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116A - 기능성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116A
KR20040042116A KR1020020070267A KR20020070267A KR20040042116A KR 20040042116 A KR20040042116 A KR 20040042116A KR 1020020070267 A KR1020020070267 A KR 1020020070267A KR 20020070267 A KR20020070267 A KR 20020070267A KR 20040042116 A KR20040042116 A KR 20040042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germanium
soap
tourmalin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목신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목신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목신소재
Priority to KR1020020070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116A/ko
Publication of KR2004004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18Water-insoluble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표피에 축척된 노폐물을 체외로 씻어내는 것은 물론 오염된 공기속에 노출된 피부 표면에서 항균, 제균 및 소염, 소취 효과가 뛰어나고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세안 및 피부의 세정 시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작용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 주는 효과가 있는 기능성 미용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화장비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소지가공공정에 토르마린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게르마늄 분말, 게르마늄 함유 천연광물분말 제올라이트 분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부가 성분으로 배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The functional soa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피부의 표피에 축척된 노폐물을 체외로 씻어내는 것은 물론 오염된 공기속에 노출된 피부 표면에서 항균, 제균 및 소염, 소취 효과가 뛰어나고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세안 및 피부의 세정 시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작용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 주는 효과가 있는 기능성 미용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화장비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소지가공공정에 비누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40중량%의 토르마린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1 ∼ 40중량%의 게르마늄 분말, 게르마늄 함유 천연광물분말 제올라이트 분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부가 성분으로 배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미용 비누에 관한 것이다.
비누란 주로 세정에 사용되는 고급지방산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을 총칭하는 것으로, 원료유지를 수산화 알칼리로 비누화하든가, 적당한 방법으로 얻은 지방산을 알칼리로 중화시켜 만든다. 알칼리비누의 주체는 소비량으로 보아 나트륨염인데, 소다비누 또는 경성비누라고 하며, 칼륨염은 칼륨비누 또는 연성비누라 한다.알칼리비누는 무수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에탄올 이외의 유기용제에는 잘 녹지 않으나, 함수비누는 벤진, 크레졸 등에 녹는 것도 있고, 함수량, 대기의 상대습도, 온도 등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기도 하고 건조하기도 한다. 이 성질은 구성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현저하게 다른데, 일반적으로 저급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인 경우와 칼륨염인 경우에 습기를 흡수하기 쉽다. 비누는 수용액 속에서 농도가 낮으면 분자상태로 분산되어 있으나, 농도가 높아지면 분자와 회합하여 미셀을 형성하고 콜로이드와 같은 행동을 한다.
미셀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농도를 임계 미셀 농도라고 하는데, 비누 분자의 종류, 온도, 공존물 등에 따라 약간 변동하며, 물 속에서 가수분해하며 용액의 pH는 일반적으로 9가 넘는다. 수용액에 알칼리나 알칼리염을 가하면 비누분이 위층으로 분리되는 데 이 조작을 염석이라 하며, 경성비누의 제조공정상 중요하다. 또, 비누 분자는 친수기와 소수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큰 계면활성을 지닌다.
비누의 원료유지는 우지, 야자유, 팜유, 팜핵유, 미강유를 주로 사용하며, 콩기름, 면실유, 케이폭유, 땅콩기름, 피마자유, 어유에서 얻는 경화유, 각종 지방산 등이 사용되고, 경성비누에는 고체지방과 불건성유가, 연성비누에는 반건성유를 일부 배합한 건성유를 사용한다.
비누 제조는 유지 또는 지방산에서 비누를 만드는 비누소지공정(素地工程)과, 소지를 각종 제품으로 만드는 소지가공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비누는 피부를 청결하게 세척하고 보호해 주기 위하여 세정 기능을 극대화함으로서 피부의 청결을 향상시켰으나, 이것은 오히려 세척과정에서 피부 상피조직에 축척된 피지성분들을 필요 이상 과도하게 제거함으로서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건조해짐으로서 오히려 피부 건강을 해치는 문제들를 야기하게 되었다.
