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026A - 진공청소기의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026A
KR20040042026A KR1020020070146A KR20020070146A KR20040042026A KR 20040042026 A KR20040042026 A KR 20040042026A KR 1020020070146 A KR1020020070146 A KR 1020020070146A KR 20020070146 A KR20020070146 A KR 20020070146A KR 20040042026 A KR20040042026 A KR 20040042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foreign matter
dust
dust collecting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철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철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철사
Priority to KR102002007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026A/ko
Publication of KR2004004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0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집진통에 모인 이물질량의 감지 및 알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진공청소기의 사용횟수를 카운트하고 메모리하는 단계와; 진공청소기의 현재 사용횟수를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현재의 사용횟수가 설정값 보다 크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이 일정량 이상 모이면 이를 인지하여, 집진통을 비울 수 있게 되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기대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Method for sensing dirt or dust in the collecting tank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에서 채집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집진통의 청소시기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내부로 흡입시킨 후, 그 중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이고, 그 내부구조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형태로 분류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비교적 대용량의 집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청소 면적이 넓은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모터와 같은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10)와, 상기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진통(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진통(21)은 프레임(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20)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개의 바퀴(22a,22b)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고 밀기 위한 핸들(2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통(21)의 내부에는 필터(26)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26)는, 일정한 봉투형상을 가지는 부직포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필터(26)는, 개구된 상단부가 집진통(21)의 개구된 상단부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집진통(21)의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한 상기 집진통(21)은 클램프(23)를 이용하여 본체(10)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다.
상기 집진통(21)의 내부에는, 본체(10)의 저면에 장착된 확장기(28)가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장기(28)는, 진공청소기의 동작시 집진통(21)의 외측에서 중심측으로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상기 필터링부(26b)가 내측으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진공청소기가 동작하게 되면, 연결호스(12)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집진통(21)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에어플로는 상기 필터(26)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플로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로 만들어지는 필터(26)는 내측으로 수축될 우려가 있는데, 상기 확장기(28)는 필터(26)가 내측으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집진통(21)은 연결호스(12)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호스(12)의 외측은 연장관(14)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장관(14)의 상부에는손잡이부(14a)가 형성되어 사용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연장관(14)의 하부에는 흡입노즐(16)이 설치되어 있어서,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본체(10)에 내장된 흡입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흡입노즐(16)에서는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공기는 연장관(14) 및 연결호스(12)를 통하여 집진통(21) 내부로 흡입된다.
집진통(21)의 내부에서는 부직포로 만들어지는 필터(26)를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이물질은 상기 필터(26)의 외측에 머물게 되고 공기만이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내부를 통과한 공기는 실질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이고, 이는 확장기(28)를 경유하여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구동중인 모터를 경유하면서, 모터를 방열시킨 후 본체(10) 외부로 완전하게 배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는, 실질적으로 소위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흡입력이 아주 강하다. 따라서 식당 등에서 바닥면을 청소할 때, 바닥면에 있는 물도 같이 흡입되어 상기 집진통(21)의 내부에 고이게 된다. 그런데 이물질과 같이 물이 흡입될 경우에는, 집진통(21)의 내부 저면에서 부터 고이게 되는데, 이러한 물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진공청소기의 동작, 즉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흡입 성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일정량의 물이 모이게 되면, 상기 집진통을 분리하여 물을 버리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물이 일정량 이상 모인 경우 뿐만 아니라,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도 일정량 이상이 모이게 되면, 진공청소기의 흡입성능에 중요한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물 및 이물질(이하에서는 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물질이라고 칭함)이 집진통의 내부에 가득 모인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이를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집진통의 청소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통에 포집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지할 수 있고,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보인 플로챠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진공청소기의 사용횟수를 카운트하고 메모리하는 단계와; 진공청소기의 현재 사용횟수를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현재의 사용횟수가 설정값 보다 크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내부에 이물질이 일정량 이상이 차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집진통을 비움으로 인하여 보다 편리하게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2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진공청소기의 구성에 대한 것은, 필요하다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정해진 장소에서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은 대용량의 업소용 진공청소기는, 여러가지 제약에 의하여 휴대하거나 이동하면서 다른 곳의 청소를 수행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예를 들어, 청소하는 주기(예를 들면 하루)에 대하여 거의 일정한 이물질이 배출되는 일정한 청소면적을 가지는 장소(예를 들면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해진 면적에 대하여 동일한 청소주기 상으로는 거의 비슷한 양의 이물질이 집진통의 내부에 포집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청소 실시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하여, 집진통의 내부에 모이는 이물질이 일정량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가 구동되면, 내부의 메모리수단에서는 진공청소기의 구동횟수를 카운트하게 된다(제100단계). 예를 들어, 처음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1이라는 값을 카운트하여 기억하고 있고, 진공청소기의 전원이 오프된 후, 다시 온되면 이전에 메모리되어 있던 값에 다시 1회를 더한 2회의 값을 메모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항상 구동횟수를 카운트하고, 이에 따른 현재의 사용횟수를 계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카운트하여 메모리되고 있는 사용횟수의 값은, 기준이 되는 설정값과 비교된다(제102단계).
상기 설정값은, 집진통의 용적에 따라서 결정되는 값이다. 즉, 집진통이 크면,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는 이물질의 양도 많아지기 때문에 상기 설정값은 크게 정해질 것이고, 집진통이 작으면 그에 대응하는 만큼 상기 설정값도 작아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설정값은, 상기 집진통 내부에 이물질이 완전히 가득찰 정도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이 포집되면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청소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02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진행중인 사용횟수가 상술한 설정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104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안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진공청소기의 본체 일측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이 일정량 이상 모인 상태임을 알리거나, 진공청소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음향발생장치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02단계에서 사용횟수가 설정값 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현재 진행중인 사용횟수를 내부의 메모리수단에서 기억하고 있는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04단계에서 사용자는, 현재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내부에 이물질이 일정량 이상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의 본체에서, 상기 집진통을 분리하여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을 완전히 청소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진공청소기의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집진통에 모이는 이물질의 양을 추산하는 것은, 통상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부분의 면적은 정해져 있으며, 진공청소기 사용시 포집되는 이물질의 양은 거의 비슷한 양이 되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이 모여서 사용자가 이를 감지하고 집진통을 비운 다음에는, 내부의 메모리를 리세트하는 것에 의하여 처음부터 다시 사용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청소기의 사용 횟수를 카운트하고, 그 횟수를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이 집진통의 내부에 모이게 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집진통의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이 모이게 되면, 사용자는 이를 인지할 수 있어서, 보다 편리하게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Claims (1)

