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172A - 토크센서 및 토크센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토크센서 및 토크센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172A
KR20040044172A KR1020030082420A KR20030082420A KR20040044172A KR 20040044172 A KR20040044172 A KR 20040044172A KR 1020030082420 A KR1020030082420 A KR 1020030082420A KR 20030082420 A KR20030082420 A KR 20030082420A KR 20040044172 A KR20040044172 A KR 2004004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agnetic
preventing member
leakage preventing
detec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타니노리오
사나다타카히로
나카지마테루카즈
야마모토마사유키
후쿠이나오키
Original Assignee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파인신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파인신타 filed Critical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17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3/105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involving induct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비용 및 조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토크센서의 제공를 목적으로 하며, 이에 따른 토크센서는 자성재로된 제1샤프트와; 그 제1샤프트에 탄성적으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샤프트와; 그 제1샤프트의 외주를 덮는 합성수지의 비자성재된 통형상 자기누설방지부재와; 그 자기누설방지부재의 둘레를 덮는 자성재로된 제1검출통과; 그 제2샤프트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일체화되는 동시에 그 제1검출통의 일단에 일단이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자성재로된 제2검출통과; 그 제1검출통의 일단과 제2검출통의 일단을 통과하는 자속을 발생하는 것으로 제1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제1코일을; 구비하고, 그 제1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는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의 전달토크변화에 의한 탄성적인 상대회전량에 따라서 변화하며, 그 자기누설 방지부재는 제1샤프트가 제1검출통에 삽입된 상태로 주입되어, 이 제1샤프트와 제1검출통이 자기누설 방지부재에 일체화 된다.

Description

토크센서 및 토크센서 제조방법{TORQU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ORQUE SENSOR}
본 발명은 예를들면 조타토크에 따른 조타보조력을 부여하는 파워 스티어링장치에서 그 조타토크를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토크센서 및 이 토크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종래의 토크센서(101)는 자성재로된 제1샤프트(102)에 제2샤프트(103)가 탄성적으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샤프트(102)의 외주는 비자성재로된 자기누설 방지부재(104)에 의해 덮이고, 자기누설 방지부재(104)의 외주는 자성재로된 제1검출통(105)에 의해 덮인다. 제2샤프트(103)에 자성재로된 제2검출통(106)이 함께 회전가능하게 일체화되고, 제1샤프트(102)에 자성재로된 제3검출통(107)이 함께 회전가능하게 일체화된다. 제1검출통(105)의 일단과 제2검출통(106)의 일단은 상호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제1검출통(105)의 타단과 제3검출통(107)은 상호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제1검출통(105)의 일단과 제2검출통(106)의 일단을 통과하는 자속을 발생하는 것으로 제1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제1코일(108)과, 제1검출통(105)의 타단과 제3검출통(107)의 일단을 통과하는 자속을 발생하는 것으로 제2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제2코일(109)이 하우징(110)에 의해 유지된다. 제1검출통(105)의 일단, 제2검출통(106)의 일단, 및 제3검출통(107)의 일단은 둘레방향을 따라서 병렬하는 복수의 이빨에 의해 구성되고, 제1검출통(105)의 타단은 평탄면이 된다. 이것에 의해 제1자기회로에서 통과자속에 대한 자속저항은 양 샤프트(102)(103)의 탄성적인 상대회전량에 따라서 변화하고, 제2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자기저항)는 양 샤프트(102)(103)의 탄성적인 상대회전량에 따라서는 변화하지 않는다. 제1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자기저항)변화는 양 샤프트(102)(103)의 탄성적인 상대회전량에 따라서 변화하므로 양 샤프트(102)(1030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에 대응한다. 제2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 변화는 온도변동에 대응한다. 이것에 의해 제1자기회로에서의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변화에 대응하는 값과 제2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변화에 대응하는 값과의 편차에 기초하여 양샤프트(102)(103)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구한 것이므로 검출토크의 온도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이 자기누설 방지부재(104)에 의해 제1검출통(105)으로부터 제1샤프트(102)로의 자기누설을 방지하는 것으로 검출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타입의 토크센서(101)에 있어서는 자기누설 방지부재(104)는 제1샤프트(102)에 결합되고, 제1검출통(105)은 자기누설 방지부재(104)에 결합되며, 제1검출통(105)과 자기누설 방지부재(104)는 핀(120)에 의해 제1샤프트(102)에 일체화 되었다(일본 실개평3-48740호 참조).
