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395A -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및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및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395A
KR20040044395A KR10-2003-7008633A KR20037008633A KR20040044395A KR 20040044395 A KR20040044395 A KR 20040044395A KR 20037008633 A KR20037008633 A KR 20037008633A KR 20040044395 A KR20040044395 A KR 2004004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its
bit
recording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8131B1 (ko
Inventor
사코요이치로
사이토아키야
우스이요시노부
가나다요리아키
나카가와도미히로
이노쿠치다쓰야
후루카와순스케
기하라다카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3540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58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45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3704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1Preparing a master, e.g. exposing photoresist, electroform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14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djacent bit cells, e.g. delay modulation code, double density code
    • H03M5/145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11B2020/14388 to 10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 기록 매체에 추가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이며, 추가로 기록되는 데이터는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기록된다.

Description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 및 생성 장치{DATA RECORDING METHOD, RECORDER, AND DATA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악곡 등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콤팩트 디스크(이하, CD라고 함)에서는 8-14 변조(EFM 변조 : Eight to Fourteen Modulation)된 데이터가 〔0〕또는〔1〕에서 펄스의 정부(正負)를 반전시키는 NRZI(Non Return to Zero Iverted)로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CD의 프레임 포맷에 대하여 설명하면, 프레임은 2 4비트의 동기 신호 후, 1 4비트의 서브코드가 격납되며, 이어서 1심볼이 1 4비트의 기록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서브코드는 관리 데이터이며, 변조 전에 8비트로 하나의 심볼을 구성하여 각 프레임에 격납되어 있다. 서브코드의 각 비트는 P∼W에 할당되어 있으며, 서브코드 P는, 예를 들면, 악곡과 악곡 사이를 나타내는 스타트 플래그로서 사용되며, 서브코드 Q는 어드레스 정보 등이 기록되며, 나머지 R∼W는 사용자 비트로서, 6개를 일괄하여, 예를 들면 그래픽에 사용되고 있다.
각 심볼 사이에는 3비트의 접속 비트가 삽입되어 있다. 이 접속 비트는 심볼을 결합했을 때, EFM의 변환 규칙에 위반하지 않게하는 것으로, DSV(Digial Sum Vale)의 절대값을 보다 작게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다.
CD 등의 광 디스크에는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 등 기록 데이터의 저작권 관리를 위해, 기록 데이터를 기록한 후에, 식별 데이터를 추기(追記)하는 것이 필요하게되는 일이 있다. 이 식별 데이터를 서브코드에 기록하면, 1심볼 전체가 상이한 것이 되어 버린다. 예를 들면, 서브코드 Q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려고하면, 서브코드 P나 서브코드 R~W가 바뀌어 버린다. 그러면, 이미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가 없게 되어 버린다.
광 디스크에 추기되는 식별 데이터는 광 디스크를 구성하는 기판에 형성된 랜드부에 광빔을 조사(照射)하고, 광빔을 반사하는 반사막을 녹여 광빔을 반사하지 않게함으로써, 의사적(擬似的)으로 피트를 형성함으로써 기록된다.
그런데, EFM 변조는 최소 런ㆍ길이(최소 반전 간격 Tmin)를 2로하고, 최대 런ㆍ길이(최대 반전 간격 Tmax)를 10으로하고, 또한 1 4비트의 변조 패턴 사이에〔O00〕, 〔100〕, 〔O10〕, 〔O01〕중 어느 하나의 접속 비트를 삽입하도록하고 있다. 변조 패턴의 후반부 랜드를 피트로 변화시킴으로써 식별 데이터를 기록 할 때 후속의 접속 비트로〔000〕을 선택하고 있으면, 식별 데이터의 기록 후에 있어서, 최대 런ㆍ길이(최대 반전 간격 Tmax)가 11 이상으로 되어 버려, 변조 규칙에 위반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광 디스크에 추기되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식별 데이터의 기록 위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심볼의 전후 데이터에 의해, 기록 위치가 랜드이거나 피트이거나 해 불확정하다. 피트는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율이 작아, 피트가 형성된 영역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였다고 해도, 기록 재생 장치는 기록된 데이터를 검출할 수 없다.
악곡 등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광 디스크로서, DVD-ROM이 제안되어 있다. DVD-ROM에 있어서는 BCA(Burst Cutting Area)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영역에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추가 정보로서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하고 있다.
BCA는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가 기록된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BCA가 형성된 광 디스크는 전용의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재생 장치로 밖에 재생을 실실행할 수없다.
이와 같은 식별 데이터는 광 디스크 1장 1장에 기록하는 것이며, 제조 효율을 악화시키지 않기 위해도 소정 시간 내, 예를 들면 수 초 정도로 기록할 수 있을 정도의 데이터 양일 필요가 있다. 한편, 기록 장치의 기록 속도가 빨라져, 단위 시간당 데이터의 기록량이 증가했을 때에는 식별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신규의 광 디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는 식별 데이터 등의 기록 가능 영역의 기록 용량을 실제로 기록하는 데이터 양보다 크게 설정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식별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 등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컨텐츠 데이터 등 기록 데이터의 식별을 실행하는 데이터 등의 기록을 실행하는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또한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의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1년 10월 31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1-335406 및 2001년 11월 9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1-345330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들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의 신호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서브코딩 프레임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서브코딩 프레임 포맷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브코드 Q 채널의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광 디스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스탬퍼를 제조하는 커팅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EFM 변환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EMF 변환 테이블의 계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A)~도 9 (D)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를 설명하는도면이다.
도 10은 식별 데이터의 기록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식별 데이터를 광 디스크에 기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0X47h를 0X07h로 하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에러 체크의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5는 Q 채널의 서브코드를 사용하는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6은 R~W 채널의 서브코드를 사용하는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7은 R~W 채널의 서브코드를 사용하는 재생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서브코드 Q 채널의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인덱스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스탬퍼를 제조하는 커팅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서브코드의 발생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22는 식별 데이터 기록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데이터 기록 장치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24는 0X47h를 0X07h로 하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식별 데이터를 추기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2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7은 데이터 재생 장치의 재생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28은 스탬퍼를 제조하는 캇틴다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접속 비트의 선택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30은 식별 데이터 기록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데이터 기록 장치에서 식별 데이터를 광 디스크에 기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32는 0X47h를 0X07h로 하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4는 Q 채널의 서브코드를 사용하여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35는 스탬퍼를 제조하는 커팅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6은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4번째의 0X40h를 식별 데이터 기록영역의 서브코드에 사용할 때의 접속 비트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8번째의 0X44h를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의 서브코드에 사용할 때의 접속 비트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71번째의 0X47h를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의 서브코드에 사용할 때의 접속 비트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는 식별 데이터 기록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0은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광 디스크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41은 0X47h를 0X07h로 하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3은 Q 채널의 서브코드를 사용하여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44는 R~W 채널의 서브코드를 사용하는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포맷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이미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에,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가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하는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 및 생성 장치, 또한 그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이라도, 기록 매체에 기록된 주데이터의 변조 규칙에 위반하지 않게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하는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 및 생성 장치, 또한 그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 매체에 추기되는 식별 데이터 등의 데이터 용량 확장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 및 생성 장치, 또한 그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데이터의 기록 방법은,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 기록 매체에,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추가로 데이터를 기록한다.
여기에서, N비트의 데이터에는 접속 비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방법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에는, N비트의 데이터가 피트부와 피트부 사이의 랜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되어 있으며, 데이터의 기록에 있어서, 어느 비트가 변화된 N비트의 데이터와, N비트의 데이터에 후속되는 N비트의 데이터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 비트를 랜드부로부터 피트부, 또는 피트부로부터 랜드부로 변화하도록 선택한다.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피트부와 피트부 사이의 랜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된 기록 매체를 주사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실행하는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식별 신호에 기록을 위한 신호 처리를 실행하여, 출력 데이터를 상기 헤드부에 공급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고, 헤드부에 의해 기록 매체에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를 고정시키도록 식별 데이터를 기록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의 재생 방법은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 중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에러 없음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기록 매체의 재생 방법은,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 중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추가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기록 매체의 재생 방법은,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가 소정의 값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어느 비트가 소정 값이 아닌 때에는 추가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의 재생 장치는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헤드부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중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추가로 기록되는 데이터를 복조부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매체는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를 고정시키도록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매체에는 N비트의 데이터가 피트부와 피트부 사이의 랜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되어 있으며, 어느 비트가 변화된 N비트의 데이터와, N비트의 데이터에 후속되는 N비트의 데이터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 비트는 랜드부로부터 피트부, 또는 피트부로부터 랜드부로 변화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디스크, 이 광 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이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디스크는 내주 측에 T0C(Table of Contents) 데이터등이 기록되는 리드인(lead-in) 영역이 형성되며, 그 외주측에 컨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이 형성되며, 그 외주측에 리드아웃(lead-out)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광 디스크에는 CD와 동일 기록 포맷으로, 즉 8-14 변조(EFM 변조: Eight to Fourteen Modulation)된 데이터가 도 1에 나타낸 기록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프레임은, 예를 들면, 32개의 심볼을 일괄하여 취급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선두에 2 4비트의 동기 신호[(11T, 11T'('는 반전을 나타냄), 2T의 패턴 또는 이 반대 패턴]가 형성되고, 이어서, 1 심볼(1 4비트)의 서브코딩이 형성되며, 이어서, 32 심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와 패리티가 형성되어 전체가588 채널 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심볼의 사이에는 〔000〕, 〔100〕, 〔O10〕, 〔001〕 중 어느 3비트가 결합 비트로서 삽입되어 있다.
서브코딩은 8비트로 구성되는 하나의 심볼이 각 프레임에 1개 기록되어 있다. 이 서브코딩에는 어드레스 정보 등 외에, 개개의 광 디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 등이 기록되어 있다. 서브코딩을 구성하는 8비트의 데이터는 P, Q, R, S, T, U, V, W의 채널로 할당되어 있다. 서브코딩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98 프레임으로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고, 이 블록의 선두에는 해당 블록의 선두를 식별하기 위한 동기 신호 S0, S1가 격납되어 있다. 동기 신호 S0, S1에는 EFM 변환 테이블에 사용되지 않는 패턴이 이용되고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브코딩은 2바이트의 동기 신호를 제외한 96바이트로 1 블록을 구성한다. 서브코드의 P~W의 각 채널의 블록은 P1~W1로부터 P96~W96, 즉 96비트(동기 신호를 포함하여 98비트)로 구성된다.
서브코드의 P 채널은, 예를 들면, 악곡과 악곡 사이를 나타내는 스타트 플래그로서 사용되며, Q 채널은 어드레스 정보, 식별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또 R~W 채널은 사용자 비트로서, 6개를 일괄하여, 그래픽, 에러 체크 등에 사용된다.
여기에서,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Q 채널의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Q 채널의 프레임은 전체가 98비트이며, 선두부터 차례로, 2비트의 동기 신호로 되는 S0, S1과, 4비트의 CTL과, 식별 데이터의 기록 재생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4비트의 ADR와, 8비트의 식별 데이터의 인덱스로 되는 UDI index와, 56비트의 식별 데이터가 격납되는 페이로드로 되는 UDI payload와, 8비트의 어드레스 정보로 되는 AFRAME과, 16비트의 에러 정정 부호로 되는 CRC(Cyclic Redundancy Code)를 구비하고 있다. 또 UDI index의 하위 4비트로부터 CRC까지의 84비트는 기록 영역로 되어 있다.
8비트의 UDI index에는 광 디스크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시간이나 기록이 끝난 시간이 기록된다. UDI payload에는 광 디스크(1)의 식별 데이터로서, 광 디스크(1)의 판매원인 레코드 회사의 레코드 회사 ID, 광 디스크(1)를 식별하기 위한 레코드 번호, 광 디스크(1)의 판매국을 식별하기 위한 국가 번호, 광 디스크(1)의 제조 공장을 식별하기 위한 제조소 ID, 광 디스크(1)를 제조한 제조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조 장치 ID, 광 디스크(1)의 시리얼 번호, 데이터가 개찬(改竄)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MDC(Modification Detection Code) 등의 검출코드 등이 기록되어 있다.
UDI index의 하위 4비트로부터 CRC까지의 블록은 광 디스크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에 있어서, 예를 들면 모두 초기값으로서〔1〕이 기록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영역에서는 기록 위치의 반사막에 데이터를 열기록(熱記錄)함으로써, 광빔을 반사하지 않는 오목부의 피트가 의사적(擬似的)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O〕으로 반전되어 의사적으로 형성된 피트와 랜드의 패턴에 의해 광 디스크의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다. 기록 영역 이외의 영역은 ROM형의 광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오목부의 피트와 랜드의 패턴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 등의 소정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 영역은 적어도 페이로드와 에러 정정 코드의 영역이면 되며, 이 프레임은, 예를 들면, 전체를 기록 가능 영역으로 하고, 초기값으로서 모두 랜드가 되게〔1〕을 기록해 두도록 해도된다.
R~W 채널은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에서는, 고정값으로 되어 있어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후에 걸쳐 같은 값으로 되어 있다. 즉,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에서는, 서브코드로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의 변조 전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와 식별 데이터의 기록 후의 복조된 8비트 계열의 채널 비트를 비교했을 때, 적어도 3비트째 이후의 R~W 채널값이 동일하게 되는 것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 디스크는 기본적으로 재생 전용의 기록 매체이며, 컨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가 요철(凹凸)의 피트 패턴에 의해 기록되어 있다. 광 디스크는 전술한 소정 서브코드의 기록 영역에, 추기 정보로서, 한 장 한 장의 광 디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가 추기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광 디스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광 디스크를 제조하는 데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레지스트 도포 공정(11)에서 유리 원반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이어서, 커팅 공정(12)에서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른 요철의 피트 패턴을 레이저 커팅하여 원반을 제작한다. 이어서, 피트 패턴이 레이저 커팅된 원반은 현상ㆍ정착 공정(13)에서, 현상 처리되어 정착 처리된다. 이 후, 금속 원반 제작 공정(14)에서, 표면에 전해 도금이 실시되어 머더보드인 금속 원반이 제작된다. 다음에, 스탬퍼 제작 공정(15)에서, 금속 원반을 바탕으로 하여 스탬퍼가 제조된다. 기판 형성 공정(16)에서는 스탬퍼를 성형 금형 내에 설치하고, 사출성형기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나 아크릴 등의 투명 수지에 의해 디스크 기판이 제작된다. 이 공정으로 제작된 디스크 기판에는, 커팅 공정(12)으로 원반에 형성된 피트 패턴이 전사된다. 이어서, 반사막 형성 공정(17)에서는, 디스크 기판의 피트 패턴이 형성된 면에 스퍼터 등에 의해 반사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광 디스크는 이 반사막을 이용하여 식별 데이터가 추기된다.
광 디스크에 이용하는 반사막은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데이터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될 필요가 있다. 반사막은 CD나 DVD에 이용되는 반사막과 동일한 정도의 반사율 또는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광학 헤드로 판독 가능한 반사율을 가지면서, 광빔을 이용한 열기록에 의해 판독용의 광빔 반사율이 변화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즉, 반사막은 열기록에 의해 판독용의 광빔에 대한 반사율이 약 0.5% 이상 10% 이하의 범위에서 변화되는 특성을 가지는 금속막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에 게르마늄을 미량 혼입시킨 알루미늄합금에 의해 형성된다. 보호막 도포 공정(18)에서는, 반사막 상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스핀 코트에 의해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보호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광 디스크는 보호막이 형성된 면측으로부터 광빔이 조사됨으로써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실행된다. 이 후, 식별 데이터 기록 공정(19)에서는, 식별 데이터가 반사막을 녹임으로써 의사적으로 피트가 형성되어 기록된다.
여기에서, 커팅 공정(12)으로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른 요철의 피트 패턴을 레이저 커팅하여 원반을 제작하는 커팅 장치(21)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커팅 장치(21)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예를 들면 기록해야 할 표본화된 데이터가 입력 단자(22a)를 통해 입력되는 A/D 컨버터(22)와, 이 A/D 컨버터(2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와, 부호화 출력을 변조하는 변조 회로(24)와, 서브코드를 발생하는 서브코드 발생기(25)와, 변조 회로(24)로부터의 출력과 서브코드 발생기(25)로부터의 데이터를 가산하여 기록 데이터를 발생하는 데이터 발생기(26)를 구비한다. 또 커팅 장치(21)는 아르곤 레이저, He-Cd 레이저 등 가스 레이저 등의 레이저원(源)(27)과, 포켈 효과(Pockels effect)를 이용하는 EOM(Electorical 0ptical Modu1ator)이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AOM(Acoustic-0ptical Modulator) 등에 의해 레이저 광을 데이터 발생기(26)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변조하는 광 변조기(28)와, 변조된 레이저 광을 반사하는 미러(29)와, 미러(29)를 가동하는 가동 기구(30)와, 레이저 광을 집광하여 유리 원반(35)에 조사하는 대물 렌즈(31)와, 유리 원반(35)을 회전하는 모터(32)와, 대물 렌즈(31)를 대물 렌즈(31)의 광축 방향인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 변위하는 대물 렌즈 구동 기구(33)를 구비한다.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의 디지털 컨텐츠를 크로스 인터리브ㆍ리드ㆍ솔로몬 부호화(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e;CIRC)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샘플에 크로스 인터리브와 4차의 리드ㆍ솔로몬 부호의 조합에 의한 부호화를 실시하여 변조 회로(24)에 출력한다.
변조 회로(24)는, 예를 들면,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로부터의 부호화 출력에 EFM의 알고리즘에 따라 변조 처리를 실행하여, 데이터 발생기(26)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변조 회로(24)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최소 런ㆍ길이(최소 반전 간격 Tmin)를 2로 하고, 최대 런ㆍ길이(최대 반전 간격 Tmax)를 10으로 하여 8비트의 계열을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기록하는 데이터에 따라 어드레스 정보 등의 서브코드를 발생하고, 이것을 EFM 변조에 의해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소정의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 중의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발생하여,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변조 후의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복조했을 때에, 8비트 계열 데이터 비트의 상위로부터 2비트째, 즉 서브코드의 Q 채널이〔1〕에서〔0〕으로 반전되는 동시에, 상위 3비트째부터 최종 비트까지, 즉 서브코드의 R~W 채널까지 동일하게 되는 데이터 비트를 발생한다. 이 데이터는 EFM 변조 후의 14비트의 패턴에 있어서, 피트 간의 랜드에 광빔을 조사함으로써 반사막을 녹여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했을 때, 새로이 형성된 피트 길이가 EFM 변조의 변조 규칙, 즉 최대 반전 간격 Tmax가 10이며 최소 반전 간격 Tmin이 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선택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예를 들면, 도 9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4번째의 0X40h〔01000000〕를,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0X40h는 EFM 변조하면, 14비트의〔01001000100100〕이 되며, NRZI로 변조된 패턴의 3번째 랜드 L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하면, 14비트의〔O10010001000O0〕이 되며, 복조하면 상위 2비트째의 Q 채널을 제외하고 동일 패턴인 0번째의 0X00h〔00000000〕이 되기 때문이다.
또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예를 들면, 도 9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5번째의 0X41h〔01000001〕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0X41h는 EFM 변조하면, 14비트의〔10000100100100〕이 되며, NRZI로 변조된 패턴의 2개째 랜드 L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하면, 14비트의〔100001O0000000〕이 되며, 복조하면 상위 2비트째의 Q 채널을 제외하고 동일 패턴의 첫번째인 0X01h〔00000001〕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예를 들면, 도 9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8번째의 0X44h〔01000100〕를,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0X44h는 EFM 변조하면, 14비트의〔01000100100100〕이 되며, NRZI로 변조된 패턴의 2개째 랜드 L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하면, 14비트의〔0100010000O000〕이 되며, 복조하면 상위 2비트째의 Q 채널을 제외하고 동일 패턴인 4번째의 0X04h〔00000100〕이 되기 때문이다.