또한, 대기중에 존재하는 유해한 각종 미생물들이 피부표면에 흡착되는 것과 피부흡착 후 피부표면에서 번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유해 미생물들에 대한 살균 및 항균효과를 발휘하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페놀계 항균제를 첨가한 화학성분의 비누제품들이 개발되어 일부 시판되고 있지만 이는 폐놀계 성분의 항균제 등이 과민성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피부자극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더욱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각종 화학성분으로 제조되어진 비누가 지니고 있는 단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천연식물 성분이나 또는 천연 광물분말과 그 추출물 등의 천연물이 함유된 비누가 널리 개발되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천연물들은 오래전부터 전통 민간요법으로 전해져 오거나 또는 고전이나 한방에서 인용된 효능을 근거로 하여 제품의 특성에 따라 피부에 여러 가지 미용효과를 나타내지만 비누에 첨가된 각종 천연물 성분이 사람의 체질에 따라 여러 가지 부작용을 발생시키는등 부정적인 사례가 많이 나타났으며 또한, 화장비누에 미량의 천연물만이 첨가되어지기 때문에 실제 천연물 성분이 갖고 있는 효과를 발휘하기에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한편, 토르마린은 6각 기둥형의 결정을 갖는 붕규산염으로 육방정계에 속하는 천연광물이다. 토르마린은 결정자체가 전기를 발생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전기석(電氣石)이라고도 불리운다. 토르마린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광물 중에서 유일하게 영구적인 전기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극성결정체라고도 불려진다. 이 광석에서 생성되는 음이온과 미약전류, 원적외선은 건강과 환경을 위해 세계적인 대학과 연구소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획기적인 신물질이다. 토르마린 효능을 살펴보면, 세정력 향상, 오염물 재부착방지, 물의 약알칼리화, 탈취, 염소제거, 보습효과, 피부트러블 예방, 항균효과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게르마늄은 액화규소와 같은 동질의 회백색 광물인데, 금속원소로 하나의 아금속(亞金屬)이며, 1948년 미국 벨르연 구소의 바데인 박사와 쇼그레 박사가 게르마늄 원소에 반도체 성질이 존재함을 발견하면서부터 전자공 학의 비약적 발전을 이루게 되었고, 전자공학의 발전과 더불어 게르마늄 원소에 대한과학자와 의학자들의 관심사는 게르마늄의 반도체원소의 성질을 생체 내에서 작용하게 하는 인체교정 의학분야로 돌려지게 되었다. 게르마늄의 효과를 살펴보면, 세정력 향상, 물의 약알칼리화. 탈취, 상처재생, 진통효과, 제독작용, 중금속 흡착, 피부트러블 예방 외에 다양한 효과들이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 탈취, 중금속 흡착, 수질정화, 세정력 향상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양한 효능을 갖는 성분들 중에서 토르마린이 비누에 적용된 사실은 없었으며, 게르마늄과 제올라이트도 극히 미량이 적용된 예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르마린,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비누 제조에 적용함으로서 피부에 유해한 각종 화학물질의 피부에 대한 접촉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자연적으로 피부생리작용과 피부미용 및 피부항균 효과를 잘 조화시킴으로서 대기오염에 찌든 현대인의 피부건강을 크게 개선 및 증진시키고 세제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수질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 후 토르마린과 게르마늄 및 제올라이트의 부활작용과 소취 및 수질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미용 비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기능성 미용 비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되는 또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화장비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소지가공공정에 비누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40중량%의 토르마린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1 ∼ 40중량%의 게르마늄 분말, 게르마늄 함유 천연광물분말 제올라이트 분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부가 성분으로 배합하여 기능성 미용 비누를 제조하므로서 피부의 표피에 축척된 노폐물을 체외로 씻어내는 것은 물론 오염된 공기속에 노출된 피부 표면에서 항균, 제균 및 소염, 소취 효과가 뛰어나고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세안 및 피부의 세정 시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작용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미용 비누는 비누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40중량%의 토르마린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1 ∼ 40중량%의 게르마늄 분말, 게르마늄 함유 천연광물분말 제올라이트 분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부가 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미용 비누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화장비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소지가공공정에 비누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40중량%의 토르마린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1 ∼ 40중량%의 게르마늄 분말, 게르마늄 함유 천연광물분말 제올라이트 분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부가 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토르마린분말, 게르마늄 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및 제올라이트분말은 천연물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며, 토르마린만을 사용하거나 게르마늄 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및 제올라이트분말을 1종 이상 부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토르마린분말, 게르마늄 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및 제올라이트분말은 각각 150메쉬(mesh) 이상의 입도를 갖는 것이 피부 자극면에서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효과 발현에도 용이하다. 입도가 150메쉬 미만일 경우에는 균질화가 용이하지 못하여 토르마린분말, 게르마늄 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또는 제올라이트분말이 뭉쳐 잇는 경우가 발생하여 제품의 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손상을 입힐 염려도 있다.
