, 난류를 증대시킨다.
한편, 상기 수공(62)은 상기 엠보싱(70)의 옆에 일렬로 이격 형성됨과 아울러 원주방향으로 복수 열 배치되고, 이러한 수공(62)의 열은 상기 엠보싱(60)의 열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세탁조(60)의 내주면을 따라 안내되는 세탁액이 상기 수공(62)의 열과 엠보싱(70)의 열을 차례로 지나게 된다.
또, 상기 엠보싱(70)의 열과 수공(62)의 열은 상기 세탁조(60)의 탈수 회전 방향(F)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조(60)에 피세탁물(W)을 넣고 세탁기를 동작시키면, 세탁조(60)의 내부로 세탁액이 공급되어 저수조(58)와 세탁조(60)에 일정 높이까지물이 차 오르게 되고, 이후 상기 모터(64) 및 클러치(66)가 동작되어 상기 회전 날개(63) 및 세탁조(60)가 회전된다.
이때, 세탁액은 상기 세탁조(6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세탁액에 포함된 세제의 작용으로 피세탁물에 묻은 오염 물질을 떼어낸다.
이러한 세탁액 중에서 세탁조(60)의 내주면을 따라 안내되는 세탁액은 세탁조(6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렬로 배열된 엠보싱(70)을 지나면서 세탁조(60)의 내주면 상단부터 하단까지 전체적으로 난류가 형성되고, 이러한 난류는 세탁물의 세정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이 세탁액은 상기 엠보싱(70)의 중앙부을 지나면서 세탁액의 난류가 확산되면서 세탁물의 세정력을 증대시키는 바, 이하 각각의 엠보싱(70) 주변에서 난류가 형성되는 과정과 난류가 증대되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탁조(6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세탁액 중 일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72)의 옆에서 부딪힌 후, 융기부(72)의 상,하 방향(A,B)으로 튀겨지고, 융기부(72)의 상측과 하측을 통과하던 세탁액과 혼합되면서 융기부(72)의 상측과 하측에 난류를 형성한다.
또, 상기 세탁조(6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세탁액 중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60)의 내측 방향(C)으로 튀져지고, 융기부(72)의 안쪽으로 회전되던 세탁액과 혼합되면서 융기부(72)의 내측에 난류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72)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는 세탁액은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함몰부(80)의 꺽이는 부위(81)를 따라 흐르지 못한 체, 박리와 재부착이 발생하고, 상기 함몰부(80)의 급격히 함몰되는 부위(E)에는 와류(Vortex)가 발생된다. 이러한 세탁액의 박리와 재부착은 세탁액의 동압(Dynamic Pressure)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동압은 난류에너지로 전환되어 피세탁물의 오염물질과 물의 운동량, 열에너지, 물질 전달을 크게 하므로, 피세탁물의 세정 능력은 향상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함몰부(80)를 따라 회전되는 세탁액은 상기 함몰부(80)의 꺽이는 부위(81)에 부딪혀서 세탁조(60)의 내측 방향(C)으로 튀져지고, 융기부(72)의 안쪽으로 회전되던 세탁액과 혼합되면서 이 융기부(72)의 내측에 난류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세탁을 실시한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모터(64) 및 클러치(66)는 동작을 멈추고, 상기 저수조(58)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 밸브(59b)는 열리면서 상기 저수조(58) 내부의 물이 배수 호스(59b)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세탁조(60)에 다시 물이 공급되어 세탁조(60) 및 저수조(58)의 일정높이까지 차 오르게 된 후, 헹굼 운전을 하게 되는데, 헹굼 운전은 보통 2 ~ 3회에 걸쳐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엠보싱(70)은 세탁 운전과 같이 세탁조(60)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세탁액에 난류를 형성, 확산시켜 피세탁물 내의 거품이 신속하게 분리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세탁 및 헹굼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한 세탁기는 피세탁물(W)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 운전이 진행되는 바, 상기 세탁조(10)가 빠른속도로 회전되고, 피세탁물(W)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상기 세탁조(1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이격 형성된 각각의 수공(62)을 통해 보다 빠르게 배수되며, 이러한 수공에 의한 배수량 및 배수 속도가 증대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세탁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70)의 함몰부(80) 각각에 별도의 수공(82)이 형성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도록 이루어져, 세탁기의 탈수 행정시 세탁조(60) 내의 물이 엠보싱(70)의 옆에 평행하게 배열된 수공(62)과, 상기 함몰부(80)에 형성된 수공(82)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배수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세탁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류를 생성, 확산시키는 엠보싱(90)과 탈수시 물이 배수되는 수공(92)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세탁 및 헹굼 행정시 상기 세탁조(60)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물에 동시에 난류가 형성되고, 탈수 행정시 피세탁물에서 탈수된 물이 상기 복수개의 수공(92)을 통해 동시에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는 복수개의 수공이 일렬로 형성되고, 내측 방향으로 융기됨과 아울러 중앙부가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엠보싱이 일렬로 형성되며, 상기 수공의 열과 엠보싱의 열은 평행하게 배열되어, 세탁 및 헹굼 행정시 상기 엠보싱이 세탁액의 난류를 생성, 확산시켜 세탁물의 세정 능력을 향상시키고, 탈수 행정시 상기 수공을 통한 균일 배수가 가능해지고 수공의 개수가 증대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배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세탁조는 엠보싱과 수공이 세탁조의 탈수 회전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공에 의한 배수량 및 배수속도가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복수개의 수공이 일렬로 형성되고, 내측 방향으로 융기됨과 아울러 중앙부가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엠보싱이 일렬로 형성되며, 상기 수공의 열과 엠보싱의 열은 평행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과 수공은 배열 방향이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과 수공은 배열 방향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과 수공은 세탁조의 탈수 회전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조.
KR1020020075033A 2002-11-28 2002-11-28 세탁기의 세탁조 KR100644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033A KR100644823B1 (ko) 2002-11-28 2002-11-28 세탁기의 세탁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033A KR100644823B1 (ko) 2002-11-28 2002-11-28 세탁기의 세탁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985A true KR20040046985A (ko) 2004-06-05
KR100644823B1 KR100644823B1 (ko) 2006-11-13