또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예를 들면, 도 9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71번째의 0X47h〔01000111〕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0X47h는 EFM 변조하면, 14비트의〔00100100100100〕이 되며, NRZI로 변조된 패턴의 2개째 랜드 L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하면, 14비트의〔0O1001000O0000〕이 되며, 복조하면 상위 2비트째의 Q 채널을 제외하고 동일 패턴인 7번째의 0X07h〔O0000111〕이 되기 때문이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이상과 같은 서브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소정 랜드를 피트로 반전하여, 8비트 계열의 Q 채널을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라〔1〕을〔0〕으로 반전시켜, 식별 데이터를 기록 할 수 있게 하고, 채널 R~W를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후에 걸쳐 고정값으로 함으로써, 식별 데이터의 기록하는 영역 또는 기록된 영역을 기록 및/ 또는 재생 장치가 검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데이터 발생기(26)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변조 회로(24)로부터 EFM 변조된 기록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서브코드 발생기(25)로부터 서브코드가 입력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기록 부호 계열의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3비트의 접속 비트를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발생기(26)는 EFM의 변환 규칙인 최대 반전 간격 Tmax=10, 최소 반전 간격 Tmin=2를 만족시키고, 또한 DSV(Digita1 Sum Vale)의 절대값을 보다 작게 하여 저주파수 성분이 보다 적어지는 접속 비트를, 〔000〕, 〔100〕, 〔O10〕, 〔O01〕중에서 선택하여, 기록 부호 계열의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3비트의 접속 비트를 삽입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기록 부호 계열을 17비트로 하여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생성한 데이터를 광 변조기(28)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커팅 장치(21)에서는, 기록해야 할 표본화된 데이터가 A/D 컨버터(22)에 입력되면, A/D 컨버터(22)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에 출력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는 샘플에 크로스 인터리브와 4차의 리드ㆍ솔로몬 부호의 조합에 의한 부호화를 실시하여 변조 회로(24)에 출력한다. 변조 회로(24)는 데이터를 EFM 변조한다. 즉, 변조 회로(24)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EFM 변환 테이블로 8비트에서 14비트로 변환하여 데이터 발생기(26)에 출력한다. 또 서브코드 발생기(25)는 기록하는 데이터에 따른 어드레스 정보 등의 8비트의 서브코드를 생성하고, 이것을 14비트로 변환하여 데이터 발생기(26)에 출력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변조 회로(24)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서브코드 발생기(25)로부터 서브코드 등의 데이터가 입력되어 이들의 데이터를 가산하고, 또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3비트의 접속 비트를 삽입하여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기록 데이터를 NRZI로 변조하여 광 변조기(28)에 출력한다.
한편, 레이저원(27)은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레이저 광은 광 변조기(28)에 입력된다. 광 변조기(24)는 데이터 발생기(26)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레이저 광을 변조한다. 즉, 광 변조기(24)는 데이터 발생기(26)로부터〔1〕이 입력되었을 때, 레이저 광을 변조한다. 광 변조기(24)로 변조된 레이저 광은 미러(29)에 입사된다. 미러(29)는 레이저 광을 유리 원반(35)의 내외주에 걸쳐 주사할 수 있도록, 가동 기구(30)에 의해 이동된다. 그리고, 레이저 광은 대물 렌즈(31)에 의해 집광되며, 회전 구동부인 스핀들 모터(32)에 의해 CLV(constant linear velocity) 등으로 회전되고 있는 유리 원반(35)에 조사된다. 이 때, 대물 렌즈(31)는 대물 렌즈 구동 기구(33)에 의해 레이저 광의 광축 방향으로 구동 변위되어 포커스 제어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식별 데이터 기록 공정(19)에서 사용하는 광 디스크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디스크(1)를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41)와, 광 디스크(1)에 대하여 광빔을 출사하여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픽업(42)과, 광 픽업(42)의 대물 렌즈의 포커싱 서보 제어 및 트래킹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스핀들 모터(41)의 회전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43)와, 광 픽업(42)에 의해 검출된 검출 출력으로부터 RF 신호 등을 생성하는 RF 앰프(44)와, RF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클록을 생성하는 동기 신호 검출부(45)와, RF 신호로부터 서브코드를 추출하는 서브코드 추출부(46)와, EFM 변조되어 있는 14비트의 서브코드를 8비트로 복조하여 P~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하는 서브코드 복조부(47)와,R~W 채널의 서브코드를 검출하는 검출부(48)를 구비한다. 또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광 디스크(1)의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계로서, 광 디스크(1)에 기록하는 식별 데이터의 입력을 전환하는 전환부(49)와, 식별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부(50)와, 식별 데이터를 광 디스크(1)에 기록할 때의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기록 처리부(51)와, 광 픽업(42)을 출사하는 광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52)를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41)는 스핀들 축에 디스크 테이블이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 테이블은 광 디스크(1)의 센터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광 디스크(1)의 회전 중심과 스핀들 축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킨 센터링을 도모한 상태로 클램프한다. 스핀들 모터(41)는 디스크 테이블과 일체적으로 광 디스크(1)를 회전한다.
광 픽업(42)은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인 반도체 레이저와,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 렌즈와, 광 디스크(1)의 반사막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 등을 구비한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은 대물 렌즈에 의해 집광되어 광 디스크(1)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된다. 여기에서, 반도체 레이저는 출력 제어부(52)에 의해 레이저 출력이 제어되고 있다. 반도체 레이저는 출력 제어부(52)의 제어에 따라, 광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할 때, 표준적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하여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때, 반사막을 녹여 열기록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재생 시보다 높은 고출력 레벨로 광빔을 출사한다.
광 디스크(1)의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은 광 검출기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광 검출기는 이 전기 신호를 RF 앰프(44)에 출력한다. 대물 렌즈는 2축 액추에이터 등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되어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RF 앰프(44)는 광 픽업(42)을 구성하는 광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RF 신호,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포커싱 에러 신호는 비점수차법(非点收差法) 등에 의해 생성되며, 트래킹 에러 신호는 3빔법, 푸시풀법 등에 의해 생성된다. 그리고, RF 앰프(44)는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제어부(43)에 출력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45)는 RF 신호로부터, 도 1에 나타낸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시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서브코드를 디코드할 때의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45)는 동기 신호로부터 클록을 생성한다.
제어부(43)는 RF 앰프(44)로부터 입력된 포커싱 에러 신호나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들 신호를 광 픽업(42)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된 대물 렌즈는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에 따라,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또 제어부(43)는 동기 신호로부터 생성된 클록이 수정 발진기로부터의 기준 클록과 주파수, 위상과 동기하도록 회전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스핀들 모터(41)는 광 디스크(1)를 예를 들면 CLV로 회전한다.
서브코드 추출부(46)는 RF 앰프(4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서 형성된 14비트의 서브코딩을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47)에 출력한다. 서브코드 복조부(47)는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데이터를 8비트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복조부(47)는 98 프레임으로 1 블록을 구성하고, P, Q, R, S, T, U, V, 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즉, 서브코드 복조부(47)는 P1~W1로부터 P96~W96, 즉 96비트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검출부(48)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를 검출하는 동시에, 서브코드의 R~W 채널을 검출한다. 즉, 검출부(48)는 Q 채널의 ADR로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인지를 검출한다. 검출부(48)는 서브코드의 R~W 채널이 메모리에 보존된 고정값인지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48)는 도 9 (A)인 때 R~W 채널이〔000000〕인지, 도 9 (B)인 때 R~W 채널이〔000001〕인지, 도 9 (C)인 때 R~W 채널이〔000100〕인지, 도 9 (D)인 때 R~W 채널이〔000111〕인지를 검출한다. 검출부(48)는 서브코드 복조부(47)로부터 입력된 R~W 채널의 데이터가 고정값일 때, 전환부(49)를 온으로 하고, 식별 데이터를 입력 단자(53)로부터 변조부(50)에 입력한다. 검출부(48)는 서브코드 복조부(47)로부터 입력된 R~W 채널의 데이터가 고정값이 아닐 때,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 아닌 것으로 하여, 식별 데이터를 광 디스크(1)에 기록할 수 없게 하기 위해 전환부(49)를 오프로 한다.
변조부(50)는 입력 단자(53)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를 소정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기록 처리부(51)에 출력한다. 기록 처리부(51)는 광 디스크(1)에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기록 처리를 실실행하고, 기록 처리를 실행한 데이터를 광 픽업(42)에 출력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기록 장치(40)의 식별 데이터 기록 동작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에 의해 식별 데이터의 기록 버튼이 눌려지면,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스핀들 모터(41)를 구동하여 디스크 장착부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광 디스크(1)를 선속도 일정하게 회전한다. 이와 함께, 광 픽업(42)은 광빔을 광 디스크(1)에 조사한다. 이 때, 출력 제어부(52)는 광 픽업의 반도체 레이저를,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광 픽업(42)은 제어부(43)에 의해 포커싱 및 트래킹 서보 제어가된 상태로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스텝 S1에서,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식별 데이터를 소정 영역에 기록하기 위해, 광 픽업(42)을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 근방에 트랙 점프시킨다. 스텝 S2에서,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 근방의 서브코드를 서브코드추출부(46)에서 추출하고 서브코드 복조부(47)에서 복조한다. 그리고, 검출부(48)가 서브코드의 R~W 채널을 추출하여 이 데이터의 체크를 실행한다. 스텝 S3에서, 검출부(48)는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소정의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메모리 등에 보존되어 있는 고정값과 일치되면, 스텝 S4로 진실행하고, 일치되지 않을 때,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이것은 광 디스크(1)에는 아직 도 4에 나타낸 서브코드의 Q 채널의 프레임에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도 9 (D)에 나타낸 0X47h와 0X07h의 조합을 이용하고 있을 때, 검출부(40)는 R~W 채널의 서브코드가〔000111〕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00O111〕일 때, 스텝 S4로 진실행하고, 〔00O111〕이 아닐 때,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스텝 S3에 앞서, 검출부(48)에서 Q 채널의 ADR이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를 가리키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하여, 검출할 수 있었을 때 스텝 S3으로 진행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4에서, 검출부(48)는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메모리 등에 보존되어 있는 고정값과 일치됨으로써,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광 디스크(1)의 영역이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라고 판단하여 전환부(49)를 온으로 한다.
스텝 S5에서,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동작을 개시한다. 즉, 식별 데이터(UID)는 입력 단자(53)로부터 입력되고, 전환부(49)를 통해 변조부(50)에 입력되어 소정의 변조 처리가 된 후, 기록 처리부(51)에서 기록 처리가 되어 광 픽업(42)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출력 제어부(52)는 식별 데이터를 반사막을 녹임으로써 열기록하기 위해, 반도체 레이저의 출력을 표준 레벨로부터 고레벨로 전환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도 4에 나타낸 Q 채널의 서브코드의 기록 영역, 즉 UDI index의 하위 4비트로부터 CRC까지의 84비트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UDI index의 하위 4비트에 기록 가능 시간이나 기록이 끝난 시간 등을 기록하고, 이어서, 56비트의 UDI payload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어서, 8비트의 AFRAME에 프레임 번호 등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고, 이어서, 16비트의 CRC에 에러 정정 부호를 기록한다.
여기에서, 이들 데이터의 기록 방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도면에 나타낸 예는 도 9 (D)에 나타낸 0X47h를 0X07h로 하는 것이다.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에 있어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의 패턴 A는 도 12 중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24비트의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서〔000〕의 접속 비트가 삽입되고, 이어서, 〔00100100100100〕(0X47h)의 서브코드가 기록되고, 이어서, 〔100〕의 접속 비트가 기록되어 있다. 광 디스크(1)에는 11T 길이의 피트 P1에 뒤이어서, 11T의 랜드 L1이 형성되고, 이어서, 7T의 피트 P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3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3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피트 P3으로부터 피트 P4에 걸쳐 고출력의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열기록을 실행함으로써, 랜드 L3의 위치에 의사적으로 피트 P3과 피트 P4에 연속되는 피트를 형성하여, 도 12 중의 (B)에 나타낸 기록 후의 패턴 A와 같이 한다. 즉, 기록 후의 패턴 A에는 서브코드의 영역에, 〔00100100000000〕( 0X07h)의 패턴이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1)에는 11T 길이의 피트 P11에 뒤이어, 11T의 랜드 L11이 형성되고, 이어서, 7T의 피트 P1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12가 형성되고, 이어서, 9T의 피트 P13가 형성되게 된다.
프레임 동기 신호의 패턴이 상기의 예와 역(逆)의 경우를 설명하면, 도 12 중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의 패턴 B는 24비트의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O01〕의 접속 비트가 삽입되고, 이어서, 〔00100100100100〕(0X47h)의 서브코드가 기록되고, 이어서, 〔100〕의 접속 비트가 기록되어 있다. 광 디스크(1)에는 11T 길이의 랜드 L21에 뒤이어, 11T의 피트 P21이 형성되고, 이어서, 4T의 랜드 L2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2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2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4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피트 P23으로부터 피트 P24에 걸쳐 고출력의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열기록을 실행함으로써, 랜드 L24의 위치에 의사적으로 피트 P23과 피트 P24에 연속되는 피트를 형성하여, 도 12 중의 (D)에 나타낸 기록 후의 패턴 B와 같이 한다. 즉, 기록 후의 패턴 B에는 서브코드의 영역에, 〔00100100000000〕( 0X07h)의 패턴이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1)에는 11T 길이의 랜드(31)에 뒤이어, 11T의 피트 P31이 형성되고, 이어서, 4T의 랜드 L3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3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33이 형성되고, 이어서, 9T의 피트 P33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고출력 광빔의 온오프에 의해 식별 데이터에 따른 피트와 랜드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여, Q 채널의 서브코드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한다.
전술한 도 11의 스텝 S3에서, 검출부(48)는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소정의 고정값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별했을 때, 스텝 6에서,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광 디스크(1)의 영역이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식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도록 전환부(49)를 오프로 하고, 서치를계속하여 스텝 S2로 귀환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R~W 채널의 서브코드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으로 특정하고, 이 특정한 영역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데이터 기록 장치(4O)에 의해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1)의 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60)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1)를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61)와, 광 디스크(1)에 대하여 광빔을 출사하여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픽업(62)과, 광 픽업(62)의 대물 렌즈의 포커싱 서보 제어 및 트래킹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스핀들 모터(61)의 회전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63)와, 광 픽업(62)으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RF 신호 등을 생성하는 RF 앰프(64)와, RF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클록을 생성하는 동기 신호 검출부(65)와, 컨텐츠 데이터 등의 EFM 변조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66)와,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는 에러 정정 처리부(67)를 구비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RF 신호로부터 서브코드를 추출하는 서브코드 추출부(68)와, EFM 변조되어 있는 14비트의 서브코드를 8비트로 복조하고, P~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하는 서브코드 복조부(69)와, R~W 채널의 서브코드를 검출하는 검출부(70)와, 광 디스크(1)에 기록하는 식별 데이터의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부(71)와,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72)를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61)는 스핀들 축에 디스크 테이블이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디스크 테이블은 광 디스크(1)의 센터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광 디스크(1)의 회전 중심과 스핀들 축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킨 센터링을 도모한 상태로 클램프한다. 스핀들 모터(61)는 디스크 테이블과 일체적으로 광 디스크(1)를 회전한다.
광 픽업(62)은 광빔을 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집속(集束)하는 대물 렌즈, 광 디스크(1)의 반사막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 등을 구비한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은 대물 렌즈에 의해 집속 되어 광 디스크(1)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된다. 여기에서, 반도체 레이저는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할 때,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한다. 또 광 디스크(1)의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은 광 검출기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 되며, 광 검출기는 이 전기 신호를 RF 앰프(64)에 출력한다. 또 대물 렌즈는 2축 액추에이터 등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되며,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RF 앰프(64)는 광 픽업(62)을 구성하는 광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RF 신호,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포커싱 에러 신호는 비점수차법 등에 의해 생성되며, 트래킹 에러 신호는 3빔법, 푸시풀법 등에 의해 생성된다. 그리고, RF 앰프(64)는 RF 신호를 EFM 변조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복조부(66)에 출력하는 동시에,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서보 제어부(63)에 출력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65)는 RF 신호로부터, 도 1에 나타낸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시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서브코드를 디코드할 때의 동기 신호를검출한다. 그리고, 동기 신호 검출부(65)는 검출한 동기 신호에 따라 클록을 생성한다.
제어부(63)는 RF 앰프(64)로부터 입력된 포커싱 에러 신호나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들 신호를 광 픽업(62)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된 대물 렌즈는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에 따라,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서보 제어부(63)는 동기 신호로부터 생성한 클록이 수정 발진기로부터의 기준 클록과 주파수, 위상과 동기하도록 회전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스핀들 모터(61)는 광 디스크(1)를 예를 들면 CLV로 회전한다.
복조부(66)는 EFM의 알고리즘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를 복조한다. 구체적으로, 복조부(66)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을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로 변환한다. 에러 정정 처리부(67)는 복조된 기록 데이터를 CIRC 등의 알고리즘에 따라 복조하여 출력 단자(73)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기록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일 때, 출력 단자(73)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의 음향 변환기로부터 출력된다.
서브코드 추출부(68)는 RF 앰프(6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 형성된 14비트의 서브코딩을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69)에 출력한다. 서브코드 복조부(69)는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데이터를 8비트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복조부(69)는 98 프레임으로 1 블록을 구성하고, P, Q, R, S, T, U, V, 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즉, 서브코드 복조부(69)는 P1~W1로부터 P96~W96, 즉 96비트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검출부(70)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를 검출하는 동시에, 서브코드의 R~W 채널을 검출한다. 즉, 검출부(70)는 Q 채널의 ADR에서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인지를 검출한다. 검출부(70)는 서브코드의 R~W 채널이 메모리에 보존된 고정값인지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70)는 도 9 (A)인 때 R~W 채널이〔000000〕인지, 도 9 (B)인 때 R~W 채널이〔000001〕인지, 도 9 (C)인 때 R~W 채널이〔000100〕인지, 도 9 (D)인 때 R~W 채널이〔000111〕인지를 검출한다. 검출부(70)는 서브코드 복조부(69)로부터 입력된 R~W 채널의 데이터가 고정값일 때, 전환부(7l)를 온으로 하여 서브코드 추출부(68)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부(72)에 출력한다. 검출부(70)는 서브코드 복조부(69)로부터 입력된 R~W 채널의 데이터가 고정값이 아닐 때,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 아닌 것으로 하여, 서브코드 추출부(68)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부(72)에 입력되지 않도록 전환부(71)를 오프로 한다.
식별 데이터 복조부(72)는 서브코드 복조부(69)로부터 전환부(71)를 통해 Q 채널의 서브코드가 입력된다. 식별 데이터 복조부(72)는 도 4에 나타낸 UDI index에 기록된 기록이 끝난 시간 등을 참조하여, UDI payload에 기록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고, 또한 CRC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실행하고, 출력 단자(74)에 출력한다.