이와 같은 종래 토크센서(101)에서는 제1검출통(105)의 내주구멍의 마무리가공, 제1검출통(105), 자기누설 방지부재(104) 및 제1샤프트(102)에 대한 핀구멍가공, 그 핀구멍에 대한 핀(120)의 압입이 필요하여 가공비용, 조립비용이 증대하는 원인이 됩니다.
또, 검출토크의 온도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제1검출통(105)의 일단과 제2검출통(106)의 일단 사이의 간극, 및 제1검출통(105)의 타단과 제3검출통(107)의 일단 사이의 간극을 고정밀도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제1검출통(105) 및 자기누설 방지부재(104)의 가공비용, 조립비용이 증대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토크센서 및 그 토크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센서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센서의 제1샤프트, 제2검출통, 제3검출통, 자기누설 방지부재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토크센서에서의 검출회로의 구성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예의 토크센서에서의 제1샤프트, 제1검출통, 제3검출통, 자기누설 방지부재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예의 토크센서에서의 제1샤프트, 제1검출통, 제3검출통, 자기누설 방지부재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변형예의 토크센서에서의 제1샤프트, 제1검출통, 제3검출통, 자기누설 방지부재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변형예의 토크센서에서의 제1샤프트, 제1검출통, 제3검출통, 자기누설 방지부재의 종단면도.
*부호의 설명*
1. 토크센서
3. 제1샤프트
4. 제2샤프트
12 자기누설 방지부재
12' 환상돌출부
12" 돌조
13 제1검출통
14 제2검출통
15 제3검출통
16 제1코일
18 제2코일
61 둘레방향홈(축방향 변위규제부)
62 축방향홈(둘레방향 변위규제부)
도 1에 도시한 토크센서(1)는 차량의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2)과, 조타토크를 전달하는 토크전달 샤프트S를 구비하고, 그 토크전달샤프트S는 자성재로된 제1샤프트(3)와 자성재로된 제2샤프트(4)를 구비한다.
제1샤프트(3)는 하우징(2)에 의해 베어링(5)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도면 외의 스티어링 호일에 접속된다. 제2샤프트(4)는 하우징(2)에 의해 베어링(6)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티어링 샤프트를 통해서 자동차의 차륜에 접속된다. 제1샤프트(3)와 제2샤프트(4)의 중심구멍에 삽입된 토션바(8)는 일단측이 제1샤프트(3)에 핀(9)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측이 제2샤프트(4)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핀 등에 의해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2샤프트(4)는 제1샤프트(3)에 동축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샤프트(4)의 외주에 웜 호일(10)이 부착되고, 이 웜호일(10)에 치합되는 웜(11)이 하우징(2)에 부착되는 조타보조력 발생용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된다.
제1샤프트(3)의 외주는 비자성재로된 통형상 자기누설 방지부재(12)에 의해 덮여있다. 자기누설 방지부재(12)의 외주는 자성재로된 제1검출통(13)에 의해 덮여있다. 제2샤프트(4)의 외주에 자성재로된 제2검출통(14)이 압입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제1샤프트(3)의 외주에 자성재로된 제3검출통(15)이 압입에 의해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일체화된다. 또, 제1검출통(13)의 일단은 제2검출통(14)의 일단에 간극δ1을 두고 대향 하도록 배치되어 있고,제1검출통(13)의 타단은 제3검출통(15)의 일단에 간극δ2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검출통(13)의 일단, 제2검출통(14)의 일단, 및 제3검출통(15)의 일단은 둘레방향을 따라서 병렬하는 복수의 이빨(13a, 14a, 15a)에 의해 구성된다. 제1검출통(13)의 타단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자기누설 방지부재(12)는 성형다이로 합성수지재를 주입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제1샤프트(3)와 제1검출통(13)은 그 성형다이 내에 합성수지재의 주입 전에 삽입되어 다이성형되는 자기누설 방지부재(12)에 함께 회전하도록 일체화된다. 또, 제1샤프트(3)는 제3검출통(15)에 연결된 상태로 그 성형다이 내에 삽입된다.