토르마린분말, 게르마늄 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및 제올라이트분말은 졸(sol)이나 겔(gel) 상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럴 경우에는 특별한 기술을 요하고, 제품의 가격이 상승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토르마린은 필수성분으로 사용되며, 사용량은 비누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40중량%가 바람직하고,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한 단점이 있으며,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비누 소지 성분들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르마린과 병용하여 게르마늄 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및 제올라이트분말이 사용 가능하고, 이럴 경우 게르마늄 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및 제올라이트분말의 사용량은 세정력 저하, 피부 손상 등의 관점에서 고려할 때 비누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중량%를 초과해서는 안되며, 효과 발현을 위해서는 1중량% 이상 첨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누소지는 비누화가 완료된 비누소지나 연석 처리된 소지는 물론이고 기존의 화장비누 제품이나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염료, 향료, 중량제, 그리고 산화방지제 등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들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미용 비누의 제조시 토르마린분말, 게르마늄 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및/또는 제올라이트분말은 소지가공공정에서 첨가되어야 하며, 소지가공공정 전에 첨가되는 경우에는 토르마린분말, 게르마늄 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및 제올라이트분말로 인하여 소지의 형성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토르마린분말, 게르마늄 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및 제올라이트분말이 침전되어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12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토르마린분말과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및 제올라이트분말의 성분비가 각각 다른 12종류를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통상의 증비법으로 제조된 비누소지와 또 다시 혼합한 후에 압출-절단-형타-성형 공정을 거쳐 고형화된 비누형태로 12종류의 기능성 미용 비누를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구분 토르마린분말 게르마늄함유광물분말 제올라이트분말 비누소지
실시예 1 10 90
실시예 2 10 5 85
실시예 3 8 2 5 85
실시예 4 15 5 80
실시예 5 10 5 5 80
실시예 6 15 5 80
실시예 7 20 5 75
실시예 8 15 5 5 75
실시예 9 25 5 70
실시예 10 15 5 10 70
실시예 11 30 10 60
실시예 12 25 5 10 60
실험예 1
임의 선정된 여성의 피부에 있는 오염물을 채취하여 BHI 배지(Brain Hcart Infusion Broth "DIFCOLAB")에 37℃로 18시간 배양하고, 이를 우무배지에서 순수배양시켜 분리한 조갑백선을 유발하는 캔디타 알비캔스(candida albicans)와 화농을 유발하는 스테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포도상구균, staphyococcus aureus) 균주와 대장균을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5의 비누에 대해서 석탄산 계수법에(Rideal Walker 1903) 의해 시험한 결과를 표 2에 도시하였다.
캔디다 알비캔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대장균
실시예 1 0.6 1.2 0.9
실시예 3 0.8 1.5 1.1
실시예 5 0.2 0.5 0.4
대조군(비누 무첨가) 8.4 10.6 9.7
상기의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누는 피부를 손상시키는 피부 진균류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실시예 1내지 12의 비누를 10대, 20대, 30대 여성 각각 10여명에게 무작위로 사용케한 후,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즉, 배합 비율이 토르마린분말과 게르마늄 함유 광물분말 및 제올라이트분말의 각각 또는 이들 둘 이상의 혼합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탈지 및 소취 효과나 원적외선 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6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탈지 및 소취 효과나 원적외선 효과는 뛰어났지만 성형비누에 균열이 많이 생겼으며, 사용시 촉감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누의 사용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8까지의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촉감이 매우 뛰어났으며, 피부당김 현상이나 피부에 대한 부작용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사용 후 상쾌한 느낌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화장비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소지가공공정에 비누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40중량%의 토르마린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1 ∼ 40중량%의 게르마늄 분말, 게르마늄 함유 천연광물분말 제올라이트 분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부가 성분으로 배합하여 기능성 미용 비누를 제조하므로서 피부의 표피에 축척된 노폐물을 체외로 씻어내는 것은 물론 오염된 공기속에 노출된 피부 표면에서 항균, 제균 및 소염, 소취 효과가 뛰어나고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세안 및 피부의 세정 시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작용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사용 후 피부 표면의 탈지 효과와 피부 촉감도 뛰어났으며, 피부 당김 현상과 피부에 대한 각종 부작용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소취 효과나 원적외선 효과 및 항균효과도 우수하였으며, 비누를 사용 후 폐수로 배출되는 경우에도 비누에 포함된 토르마린과 게르마늄 및 제올라이트의 영향으로 수중의 부영양화 원인 물질인 총인과 총질소도 부분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하는 효과도 있어 비누의 생분해성도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4)

  1. 공지의 비누에 있어서, 비누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40중량%의 토르마린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0 ∼ 40중량%의 게르마늄 분말, 게르마늄 함유 천연광물분말, 제올라이트 분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부가 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미용 비누.