다음에, 데이터 재생 장치(60)의 데이터 판독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용자에 의해 재생 버튼이 눌려지면,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스핀들 모터(61)를 구동하여, 디스크 장착부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광 디스크(1)를 선속도 일정하게 회전한다. 이와 함께, 광 픽업(62)은 광빔을 광 디스크(1)에 조사한다. 이 때, 반도체 레이저는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한다. 광 픽업(62)은 서보 제어부(63)에 의해 포커싱 및 트래킹 제어가 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여기에서, 광 디스크(1)의 R~W 채널의 서브코드를 에러 체크에 사용하는 경우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액세스하여 식별 데이터의 재생 모드 상태로,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추출부(68)에서 추출하고 서브코드 복조부(69)에서 복조한다. 스텝 S12에서, 검출부(70)는 각 프레임의 서브코드의 R~W 채널을 추출하고, 이 데이터의 체크를 실행한다. 그리고, 검출부(70)는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소정의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9 (D)에 나타낸 0X47h와 0X07h의 조합을 사용하고 있을 때, 검출부(70)는 R~W 채널의 서브코드가〔00011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검출부(70)가 고정값인, 즉 R~W 채널의 서브코드가〔000111〕이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고정값이 아닌, 즉 R~W 채널의 서브코드가〔O00111〕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 S14로 진행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검출부(70)가 R~W 채널의 서브코드는 고정값이라고 판단하면, 스텝 S13에서, 에러 없음으로 판단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검출부(70)가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스텝 S14에서, 에러 있음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식별 데이터 복조부(72)가 Q 채널의 CRC 체크를 실행하여 에러를 검출했을 때, 검출부(70)가 검출한 프레임의 Q 채널의 비트를 반전시켜, 재차 CRC 체크를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에러 정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고정값으로 되어 있는 R~W 채널의 서브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재생 장치(60)의 메모리 등에 보존되어 있는 고정값과,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일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에러 체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텝 S21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액세스하여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추출부(68)에서 추출하고, 서브코드 복조부(69)에서 복조한다. 스텝 S22에서, 검출부(70)는 서브코드의 Q 채널을 판독하여, 적어도 상기 도 4에 나타낸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인지를 판단한다. 이것은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광 디스크(1)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반사막을 녹여 의사적으로 피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Q 채널의 프레임 모두가 기록 가능 영역일 때는 Q 채널의 서브코드가 모두〔1〕인지를 판단하면 된다.데이터 재생 장치(60)는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일 때, 스텝 S2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때, 스텝 S24로 진행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일 때, 스텝 S23에서, 전환부(71)를 오프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판독을 금지하고, 광 디스크(1)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 등의 재생을 금지한다.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인 광 디스크(1)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광 디스크이며,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에 부정하게 반포된 것이기 때문이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이 아닐 때, 스텝 S24에서, 검출부(70)에서 Q 채널의 ADR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인 것을 검출하면,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는 재생 모드로 한다. 이어서, 스텝 S25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여 복조하고, 이어서, 예를 들면 광 디스크(1)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허가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인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에 부정하게 반포된 광 디스크의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 또 이 방법에 의하면, 광 디스크(1)의 보호막이나 반사막을 벗기고 디스크 기판의 요철 피트 패턴을 전사하여 제조한 스탬퍼를 사용하여 제조된 부정한 광 디스크의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 식별 데이터는 반사막을 녹여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함으로써 기록되며, 요철의 패턴은 아니기 때문에 스탬퍼에 전사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할 수도 있다.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텝 S31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검출부(70)에서 Q 채널의 ADR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인 것을 검출하면,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는재생 모드로 한다. 스텝 S32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검출부(70)에서 서브코드의 R~W 채널을 추출하고,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소정의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9 (D)에 나타낸 0X47h와 0X07h의 조합을 사용하고 있을 때, 검출부(70)는 R~W 채널의 서브코드가〔00011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데이터 재생가치(60)은 검출부(70)가 고정값인, 즉 R~W 채널의 서브코드가〔000111〕이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 S33으로 진행하고, 고정값이 아닌, 즉 R~W 채널의 서브코드가〔000111〕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 S34로 진행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검출부(70)가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이라고 판단하면, 스텝 S33에서, 예를 들면 현재 장착되어 있는 광 디스크(1)는 정당한 디스크라고 하여, 전환부(71)를 온으로 하고, 식별 데이터를 판독 가능하게 한다. 서브코드 복조부(69)로부터 전환부(71)를 통해 Q 채널의 서브코드가 입력되면, 식별 데이터 복조부(72)는 도 4에 나타낸 UDI index에 기록된 기록이 끝난 시간 등을 참조하여, UDI payload에 기록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고, 또한 CRC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실행하고, 출력 단자(74)에 출력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예를 들면, 광 디스크(1)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검출부(70)가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스텝 S34에서, 예를 들면 현재 장착되어 있는 광디스크(1)는 정당한 디스크가 아닌 또는 종류가 상이한 광 디스크로 하여, 전환부(71)를 오프로 하고, 식별 데이터의 판독을 금지하여, 예를 들면 광 디스크(1)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처리 등 이후의 처리를 금지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부정하게 반포된 광 디스크나 종류가 상이한 광 디스크의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스텝 S41에서,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 광 픽업(62)을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 근방에 트랙 점프시킨다. 스텝 S42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 근방의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추출부(68)에서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69)에서 복조한다. 검출부(70)가 서브코드의 R~W 채널을 추출하고, 이 데이터의 체크를 실행한다. 스텝 S43에서, 검출부(70)는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소정의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메모리 등에 보존되어 있는 고정값과 일치할 때, 스텝 S44로 진실행하고, 일치하지 않을 때, 스텝 S46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9 (D)에 나타낸 0X47h와 0X07h의 조합을 사용하고 있을 때, 검출부(70)는 R~W 채널의 서브코드가〔000111〕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O00111〕일 때, 스텝 S44로 진실행하고, 〔00O111〕이 아닐 때, 스텝 S46으로 진행된다.
스텝 S44에서, 검출부(70)는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메모리 등에 보존되어 있는 고정값과 일치함으로써,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광디스크(1)의 영역이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이라고 판단하여, 전환부(71)를 온으로 하고, 식별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서브코드 복조부(69)로부터 전환부(71)를 통해 Q 채널의 서브코드가 입력되면, 식별 데이터 복조부(72)는 상기 도 4에 나타낸 UDI index에 기록된 기록이 끝난 시간 등을 참조하여, UDI payload에 기록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고, 또한 CRC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여 출력 단자(74)에 출력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예를 들면, 광 디스크(1)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43에서, 검출부(70)는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소정의 고정값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때, 스텝 S46에서,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광 디스크(1)의 영역이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식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도록 전환부(71)를 오프로 하고, 서치를 계속하여 스텝 S42로 귀환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R~W 채널의 서브코드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와 특정하고, 이 특정한 영역에 기록된 식별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1)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서, Q 채널을 제외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후에서 동일하게 되는 고정값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고정값을 이용함으로써, 식별 데이터의 기록 시나 식별 데이터의 재생 시에,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데이터 재생 장치(60)에서는, 광 디스크(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이 고정값과 상이한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식별 데이터는 요철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피트나 랜드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반사막을 녹여 광빔을 반사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광 디스크(1)의 보호막이나 반사막을 벗겨 디스크 기판 요철의 피트 패턴을 전사하여 제조한 스탬퍼를 사용하여 제조된 부정한 광 디스크에는 식별 데이터는 전사 되지 않고, 이에 따라, 무분별한 자에 의해 제조된 이와 같은 광 디스크의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디스크, 이 광 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이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광 디스크도, 전술한 광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내주 측에 TOC(Tab1e of Contents) 데이터 등이 기록되는 리드인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주측에 컨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주측에 리드아웃 영역이 형성되고, CD와 동일 기록 포맷으로, 즉 8-14 변조(EFM 변조: Eight to Fourteen Modulation)된 데이터가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기록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광 디스크의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Q 채널의 프레임 구조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Q 채널의 프레임은 전체가 98비트이며, 선두부터 차례로, 2비트의 동기 신호로 되는 S0, S1와, 4비트의 CTL과, 식별 데이터의 기록 재생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4비트의 ADR과, 8비트의 식별 데이터의 인덱스로 되는 UDI index와, 56비트의 식별 데이터가 격납되는 페이로드로 되는 UDI payload와, 8비트의 어드레스 정보로 되는 AFRAME과, 16비트의 에러 정정 코드로 되는 CRC(Cyclic Redundancy Code)를 구비하고 있다.
8비트의 UDI index는 a0~a7의 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a0, a1의 2비트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 어디에 형성되어 있는지를 특정하기 위해 할당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O0〕은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이 디스크에 1개소인 것을 나타내고, 〔O1〕은 세션에 1개소인 것을 나타내고, 〔10〕은 트랙에 1개소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11〕은 리저브이다.
a2, a3는 프레임을 특정하기 위해 할당되어 있고, 구체적으로, 〔00〕은 선두 프레임, 즉 헤더인 것을 나타내고, 〔O1〕은 후속 프레임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10〕 및〔11〕은 리저브이다. a4~a7의 4비트는 O~15에서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프레임(섹터)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록된다. 여기에서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섹터는 100 섹터(서브코드의 100 프레임 : 64비트)~1600 섹터(서브코드의 1600 프레임 : 1024비트)이며, 100 섹터(100 프레임)단위로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다.
예를 들면, a2, a3가〔OO〕일 때, a4~a7, 즉 헤더에는 합계 프레임(섹터) 수가 기록되어 선두에 액세스 했을 때,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의 사이즈를 특정할 수 있다. a2, a3가〔O1〕일 때, a4~a7에는 어느 프레임째가 기록되어 프레임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디스크는 식별 데이터의 데이터의 길이가합계 프레임(섹터) 수에 미달될 때에는 식별 데이터인가 기록된 영역 이외의 프레임을 미기록 영역으로서 특정할 수 있다.
56비트의 UDI payload에는 광 디스크의 식별 데이터로서, 광 디스크의 판매원인 레코드 회사의 레코드 회사 ID, 광 디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레코드 번호, 광 디스크의 판매국을 식별하기 위한 국가 번호, 광 디스크의 제조 공장을 식별하기 위한 제조소 ID, 광 디스크를 제조한 제조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조 장치 ID, 광 디스크의 시리얼 번호, 데이터가 개찬(改竄)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MDC(modification detection code) 등의 검출 코드, 컨텐츠 데이터 등 주데이터의 암호 키 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식별 데이터는 복수의 트랙에 걸치지 않도록 기록된다. 트랙 사이는 P 채널이〔1〕로 되어, 재생 시 포즈(공백 시간)로 되지만, 여기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면, P 채널이〔O〕으로 변화되어 버리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식별 데이터의 기록 속도는 75 서브코드 프레임/ 1초이며, 광 디스크의 1장당 기록 시간은, 예를 들면, 5초간이다. 이보다 기록 시간이 길어지면, 식별 데이터의 기록에 시간이 너무 걸려, 광 디스크의 제조 효율이 악화되어 버린다. 따라서, 기록 속도가 이보다 빨라졌을 때에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량을 늘릴 수 있다.
UDI index의 하위 4비트로부터 CRC까지의 블록은 광 디스크의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에 있어서, 예를 들면 모두에 초기값으로서〔1〕이 기록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영역에서는 기록 위치의 반사막에 데이터를 열기록함으로써, 광빔을 반사하지 않는 또는 반사량이 적은 오목부의 피트가 의사적으로 형성되고,이에 따라〔0〕으로 반전되어 의사적으로 형성된 피트와 랜드의 패턴에 의해 광 디스크의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다. 기록 가능 영역 이외의 영역은 ROM형의 광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피트와 랜드의 패턴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 등의 소정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 가능 영역은 광 디스크 개개로 값이 바뀌는 적어도 UDI index, UDI payload, CRC의 영역이면 된다. 따라서, 이 프레임은, 예를 들면, 전체를 기록 가능 영역으로 하여, 초기값으로서 모두가 랜드로 되도록〔1〕을 기록해 두도록 해도 된다.
R~W 채널은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에서는 고정값으로 되어 있으며,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후에 걸쳐 같은 값이 되도록 되어 있다. 즉,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에서는, 서브코드로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의 변조 전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와 식별 데이터의 기록 후 복조한 8비트 계열의 채널 비트를 비교했을 때, 적어도 3비트째 이후의 R~W 채널의 값이 동일하게 되는 것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 디스크는 기본적으로 재생 전용의 기록 매체이며, 컨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가 요철의 피트 패턴에 의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광 디스크는 전술한 소정 서브코드의 기록 가능 영역에, 추기 정보로서 1장 1장의 광 디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광 디스크도 전술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 광 디스크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른 요철의 피트 패턴을 레이저 커팅하여 원반을 제작하는 캇팅 공정에서 사용되는 커팅 장치(121)는, 전술한 도 6에 나타낸 커팅 장치(21)와 기본적인 구성은 공통되지만,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부(3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커팅 장치(121)의 설명에서는, 도 6에 나타낸 장치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나타낸 커팅 장치(121)의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에서는 데이터에 따른 어드레스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브코드를 발생하고, 이것을 EFM 변조에 의해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전술한 소정의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 중의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발생하여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변조 후의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복조했을 때에,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 상위로부터 2비트째, 즉 서브코드의 Q 채널이 〔1〕로부터〔0〕으로 반전하는 동시에, 상위 3비트째부터 최종 비트까지, 즉 서브코드의 R~W 채널까지 동일하게 되는 데이터 비트를 발생한다. 이 데이터는 EFM 변조 후의 14비트의 패턴에 있어서, 피트 사이의 랜드에 광빔을 조사함으로써 반사막을 녹여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했을 때, 새롭게 형성된 피트 길이가 EFM 변조의 변조 규칙, 즉 최대 반전 간격 Tmax가 10이며 최소 반전 간격 Tmin이 2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선택된다.
여기에서도,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예를 들면, 전술한 도 9 (A)에 나타낸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4번째인 0X40h〔01000000〕를,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또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예를 들면, 전술한 도 9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5번째의 0X41h〔01000001〕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또한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예를 들면, 전술한 도 9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8번째의 0X44h〔01000100〕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또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예를 들면, 전술한 9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71번째의 0X47h〔01000111〕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이상과 같은 서브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소정의 랜드를 피트로 반전하고 8비트 계열의 Q 채널을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라〔1〕을〔0〕으로 반전시키고,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채널 R~W를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후에 걸쳐 고정값으로 함으로써,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 또는 기록된 영역을 기록 및/ 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검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20에 나타낸 커팅 장치(121)의 서브코드 발생기(25)에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을 특정하는 판별부(34)가 접속되어 있다. 판별부(34)는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에 기록하는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발생기(25)에 발생시키는지,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가능 영역에 기록하는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발생기(25)에 발생시키는지를 판별한다. 판별부(34)는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를 기록할 때, 서브코드 발생기(25)가 데이터에 따른 어드레스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브코드를 발생하고, 이것을 EFM 변조에 의해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하도록 서브코드 발생기(25)를 제어한다. 판별부(34)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가능 영역일 때, 서브코드 발생기(25)가 전술한 도 9 (A) 내지 도 9 (D)에 나타낸 소정의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 중의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발생하여,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하도록 서브코드 발생기(25)를 제어한다.
데이터 발생기(26)에는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변조 회로(24)로부터 EFM 변조된 기록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서브코드 발생기(25)로부터 서브코드가 입력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기록 부호 계열의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3비트의 접속 비트를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발생기(26)는 EFM의 변환 규칙인 최대 반전 간격 Tmax=10, 최소 반전 간격 Tmin=2를 만족시키고, 또한 DSV(Digital Sum Vale)의 절대값을 보다 작게 하여 저주파수 성분이 보다 적어지는 접속 비트를, 〔O00〕, 〔100〕, 〔010〕, 〔O01〕중에서 선택하여, 기록 부호 계열의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3비트의 접속 비트를 삽입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기록 부호 계열을 17비트로 하고, 상기 도 1에 나타낸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생성한 데이터를 광 변조기(28)에 출력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성된 도 20에 나타낸 커팅 장치(121)의 동작에 대하여,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록해야 할 표본화된 데이터가, 입력 단자(22a)를 통해 A/D 컨버터(22)에 입력되면, A/D 컨버터(22)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데이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에 출력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는 샘플에 크로스 인터리브와 4차의 리드ㆍ솔로몬 부호의 조합에 의한 부호화를 실시하여 변조 회로(24)에 출력한다. 변조 회로(24)는 스텝 S101에서, 예를 들면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로부터의 부호화 출력에 EFM의 알고리즘에 따라 변조 처리를 실행하여 데이터 발생기(26)에 출력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에서는 데이터에 따른 어드레스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브코드를 발생하고, 이것을 EFM 변조에 의해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소정의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 중의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발생하여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스텝 S102에서, 판별부(34)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별부(34)는 적어도 상기 도 4에 나타낸 광 디스크 개개에서 값이 바뀌는 UDI index, UDl payload, CRC의 영역을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으로서 판단한다. 물론,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Q 채널의 서브코드 모두를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로서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일 때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하고,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 아닌, 즉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를 통상의 모드로 기록하는 영역일 때,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일 때, 스텝 S103에서, 서브코드 발생기(25)는 특수한 서브코드로서, 변조 후의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복조했을 때,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의 상위로부터 2비트째, 즉 서브코드의 Q 채널이〔1〕에서〔0〕으로 반전되는 동시에, 상위 3비트째부터 최종 비트까지, 즉 서브코드의 R~W 채널까지 동일하게 되는 데이터 비트, 예를 들면 전술한 도 9 (A) 내지 도 9 (D)에 나타낸 0X40h, 0X41h, 0X44h, 0X47h 등의 데이터 비트를 발생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이 서브코드를, 전술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일 때, 스텝 S1O4에서, 서브코드 발생기(25)는 데이터에 따른 어드레스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브코드를 발생하고, 이것을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변조 회로(24)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서브코드 발생기(25)로부터 서브코드 등의 데이터가 입력되어 이들의 데이터를 가산하고, 또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적어도 EFM의 변환 규칙에 위반하지 않는 3비트의 접속 비트를 삽입하여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기록 데이터를 NRZI로 변조하여 광 변조기(28)에 출력한다.
한편, 레이저원(27)은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레이저 광은 광 변조기(28)에 입력된다. 광 변조기(24)는 데이터 발생기(26)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레이저 광을 변조한다. 즉, 광 변조기(24)는 데이터 발생기(26)에서〔1〕이 입력되었을 때, 레이저 광을 변조한다. 광 변조기(26)에서 변조된 레이저 광은 미러(29)에 입사된다. 미러(29)는 레이저 광을 유리 원반(35)의 내외주에 걸쳐 주사할 수 있도록, 가동 기구(30)에 의해 이동된다. 레이저 광은 대물 렌즈(31)에 의해 집광 되어 회전 구동부인 스핀들 모터(32)에 의해 CLV(Constant Linear Velocity) 등으로 회전되고 있는 유리 원반(35)에 조사된다. 이 때, 대물 렌즈(31)는 대물 렌즈 구동 기구(33)에 의해 레이저 광의 광축 방향으로 구동 변위되어 포커스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원반(35)은 노광되고 이 원반(35)의 패턴이 전사된 광 디스크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가능 영역에서는, 도 9 (A) 내지 도 9 (D)에 각각 나타낸 0X40h, 0X41h, 0X44h, 0X47h의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이 기록됨으로써, 적어도 도 18에 나타낸 UDI index, UDI payload, CRC의 영역이 모두〔1〕로 되도록 데이터가 기록된다.