도 2 -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누설 방지부재(12)는 통형부(12a)와, 통형부(12a)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1외측 연출부(12b)와, 원통부(12a)의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2외측 연출부(12c)를 가진다. 제1외측 연출부(12b)는 제1검출통(13)의 이빨(13a)의 사이 영역으로 위치한다. 제2외측 연출부(12c)는 제1검출통(13)의 타단과 제3검출통(15)의 일단과의 사이의 영영과 제3검출통(15)의 이빨(15a) 사이의 영역으로 위치한다.
제1샤프트(3)의 외주에 자기누설방지부재(12)의 제1샤프트 축방향에서의 변위를 규제하는 축방향 변위규제부로서 축방향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둘레방향홈(61)이 설치된다. 각 둘레방향홈(61)에 자기누설 방지부재(12)의 내주에서의 환상돌출부(12')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둘레방향홈(61)은 5개로 되어 있다.
또, 제1샤프트(3)의 외주에 자기누설방지부재(12)의 제1샤프트 둘레방향에서의 변위를 규제하는 둘레방향 변위규제부로서 둘레방향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축방향홈(62)이 설치된다. 각 축방향홈(62)에 자기누설 방지부재(12)의 내주에서의 돌조(12")가 결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홈(62)은 4개로 되어 있다.
하우징(2)에 의해 유지되는 자성재로된 홀더(17)에 토크전달 샤프트S를 덮는 제1코일(16)과 제2코일(18)이 수납된다. 제1코일(16)이 제1검출통(13)의 일단과 제2검출통(14)의 일단을 통과하는 자속을 발생함으로써 제2자기회로가 구성된다. 제2코일(18)이 제1검출통(13)의 타단과 제3검출통(15)의 일단을 통과하는 자속을 발생시킴으로써 제2자기회로가 구성된다.
각 코일(16)(18)에 접속되는 검출회로가 회로기판(20)에 설치된다.
도 5는 검출회로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코일(16)은 저항(42)을 통해서 발진기(43)로 접속되고, 제2코일(18)은 저항(44)을 통해서 발진기(43)에 접속된다. 또, 제1코일(16)은 연산증폭기(45)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제2코일(18)은 연산증폭기(4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양샤프트(3,4)에 의한 토크의 전달시에는 그 토크에 따라서 토션바(8)가 비틀림되고, 제1검출통(13)과 제2검출통(14)이 동축 중심으로 상대회전 한다. 이 상대회전에 의해 제1검출통(13)의 일단의 이빨(13a)과 제2검출통(14)의 일단의 이빨(14a)의 축방향에서 중합하는 부분의 면적이 변화하므로 그 제1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자기저항)는 그 토크 변화에 의한 양 샤프트(3,4)의 탄성적인 상대회전량에 따라서 변화한다. 그 변화에 따라서 제1코일(16)의 출력이 변화한다. 제1검출통(13)과 제3검출통(15)은 함께 회전하므로 제2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자기저항)은 양샤프트(3, 4)에 의한 전달토크의 변화에 의해서는 변동하지 않는다. 그 제1자기회로에서의 리럭턴스(자기저항)는 양샤프트(3,4)에 의한 토크의 비전달시에서는 제2자기회로에서의 리럭턴스(자기저항)와 같게된다. 그것에 의해 제1자기회로에서의 리럭턴스의 변화에 의한 제1코일(16)의 출력에 기초하여 토크전달 샤프트S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의 검출신호가 검출회로에 의해 생성된다. 또 제2코일(18)의 발생자속이 통과하는 제2자기회로에서의 리럭턴스는 토크전달 샤프트S에 의한 전달토크의 변화에 의해서는 변동하지 않으므로 온도변화에 의한 제1코일(16)의 출력변동과 제2코일(18)의 출력변동이 연산증폭기(45)에서 상쇄된다. 즉, 제1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변화에 대응하는 갑과 제2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변화에 대한 값의 편차에 기초하여 양샤프트(3,4)에 전달되는 토크가 검출되고, 또 검출토크의 온도변동이 보상된다. 그 검출토크에 따라서 상기 조타보조력발생용 모터가 구동되는 것으로 조타보조력이 부여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샤프트(3)와 제1검출통(13) 사이의 개재되는 자기누설 방지부재(12)는 제1샤프트(3)와 제1검출통(13)을 삽입한 성형다이 내에 합성수지재를 주입하는 것으로 성형을 하므로 제1샤프트(3), 제1검출통(13),자기누설 방지부재(12)를 핀을 이용하지 않고도 일체화 할 수 있다. 