  1. 진공청소기의 사용횟수를 카운트하고 메모리하는 단계와;
    진공청소기의 현재 사용횟수를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현재의 사용횟수가 설정값 보다 크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
KR1020020070146A 2002-11-12 2002-11-12 진공청소기의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 KR20040042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146A KR20040042026A (ko) 2002-11-12 2002-11-12 진공청소기의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146A KR20040042026A (ko) 2002-11-12 2002-11-12 진공청소기의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026A true KR20040042026A (ko) 2004-05-20

Family

ID=3733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146A KR20040042026A (ko) 2002-11-12 2002-11-12 진공청소기의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02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076A (ko) * 1991-06-25 1993-01-15 이헌조 진공청소기의 먼지량 검출회로
KR930001870A (ko) * 1991-07-31 1993-02-22 강진구 진공 청소기의 먼지 주머니 교환시기 결정지시 방법 및 시스템
JPH0576470A (ja) * 1991-02-28 1993-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H05130957A (ja) * 1991-11-14 1993-05-28 Hitachi Ltd 電気掃除機
KR960038829U (ko) * 1995-05-30 1996-12-18 진공청소기의 먼지 집진량 표시장치
KR200238593Y1 (ko) * 2001-03-10 2001-10-06 주식회사 솔로이엔씨 중앙집진식 진공청소장치의 작업핸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470A (ja) * 1991-02-28 1993-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930000076A (ko) * 1991-06-25 1993-01-15 이헌조 진공청소기의 먼지량 검출회로
KR930001870A (ko) * 1991-07-31 1993-02-22 강진구 진공 청소기의 먼지 주머니 교환시기 결정지시 방법 및 시스템
JPH05130957A (ja) * 1991-11-14 1993-05-28 Hitachi Ltd 電気掃除機
KR960038829U (ko) * 1995-05-30 1996-12-18 진공청소기의 먼지 집진량 표시장치
KR200238593Y1 (ko) * 2001-03-10 2001-10-06 주식회사 솔로이엔씨 중앙집진식 진공청소장치의 작업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915B1 (ko) 먼지 분리장치
US7144438B2 (en)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vacuum cleaner
US7140068B1 (en)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separation
US6434785B1 (en) Dual filter wet/dry hand-held vacuum cleaner
US6913635B2 (en) Dust collecting filter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2007021177A (ja) ダスト分離装置
KR20060128388A (ko) 진공 청소기
US20080201898A1 (en) Self-cleaning filter arrangement with activation signal for floor care apparatus
KR100478638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2006508725A (ja) 吸引式掃除機用の塵埃分離器及び収集器の配置
KR100800655B1 (ko)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CN103142191A (zh) 排风口设有旋风过滤装置的卧式吸尘器
KR20040042026A (ko) 진공청소기의 이물질량 감지 및 알람방법
CN212186361U (zh) 一种清洁刷及吸尘装置
JP2007021176A (ja) ゴミ分離装置
JP3350025B2 (ja) 電気掃除機
CN220256399U (zh) 垃圾收集装置与清洁设备
CN220256398U (zh) 垃圾收集装置与清洁设备
KR0133762B1 (ko) 습식 및 건식(wet and dry type) 진공청소기
KR101174915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JP2004024887A (ja) 電気掃除機
KR200302721Y1 (ko) 진공청소기의 수량감지장치
KR100562112B1 (ko) 진공 청소기의 필터 구조
CN217907664U (zh) 污水箱及清洁装置
CN220588194U (zh) 垃圾收集装置与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