다음에, 식별 데이터 기록 공정에서 사용하는 광 디스크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전술한 도 10에 나타낸 데이터 기록 장치(4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101)를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41)와, 광 디스크(101)에 대하여 광빔을 출사하여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픽업(42)과, 광 픽업(42)의 대물 렌즈의 포커싱 서보 제어 및 트래킹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스핀들 모터(41)의 회전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43)와, 광 픽업(42)으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RF 신호 등을 생성하는 RF 앰프(44)와, RF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클록을 생성하는 동기 신호 검출부(45)와, RF 신호로부터 서브코드를 추출하는 서브코드 추출부(46)와, EFM 변조되어 있는 14비트의 서브코드를 8비트로 복조하여 P~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하는 서브코드 복조부(47)와, R~W 채널의 서브코드를 검출하는 검출부(48)를 구비한다.
도 22에 나타낸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광 디스크(1)의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계로서, 식별 데이터를 변조하는 식별 데이터 변조부(149)와, 서브코드를 변조하는 서브코드 변조부(150)와, 광 디스크(101)에 기록하는 식별 데이터의 입력을 전환하는 전환부(151)와, 식별 데이터를 광 디스크(101)에 기록할 때의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기록 처리부(152)와, 광 픽업(42)이 출사하는 광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153)를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41)는 스핀들 축에 디스크 테이블이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 테이블은 광 디스크(1)의 센터 구멍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광 디스크(101)의 회전 중심과 스핀들 축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킨 센터링을 도모한 상태에서 클램프한다. 스핀들 모터(41)는 디스크 테이블과 일체적으로 광 디스크(101)를 회전한다.
광 픽업(42)은 광빔을 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집속하는 대물 렌즈, 광 디스크(101)의 반사막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 등을 구비한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은 대물 렌즈에 의해 집속 되어 광 디스크(101)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된다. 여기에서, 반도체레이저는 출력 제어부(153)에 의해 레이저 출력이 제어되고 있다. 반도체 레이저는 출력 제어부(153)의 제어에 따라, 광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할 때, 표준적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하고,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때, 반사막을 녹여 열기록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재생 시보다 높은 고출력 레벨로 광빔을 출사한다.
광 디스크(101)의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은 광 검출기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며, 광 검출기는 이 전기 신호를 RF 앰프(44)에 출력한다. 또 대물 렌즈는 2축 액추에이터 등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되며,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RF 앰프(44)는 광 픽업(42)을 구성하는 광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RF 신호,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포커싱 에러 신호는 비점수차법 등에 의해 생성되며, 트래킹 에러 신호는 3빔법, 푸시풀법 등에 의해 생성된다. RF 앰프(44)는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제어부(43)에 출력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45)는 RF 신호로부터,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시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서브코드를 디코드할 때의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45)는 동기 신호로부터 클록을 생성한다.
제어부(43)는 RF 앰프(44)로부터 입력된 포커싱 에러 신호나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들 신호를 광 픽업(42)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대물 렌즈구동 기구에 지지된 대물 렌즈는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에 따라,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제어부(43)는 동기 신호로부터 생성된 클록이 수정 발진기로부터의 기준 클록과 주파수, 위상과 동기하도록 회전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에 따라, 스핀들 모터(41)는 광 디스크(101)를 예를 들면 CLV로 회전한다.
서브코드 추출부(46)는 RF 앰프(4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 형성된 14비트의 서브코딩을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47)에 출력한다. 서브코드 복조부(47)는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데이터를 8비트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복조부(47)는 98 프레임으로 1 블록을 구성하고, P, Q, R, S, T, U, V, 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즉, 서브코드 복조부(47)는 P1~W1로부터 P96~W96, 즉 96비트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검출부(48)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48)는 Q 채널의 ADR로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인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부(48)는 이 밖에,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특정하고, 장치를 식별 데이터에 기록 모드로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기록 위치가 랜드로 되어 있는지 여부로 특정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이들의 조합으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식별 데이터 변조부(149)는 입력 단자(154)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를 소정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서브코드 변조부(150)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입력 단자(154)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UDI payload에 기록되는식별 데이터 외에, UDI index에 기록되는 a0~a7의 데이터이다.
서브코드 변조부(15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에 의해 광빔을 조사하는 프레임의 서브코드를 8비트의 데이터 비트 계열을 14비트의 체널 비트 계열로 변환하는 복조 처리를 실행한다. 즉, 서브코드 변조부(150)는 전술한 도 9 (A) 내지 도 9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프레임을, 예를 들면 0X40h를0X00h로 하여, 0X41h를 0X01h로 하고, 0X44h를 0X04h로 하고, 0X47h를 0X07h로 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8비트의 데이터 비트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전환부(151)는 광 디스크(101)에 기록하는 식별 데이터의 입력을 전환한다. 전환부(151)는 검출부(48)의 제어에 따라, 검출부(48)가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를 검출했을 때 온으로 되고, 검출하지 않았을 때 오프로 된다. 즉, 전환부(151)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때만, 식별 데이터가 기록 처리부(52)에 출력되도록 한다. 기록 처리부(152)는 광 디스크(101)에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기록 처리를 실행하고, 기록 처리를 실행한 데이터를 광 픽업(42)에 출력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기록 장치(140)의 식별 데이터 기록 동작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에 의해 식별 데이터의 기록 버튼이 눌려지면,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스핀들 모터(41)를 구동하고, 디스크 장착부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광 디스크(1)를 선속도 일정하게 회전한다. 이와 함께, 광 픽업(42)은 광빔을 광 디스크(101)에 조사한다. 이 때, 출력 제어부(153)는 광 픽업(42)의 반도체 레이저를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하도록 제어한다. 광 픽업(42)은 제어부(43)에 의해 포커싱 및 트래킹 서보 제어가 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스텝 S111에서, 식별 데이터를 기록 가능 영역에 기록 하기 위해, 서브코드 복조부(47)가 복조한 서브코드의 TOC 등에 따라 광 픽업(42)을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 근방으로 트랙 점프 시킨다.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의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추출부(46)에서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47)에서 복조한 후 8비트의 데이터를 검출부(48)에 출력한다. 스텝 S112에서, 검출부(48)는 Q 채널 서브코드의 ADR에 있는 식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전환부(151)를 온으로 하여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전환부(151)를 오프로 하여 스텝 S114로 진행한다. 검출부(48)는 이 밖에,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특정하여, 장치를 식별 데이터의 기록 모드로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기록 위치가 랜드로 되어 있는지 여부로 특정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이들 의 조합으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일 때, 스텝 S113에서, 입력 단자(154)로부터 식별 데이터가 입력되면, 식별 데이터 변조부(149)는 식별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변조한다. 서브코드 변조부(15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에 의해 광빔을 조사하는 프레임의 서브코드를 8비트의 데이터 비트 계열을 14비트의 채널 비트 계열로변환하는 변조 처리를 실행한다. 서브코드 변조부(150)는 변조 처리한 식별 데이터를 전환부(151)를 통해 기록 처리부(152)에 입력한다. 기록 처리부(152)는 입력된 식별 데이터를 광 픽업(42)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출력 제어부(153)는 식별 데이터를 반사막을 녹임으로써 열기록하기 위해, 반도체 레이저의 출력을 표준 레벨로부터 고레벨로 전환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랜드에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함으로써, 도 18에 나타낸 Q 채널의 서브코드 기록 영역, 즉 UDI index로부터 CRC까지의 84비트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UDI index에 a0~a7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어서, 56비트의 UDI payload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어서, 8비트의 AFRAME에 프레임 번호 등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고, 이어서, 16비트의 CRC에 에러 정정 부호를 기록한다.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가 아닐 때, 검출부(48)는 스텝 S114에서, 전환부(151)를 오프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금지한다.
여기에서, 이들 데이터의 기록 방법을,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도면에 나타낸 예는 전술한 도 9 (D)에 나타낸 0X47h를 0X07h로 하는 것이다.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에 있어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의 패턴 A는 도 24 중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24비트의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000〕의 접속 비트가 삽입되고, 이어서, 〔00100100100100〕(0X47h)의 서브코드가 기록되고, 이어서, 〔100〕의 접속 비트가 기록되어 있다. 광 디스크(101)에는 11T 길이의 피트 P1에 뒤이어, 11T의 랜드 L1이 형성되고, 이어서, 7T의 피트 P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4가 형성되고, 이어서, 접속 비트의 3T 이상 11T 이하의 랜드 L4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피트 P3으로부터 피트 P4에 걸쳐 고출력의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열기록을 실행함으로써, 랜드 L3의 위치에 의사적으로 피트 P3과 피트 P4에 연속되는 피트를 형성하고, 도 14 중의 (B)에 나타낸 기록 후의 패턴 A와 같이 한다. 그리고, 광빔은 국소적으로 랜드 L3에 조사하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기록 후의 패턴 A에는 서브코드의 영역에, 〔00100100000000〕(0X07h)의 패턴이 기록되게 된다. 즉, 광 디스크(101)에는 11T 길이의 피트 P11에 뒤이어, 11T의 랜드 L11이 형성되고, 이어서, 7T의 피트 P1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12가 형성되고, 이어서, 9T의 피트 P13이 형성되고, 이어서, 접속 비트의 3T 이상 11T 이하의 랜드 L13이 형성되게 된다. 즉, 랜드 L4(L13)는 피트(13)의 길이를 11T 이하의 길이로 하고, 후속 블록의 채널 비트 전반 사이에서 11T를 넘지 않도록 하여, EFM의 변환 규칙에 위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프레임 동기 신호의 패턴이 상기예와 역의 경우를 설명하면, 도 24중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의 패턴 B는 24비트의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0O1〕의 접속 비트가 삽입되고, 이어서, 〔00100100100100〕(0X47h)의 서브코드가 기록되고, 이어서, 〔10O〕의 접속 비트가 기록되어 있다. 광 디스크(1O1)에는 11T 길이의 랜드 L21에 뒤이어, 11T의 피트 P21이 형성되고, 이어서, 4T의 랜드 L2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2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2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4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비트 P24가 형성되고, 이어서, 접속 비트의 3T 이상 11T 이하의 랜드 L25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비트 P23으로부터 피트 P24에 걸쳐 고출력의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열기록을 실행함으로써, 랜드 L24의 위치에 의사적으로 피트 P23와 피트 P24에 연속되는 피트를 형성하고, 도 24중의 (D)에 나타낸 기록 후의 패턴 B와 같이 한다. 그리고, 광빔은 국소적으로 랜드 L3에 조사하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기록 후의 패턴 B에는 서브코드의 영역에, 〔00100100000000〕( 0X07h)의 패턴이 기록되게 된다. 즉, 광 디스크(1O1)에는 11T 길이의 랜드(31)에 뒤이어, 11T의 피트 P31이 형성되고, 이어서, 4T의 랜드 L3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3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33이 형성되고, 이어서, 9T의 P33이 형성되고, 이어서, 접속 비트의 3T 이상 11T 이하의 랜드 L34가 형성되게 된다. 즉, 랜드 L25(L34)는 피트(33)의 길이를11T 이하의 길이로 하고, 후속 블록의 채널 비트 전반 사이에서 11T를 넘지 않도록 하여, EFN4의 변환 규칙에 위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고출력 광빔의 온오프에 의해 식별 데이터에 따른 피트와 랜드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고, Q 채널의 서브코드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101)의 UDI index의 a0~a7을 참조함으로써, 식별 데이터의 추기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것을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21에서,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에 트랙 점프시켜,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에 액세스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의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추출부(46)에서 추출하고, 서브코드 복조부(47)에서 복조한 후 8비트의 데이터를 검출부(48)에 출력한다. 스텝 S122에서, 검출부(48)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UDI index를 검출한다. 검출부(48)는 스텝 S123에서, 식별 데이터 등의 추기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식별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헤더에 기록되어 있는 합계 프레임(섹션석) 수에 미달할 때에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이외의 프레임을 미기록 영역으로서 특정한다. 스텝 S123에서, 검출부(48)는 미기록 영역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 스텝 S124로 진행하고, 미기록 영역이 없을 때, 스텝 S125로 진행한다.
미기록 영역이 있을 때, 스텝 S124에서, 검출부(48)는 전환부(151)를 온으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추기가 가능한 상태로 한다. 입력 단자(154)로부터 식별 데이터가 입력되면, 식별 데이터 변조부(149)는 식별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변조한다. 서브코드 변조부(15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에 의해 광빔을 조사하는 프레임의 서브코드를 8비트의 데이타비트 계열을 14비트의 채널 비트 계열로 변환하는 복조 처리를 실행한다. 서브코드 변조부(150)는 전환부(151)를 통해 기록 처리부(152)로 하고, 기록 처리부(152)는 광 픽업(42)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출력 제어부(153)는 식별 데이터를 반사막을 녹임으로써 열기록하기 위해, 반도체 레이저의 출력을 표준 레벨로부터 고레벨로 전환한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140)는 랜드에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함으로써, 도 18에 나타낸 Q 채널 서브코드의 기록 가능 영역에 식별 데이터의 추기를 실행한다. 미기록 영역이 없을 때, 스텝 S125에서, 검출부(48)는 전환부(151)을 오프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추기를 금지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데이터 기록 장치(14O)에 의해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101)의 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160)에 대하여,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160)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101)를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161)와, 광 디스크(101)에 대하여 광빔을 출사하여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픽업(162)과, 광 픽업(162)의 대물 렌즈의 포커싱 서보 제어 및 트래킹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스핀들 모터(161)의 회전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163)와, 광 픽업(162)으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RF 신호 등을 생성하는 RF 앰프(164)와, RF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클록을 생성하는 동기 신호 검출부(165)와, 컨텐츠 데이터 등 EFM 변조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166)와,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는 에러 정정 처리부(167)를 구비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160)는 RF 신호로부터 서브코드를 추출하는 서브코드 추출부(168)와, EFM 변조되어 있는 14비트의 서브코드를 8비트로 복조하고, P~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하는 서브코드 복조부(169)와, R~W 채널의 서브코드를 검출하는 검출부(170)와, 광 디스크(101)에 기록하는 식별 데이터의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부(171)와,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172)를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161)는 스핀들 축에 디스크 테이블이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 테이블은 광 디스크(101)의 센터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광 디스크(101)의 회전 중심과 스핀들 축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킨 센터링을 도모한 상태에서 클램프한다. 스핀들 모터(161)는 디스크 테이블과 일체적으로 광 디스크(101)를 회전한다.
광 픽업(162)은 광빔을 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집속하는 대물 렌즈, 광 디스크(101)의 반사막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 등을 구비한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은 대물 렌즈에 의해 집속되어 광 디스크(101)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된다. 반도체 레이저는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할 때,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한다. 광 디스크(101)의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은 광 검출기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광 검출기는 이 전기 신호를 RF 앰프(164)에 출력한다. 대물 렌즈는 2축 액추에이터 등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되어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RF 앰프(164)는 광 픽업(162)을 구성하는 광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RF 신호,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포커싱 에러 신호는 비점수차법 등에 의해 생성되고, 트래킹 에러 신호는 3빔법, 푸시풀법 등에 의해 생성된다. RF 앰프(164)는 RF 신호를 EFM 변조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복조부(166)에 출력하는 동시에,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제어부(163)에 출력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165)는 RF 신호로부터, 도 1에 나타낸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시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서브코드를 디코드할 때의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165)는 동기 신호로부터 클록을 생성한다.
제어부(163)는 RF 앰프(164)로부터 입력된 포커싱 에러 신호나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들 신호를 광 픽업(162)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된 대물 렌즈는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에 따라,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제어부(163)는 동기 신호로부터 생성된 클록가 수정 발진기로부터의 기준 클록과 주파수, 위상과 동기하도록 회전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에 따라, 스핀들 모터(161)는 광 디스크(101)를 예를 들면 CLV로 회전한다.
복조부(166)는 EFM의 알고리즘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를 복조한다. 구체적으로, 복조부(166)는 전술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을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로 변환한다. 에러 정정 처리부(167)는 복조된 기록 데이터를 CIRC 등의 알고리즘에 따라 복조하여 출력 단자(173)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기록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일 때, 출력 단자(173)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으로부터 출력된다.
서브코드 추출부(168)는 RF 앰프(16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 형성된 14비트의 서브코딩을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169)에 출력한다. 서브코드 복조부(169)는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데이터를 8비트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복조부(169)는 98 프레임으로 1블록을 구성하여 P, Q, R, S, T, U, V, 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즉, 서브코드 복조부(169)는 P1~W1로부터 P96~W96, 즉 96비트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검출부(170)는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170)는 Q 채널의 ADR로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인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부(170)는 이 밖에,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특정하여, 장치를 식별 데이터에 기록 모드로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또 기록 위치가 랜드로 되어 있는지 여부로 특정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이들의 조합으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검출부(170)는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일 때, 전환부(171)를 온으로 하여, 서브코드 추출부(168)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부(172)에 출력할 수 있다. 검출부(170)은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가 아닐 때,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이 아닌 것으로 하여, 서브코드 추출부(168)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가 복조부(172)에 입력되지 않도록, 전환부(171)를 오프로 한다.
식별 데이터 복조부(172)는 서브코드 복조부(169)로부터 전환부(171)를 통해 Q 채널의 서브코드가 입력된다. 식별 데이터 복조부(172)는 도 18에 나타낸 UDIindex에 기록된 a0~a7을 참조하여, UDI payload에 기록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고, 또한 CRC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여 출력 단자(174)에 출력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데이터 재생 장치(160)의 데이터 판독 동작에 대하여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용자에 의해 재생 버튼이 눌려지면, 데이터 재생 장치(160)는 모터(161)를 구동하여, 디스크 장착부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광 디스크(101)를 선속도 일정하게 회전한다. 이와 함께, 광 픽업(162)은 광빔을 광 디스크(101)에 조사한다. 이 때, 반도체 레이저는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한다. 그리고, 광 픽업(162)은 서보 제어부(163)에 의해 포커싱 및 트래킹 서보 제어가 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160)는 스텝 S131에서, 식별 데이터를 기록 가능 영역에 기록하기 위해, 서브코드 복조부(169)가 복조한 서브코드의 TOC 등에 따라 광 픽업(142)을,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 근방에 트랙 점프시킨다. 데이터 재생 장치(16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가능 영역의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추출부(168)에서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169)에서 복조한 후 8비트의 데이터를 검출부(170)에 출력한다. 스텝 S132에서, 검출부(170)는 Q 채널의 서브코드의 ADR에 있는 식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비쳐지고 있는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이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전환부(171)를 온으로 하여 스텝 S133으로 진행한다.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전환부(171)를 오프로 하여 스텝 S134로 진행한다. 그리고, 검출부(170)는이 밖에,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을 특정하여, 장치를 식별 데이터에 재생 모드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133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160)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UDI index의 a0~a7을 참조하여, 합계 프레임수를 산출하여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길이를 판별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160)는 식별 데이터를 서브코드 복조부(169)로부터 전환부(171)를 통해 식별 데이터 복조부(172)에 출력한다. 식별 데이터 복조부(172)는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고, 출력 단자(174)에 출력한다. 이 후, 예를 들면, 식별 데이터의 재생을 조건으로 하여, 광 디스크(101)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 등은 복조부(166)에서 복조된 후, 에러 정정 처리부(167)에서 에러 정정 복호 처리되어 출력 단자(173)로부터 출력된다. 예를 들면, 컨텐츠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 등일 때, D/A 컨버터에서 디지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의 음향 변환기로부터 출력된다.