이 것에 의해 핀구멍가공, 핀의 압입, 제1검출통(13) 내의 내주구멍의 마무리가공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자기누설 방지부재(12)가 저온환경 하에서나 성형다이 내에서의 냉각시에 열수축하고, 온도환경하에서 열팽창할 때에 제1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축방향 변위규제부를 구성하는 둘레방향홈(61)의 내면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검출통(13)의 일단과 제2검출통(14)의 일단 사이의 간극δ1 및 제1검출통(13)의 타단과 제3검출통(15)의 일단 사이의 간극δ2 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양 간극δ1, δ2를 고정밀도로 설정하고, 검출토크의 온도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둘레방향홈(61)이 복수로 되므로 둘레방향홈(61)의 사이에는 자기누설 방지부재(12)의 제1샤프트 축방향에서의 열팽창과 열수축의 쌍방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각 간극δ1, δ2의 온도변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 자기누설 방지부재(12)의 둘레방향에서의 변위를 둘레방향 변위규제부를 구성하는 축방향 홈(62)의 내면에 의해 규제하고, 제1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의 변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고정밀도로 토크를 검출할 수 있다. 그 축방향홈(62)이 복수로 됨으로써, 축방향홈(62) 사이에는 자기누설 방지부재(12)의 제1샤프트 둘레방향에서의 열팽창과 열수축의 쌍방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제1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의 변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둘레방향홈(61)의 수는 단수로 할 수도 있지만 복수로 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도 6의 제1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홈(61)을 단일로 하여 열수축에 의해 자기누설 방지부재(12)가 화살표α 방향으로 축방향변위하는 것이 둘레방향홈(61)의 내면에 의해 규제되고, 또 화살표β방향으로 축방향 변위하는 것은 제2외측 연출부(12c)를 통해서 제3검출통(15)의 단면에 의해 규제되므로 간극 δ1, δ2의 변동은 작게된다. 도 7의 제2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홈(61)을 단일로 하여 제1검출통(13)의 이빨(13a)의 내측에 배치된 경우, 고온환경하에 열팽창에 의해 자기누설방지부재(12)가 화살표α방향으로 축방향 변위하는 것은 제2외측연출부(12c)를 통해 제3검출부(15)의 단면에 의해 규제되므로 간극δ1, δ2의 변동은 작아진다. 따라서, 자기누설 방지부재(12)의 열수축과 열팽창의 쌍방에 의한 변위를 규제하는 관점에서 보면 둘레방향홈(61)을 제1샤프트(3)의 축방향에 두고 떨어진 2개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도 8의 제3변형예에 나타낸 바와같이 둘레방향홈(61)을 단일로 하여 제1검출통(13)의 양단 사이에 배치한 경우, 저온환경 하에서나 성형 다이 내에서 냉각시에 열수축에 의해 자기누설 방지부재(12)에서의 제2검출통(14) 인근부분의 화살표α 방향으로의 변위와, 제3검출통(15) 인근부분의 화살표β 방향으로의 변위가 둘레방향홈(61)의 내면에 의해 규제되고, 또, 제2검출통(14) 인근부분의 화살표β방향으로의 변위와 제3검출통(15) 인근부분의 화살표α방향으로의 변위와는 상호 상쇄되므로 간극δ1, δ2의 변동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둘레방향홈(61)을 제1샤프트(3)의 축방향에서 떨어진 2개위치만 아니라 제1검출통(13)의 양단 사이에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수는 많은 쪽이 자기누설 방지부재(12)의 열수축과 열팽창에 의한 축방향변위를 규제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온도를 -50℃ ∼100℃의 범위로 변동한 경우의 토크센서(1)의 출력변동율은 둘레방향홈(61)을 단일로 한 경우는 약 10%가 되지만, 둘레방향홈(61)을 5개로 하면 약 5%가 된다. 그 둘레방향홈(61)의 깊이와 폭은 둘레방향홈(61) 내에서의 합성수지재의 열변형의 영향을 작게하기 때문에 자기누설방지부재(12)의 축방향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범위로 가급적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들면 깊이를 0.2mm ∼ 2mm, 폭을 0.2mm ∼2mm로 한다.
축방향홈(62)의 수도 특히 한정하지 않고 단일로 하여도 좋지만 복수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축방향홈(62)의 깊이와 폭은 축방향홈(62) 내에서의 합성수지재의 열변형의 영향을 작게하기 위해 자기누설 방지부재(12)의 둘레방향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급적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예를들면 깊이를 0.2mm ∼2mm, 폭을 0.2mm ∼2mm로 한다.
또, 도 9의 제4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 변위규제부 및 둘레방향 변위규제부를 겸용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둘레방향홈(61) 이나 축방향홈(62)에 대신하여 제1샤프트(3)의 외주에 십자형 롤렛(rollet)(63)을 설치하여도 좋으며, 그 롤렛(63)의 깊이(산과 곡의 고저차)는 예를들면 0.2mm∼2mm로 한다.