  2. 제 1 항에 있어서, 토르마린분말, 게르마늄 분말,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또는 제올라이트분말은 각각 150메쉬(mesh) 이상의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미용비누.
  3. 제 1항에 있어서, 토르마린분말, 게르마늄 분말, 게르마늄함유 광물분말 또는 제올라이트분말 대신에 졸 또는 겔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미용비누.
  4. 일반적인 화장비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소지가공공정에 비누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40중량%의 토르마린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0 ∼ 40중량%의 게르마늄 분말, 게르마늄 함유 천연광물분말 제올라이트 분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부가 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미용 비누의 제조방법.
KR1020020070267A 2002-11-13 2002-11-13 기능성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42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267A KR20040042116A (ko) 2002-11-13 2002-11-13 기능성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267A KR20040042116A (ko) 2002-11-13 2002-11-13 기능성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116A true KR20040042116A (ko) 2004-05-20

Family

ID=3733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267A KR20040042116A (ko) 2002-11-13 2002-11-13 기능성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1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24B1 (ko) * 2007-06-05 2008-09-18 (주)그린주의 제오라이트 4a에 진주 분말이 담지된 진주비누 제조방법및 이에 의한 진주비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172A (ko) * 1986-04-25 1987-11-30 김기홍 화장비누 제조방법
KR900004926A (ko) * 1988-09-15 1990-04-13 김진각 원석 화장 비누의 제조 방법
JPH09278624A (ja) * 1996-04-08 1997-10-28 Teruaki Kuwabara 化粧品
JPH10120520A (ja) * 1996-10-21 1998-05-12 Teruko Matsubara 鉱物入り化粧品
JP2000226326A (ja) * 1999-02-02 2000-08-15 Takashi Sato 入浴剤
KR20010012490A (ko) * 1998-03-13 2001-02-15 카렌 에이. 로우니 화장용 세정 조성물에서의 전기석
KR20010077370A (ko) * 2000-02-02 2001-08-17 황기중 옥·토르말린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KR20030030384A (ko) * 2001-10-10 2003-04-18 김수경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172A (ko) * 1986-04-25 1987-11-30 김기홍 화장비누 제조방법
KR900004926A (ko) * 1988-09-15 1990-04-13 김진각 원석 화장 비누의 제조 방법
JPH09278624A (ja) * 1996-04-08 1997-10-28 Teruaki Kuwabara 化粧品
JPH10120520A (ja) * 1996-10-21 1998-05-12 Teruko Matsubara 鉱物入り化粧品
KR20010012490A (ko) * 1998-03-13 2001-02-15 카렌 에이. 로우니 화장용 세정 조성물에서의 전기석
JP2000226326A (ja) * 1999-02-02 2000-08-15 Takashi Sato 入浴剤
KR20010077370A (ko) * 2000-02-02 2001-08-17 황기중 옥·토르말린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KR20030030384A (ko) * 2001-10-10 2003-04-18 김수경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24B1 (ko) * 2007-06-05 2008-09-18 (주)그린주의 제오라이트 4a에 진주 분말이 담지된 진주비누 제조방법및 이에 의한 진주비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9846B1 (ru)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тимол и терпинеол,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AT391623B (de) Desodorierendes koerperreinigungsmittel
CN102533479A (zh) 一种无患子手工皂配方及制作方法
JPH0987687A (ja) 粘土鉱物類を含有する脂肪酸石けん
JP2013155369A (ja) シラス石鹸
EA038526B1 (ru)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олигодинамический металл
RU2484809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основанная на магнитных частицах, изготовление 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косметической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очищения кожи
CN104606119A (zh) 杀菌消毒无水洗手剂
CN107823049A (zh) 一种含植物油的温和洗手液
CN102293719B (zh) 一种洗手液
CN109288727A (zh) 一种用于工业去重油污的磨砂型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20080060924A (ko) 저자극성 세안용 파우더 조성물
CN112877153A (zh) 一种具有保湿杀菌功能的香皂及其制备方法
KR20100019652A (ko) 나노화 귀금속 함유 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11247A (ko) 양구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를을 이용한 천연 유아용 물비누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
KR20040042116A (ko) 기능성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317692A (zh) 一种洗手液
WO2017089108A1 (en) An antimicrobial cleansing composition
EA027186B1 (ru) Антимикробная композиция
US2010012947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cne
CN104450212A (zh) 新型中药洗涤剂
CN112500945A (zh) 一种复合抑菌清香洗衣液及其制备方法
CN111743793A (zh) 一种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04450334A (zh) 一种洗涤剂
KR20060128219A (ko) 각질 제거용 크림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