스텝 S134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160)는, 검출부(170)는 전환부(171)를 오프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재생을 금지한다. 그리고, 검출부(170)는 이 상태를 에러 상태로 하여, 모니터 등에 에러 메세지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101)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에, 색인으로서 인덱스(UDI index)를 기록하고, 여기에, 식별 데이터의 길이 등을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식별 데이터의 용량 확장을 용이하게 실핼할 수있다. 즉, 기록 속도가 향상되어 단위 시간당 기록량이 증가했을 때에도, 이 인덱스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식별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헤더에 기록되어 있는 합계 프레임(섹터) 수에 미달할 때에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이외의 프레임을 미기록 영역으로서 특정하고, 여기에, 식별 데이터 등 더한층의 데이터를 추기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디스크, 이 광 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이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광 디스크도, 전술한 광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내주측에 TOC(Table of Contents) 데이터 등이 기록되는 리드인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주측에, 컨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주측에, 리드아웃 영역이 형성되고, CD와 동일 기록 포맷으로, 즉 8-14 변조(EFM 변조: Eight to Fourteen Modulation)된 데이터가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대로의 기록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광 디스크도, 전술한 도 5에 나타낸 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이 광 디스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반은 도 28에 나타낸 구성을 구비한 커팅 장치(221)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이 커팅 장치(221)는 전술한 도 6에 나타낸 커팅 장치(2I)와 기본적인 구성은 공통이므로로, 도 6에 나타낸 장치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이 커팅 장치(221)는 도 6에 나타낸 장치에 추가로 접속 비트 제어부(234)를 구비한다.
도 28에 나타낸 커팅 장치(221)는 아르곤 레이저, He-Cd 레이저 등 가스 레이저 등의 레이저원(27)과, 포켈 효과를 이용하는 EOM(Electorical 0ptical Modulator)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AOM(Acoustic-0ptical Modulator) 등에 의해 레이저 광을 데이터 발생기(26)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변조하는 광 변조기(28)와, 변조된 레이저 광을 반사하는 미러(29)와, 미러(29)를 가동하는 가동 기구(30)와, 레이저 광을 집광하여 유리 원반(35)에 조사하는 대물 렌즈(31)와, 유리 원반(35)을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32)와, 대물 렌즈(31)를 대물 렌즈(31)의 광축 방향인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 변위하는 대물 렌즈 구동 기구(33)를 구비한다.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의 디지털 컨텐츠를 크로스 인터리브ㆍ리드ㆍ솔로몬 부호화(Cross Interleave Reed-so1omon Code;CIRC)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샘플에 크로스 인터리브와 4차의 리드ㆍ솔로몬 부호의 조합에 의한 부호화를 실시하여 변조 회로(24)에 출력한다.
변조 회로(24)는, 예를 들면,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로부터의 부호화 출력에 EFM의 알고리즘에 따라 변조 처리를 실시하여 데이터 발생기(26)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변조 회로(24)는 전술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최소 런ㆍ길이(최소 반전 간격 Tmin)를 2로 하고, 최대 런ㆍ길이(최대 반전 간격 Tmax)를 10으로 하여 8비트의 계열을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기록하는 데이터에 따라 어드레스 정보 등의 서브코드를 발생하고, 이것을 EFM 변조에 의해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서브코드로서, 소정의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 중의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발생하여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변조 후의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복조했을 때에, 8비트 계열 데이터 비트의 상위로부터 2비트째, 즉 서브코드의 Q 채널이〔1〕에서〔0〕으로 반전되는 동시에, 상위 3비트째부터 최종 비트까지, 즉 서브코드의 R~W 채널까지 동일하게 되는 데이터 비트를 발생한다. 이 데이터는 EFM 변조 후의 14비트의 패턴에 있어서, 피트 사이의 랜드에 광빔을 조사함으로써 반사막을 녹여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했을 때, 새로이 형성된 피트 길이가 EFM 변조의 변조 규칙, 즉 최대 반전 간격 Tmax가 10이며 최소 반전 간격 Tmin가 2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선택된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예를 들면, 전술한 도 9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8번째의 0X44h〔0100010O〕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0X44h는 EFM 변조하면 14비트의〔01000100100100〕으로 되며, NRZI로 변조된 패턴의 2개째의 랜드 L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하면, 14비트의〔01000100000000〕으로 되며, 복조하면 상위 2비트째의 Q 채널을 제외하고 동일 패턴의 4번째의 0X04h〔O0000100〕으로 되기 때문이다.
또한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예를 들면, 도 9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71번째의 0X47h〔01000111〕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0X47h는 EFM 변조하면, 14비트의〔0O10010010O100〕으로 되며, NRZI로 변조된 패턴의 2개째의 랜드 L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하면, 14비트의〔00100100000000〕으로 되며, 복조하면 상위 2비트째의 Q 채널을 제외하고 동일 패턴의 7번째의 0X07h〔00000111〕로 되기 때문이다.
서브코드 발생기(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이상과 같은 서브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소정 랜드를 피트로 반전하고 8비트 계열에서 Q 채널을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라〔1〕을〔0〕으로 반전시켜,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채널 R~W를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후에 걸쳐 고정값으로 함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하는 영역 또는 기록된 영역을 기록 및/ 또는 재생 장치가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데이터 발생기(26)에는 도 2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변조 회로(24)로부터 EFM 변조된 기록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서브코드 발생기(25)로부터 서브코드가 입력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접속 비트 제어부(234)로부터 입력된 접속 비트를 기록 부호 계열의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삽입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기록 부호 계열을 17비트로 하고,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생성한 데이터를 광 변조기(28)에 출력한다.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기록 부호 계열의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삽입하는 3비트의 접속 비트를 발생한다.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딩 후속의 접속 비트를 제외하고,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연속되는 2개의 기록 부호 계열의 블록을 참조하여, EFM의 변환 규칙인 최대 반전 간격 Tmax=10, 최소 반전 간격 Tmin=2를 만족시키고, 또한 DSV(Digital Sum Vale)의 절대값을 보다 작게 하여 저주파수 성분이 보다 적어지는 접속 비트를, 〔O00〕, 〔100〕, 〔O10〕, 〔001〕중에서 선택하여 데이터 발생기(26)에 출력한다.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의 서브코딩 후속의 접속 비트를 선택할 때, 상기 4개의 접속 비트의 조합으로부터, EFM의 변환 규칙, 즉 최대 반전 간격 Tmax가 10이며 최소 반전 간격 Tmin가 2인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소정의 비트가 항상 랜드로 되는 것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접속 비트로서〔000〕이외의 패턴, 즉〔100〕, 〔010〕, 〔001〕중에서 DSV가 최적인 것을 선택한다. 이것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서, 기록 부호 계열 전반의〔0〕의 최대 길이는 8이며, 도 9 (C)에 나타낸 4번째의 0X04h나 도 9 (D)에 나타낸 7번째의 0X07h는 후반의〔0〕의 수가 8개이며, 접속 비트에〔000〕을 사용하면, 최대 반전 간격 Tmax의 10을 넘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의 서브코딩 후속의 접속 비트로서, 항상〔100〕을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서, 기록 부호 계열의 전반의〔0〕의 최대의 길이는 8이기 때문에, 〔100〕을 접속 비트에 이용하면, 0의 수는 최대로 10이 되어, 최대 반전 간격 Tmax를 항상 만족시키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즉,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의 서브코딩 후속의 접속 비트로서, 적어도〔1〕을 가지는 접속 비트를 선택한다. 기록 데이터는 NRZ에서 기록되고〔1〕에서 반전되기 때문에, 〔1〕을 가지는 접속 비트를 이용하면, 서브코딩의 블록과 후속의 블록 사이에서 최대 반전 간격 Tmax의 10을 넘는 일은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커팅 장치(221)의 동작에 대하여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장치(221)에서, 입력 단자(22a)를 통해 기록해야 할 표본화된 데이터가 A/D 컨버터(22)에 입력되면, A/D 컨버터(22)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에 출력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23)는 샘플에 크로스 인터리브와 4차의 리드ㆍ솔로몬 부호의 조합에 의한 부호화를 실시하여 변조 회로(24)에 출력한다. 스텝 S201에서, 변조 회로(24)는 데이터를 EFM 변조한다. 즉, 변조 회로(24)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EFM 변환 테이블에서 8비트로부터 14비트로 변환하여 데이터 발생기(26)에 출력한다.
스텝 S202에서, 커팅 장치(221)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일 때는 스텝 S203으로 진행하고,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 아닌, 즉 컨텐츠 데이터 등을 통상의 모드로 기록하는 영역일 때, 스텝 S204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의 서브코딩 후속의 접속 비트로서, 항상〔100〕을 선택하여 데이터 발생기(26)에 출력한다. 그리고,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접속 비트로서〔000〕이외의 패턴, 즉〔100〕, 〔O10〕, 〔O01〕중에서 DSV가 최적인 것을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 아닐 때, 스텝 S204에서, 서로 인접하는 블록의 14비트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EFM의 변환 규칙인 Tmax=10, Tmin=2를 만족시키는 접속 비트를〔O00〕, 〔100〕, 〔010〕, 〔001〕중에서 선택한다. 스텝 S205에서,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스텝 S204에서 선택한 접속 비트 중에서 DSV가 최적이 되는 접속 비트를 선택하여, 데이터 발생기(26)에 출력한다.
이 후, 접속 비트 제어부(234)는 스텝 S206에서, 다음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 즉 스텝 S202로부터의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발생기(26)는 변조 회로(24)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서브코드 발생기(25)로부터 서브코드 등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들 데이터를 가산하고,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3비트의 접속 비트를 삽입하여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기록 데이터를 NRZI로 변조하여 광 변조기(28)에 출력한다.
한편, 레이저원(27)은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레이저 광은 광 변조기(28)에 입력된다. 광 변조기(24)는 데이터 발생기(26)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레이저 광을 변조한다. 즉, 광 변조기(24)는 데이터 발생기(26)로부터〔1〕이 입력되었을 때, 레이저 광을 변조한다. 광 변조기(24)에서 변조된 레이저 광은 미러(29)에 입사된다. 미러(29)는 레이저 광을 유리 원반(35)의 내외주에 걸쳐 주사할 수 있도록, 가동 기구(30)에 의해 이동된다. 레이저 광은 대물 렌즈(31)에 의해 집광되고, 회전 구동부인 스핀들 모터(32)에 의해 CLV(constant linear velocity) 등으로 회전되고 있는 유리 원반(35)에 조사된다. 이 때, 대물 렌즈(31)는 대물 렌즈 구동 기구(33)에 의해 레이저 광의 광축 방향으로 구동 변위되어 포커스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원반(35)은 노광되고, 이 원반(35)의 패턴이 전사된 광 디스크(1)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가능 영역에서는, 도 9 (C)에 나타낸 0X44h, 도 9 (D)에 나타낸 0X47h 등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이 기록됨으로써, 적어도 도 4에 나타낸 페이로드와 에러 정정 코드의 영역이 모두〔1〕이 되도록 데이터가 기록된다.
다음에, 전술한 공정을 거쳐 형성된 본 예의 광 디스크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240)도, 전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40, 14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디스크(201)를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41)와, 광 디스크(1)에 대하여 광빔을 출사하여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픽업(42)과, 광 픽업(42)의 대물 렌즈의 포커싱 서보 제어 및 트래킹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스핀들 모터(41)의 회전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43)와, 광 픽업(42)에 의해 검출된 검출 출력으로부터 RF 신호 등을 생성하는 RF 앰프(44)와, RF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클록을 생성하는 동기 신호 검출부(45)와, RF 신호로부터 서브코드를 추출하는 서브코드 추출부(46)와, EFM 변조되어 있는 14비트의 서브코드를 8비트로 복조하여 P~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하는 서브코드 복조부(47)와, R~W 채널의 서브코드를 검출하는 검출부(48)를 구비한다. 이들 구성은 전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40, 140)와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에 나타낸 데이터 기록 장치(240)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전환부(249)와, 서브코딩의 후속 접속 비트를 검출하는 접속 비트 검출부(250)와, 식별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부(251)와, 광 디스크(1)에 기록하는 식별 데이터의 입력을 전환하는 제2 전환부(252)와, 식별 데이터를 광 디스크(201)에 기록할 때의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기록 처리부(253)와, 광 픽업(42)이 출사하는 광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254)를 구비한다.
본 예의 데이터 기록 장치(240)에 있어서, 서브코드 추출부(46)는 RF 앰프(4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 형성된 14비트의 서브코딩을 추출하여,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 서브코드 복조부(47)에 출력하고, 또한 서브코딩의 후속 비트를 검출하기 위해 제1 전환부(249)를 통해 접속 비트 검출부(250)에 출력한다.
서브코드 복조부(47)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서브코드를,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데이터로부터 8비트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복조부(47)는 98 프레임으로 1블록을 구성하고, P, Q, R, S, T, U, V, 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즉, 서브코드 복조부(47)는 P1~W1로부터 P96~W96, 즉 96비트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브코드 복조부(47)는 서브코드로부터 추출한 어드레스 정보 등을 제어부(43)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3)는 광 픽업(42)을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검출부(48)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인지를 나타낸 데이터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48)는 Q 채널의 ADR로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검출부(48)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가 아닐 때, 출력 단자(255)로부터 에러 메세지 등을 출력하여, 모니터에 이 에러 메세지를 표시 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로 되었을 때, 이것을 알리는 메세지를 출력 단자(255)로부터 출력하고, 모니터 등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검출부(48)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로 할 때에 한해, 제1 및 제2 전환부(249, 252)를 온으로 한다.
접속 비트 검출부(250)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딩의 후속 접속 비트가 소정값, 예를 들면 전술한〔10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접속 비트 검출부(250)는 접속 비트가〔000〕이외인지, 즉 접속 비트가〔1〕을 가지고 있는지의 판단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은 소정값 이외의 접속 비트일 때,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면, Tmax가 10을 넘어 버려, EFM의 변환 규칙에 위반되어 버릴 우려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접속 비트 검출부(250)는 서브코딩의 후속 접속 비트가 소정값이었을 때, 제2 전환부(252)를 온으로 하고, 소정값이 아니었을 때, 제2 전환부(252)를 오프로 한다. 즉, 제2 전환부(252)는 서브코딩에 뒤이은 접속 비트가 소정값이 아닐 때, 변조부(251)로부터 기록 처리부(253)에 식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도록 한다. 접속 비트 검출부(250)는 출력 단자(255)로부터, 접속 비트가 소정값이 아니었을 때,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여 모니터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변조부(251)는 입력 단자(256)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고, 제2 전환부(252)를 통해 기록 처리부(253)에 출력한다. 기록 처리부(253)는 광 디스크(1)에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기록 처리를 실행하고, 기록 처리를 실행한 데이터를 광 픽업(42)에 출력한다. 그리고, 입력 단자(25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도 4에 나타낸 데이터이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기록 장치(240)의 식별 데이터 기록 동작에 대하여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에 의해 식별 데이터의 기록 버튼이 눌려지면, 데이터 기록 장치(240)는 스핀들 모터(41)를 구동하여, 디스크 장착부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광 디스크(201)를 선속도 일정하게 회전한다. 이와 함께, 광 픽업(42)은 광빔을 광 디스크(201)에 조사한다. 이 때, 출력 제어부(254)는 광 픽업(42)의 반도체 레이저를,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하도록 제어한다. 광 픽업(42)은 제어부(43)에 의해 포커싱 및 트래킹 서보 제어가 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240)는 식별 데이터를 소정의 영역에 기록하기 위해, 서브코드 복조부(47)가 복조한 서브코드의 TOC 등에 따라 광 픽업(42)을,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트랙 점프시킨다. 데이터 기록 장치(240)는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의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추출부(46)에서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47)에서 복조한 후 8비트의 데이터를 검출부(48)에 출력한다. 스텝 S311에서, 검출부(48)는 Q 채널 서브코드의 ADR에 있는 식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식별 데이터가 기록하는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라고 판단했을 때, 제1 및 제2 전환부(249, 252)를 온으로 하여 스텝 S312로 진행한다. 검출부(48)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 제1 및 제2 전환부(249, 252)를 오프로 하여 스텝 S214로 진행한다.
그리고, 검출부(48)는 이 밖에,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특정하여, 장치를 식별 데이터에 기록 모드로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또 기록 위치가 랜드로 되어 있는지 여부로 특정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이들의 조합으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312에서, 접속 비트 검출부(250)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서, 서브코딩의 후속 접속 비트가, 예를 들면 전술한〔10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접속 비트 검출부(250)는 접속 비트가〔000〕이외인지, 즉 접속 비트가〔1〕을 가지고 있는지의 판단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접속 비트 검출부(250)는 이 접속 비트가 소정값일 때, 제2 전환부(252)를 온으로 하고 스텝 S313으로 진행하여 식별 데이터의 기록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접속 비트 검출부(250)는 소정값이 아닐 때, 제2 전환부(252)를 오프로 하고, 스텝 S314로 진행하여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도록 한다. 즉, 이 스텝 S314에서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라도, 접속 비트가 소정값이 아닐 때,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면, Tmax가 1O을 넘어 버려, EFM의 변환 규칙에 위반되어 버릴 우려가 생기기 때문에, 제1 전환부(249)가 온이라도, 제2 전환부(252)를 오프로 하도록 하고 있다.
스텝 S313에서, 입력 단자(256)로부터 식별 데이터인가 입력되면,변조부(251)는식별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변조한다. 변조부(251)은 제2 전환부(252)를 통해 기록 처리부(53)에 변조한 식별 데이터를 출력한다. 기록 처리부(253)는 광 픽업(42)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출력 제어부(254)는 식별 데이터를 반사막을 녹임으로써 열기록하기 위해, 반도체 레이저의 출력을 표준 레벨로부터 고레벨로 전환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240)는 랜드에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Q 채널의 서브코드의 기록 영역, 즉 UDI index의 하위 4비트로부터 CRC까지의 84비트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UDI index의 하위 4비트에 기록 가능 시간이나 기록 완료 시간 등을 기록하고, 이어서, 56비트의 UDI payload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어서, 8비트의 AFRAME에 프레임 번호 등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고, 이어서, 16비트의 CRC에 에러 정정 부호를 기록한다.