또, 온도변동의 보상이나 고정밀도의 토크검출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나 멸도의 수단에 의해 온도변동의 보상이나 토크검출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는 제3검출통(15)이 불필요하며, 축방향 변위규제부나 둘레방향변위규제부도 불필요하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토크센서를 조타토크 이외의 토크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 및 그 토크센서 제조방법에 따르면, 가공비용, 조립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검출토크의 온도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9)

  1. 자성재로된 제1샤프트와;
    그 제1샤프트에 탄성적으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샤프트와;
    그 제1샤프트의 외주를 덮는 합성수지의 비자성재된 통형상 자기누설 방지부재와;
    그 자기누설 방지부재의 둘레를 덮는 자성재로된 제1검출통과;
    그 제2샤프트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일체화되는 동시에 그 제1검출통의 일단에 일단이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자성재로된 제2검출통과;
    그 제1검출통의 일단과 제2검출통의 일단을 통과하는 자속을 발생하는 것으로 제1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제1코일을; 구비하고,
    그 제1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는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의 전달토크변화에 의한 탄성적인 상대회전량에 따라서 변화하며,
    그 자기누설 방지부재는 제1샤프트가 제1검출통에 삽입된 상태로 주입되어, 이 제1샤프트와 제1검출통이 자기누설 방지부재에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제1샤프트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일체화되는 동시에, 그 제1검출통의 타단에일단이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자성재로된 제3검출통과;
    제1검출통의 타단과 제3검출통의 일단을 통과하는 자속을 발생하는 것으로 제2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제2코일을 구비하고,
    제1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의 변화에 대응하는 값과 제2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 변화에 대응하는 값과의 편차에 기초하여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에 의해 전송된 편차를 검출하고,
    제1샤프트가 제1검출통과 제3검출통에 삽입된 상태로 자기누설방지부재가 성형되어 제1검출통, 제3검출통 및 제1샤프트가 자기누설 방지부재에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제1샤프트에는 그 축방향으로 자기누설 방지부재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축방향 변위규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축방향 변위규제부는 제1샤프트의 외주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둘레방향홈을 포함하고,
    자기누설방지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둘레방향홈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돌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다수의 둘레방향홈이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샤프트의 외주에 배치되고, 다수의 돌조가 자기누설 방지부재에 배치되어 다수의 둘레방향홈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제1샤프트에는 그 둘레방향으로 자기누설 방지부재의 변위를 규제하는 둘레방향 변위규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변위규제부의 둘레방향에는 제1샤프트의 둘레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홈이 포함되고,
    자기누설방지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축방향홈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돌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다수의 축방향홈이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샤프트의 외주에 배치되고, 다수의 축방향 돌조가 자기누설 방지부재에 배치되어 다수의 축방향홈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센서.