Family

ID=3734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033A KR100644823B1 (ko) 2002-11-28 2002-11-28 세탁기의 세탁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442B1 (ko) * 2009-07-30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D748356S1 (en) 2013-07-16 2016-01-26 Whirlpool Corporation Container for a clothes washing machine
US10036113B2 (en) 2013-07-22 2018-07-3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embossed container
USD761501S1 (en) 2013-09-27 2016-07-12 Whirlpool Corporation Container for clothes washing machine
KR102396321B1 (ko) 2016-07-12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18012852A1 (ko) * 2016-07-12 2018-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915A (ko) * 1997-10-07 1999-05-06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조 구조
KR20010037181A (ko) * 1999-10-14 2001-05-07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조 형성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823B1 (ko) 2006-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204B1 (ko) 드럼세탁기
WO2013042402A1 (ja) 洗濯機
JP2009273575A (ja) 洗濯乾燥機
JP4652306B2 (ja) 洗濯機
KR100644823B1 (ko) 세탁기의 세탁조
JPH1111427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457583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엠보싱
CN211546996U (zh) 一种无外筒式洗衣机
JP2010233756A (ja) 洗濯乾燥機および洗濯機
KR100457584B1 (ko) 세탁기의 세탁조
CN110820255B (zh) 洗涤设备排水通道及洗涤设备
KR20060097216A (ko) 세탁기
JP5599280B2 (ja) 洗濯乾燥機
WO2019170095A1 (zh) 洗衣机
JPH025998A (ja) 電気洗濯機の糸屑収集装置
CN109487499A (zh) 一种复合式多桶洗衣机
JP4349055B2 (ja) 洗濯乾燥機
JPH0141408Y2 (ko)
JP2019115391A (ja) 洗濯機
WO2023243112A1 (ja) 洗濯機および洗濯機用の回転翼盤
JP2009154025A (ja) 洗濯機
BR102016015734A2 (pt) Rotor containing a scanner
JPS6321271Y2 (ko)
KR100214177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213624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222

Effective date: 2006071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