스텝 S314에서, 검출부(48)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가 아닐 때, 출력 단자(255)로부터 에러 메세지 등을 출력하고, 모니터에 이 에러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검출부(48)는 제1 및 제2 전환부(249, 252)를 오프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금지한다. 접속 비트 검출부(250)는 출력 단자(255)로부터, 접속 비트가 소정값이 아니었을 때,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여 모니터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알린다. 접속 비트 검출부(250)는 제2 전환부(252)를 오프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기록 처리가 실행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에서, 이들 데이터의 기록 방법을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도면에 나타낸 예는 도 9 (D)에 나타낸 0X47h를 0X07h로 하는 것이다.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에 있어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의 패턴 A는 도 32 중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24비트의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000〕의 접속 비트가 삽입되고, 이어서, 〔00100100100100〕(0X47h)의 서브코드가 기록되고, 이어서, 〔100〕의 접속 비트가 기록되어 있다. 광 디스크(1)에는 11T 길이의 피트 P1에 뒤이어, 11T의 랜드 L1이 형성되고, 이어서, 7T의 피트 P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4가 형성되고, 이어서, 접속 비트의 3T 이상 11T 이하의 랜드 L4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기록 장치(240)는 비트 P3로부터 피트 P4에 걸쳐 고출력의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열기록을 실행함으로써, 랜드 L3의 위치에 의사적으로 피트 P3과 피트 P4에 연속되는 피트를 형성하고, 도 32 중의 (B)에 나타낸 기록 후의 패턴 A와 같이 한다. 그리고, 광빔은 국소적으로 랜드 L3에 조사하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기록 후의 패턴 A에는 서브코드의 영역에, 〔00100100000000〕(0X07h)의 패턴이 기록되게 된다. 즉, 광 디스크(1)에는 11T 길이의 피트 P11에 뒤이어, 11T의 랜드 L11이 형성되고, 이어서, 7T의 피트 P1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12가 형성되고, 이어서, 9T의 피트 P13이 형성되고, 이어서, 접속 비트의 3T 이상 11T 이하의 랜드 L13이 형성되게 된다. 즉, 랜드 L4(L13)는 피트(13)의 길이를 11T 이하의 길이로 하여, 후속 블록의 채널 비트 전반 사이에서 11T를 넘지 않도록 하여 EFM의 변환 규칙에 위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프레임 동기 신호의 패턴이 상기예와 역의 경우를 설명하면, 도 32 중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의 패턴 B는 24비트의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001〕의 접속 비트가 삽입되고, 이어서, 〔00100100100100〕(0X47h)의 서브코드가 기록되고, 이어서, 〔100〕의 접속 비트가 기록되어 있다. 광 디스크(201)에는 11T 길이의 랜드 L21에 뒤이어, 11T의 피트 P21이 형성되고, 이어서, 4T의 랜드 L2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2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2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4가 형성되고 , 이어서, 3T의 피트 P24가 형성되고, 이어서, 접속 비트의 3T 이상 11T 이하의 랜드 L25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기록 장치(240)는 피트 P23으로부터 피트 P24에 걸쳐 고출력의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여 열기록을 실행함으로써, 랜드 L24의 위치에 의사적으로 피트 P23와 피트 P24에 연속되는 피트를 형성하고, 도 32 중의 (D)에 나타낸 기록 후의 패턴 B와 같이 한다. 즉, 기록 후의 패턴 B에는 서브코드의 영역에, 〔00100100000000〕(0X07h)의 패턴이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201)에는 11T 길이의 랜드(31)에 뒤이어, 11T의 피트 P31이 형성되고, 이어서, 4T의 랜드 L3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3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33가 형성되고, 이어서, 9T의 피트 P33가 형성되고, 이어서, 접속 비트의 3T 이상 11T 이하의 랜드 L34가 형성되게 된다. 즉, 랜드 L25(L34)는 피트(33)의 길이를 11T 이하의 길이로 하여, 후속 블록의 채널 비트 전반 사이에서 11T를 넘지 않도록 하여, EFM의 변환 규칙에 위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240)는 고출력의 광빔의 온오프에 의해 식별데이터에 따른 피트와 랜드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여, Q 채널의 서브코드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서브코드 중의 서브코딩에 뒤이은 접속 비트를 사용하여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으로 특정하고, 이 특정한 영역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데이터 기록 장치(240)에 의해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201)의 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260)에 대하여,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260)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201)를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261)와, 광 디스크(201)에 대하여 광빔을 출사하여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픽업(262)과, 광 픽업(262) 대물 렌즈의 포커싱 제어 및 트래킹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스핀들 모터(261)의 회전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263)와, 광 픽업(262)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RF 신호 등을 생성하는 RF 앰프(264)와, RF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클록을 생성하는 동기 신호 검출부(265)와, 컨텐츠 데이터 등 EFM 변조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266)와,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는 에러 정정 처리부(267)를 구비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260)는 RF 신호로부터 서브코드를 추출하는 서브코드 추출부(268)와, EFM 변조되어 있는 14비트의 서브코드를 8비트로 복조하고, P~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하는 서브코드 복조부(269)와,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270)와,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전환부(271)와, 서브코딩의 후속 접속 비트를 검출하는 접속 비트 검출부(272)와, 광 디스크(1)에 기록하는 식별 데이터의 입력을 전환하는 제2 전환부(273)와, 식별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더(274)를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261)는 전술한 각 데이터 재생 장치의 디스크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디스크 테이블에 센터링을 도모하여 광 디스크(201)를 장착하고, 이 광 디스크(201)를 회전 조작한다.
광 픽업(262)도, 전술한 데이터 재생 장치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대물 렌즈에 의해 집속하여 광 디스크(201)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하는 동시에, 광 디스크(1)의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을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RF 앰프(264)에 출력한다.
RF 앰프(264)는 광 픽업(262)을 구성하는 광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RF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포커스 에러 신호는 비점수차법 등에 의해 생성되고, 트래킹 에러 신호는 3빔법, 푸시풀법 등에 의해 생성된다. 그리고, RF 앰프(264)는 RF 신호를 EFM 변조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복조부(266)에 출력하는 동시에,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서보 제어부(263)에 출력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265)는 RF 신호로부터, 도 1에 나타낸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시에, 전술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서브코드를 디코드할 때의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265)는 동기 신호로부터 클록을 생성한다.
서보 제어부(263)는 RF 앰프(264)로부터 입력된 포커스 에러 신호나 트래킹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들 신호를 광 픽업(262)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된 대물 렌즈는 포커스 제어 신호나 트래킹 제어 신호에 따라,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제어부(263)는 동기 신호로부터 생성한 클록이 수정 발진기로부터의 기준 클록과 주파수, 위상과 동기하도록 회전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스핀들 모터(261)는 광 디스크(1)를 예를 들면 CLV로 회전한다.
복조부(266)는 EFM의 알고리즘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를 복조한다. 구체적으로, 복조부(266)는 전술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을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로 변환한다. 에러 정정 처리부(267)는 복조된 기록 데이터를 CIRC 등의 알고리즘에 따라 복조하여 출력 단자(275)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기록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일 때, 출력 단자(275)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의 음향 변환부로부터 출력된다.
서브코드 추출부(268)는 RF 앰프(26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 형성된 14비트의 서브코딩을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269)에 출력한다. 서브코드 복조부(269)는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데이터를 8비트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복조부(269)는 98 프레임으로 1블록를 구성하고, P, Q, R, S, T, U, V, 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즉, 서브코드복조부(269)는 P1~W1로부터 P96~W96, 즉 96비트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검출부(270)는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270)는 Q 채널의 ADR로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을 특정한다. 검출부(270)는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를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검출했을 때, 제1 및 제2 전환부(271, 273)를 온으로 한다. 검출부(270)는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를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검출할 수 없었을 때,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 아닌 것으로 하여, 제1 및 제2 전환부(271, 273)를 오프로 한다. 또 검출부(270)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가 아닐 때, 출력 단자(277)로부터 에러 메시지 등을 출력하여 모니터에 이 에러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로 되었을 때, 이것을 알리는 메세지를 출력 단자(277)로부터 출력하여 모니터 등에 표시한다.
접속 비트 검출부(272)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서브코딩의 후속 접속 비트가 소정값, 예를 들면 전술한〔10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접속 비트 검출부(272)는 접속 비트가〔000〕이외인지, 즉 접속 비트가〔1〕을 가지고 있는지의 판단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은 소정값 이외의 접속 비트일 때, Tmax가 10을 넘어 EFM의 변환 규칙에 위반되고 있어 식별 데이터를 복조할 수 없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 접속 비트가 소정값 이외일 때에는 정규로 디스크가 아닐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접속 비트 검출부(272)는 서브코딩의 후속 접속 비트가 소정값이었을 때, 제2 전환부(273)를 온으로 하고, 소정값이 아니었을 때, 제2 전환부(273)를 오프로 한다. 즉, 제2 전환부(273)는 서브코딩에 뒤이은 접속 비트가 소정값이 아닐 때, 식별 데이터가 서브코드 복조부(269)로부터 디코더(274)에 입력되지 않도록 한다. 접속 비트 검출부(272)는 출력 단자(277)로부터 접속 비트가 소정값이 아니었을 때,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여 모니터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디코더(274)는 서브코드 복조부(269)로부터 제2 전환부(273)를 통해 Q 채널의 서브코드가 입력된다. 디코더(274)는 전술한 도 4에 나타낸 UDl index에 기록된 기록 완료 시간 등을 참조하여, UDI payload에 기록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고, 또한 CRC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여 출력 단자(276)에 출력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데이터 재생 장치(260)의 데이터의 판독 동작에 대하여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용자에 의해 재생 버튼이 눌려지면, 데이터 재생 장치(260)는 스핀들 모터(261)를 구동하여 디스크 장착부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광 디스크(201)를 선속도 일정하게 회전한다. 이와 함께, 광 픽업(262)은 광빔을 광 디스크(201)에 조사한다. 이 때, 반도체 레이저는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한다. 광 픽업(262)은 제어부(263)에 의해 포커싱 및 트래킹 서보 제어가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260)는 식별 데이터의 판독을 위해, 제어부(263)가 서브코드 복조부(269)가 복조된 서브코드의 TOC 등에 따라 광 픽업(262)을,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트랙 점프시킨다. 데이터 재생 장치(260)는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의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추출부(268)에서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269)에서 복조한 후 8비트의 데이터를 검출부(270)에 출력한다. 스텝 S321에서, 검출부(270)는 Q 채널 서브코드의 ADR에 있는 식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이라고 판단했을 때, 제1 및 제2 전환부(271, 273)를 온으로 하여 스텝 S322로 진행한다. 검출부(270)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 제1 및 제2 전환부(271, 273)를 오프로 하여 스텝 S324로 진행한다.
그리고, 검출부(270)는 이 밖에,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을 특정하고 장치를 식별 데이터의 재생 모드로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또 기록 위치가 랜드로 되어 있는지 여부로 특정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이들의 조합으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322에서, 접속 비트 검출부(272)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서, 서브코딩의 후속 접속 비트가, 예를 들면 전술한〔10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접속 비트 검출부(272)는 접속 비트가〔000〕이외인지, 즉 접속 비트가〔1〕을 가지고 있는지의 판단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접속 비트 검출부(270)는 이 접속 비트가 소정값일 때, 제2 전환부(273)를 온으로 하여 스텝 S323으로 진행하고, 식별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접속 비트 검출부(270)는 소정값이 아닐 때, 제2 전환부(273)를 오프로 하여 스텝 S324로 진행하고, 식별 데이터의 재생을 금지한다. 이 스텝 S324에서는,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라도, 접속 비트가 소정값이 아닐 때, Tmax가 10을 넘어 EFM의 변환 규칙에 위반하여, 식별 데이터를 복조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또 정규가 아닌 디스크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1 전환부(71)가 온이라도 제2 전환부(273)를 오프로 한다.
스텝 S323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260)는 식별 데이터를 서브코드 복조부(269)로부터 제2 전환부(73)를 통해 디코더(274)에 출력한다. 디코더(274)는 복조되어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고, 출력 단자(276)에 출력한다. 이 후, 예를 들면, 식별 데이터의 재생을 조건으로 하여, 광 디스크(201)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 등은 복조부(266)에서 복조된 후, 에러 정정 처리부(267)에서 에러 정정 복호 처리 되어 출력 단자(275)로부터 출력된다. 예를 들면, 컨텐츠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 등일 때, D/A 컨버터에서 디지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되어,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의 음향 변환기로부터 출력된다.
스텝 S324에서, 검출부(270)는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가 아닐 때, 출력 단자(277)로부터 에러 메세지 등을 출력하여 모니터에 이 에러 메시지를 표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검출부(270)는 제1 및 제2 전환부(271, 273)를 오프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재생을 금지한다. 접속 비트 검출부(272)는 출력 단자(277)로부터, 접속 비트가 소정값이 아니었을 때,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여 모니터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접속 비트 검출부(272)는 제2 전환부(273)를 오프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재생 처리가 실행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201)는 도 1에 나타낸 서브코딩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있어서, 도 32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의 변환 규칙, 즉 최대 반전 간격 Tmax=10의 규칙을 지켜 식별 데이터를 기록 할 수 있다. 즉,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에서, 서브코딩에 뒤이은 접속 비트에 적어도〔1〕을 가지는 접속 비트를 선택함으로써, 항상 식별 데이터를 EFM의 변환 규칙에 위반하지 않도록 기록할 수 있다. 즉, 이상과 같은 방법에서는 후속 데이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디스크, 이 광 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이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의 제4 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광 디스크도, 전술한 광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내주 측에 TOC(Table of Contents) 데이터 등이 기록되는 리드인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주측에, 컨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주측에, 리드아웃 영역이 형성되어 CD와 동일 기록 포맷으로, 즉 8-14 변조(EFM 변조: Eight to Fourteen Modulation)된 데이터가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대로의 기록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광 디스크도, 전술한 도 5에 나타낸 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이 광 디스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반은 도 35에 나타낸 구성을 구비한 커팅 장치(321)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이 커팅 장치(321)는 전술한 도 6에 나타낸 커팅 장치(21)와 기본적인 구성은 공통되지만, 더욱 구체적으로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5에 나타낸 커팅 장치(321)도, 아르곤 레이저, He-Cd 레이저 등 가스 레이저 등의 레이저원(327)과, 포켈 효과를 사용하는 EOM(Electorical 0pticalModulator)나 초음파를 사용하는 AOM(Acoustic-0ptical Modulator) 등에 의해 레이저 광을 데이터 발생기(326)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변조하는 광변조기(328)와, 변조된 레이저 광을 반사하는 미러(329)와, 미러(329)를 가동하는 가동 기구(330)와, 레이저 광을 집광하여 유리 원반(335)에 조사하는 대물 렌즈(331)와, 유리 원반(335)을 회전하는 모터(32)와, 대물 렌즈(331)를 대물 렌즈(331)의 광축 방향인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 변위하는 대물 렌즈 구동 기구(333)를 구비한다.
이 커팅 장치(321)를 구성하는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323)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의 디지털 컨텐츠를 크로스 인터리브ㆍ리드ㆍ솔로몬 부호화(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e; CIRC)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샘플에 크로스 인터리브와 4차의 리드ㆍ솔로몬 부호의 조합에 의한 부호화를 실시하여 변조 회로(324)에 출력한다.
변조 회로(324)는, 예를 들면,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323)로부터의 부호화 출력에 EFM의 알고리즘에 따라 변조 처리를 실시하여, 데이터 발생기(326)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변조 회로(324)는 전술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최소 런ㆍ길이(최소 반전 간격 Tmin)를 2로 하고, 최대 런ㆍ길이(최대 반전 간격 Tmax)를 10으로 하여 8비트의 계열을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발생기(325)는 기록하는 데이터에 따라 어드레스 정보 등의 서브코드를 발생하고, 이것을 EFM 변조에 의해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서브코드 발생기(3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소정의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 중의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를 발생하여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서브코드 발생기(3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변조 후의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 복조했을 때에,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의 상위로부터 2비트째, 즉 서브코드의 Q 채널이〔1〕에서〔0〕으로 반전되는 동시에, 상위 3비트째로부터 최종 비트까지, 즉, 서브코드의 R~W 채널까지 동일하게 되는 데이터 비트를 발생한다. 이 데이터는 EFM 변조 후의 14비트의 패턴에 있어서, 피트 사이의 랜드에 광빔을 조사함으로써 반사막을 녹여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했을 때, 새로이 형성된 피트 길이가 EFM 변조의 변조 규칙, 즉 최대 반전 간격 Tmax가 10이며 최소 반전 간격 Tmin가 2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선택된다.
서브코드 발생기(325)는 전술한 예를 들면 도 9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4번째의 0X40h〔01000000〕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0X40h는 EFM 변조하면, 14비트의〔01001000100100〕으로 되며, NRZI로 변조된 패턴의 3개째의 랜드 L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하면, 14비트의〔O1O01O0010OOO0〕으로 되며, 복조하면 상위 2비트째의 Q 채널을 제외하고 동일 패턴의 0번째의 0X00h〔00000000〕이 되기 때문이다.
또 서브코드 발생기(325)는, 예를 들면 도 9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8번째의 0X44h〔01000100〕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0X44h는 EFM 변조하면, 14비트의〔01000100100100〕으로 되며, NRZI로 변조된 패턴의 2개째의 랜드 L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하면, 14비트의〔0100010O00O000〕으로 되며, 복조하면 상위 2비트째의 Q 채널을 제외하고 동일 패턴의 4번째의 0X04h〔00000100〕으로 되기 때문이다.
또한 서브코드 발생기(325)는, 예를 들면, 도 9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71번째의 0X47h〔01000111〕을,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선택한다. 0X47h는 EFM 변조하면, 14비트의〔00100100100100〕으로 되며, NRZI로 변조된 패턴의 2개째의 랜드 L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의사적으로 피트를 형성하면, 14비트의〔OO1OO10000O0O0〕으로 되며, 복조하면 상위 2비트째의 Q 채널을 제외하고 동일 패턴의 7번째의 OX07h〔00000111〕로 되기 때문이다.
서브코드 발생기(325)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영역의 서브코드로서, 이상과 같은 서브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소정 랜드를 피트로 반전하고 8비트 계열에서 Q 채널을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라〔1〕을 〔0〕으로 반전시켜,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하고, 채널 R~W를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후에 걸쳐 고정값으로 함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하는 영역 또는 기록된 영역을 기록 및/ 또는 재생 장치를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 발생기(326)에는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변조 회로(324)로부터 EFM 변조된 기록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서브코드 발생기(325)로부터 서브코드가 입력된다. 데이터 발생기(326)는 기록 부호 계열의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3비트의 접속 비트를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발생기(326)는 EFM의 변환 규칙인 최대 반전 간격 Tmax=10, 최소 반전 간격 Tmin=2를 만족시키고, 또한 DSV(Digital Sum VaIe)의 절대값을 보다 작게 하여 저주파수 성분이 보다 적어지는 접속 비트를, 〔O00〕, 〔100〕, 〔O10〕, 〔O01〕중에서 선택하여, 기록 부호 계열의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3비트의 접속 비트를 삽입한다. 그리고, 데이터 발생기(326)는 기록 부호 계열을 17비트로 하여 도 1에 나타낸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발생기(326)는 생성된 데이터를 광 변조기(328)에 출력한다.
데이터 발생기(326)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일 때, 0X40h, 0X44h, 0X47h 등 소정의 서브코드 앞에 사용하는 접속 비트를 발생한다. 이 데이터 발생기(326)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의 접속 비트를 판별하는 판별부(334)가 접속되어 있다. 판별부(334)는 데이터 발생기(326)가 동기 신호와 서브코드 사이에 삽입되는 접속 비트의 패턴을 선택할 때, 상기 4개 접속 비트의 조합으로부터, EFM의 변환 규칙, 즉 최대 반전 간격 Tmax가 10이며 최소 반전 간격 Tmin이 2인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소정 비트가 항상 랜드로 되는 것을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4번째의 0X40h를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의 서브코드에 사용할 때를 도 3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6 중의 (A)에 나타낸 예에서는 동기 신호가 11T의 랜드에 뒤이어 11T의 피트가 형성되어 있다. CX40h의 서브코드는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이며 하위 3비트의〔100〕이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의사적으로 피트가 되도록 하기 위해, 항상 랜드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OX40h의 서브코드는 랜드로부터 시작되는 패턴일 필요가 있다. 한편, 이 동기 신호의 최후는 하위 2비트째의〔1〕에서 랜드로 반전하고 있다. 그래서, 데이터 발생기(326)는 동기 신호와 서브코드 사이의 접속 비트에, EFM의 변환 규칙을 만족시키면서, 0X40h의 서브코드가 랜드로부터 시작되도록 하는 접속 비트로서〔000〕을 선택한다.