  9. 자성재로된 제1샤프트와; 그 제1샤프트에 탄성적으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샤프트와; 그 제1샤프트의 외주를 덮는 합성수지의 비자성재된 통형상 자기누설방지부재와; 그 자기누설 방지부재의 둘레를 덮는 자성재로된 제1검출통과; 그 제2샤프트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일체화되는 동시에 그 제1검출통의 일단에 일단이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자성재로된 제2검출통과; 그 제1검출통의 일단과 제2검출통의 일단을 통과하는 자속을 발생하는 것으로 제1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제1코일을; 구비하고, 그 제1자기회로에서의 통과자속에 대한 리럭턴스는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의 전달토크변화에 의한 탄성적인 상대회전량에 따라서 변화하며, 그 자기누설방지부재는 제1샤프트가 제1검출통에 삽입된 상태로 주입되어, 이 제1샤프트와 제1검출통이 자기누설 방지부재에 일체화되는 토크센서의 제조방법으로서.
    자기누설 방지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다이를 마련하는 단계와;
    제1샤프트와 제1검출통을 성형다이로 삽입하는 단계와;
    삽입단계 후에, 형성다이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자기누설 방지부재를 성형하고, 제1샤프트와 제1검출통을 자기누설 방지부재로 일체화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센서 제조방법.
KR1020030082420A 2002-11-20 2003-11-20 토크센서 및 토크센서 제조방법 KR200400441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36567 2002-11-20
JP2002336567A JP3994047B2 (ja) 2002-11-20 2002-11-20 トルクセ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172A true KR20040044172A (ko) 2004-05-27

Family

ID=3221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420A KR20040044172A (ko) 2002-11-20 2003-11-20 토크센서 및 토크센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95828B2 (ko)
EP (1) EP1422505B1 (ko)
JP (1) JP3994047B2 (ko)
KR (1) KR20040044172A (ko)
BR (1) BR0305149A (ko)
CA (1) CA2450300A1 (ko)
DE (1) DE60311388T2 (ko)
ES (1) ES227905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245A (ko) * 2003-11-13 2005-05-1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토크센서
JP2006071538A (ja) 2004-09-03 2006-03-16 Favess Co Ltd トルクセンサ
JP4883337B2 (ja) * 2004-10-04 2012-02-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センサ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7347106B2 (en) * 2005-04-26 2008-03-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rque sensor with inverted sensing element and integral shaft housing
US7307517B2 (en) * 2005-08-05 2007-12-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ireless torque sensor
US20070028692A1 (en) * 2005-08-05 2007-02-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coustic wave sensor packaging for reduced hysteresis and creep
US7395724B2 (en) 2005-08-22 2008-07-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rque sensor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US7302864B2 (en) * 2005-09-23 2007-12-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rque sensor
US7201044B1 (en) * 2005-09-27 2007-04-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rque sensor integrated with engine components
US9134200B2 (en) * 2012-08-17 2015-09-15 Cts Corporation Motor vehicle chassis sensor
US9382840B2 (en) 2013-03-11 2016-07-05 Teledyne Instruments, Inc. Engine crankshaft torque sensor
US10371199B2 (en) 2017-11-22 2019-08-06 Teledyne Lecroy, Inc. Engine crankshaft torque sensor cartridge