아직, 도 36중의 (B)에 나타낸 예에서는, 동기 신호가 11T의 피트에 뒤이어 11T의 랜드가 형성되어 있다. 0X40h의 서브코드는 하위 3비트의 〔100〕이 항상 랜드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랜드로부터 시작되는 패턴일 필요가 있다. 한편, 이 동기 신호의 최후는 하위 2비트째의 〔1〕에서 피트로 반전하고 있다. 그래서, 데이터 발생기(326)는 동기 신호와 서브코드 사이의 접속 비트에, EFM의 변환 규칙을 만족시키면서, 0X40h의 서브코드가 랜드로부터 시작되도록 하는 접속 비트로서〔010〕을 선택한다.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68번째의 0X44h를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의 서브코드에 사용할 때를 도 3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7 중의 (A)에 나타낸 예에서는, 동기 신호가 11T의 랜드에 뒤이어 11T의 피트가 형성되어 있다. 또 0X44h의 서브코드는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이며 상위 9비트째로부터 11피트째의〔100〕이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의사적으로 피트가 되도록 하기 위해, 항상 랜드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0X44h의 서브코드는 피트로부터 시작되는 패턴일 필요가 있다. 한편, 이 동기 신호의 최후는 하위 2비트째의〔1〕에서 랜드로 반전하고 있다. 그래서, 데이터 발생기(326)는 동기 신호와 서브코드 사이의접속 비트에, EFM의 변환 규칙을 만족시키면서, 0X44h의 서브코드가 피트로부터 시작되도록 하는 접속 비트로서〔O10〕을 선택한다.
또 도 37 중의 (B)에 나타낸 예에서는, 동기 신호가 11T의 피트에 뒤이어 11T의 랜드가 형성되어 있다. 0X44h의 서브코드는 9비트째로부터 11비트째의〔100〕이 항상 랜드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피트로부터 시작되는 패턴일 필요가 있다. 한편, 이 동기 신호의 최후는 하위 2비트째의〔1〕에서 피트로 반전하고 있다. 그래서, 데이터 발생기(326)는 동기 신호와 서브코드 사이의 접속 비트에, EFM의 변환 규칙을 만족시키면서, OX44h의 서브코드가 피트로부터 시작되도록 하는 접속 비트로서〔000〕을 선택한다.
EFM 변환 테이블의 십진법으로 71번째의 0X47h를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의 서브코드에 사용할 때를 도 3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8 중의 (A) 및(B)에 나타낸 예에서는, 동기 신호가 11T의 랜드에 뒤이어 11T의 피트가 형성되어 있다. 0X47h의 서브코드는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이며 상위 9비트째로부터 11비트째의〔100〕이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의사적으로 피트가 되도록 하기 위해, 항상 랜드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0X47h의 서브코드는 피트로부터 시작되는 패턴일 필요가 있다. 한편, 이 동기 신호의 최후는 하위 2비트째의〔1〕에서 랜드로 반전하고 있다. 그래서, 데이터 발생기(326)는 동기 신호와 서브코드 사이의 접속 비트에, EFM의 변환 규칙을 만족시키면서, 0X47h의 서브코드가 피트로부터 시작되도록 하는 접속 비트로서〔010〕 또는 「O01」을 선택한다.
도 38 중의 (C)에 나타낸 예에서는, 동기 신호가 11T의 피트에 뒤이어 11T의랜드가 형성되어 있다. 또 0X47h의 서브코드는 상기 9비트째로부터 11비트째의〔100〕이 항상 랜드일 필요가 있어, 이를 위해서는, 피트로부터 시작되는 패턴일 필요가 있다. 한편, 이 동기 신호의 최후는 하위 2비트째의〔1〕에서 피트로 반전하고 있다. 그래서, 데이터 발생기(326)는 동기 신호와 서브코드 사이의 접속 비트에, EFM의 변환 규칙을 만족시키면서, 0X47h의 서브코드가 피트로부터 시작되도록 하는 접속 비트로서〔000〕을 선택한다.
이상과 같은 커팅 장치(321)에서는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록해야 할 표본화된 데이터가 입력 단자(322a)를 통해 A/D 컨버터(322)에 입력되면, A/D 컨버터(322)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323)에 출력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 회로(323)는 샘플에 크로스 인터리브와 4차의 리드ㆍ솔로몬 부호의 조합에 의한 부호화를 실시하여 변조 회로(324)에 출력한다. 변조 회로(324)는 데이터를 EFM 변조한다. 즉, 변조 회로(324)는 전술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EFM 변환 테이블에서 8비트로부터 14비트로 변환하여 데이터 발생기(326)에 출력한다. 서브코드 발생기(325)는 기록하는 데이터에 따른 어드레스 정보 등 8비트의 서브코드를 생성하고, 이것을 14비트로 변환하여 데이터 발생기(326)에 출력한다. 그리고 데이터 발생기(326)는 변조 회로(324)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서브코드 발생기(325)로부터 서브코드 등의 데이터가 입력되어 이들 데이터를 가산하고, 또 14비트의 블록 사이에 3비트의 접속 비트를 삽입하여 기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기록 데이터를 NRZI로 변조하여 광 변조기(328)에 출력한다.
한편, 레이저원(327)은 레이저 광을 출사하고, 레이저 광은 광 변조기(328)에 입력된다. 광 변조기(328)는 데이터 발생기(326)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레이저 광을 변조한다. 즉, 광 변조기(328)는 데이터 발생기(326)로부터 〔1〕이 입력되었을 때, 레이저 광을 변조한다. 광 변조기(328)에서 변조된 레이저 광은 미러(329)에 입사된다. 미러(329)는 레이저 광을 유리 원반(335)의 내외주에 걸쳐 주사할 수 있도록, 가동 기구(330)에 의해 이동된다. 레이저 광은 대물 렌즈(331)에 의해 집광 되고, 회전 구동부인 스핀들 모터(332)에 의해 CLV(Constant Linear Velocity) 등으로 회전되고 있는 유리 원반(335)에 조사된다. 이 때, 대물 렌즈(331)는 대물 렌즈 구동 기구(333)에 의해 레이저 광의 광축 방향으로 구동 변위되어 포커스 제어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식별 데이터 기록 공정에서 사용하는 광 디스크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340)도, 전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40, 140, 240)와 마찬가지로, 광 디스크(301)를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341)와, 광 디스크(3O1)에 대하여 광빔을 출사하여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픽업(342)과, 광 픽업(342)의 대물 렌즈의 포커싱 제어 및 트래킹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스핀들 모터(341)의 회전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서보 제어부(343)와, 광 픽업(342)으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RF 신호 등을 생성하는 RF 앰프(344)와, RF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클록을 생성하는 동기 신호 검출부(345)와, RF 신호로부터 서브코드를 추출하는 서브코드 추출부(346)와, 식별 데이터의 기록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347)와, EFM 변조되어 있는 14비트의 서브코드를 8비트로 복조하여 P~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하는 서브코드 복조부(348)를 구비한다.
도 39에 나타낸 데이터 기록 장치(340)는 또한 광 디스크(301)의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계로서, 식별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부(350)와, 광 디스크(301)에 기록하는 식별 데이터의 입력을 전환하는 전환부(349)와, 식별 데이터를 광 디스크(1)에 기록할 때의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기록 처리부(351)와, 광 픽업(42)이 출사하는 광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352)를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341)는 스핀들 축에 디스크 테이블이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 테이블은 광 디스크(3C1)의 센터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광 디스크(301)의 회전 중심과 스핀들 축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킨 센터링을 도모한 상태에서 클램프된다. 스핀들 모터(161)는 디스크 테이블과 일체적으로 광 디스크(301)를 회전한다.
광 픽업(342)은 광빔을 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집속하는 대물 렌즈, 광 디스크(301)의 반사막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 등을 구비한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은 대물 렌즈에 의해 집속 되어 광 디스크(301)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된다.
여기에서, 반도체 레이저는 출력 제어부(352)에 의해 레이저 출력이 제어되고 있다. 반도체 레이저는 출력 제어부(352)의 제어에 따라, 광 디스크(301)에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판독을 실행하고 있을 때, 표준적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하고,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때, 반사막을 녹여 열기록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재생시보다 높은 고출력 레벨로 광빔을 출사한다.
광 디스크(301)의 신호 기록면에서 반검된 귀환 광빔은 광 검출기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광 검출기는 이 전기 신호를 RF 앰프(344)에 출력한다. 대물 렌즈는 2축 액추에이터 등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되고,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RF 앰프(344)는 광 픽업(342)을 구성하는 광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RF 신호,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포커싱 에러 신호는 비점수차법 등에 의해 생성되며, 트래킹 에러 신호는 3빔법, 푸시풀법 등에 의해 생성된다. RF 앰프(344)는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서보 제어부(343)에 출력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345)는 RF 신호로부터,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시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서브코드를 디코드할 때의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345)는 동기 신호로부터 클록을 생성한다.
제어부(343)는 RF 앰프(344)로부터 입력된 포커스 에러 신호나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들 신호를 광 픽업(342)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된 대물 렌즈는 포커스 제어 신호나 트래킹 제어 신호에 따라,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제어부(343)는 동기 신호로부터 생성된 클록이 수정 발진기로부터의 기준 클록과 주파수, 위상과 동기하도록 회전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에 따라, 스핀들 모터(341)는 광 디스크(301)를 예를 들면 CLV로 회전한다.
서브코드 추출부(346)는 RF 앰프(34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 형성된 14비트의 서브코딩을 추출하여, 검출부(47)에 출력하는 동시에,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 서브코드 복조부(348)에 출력한다.
검출부(347)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위치가 랜드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347)는 도 36 내지 도 38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위치가 랜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검출부(347)는 그 검출 결과를 출력 단자(54)로부터 모니터 등에 출력하여 모니터에 에러 메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검출부(347)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위치 직전이 피트인 때, 기록 위치가 랜드라고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서브코드 복조부(348)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서브코드를,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데이터로부터 8비트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서브코드 복조부(348)는 98 프레임으로 1블록을 구성하고, P, Q, R, S, T, U, V, 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즉, 서브코드 복조부(348)는 P1~W1로부터 P96~W96, 즉 96비트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서브코드 복조부(348)는 서브코드로부터 추출한 어드레스 정보 등을 제어부(343)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43)는 광 픽업(342)을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변조부(350)는 입력 단자(353)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를 소정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전환부(349)를 통해 기록 처리부(351)에 출력한다. 전환부(349)는 검출부(347)으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전환된다. 즉, 검출부(347)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위치가 랜드일 때, 전환부(349)를 온으로 하여, 변조부(350)에서 변조된 식별 데이터를 기록 처리부(351)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검출부(347)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위치가 오프일 때, 전환부(349)를 오프로 하여, 변조부(350)에서 변조된 식별 데이터가 기록 처리부(351)에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기록 처리부(351)는 광 디스크(301)에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기록 처리를 실행하고, 기록 처리를 실행한 데이터를 광 픽업(342)에 출력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기록 장치(340)의 식별 데이터 기록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이용자에 의해 식별 데이터의 기록 버튼이 눌려지면, 데이터 기록 장치(340)는 스핀들 모터(341)를 구동하여, 디스크 장착부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광 디스크(301)를 선속도 일정하게 회전한다. 이와 함께, 광 픽업(342)은 광빔을 광 디스크(301)에 조사한다. 이 때, 출력 제어부(352)는 광 픽업의 반도체 레이저를,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하도록 제어한다. 광 픽업(342)은 제어부(343)에 의해 포커싱 및 트래킹 서보 제어가 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340)는 도 4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텝 S301에서, 식별 데이터를 소정 영역에 기록하기 위해, 제어부(343)가 서브코드 복조부(348)가 복조한 서브코드의 TOC 등에 따라 광 픽업(342)을,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트랙 점프시킨다. 이어서, 데이터 기록 장치(340)는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의 서브코드를서브코드 추출부(346)에서 추출하여 14비트의 데이터를 검출부(347)에 출력한다. 스텝 S302에서, 검출부(347)는 도 36 내지 도 38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위치가 랜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검출부(347)는 기록 위치가 랜드일 때, 스텝 S303에서, 전환부(349)를 온으로 하고, 피트일 때, 스텝 S304에서, 전환부(349)를 오프로 하고, 다음을 서치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입력 단자(353)로부터 식별 데이터가 입력되면, 변조부(350)는 식별 데이터를 소정 방식으로 변조한다. 검출부(347)가 전환부(349)를 온으로 하고 있을 때, 변조부(350)는 전환부(349)를 통해 기록 처리부(351)에 변조한 식별 데이터를 출력한다. 기록 처리부(351)는 광 픽업(342)에 출력한다.
그리고,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은 Q 채널 서브코드의 ADR에 있는 식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특정하도록 해도 되고,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특정하고 장치를 식별 데이터에 기록 모드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 출력 제어부(352)는 식별 데이터를 반사막을 녹임으로써 열기록하기 위해, 반도체 레이저의 출력을 표준 레벨로부터 고레벨로 전환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340)는 전술한 도 4에 나타낸 Q 채널의 서브코드 기록 영역, 즉 UDI index의 하위 4비트로부터 CRC까지의 84비트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UDI index의 하위 4비트에 기록 가능 시간이나 기록 완료 시간 등을 기록하고, 이어서, 56비트의 UDI payload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어서, 8비트의 AFRAME에 프레임 번호 등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고, 이어서, 16비트의CRC에 에러 정정 부호를 기록한다.
여기에서, 이들 데이터의 기록 방법을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도면에 나타낸 예는 도 9 (D)나 도 38에 나타낸 0X47h를 0X07h로 하는 것이다.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에 있어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의 패턴 A는 도 41 중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2 4비트의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000〕의 접속 비트가 삽입되고, 이어서, 〔00100100100100〕(0X47h)의 서브코드가 기록되고, 이어서, 〔100〕의 접속 비트가 기록되어 있다. 광 디스크(1)에는 11T 길이의 비트 P1에 뒤이어, 11T의 랜드 L1이 형성되고, 이어서, 7T의 피트 P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피트 P3으로부터 피트 P4에 걸쳐 고출력의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열기록을 실행함으로써, 랜드 L3의 위치에 의사적으로 피트 P3과 피트 P4에 연속되는 피트를 형성하고, 도 41 중의 (B)에 나타낸 기록 후의 패턴 A와 같이 한다. 즉, 기록 후의 패턴 A에는 서브코드의 영역에, 〔00100100000000〕(0X07h)의 패턴이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301)에는 11T 길이의 피트 P11에 뒤이어, 11T의 랜드 L11이 형성되고, 이어서, 7T의 피트 P1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12가 형성되고, 이어서, 9T의 피트 P13 형성되게 된다.
프레임 동기 신호의 패턴이 상기예와 역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41 중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별 데이터 기록 전의 패턴 B는 24비트의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O01〕의 접속 비트가 삽입되고, 이어서,〔00100100100100〕(0X47h)의 서브코드가 기록되고, 이어서, 〔100〕의 접속 비트가 기록되어 있다. 광 디스크(301)에는 11T 길이의 랜드 L21에 뒤이어, 11T의 피트 P21이 형성되고, 이어서, 4T의 랜드 L2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2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23이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24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40)는 피트 P23로부터 피트 P24에 걸쳐 고출력의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막을 녹이고 열기록을 실행함으로써, 랜드 L24의 위치에 의사적으로 피트 P23과 피트 P24에 연속되는 피트를 형성하여, 도 41중의 (D)에 나타낸 기록 후의 패턴 B와 같이 한다. 즉, 기록 후의 패턴 B에는 서브코드의 영역에, 〔00100100000000〕( 0X07h)의 패턴이 기록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301)에는 11T 길이의 랜드(31)에 뒤이어, 11T의 피트 P31이 형성되고, 이어서, 4T의 랜드 L3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피트 P32가 형성되고, 이어서, 3T의 랜드 L33이 형성되고, 이어서, 9T의 피트 P33이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340)는 고출력 광빔의 온오프에 의해 식별 데이터에 따른 피트와 랜드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고, Q 채널의 서브코드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서브코드 중의 어드레스 정보 등으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으로 특정하고, 이 특정한 영역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데이터 기록 장치(340)에 의해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1)의 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360)에 대하여,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360)도 전술한 데이터 재생 장치(60, 160, 260)와 마찬가지로,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301)를 회전하는 스핀들 모터(361)와, 광 디스크(301)에 대하여 광빔을 출사하여 반사된 귀환 광빔을 검출하는 광 빅 업(362)과, 광 픽업(362)의 대물 렌즈의 포커싱 제어 및 트래킹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스핀들 모터(361)의 회전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363)와, 광 픽업(362)으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RF 신호 등을 생성하는 RF 앰프(364)와, RF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클록을 생성하는 동기 신호 검출부(365)와, 컨텐츠 데이터 등 EFM 변조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366)와,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는 에러 정정 처리부(367)를 구비한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RF 신호로부터 서브코드를 추출하는 서브코드 추출부(368)와, EFM 변조되어 있는 14비트의 서브코드를 8비트로 복조하여 P~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하는 서브코드 복조부(369)와, 서브코드 중 식별 데이터의 재생 모드를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검출하는 검출부(370)와, 광 디스크(1)에 기록하는 식별 데이터의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부(371)와,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372)를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361)는 전술한 각 데이터 재생 장치의 디스크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디스크 테이블에 센터링을 도모하여 광 디스크(301)를 장착하고, 이 광 데스크(301)를 회전 조작한다.
광 픽업(362)도, 전술한 데이터 재생 장치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대물 렌즈에 의해 집속하여 광 디스크(301)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하는 동시에, 광 디스크(301)의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된 귀환 광빔을 광 검출기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RF 앰프(264)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반도체 레이저는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할 때,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한다. 대물 렌즈는 2축 액추에이터 등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되고,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RF 앰프(364)는 광 픽업(362)을 구성하는 광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RF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포커스 에러 신호는 비점수차법 등에 의해 생성되며, 트래킹 에러 신호는 3빔법, 푸시풀법 등에 의해 생성된다. 그리고, RF 앰프(64)는 RF 신호를 EFM 변조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복조부(66)에 출력하는 동시에,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제어부(363)에 출력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365)는 RF 신호로부터 도 1에 나타낸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시에, 전술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서브코드를 디코드 할 때의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동기 신호 검출부(365)는 동기 신호로부터 클록을 생성한다.
제어부(363)는 RF 앰프(364)로부터 입력된 포커스 에러 신호나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포커싱 서보 신호나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들 신호를 광 픽업(362)의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대물 렌즈 구동 기구에 지지된 대물 렌즈는 포커스 에러 신호나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 및 대물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제어부(363)는 동기 신호로부터 생성한 클록이 수정 발진기로부터의 기준 클록과 주파수, 위상과 동기하도록 회전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에 따라, 스핀들 모터(361)는 광 디스크(301)를 예를 들면 CLV로 회전한다.
복조부(366)는 EFM의 알고리즘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를 복조한다. 구체적으로, 복조부(366)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기록 부호 계열을 8비트 계열의 데이터 비트로 변환한다. 에러 정정 처리부(367)는 복조된 기록 데이터를 CIRC 등의 알고리즘에 따라 복조하여 출력 단자(373)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기록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일 때, 출력 단자(373)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으로부터 출력된다.
서브코드 추출부(368)는 RF 앰프(36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뒤이어 형성된 14비트의 서브코딩을 추출하여 서브코드 복조부(369)에 출력한다. 서브코드 복조부(369)는 EFM 변환 테이블에 따라, 14비트의 데이터를 8비트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서브코드 복조부(369)는 98 프레임으로 1 블록을 구성하고, P, Q, R, S, T, U, V, W 채널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서브코드 복조부(369)는 P1~W1로부터 P96~W96, 즉 96비트의 서브코드를 생성한다.
검출부(370)는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370)는 Q 채널의 ADR로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을 특정한다. 검출부(370)는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를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검출했을 때, 전환부(371)를 온으로 하고, 서브코드 추출부(368)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부(372)에 출력한다. 검출부(370)는 식별 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를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검출할 수 없었을 때,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 아닌 것으로 하여, 서브코드 추출부(368)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가 복조부(372)에 입력되지 않도록 전환부(371)를 오프로 한다.
그리고, 검출부(370)는 서브코드의 R~W 채널을 검출하고, 이것이 메모리에 보존되고다 고정값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을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즉, 검출부(370)은 도 9 (A)인 때 R~W 채널이〔000000〕인지, 도 9 (C)인 때 R~W 채널이〔000100〕인지, 도 9 (D)인 때 R~W 채널이〔000111〕인지를 검출한다. 검출부(370)는 서브코드 복조부(369)로부터 입력된 R~W 채널의 데이터가 고정값일 때, 전환부(371)를 온으로 하여 서브코드 추출부(368)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부(372)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검출부(370)는 서브코드 복조부(369)로부터 입력된 R~W 채널의 데이터가 고정값이 아닐 때,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 아닌 것으로 하여, 서브코드 추출부(368)로부터 입력된 식별 데이터가 복조부(372)에 입력되지 않도록 전환부(371)를 오프로 한다.
식별 데이터 복조부(372)는 서브코드 복조부(369)로부터 전환부(371)를 통해 Q 채널의 서브코드가 입력된다. 식별 데이터 복조부(372)는 도 4에 나타낸 UDI index에 기록된 기록 완료 시간 등을 참조하여, UDI payload에 기록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고, 또한 CRC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여 출력 단자(374)에 출력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데이터 재생 장치(360)의 데이터 판독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용자에 의해 재생 버튼이 눌려지면,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스핀들 모터(361)를 구동하여, 디스크 장착부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광 디스크(301)를 선속도 일정하게 회전한다. 이와 함께, 광 픽업(362)은 광빔을 광 디스크(1)에 조사한다. 이 때, 반도체 레이저는 표준적인 출력으로 광빔을 출사한다. 광 픽업(362)은 제어부(363)에 의해 포커싱 및 트래킹 제어가 실행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도 4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텝 S311에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에 액세스하여 서브코드를 서브코드 추출부(368)에서 추출하고, 서브코드 복조부(369)에서 복조한다. 스텝 S312에서, 검출부(370)는 서브코드의 Q 채널을 판독하여, 적어도 도 4에 나타낸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인지를 판단한다. 이것은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광 디스크(301)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반사막을 녹여 의사적으로 피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Q 채널의 프레임 모두가 기록 가능 영역일 때는, Q 채널의 서브코드가 모두〔1〕인지를 판정하면 된다.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일 때, 스텝 S31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때, 스텝 S314로 진행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일 때, 스텝 S313에서, 전환부(371)를 오프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판독을 금지하고, 광 디스크(30l)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 등의 재생을 금지한다. Q 채널의 기록 가능영역이 모두〔1〕인 광 디스크(301)는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광 디스크이며,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에 부정하게 반포된 것이다.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이 아닐 때, 스텝 S314에서, 검출부(370)에서 Q 채널의 ADR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인 것을 검출하면,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는 재생 모드로 한다. 이어서, 스텝 S315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여 복조하고, 이어서, 예를 들면 광 디스크(30l)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허가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Q 채널의 기록 가능 영역이 모두〔1〕인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식별 데이터의 기록 전에 부정하게 반포된 광 디스크의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광 디스크(301)의 보호막이나 반사막을 벗겨 디스크 기판의 요철의 피트 패턴을 전사하여 제조한 스탬퍼를 사용하여 제조된 부정한 광 디스크의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 식별 데이터는 반사막을 녹여 의사적으로 비트를 형성함으로써 기록되며, 요철의 패턴이 아니기 때문에 스탬퍼에 전사되는 일은 없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텝 S321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검출부(37C)에서 Q 채널의 ADR로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인 것을 검출하면,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는 재생 모드로 한다. 스텝 S322에서,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검출부(370)에서 서브코드의 R~W 채널을 추출하여, 광 디스크(301)로부터 판독한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소정의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9(D)에 나타낸 OX47h와 0X07h의 조합을 사용하고 있을 때, 검출부(370)는 R~W 채널의 서브코드가〔00011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60)는 검출부(370)가 고정값이다, 즉 R~W 채널의 서브코드가〔000111〕이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 S323으로 진행하고, 고정값이 아닌, 즉 R~W 채널의 서브코드가〔000111〕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 S24로 진행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검출부(370)가 R~W 채널의 서브코드는 고정값이라고 판단하면, 스텝 S323에서, 예를 들면, 현재 장착되어 있는 광 디스크(301)는 정당한 디스크라고 하여, 전환부(371)를 온으로 하고, 식별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서브코드 복조부(369)로부터 전환부(371)를 통해 Q 채널의 서브코드가 입력되면, 식별 데이터 복조부(372)는 도 4에 나타낸 UDI index에 기록된 기록 완료 시간 등을 참조하여, UDI payload에 기록된 식별 데이터를 복조하고, 또한 CRC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여 출력 단자(74)에 출력한다. 그리고,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예를 들면, 광 디스크(1)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360)는 검출부(370)가 R~W 채널의 서브코드가 고정값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스텝 S324에서, 예를 들면 현재 장착되어 있는 광 디스크(301)는 정당한 디스크가 아닌 또는 종류가 상이한 광 디스크로 하고, 전환부(371)를 오프로 하여 식별 데이터의 판독을 금지하고, 예를 들면 광 디스크(301)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처리 등 이후의 처리를 금지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부정하게 반포된 광 디스크나 종류가 상이한 광 디스크의 재생을제한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301)는 도 1에 나타낸 서브코딩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있어서, 도 36 내지 도 38에 나타낸 것과 같이, EFM의 변환 규칙, 즉 최대 반전 간격 Tmax가 10이며 최소 반전 간격 Tmin가 2인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소정의 비트가 항상 랜드로 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광 디스크(301)에서는 항상 소정 랜드를 피트로 반전시키도록 하여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식별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는, 식별 데이터의 기록 위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출력을 전환하도록 하면 되어 제어가 간단해 진다. 이 식별 데이터는 요철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피트나 랜드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반사막을 녹여 광빔을 반사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광 디스크(301)의 보호막이나 반사막을 벗겨 디스크 기판의 요철의 피트 패턴을 전사하여 제조한 스탬퍼를 사용하여 제조된 부정한 광 디스크에는 식별 데이터가 전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무분별한 자에 의해 제조된 이와 같은 광 디스크의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 이 광 디스크에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이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이상의 예에서는, 이 밖에, 8-16 변조, 8-10 변조 등 M 비트의 블록을 N(M<N) 비트로 변환하는 변환 방식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채널은 Q 채널 이외라도 되며, 고정값도 R∼W 채널의 서브코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8비트 계열에서 Q 채널의 〔1〕을 〔0〕으로 변환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0〕을〔1〕로 변환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상의 예에서는, 피트 패턴을 디스크 기판에 형성하여 컨텐츠 데이터 등을 기록한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에 식별 데이터를 추기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로서는 컨텐츠 데이터 등을 추기형이나 재기입형의 광 디스크에 기록해 두고, 여기에 다시 식별 데이터를 반사막을 녹여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 치환 또는 그 동등의 것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발명은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 기록 매체에 다시 데이터를 추가로 기록하는 데 있어서, 추가로 기록되는 데이터를,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N 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기록하므로, 기존의 포맷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이미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에, 컨텐츠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가 데이터로서 기록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기록 매체마다 기록되어 컨텐츠 데이터 등 주데이터의 확실한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2)

  1.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 기록 매체에,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추가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가 피트부와 상기 피트부 사이의 랜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凹凸)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상기 랜드부를 피트부로 변화시킴으로써 추가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킴으로써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주데이터와 서브코드 데이터가 상기 N비트 데이터로 변조되어 기록되며, 상기 임의 비트는 상기 서브코드 데이터에 관한 비트인 기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기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접속 비트를 포함하는 기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가 피트부와 상기 피트부 사이의 랜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접속 비트를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기록하는 영역이 랜드가 되도록 선택하는 기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상기 랜드부를 피트부로 변화시킴으로써 추가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기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킨 결과 0×47h와 0×07h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킨 결과 0×44h와 0×04h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록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킨 결과 0×40h와 0×00h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록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가 피트부와 상기 피트부 사이의 랜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임의 비트가 변화된 상기 N비트의 데이터와, 상기 N비트의 데이터에 후속되는 N비트의 데이터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 비트를 랜드부로부터 피트부, 또는 피트부로부터 랜드부로 변화하도록 선택하는 기록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상기 랜드부를 피트부로 변화시킴으로써 추가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기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접속 비트로서 [000] 이외의 패턴을 선택하는 기록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접속 비트로서 [100]의 패턴을 선택하는 기록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N비트의 나머지 데이터 부분이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N비트의 나머지 패턴이 상기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임의 비트의 데이터를 변화시키도록 기록을 실행하는 기록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N비트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고정값이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기록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 기록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N비트의 나머지 패턴이 상기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임의 비트의 데이터를 변화시켜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주데이터와 서브코드 데이터가 상기 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되어 기록되며, 상기 임의 비트는 상기 서브코드 데이터에 관한 비트인 기록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임의 비트가 소정의 값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임의 비트가 소정의 값인 때에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
  25.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피트부와 상기 피트부 사이의 랜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된 기록 매체를 주사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식별 데이터의 기록을 실행하는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식별 신호에 기록을 위한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출력 데이터를 상기 헤드부에 공급하는 신호 처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상기 랜드부를 피트부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주데이터과 서브코드 데이터가 상기 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되어 기록되며, 상기 임의 비트는 상기 서브코드 데이터에 관한 비트인 기록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기록 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접속 비트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접속 비트를 상기 임의 비트로 변화시켜 기록하는 영역이 랜드로 이루어지도록 선택하는 기록 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상기 랜드부를 피트부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기록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킨 결과 0×47h와 0×07h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록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킨 결과 0×44h와 0×04h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록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킨 결과 0×40h와 0×00h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록 장치.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에는 상기 임의 비트가 변화된 상기 N비트의 데이터와, 상기 N비트의 데이터에 후속되는 N비트의 데이터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 비트를 랜드부로부터 피트부, 또는 피트부로부터 랜드부로 변화하도록 선택하는 기록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상기 랜드부를 피트부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기록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접속 비트로서 [000] 이외의 패턴을 선택하는 기록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접속 비트로서 [100]의 패턴을 선택하는 기록 장치.
  4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비트의 나머지 데이터 부분이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N비트의 나머지 패턴이 상기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임의 비트의 데이터를 변화시키도록 기록을 실행하는 기록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비트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에 따라 전환되는 전환 회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회로부는 상기 N비트의 나머지 패턴이 상기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 상기 식별 데이터의 상기 신호 처리부에 입력되도록 전환되는 기록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비트의 나머지 데이터 부분이 상기 고정값이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기록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 기록 장치.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비트의 나머지 패턴이 상기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때에는 상기 임의 비트의 데이터를 변화시켜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주데이터와 서브코드 데이터가 상기 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되어 기록되며, 상기 임의 비트는 상기 서브코드 데이터에 관한 비트인 기록 장치.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 비트가 소정의 값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임의 비트가 소정의 값인 때에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4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식별 데이터 기록 위치가 랜드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록 위치가 랜드부라고 검출되었을 때 상기 식별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
  49.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며,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데이터 중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추출된 N비트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에러 없음으로 판단하는
    재생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킴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재생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주데이터와 서브코드 데이터가 상기 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되어 기록되며, 상기 임의 비트는 상기 서브코트 데이터에 관한 비트인 재생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재생 방법.
  5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유지되어 있는 고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고정값과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재생 방법.
  54.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며,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데이터 중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추가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유지되고 있는 고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고정값과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재생 방법.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이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기록 매체의 재생을 금지하는 재생 방법.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이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다음의 N비트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재생 방법.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 또는 비트를 변화시킴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재생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주데이터와 서브코드 데이터가 상기 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되어 기록되며, 상기 임의 비트는 상기 서브코드 데이터에 관한 비트인 재생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재생 방법.
  61.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며,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상기 임의 비트가 소정의 값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임의 비트가 상기 소정의 값이 아닌 때에는 상기 추가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임의 비트가 상기 소정의 값인 때에는 상기 추가로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금지하는 재생 방법.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임의 비트가 상기 소정의 값인 때에는 상기 기록 매체의 재생을 금지하는 재생 방법.
  64.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킴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재생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주데이터와 서브코드 데이터가 상기 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되어 기록되며, 상기 임의 비트는 상기 서브코드 데이터에 관한 비트인 재생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재생 방법.
  67.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며,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가 고정되도록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중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추가로 기록되는 데이터를 상기 복조부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재생 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값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고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고정값과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재생 장치.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이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기록 매체의 재생을 금지하는 재생 장치.
  70.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고정값이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다음의 N비트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재생 장치.
  71.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킴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재생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주데이터와 서브코드 데이터가 상기 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되어 기록되며, 상기 임의 비트는 상기 서브코드 데이터에관한 비트인 재생 장치.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재생 장치.
  74. M비트의 데이터를 N(M<N)비트 데이터로 변조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며,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상기 N비트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의 비트를 고정시키도록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가 피트부와 상기 피트부 사이의 랜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는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상기 랜드부를 피트부로 변화시킴으로써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는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임의 비트를 변화시킴으로써 식별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79.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주데이터와 서브코드 데이터가 상기 N비트의 데이터로 변조되어 기록되며, 상기 임의 비트는 상기 서브코드 데이터에 관한 비트인 기록 매체.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기록 매체.
  81.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접속 비트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가 피트부와 상기 피트부 사이의 랜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 비트를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켜 기록하는 영역이 랜드가 되도록 선택되는 기록 매체.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는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상기 랜드부를 피트부로 변화시킴으로써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기록 매체.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킨 결과 0×47h와 0×07h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록 매체.
  86.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킨 결과 0×44h와 0×04h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록 매체.
  87.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임의 비트를 변화시킨 결과 0×40h와 0×00h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록 매체.
  88.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는 상기 N비트의 데이터가 피트부와 상기 피트부 사이의 랜드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임의 비트가 변화된 상기 N비트의 데이터와, 상기 N비트의 데이터에 후속되는 N비트의 데이터 사이에 위치하는 사이 접속 비트는 랜드부로부터 피트부, 또는 피트부로부터 랜드부로 변화되도록 선택되는 기록 매체.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상기 N비트 데이터의 상기 랜드부를 피트부로 변화시킴으로써 추가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의 데이터는 상기 M비트의 데이터가 8-14 변조된 데이터인 기록 매체.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비트는 [000] 이외의 패턴이 선택되는 기록 매체.
  92.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비트는 [100]의 패턴이 선택되는 기록 매체.
KR1020037008633A 2001-10-31 2002-10-25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및 생성 장치 KR100898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5406 2001-10-31
JP2001335406A JP3585881B2 (ja) 2001-10-31 2001-10-31 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1345330A JP3803704B2 (ja) 2001-11-09 2001-11-09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JPJP-P-2001-00345330 2001-11-09
PCT/JP2002/011109 WO2003038822A1 (fr) 2001-10-31 2002-10-25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enregistreur, et procede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395A true KR20040044395A (ko) 2004-05-28
KR100898131B1 KR100898131B1 (ko) 2009-05-19

Family

ID=2662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633A KR100898131B1 (ko) 2001-10-31 2002-10-25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및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24423B2 (ko)
EP (1) EP1441343A4 (ko)
KR (1) KR100898131B1 (ko)
CN (1) CN100431028C (ko)
AU (1) AU2002344416B2 (ko)
RU (1) RU2300149C2 (ko)
WO (1) WO2003038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1310A1 (en) * 2004-10-22 2006-05-11 Nimrod Diamant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integrity of software programs
US9053323B2 (en) * 2007-04-13 2015-06-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usted component update system and method
JP4631901B2 (ja) * 2007-12-11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専用型光ディスク媒体の製造方法、再生専用型光ディスク媒体
TWI440021B (zh) * 2012-03-09 2014-06-01 Sunplus Technology Co Ltd 資料擷取裝置與方法
DK3217401T1 (da) * 2016-03-10 2017-12-11 Joanneum Res Forschungsgmbh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analogt audiolagringsmedium med høj opløsning
RU196327U1 (ru) * 2019-04-26 2020-02-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ехатроника-Томск" Сервоконтролле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745B2 (ja) 1994-07-08 2000-02-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変復調方法,その装置,記録媒体,その製造方法
JPH08149013A (ja) * 1994-11-17 1996-06-07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ジタル変復調方法及びその装置
JP2778617B2 (ja) 1994-08-29 1998-07-2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変復調方法,その装置,記録媒体,その製造方法
JP3457093B2 (ja) 1995-04-14 2003-10-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媒体並びにデジタル変復調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081785A (en) * 1995-10-09 2000-06-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optical recorder, optical reproducer, cryto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license system
EP1005035B1 (en) * 1995-10-09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 optical disk and an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JP3962439B2 (ja) * 1996-06-21 2007-08-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WO1998008180A2 (en) * 1996-08-05 1998-02-26 T.T.R. Technologies Ltd. Digital optical media authentication and copy protection method
AU7362198A (en) * 1997-05-16 1998-12-08 Imation Corp. Arrangement for preventing use of unauthorized duplicates of a data storage medium using subcode and method therefor
US6104679A (en) * 1998-10-01 2000-08-15 T.T.R. Technologies Ltd. Method for determining an unauthorized copy of an optical disc
US6177892B1 (en) * 1998-12-31 2001-01-23 Oak Technology, Inc. EFM/DVD demodulator
EP1181689B1 (en) * 1999-05-11 2004-03-10 Macrovision Corporation Methods for Recording and Reading Data from a Compact Disk, and a Compact Disk Player
JP3292298B2 (ja) * 1999-07-14 2002-06-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4239314B2 (ja) * 1999-09-06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402315B2 (ja) * 2000-04-12 2010-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
JP2002109835A (ja) 2000-09-28 2002-04-12 Victor Co Of Japan Ltd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JP2002124034A (ja) 2000-10-18 2002-04-26 Sony Corp 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光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1343A1 (en) 2004-07-28
WO2003038822A1 (fr) 2003-05-08
CN1529886A (zh) 2004-09-15
EP1441343A4 (en) 2008-07-16
AU2002344416A1 (en) 2003-05-12
RU2003119452A (ru) 2005-02-20
KR100898131B1 (ko) 2009-05-19
US20040052190A1 (en) 2004-03-18
CN100431028C (zh) 2008-11-05
AU2002344416B2 (en) 2009-01-08
US7324423B2 (en) 2008-01-29
RU2300149C2 (ru) 2007-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8842C2 (ru) Дисковы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вода диска 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US8345525B2 (en) Disc recording medium, disk drive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and disk manufacturing method
US8320225B2 (en) Reproduction-only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disk manufacturing method
KR100812819B1 (ko)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와 액세스방법및 장치
KR20040081709A (ko) 데이터 기록 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데이터재생 방법 및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
JP2001167562A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判別方法
KR100801508B1 (ko)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
KR100898131B1 (ko)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및 생성 장치
JP3585881B2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KR100888785B1 (ko)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과 데이터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US7272098B2 (en)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y of affecting a digital sum variance
JP4089205B2 (ja) マス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
JP3955289B2 (ja) データ記録媒体
JP4089207B2 (ja) マスタリング装置、原盤の製造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
JP3803704B2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