CN110261106B (zh) * 2019-06-06 2024-07-23 重庆长江轴承股份有限公司 一种轮毂轴承的扭矩检测装置
CN115042983B (zh) * 2022-08-11 2022-11-11 北京天创凯睿科技有限公司 用于飞机自动油门的测量保护机构、测量机构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627A (ja) * 1990-08-31 1992-04-13 Nippon Seiko Kk トルクセンサ
JP2001242020A (ja) * 2000-02-25 2001-09-07 Koyo Seiko Co Ltd トルクセンサ
KR20030075652A (ko) * 2002-03-20 2003-09-2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토크센서
KR20030077053A (ko) * 2002-03-25 2003-10-0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토크센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460A (en) 1987-10-30 1990-03-13 Koyo Seiko Co., Ltd. Torque sensor
US4996890A (en) 1988-10-07 1991-03-05 Koyo Seiko Co. Ltd. Torque sensor
JP2654831B2 (ja) 1989-07-17 1997-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ベルト荷重検出装置
JP3645074B2 (ja) 1997-08-07 2005-05-11 光洋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US6301975B1 (en) * 1998-02-26 2001-10-16 Nsk Ltd. Torque sensor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gainst thermal expansion and axial displacement of components
JP2000055752A (ja) 1998-08-03 2000-02-25 Kayaba Ind Co Ltd トルク検出装置
JP3513052B2 (ja) * 1999-06-01 2004-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ルク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627A (ja) * 1990-08-31 1992-04-13 Nippon Seiko Kk トルクセンサ
JP2001242020A (ja) * 2000-02-25 2001-09-07 Koyo Seiko Co Ltd トルクセンサ
KR20030075652A (ko) * 2002-03-20 2003-09-2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토크센서
KR20030077053A (ko) * 2002-03-25 2003-10-0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토크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44184A1 (en) 2004-07-29
BR0305149A (pt) 2004-08-31
EP1422505A1 (en) 2004-05-26
JP2004170250A (ja) 2004-06-17
CA2450300A1 (en) 2004-05-20
US6895828B2 (en) 2005-05-24
DE60311388D1 (de) 2007-03-15
DE60311388T2 (de) 2007-11-15
ES2279052T3 (es) 2007-08-16
EP1422505B1 (en) 2007-01-24
JP3994047B2 (ja)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4172A (ko) 토크센서 및 토크센서 제조방법
US5971094A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7235905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ssembly
US7086296B2 (en) Torque sensor
US7987734B2 (en) Torque sensor
JPH0835809A (ja) ホール素子による磁気位置センサー
US20210218314A1 (en) Electric motor having a rotor shaft and a first and a second bearing
JP2002274399A (ja) 車両用トルク感知装置
KR100721099B1 (ko) 토크 센서
JPH1151789A (ja) トルクセンサ
KR100398700B1 (ko) 차량용 토크감지장치
JP3571610B2 (ja) トルクセンサ
JP2000221086A (ja) トルクセンサ
JPH0617060Y2 (ja) トルクセンサ
KR100355765B1 (ko) 토오크 센서
KR20030028911A (ko) 토크센서의 검출링 고정방법
KR100349258B1 (ko) 토오크센서
JP3047934B2 (ja) トルク検出装置
JP2001318012A (ja) トルクセンサ
KR100795052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센서
JP2000241265A (ja) トルクセンサ
KR200287952Y1 (ko) 토크센서
KR100721100B1 (ko) 차량용 토크센서
KR20000016940U (ko) 토크센서
KR20040051811A (ko) 전동 파워 조향장치의 브러시리시 모터 위치센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123

Effective date: 2008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