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757A -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757A
KR20040041757A KR1020020069623A KR20020069623A KR20040041757A KR 20040041757 A KR20040041757 A KR 20040041757A KR 1020020069623 A KR1020020069623 A KR 1020020069623A KR 20020069623 A KR20020069623 A KR 20020069623A KR 20040041757 A KR20040041757 A KR 20040041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recognition
door lock
user
information
finger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6179B1 (ko
Inventor
김공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고테크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고테크, 김재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고테크
Priority to KR10-2002-006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1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각 도어에 설치되는 지문인식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과 도어의 락을 제어하는 기능을 별도의 단말기로 분리 운영하여 하나의 도어락 제어장치가 여러대의 지문인식 장치에 대응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서버없이도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지문인식 장치의 사이즈도 소형화 할 수 있다. 더욱이, 다수의 도어락 제어장치를 관리하는 서버를 두게되면 도어락 제어장치에서 지문인식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산 수집하므로 하나의 서버로 보다 많은 도어의 락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저비용으로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Access control system using finger-print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도어에 설치되는 지문인식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과 도어의 락을 제어하는 기능을 별도의 단말기로 분리 운영하여 서버없이 하나의 도어락 제어장치가 여러대의 지문인식 장치에 대응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출입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쇠, 카드, 비밀번호 등을 이용하여 잠금장치를 열 수 있는 것과 달리 지문을 이용한 출입통제는 생체 인식 분야 중의 하나인 지문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분실, 도난 또는 망각 등의 불편함이 없도록 사용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도어를 간단히 열 수 있는 편리성과 복제가 불가능한 지문의 특징에서 오는 보안성을 제공하는 첨단 전자 제어 방식의 출입통제 시스템이다.
종래 출입통제 시스템에서는 도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고 이를 인식하는 지문인식 장치에 도어의 락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부가 포함되어 지문인식 장치에서 직접 해당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였다.
따라서, 각 도어마다 도어의 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두게 되는 결과가 되어 출입통제를 위한 도어가 많아 질수록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비용이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되며 지문인식 장치에 도어락 제어부를 위한 공간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각 지문인식 장치의 크기도 커지는 원인이 된다.
더욱이, 많은 수의 도어의 락을 제어하는 경우 많은 수의 지문인식 장치를 하나의 컴퓨터(서버)에서 제어하여야 하므로 컴퓨터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므로 이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컴퓨터를 사용해야만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도어에 설치되는 지문인식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과 도어의 락을 제어하는 기능을 별도의 단말기로 분리 운영하여 서버없이 하나의 도어락 제어장치가여러대의 지문인식 장치에 대응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출입통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확장 운영하는 경우 출입통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출입통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도 2의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출입통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출입통제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인증하는 복수의 지문인식 장치 및 복수의 지문인식 장치들에게 로그 데이터를 요청하여 제공받고 로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지문인식 장치들에 대응되는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출입통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문인식 장치들(10)은 도어에 설치되어 출입을 원하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는 장치로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지문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한 후 인증 데이터를 출력한다. 지문인식을 위한 방법은 특정한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 사용되는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문인식 장치들(10)은 각각 입력된 지문정보를 인식하여 데이터 처리하는 지문인식부(11a),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11b), LED 또는 LCD 등을 이용하여 지문인식 장치(10)의 상태정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인증여부에 대한 결과 등을 표시하는 화면출력부(11c), 스피커나 부저 등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성/음향 출력부(11d), 후술되는 도어락 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통신부(11e) 및 키입력부(11b)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인증정보와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1f)를 구비한다.
지문인식 장치들(10)에는 보안을 위해 자신에 내장된 지문인식부(11a)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설정되어 다른 지문인식 장치의 지문인식부가 장착되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어락들(20)은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로 후술되는 도어락 제어장치(30)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도어를 개폐한다.
도어락 제어장치(30)는 일정수의 지문인식 장치들(10)과 도어락(20)을 관리하며 RS-422 또는 TCP/IP와 같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로 각 지문인식 장치들(10)로부터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도어락(20)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러한 도어락 제어장치(30)는 지문인식 장치들(10)과 통신을 위한 제 1데이터통신부(31), 다수의 도어락 제어장치(30)를 제어하는 컴퓨터(서버)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제 2데이터통신부(32) 및 지문인식 장치들(10)로부터의 사용자 인증 데이터 또는 제 2데이터통신부(32)를 통한 도어락 제어명령에 따라 도어락들(20)의 개폐를 제어하며 사용자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어락 제어부(33)를 구비한다.
지문인식 장치들(10)과 도어락들(20)의 수가 많은 경우 다수의 도어락 제어장치(30)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경우 다수의 도어락 제어장치(30)를 관리하여 출입통제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 하는 서버를 둘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어 대상 도어락들(20)의 수에 따라 지문인식장치들(10)과 도어락 제어장치(30)만을 사용하거나, 다수의 도어락 제어장치들(10)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용 컴퓨터를 부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확장 운영하는 경우 출입통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서버(40)는 도어락 제어장치들(30)을 통해 도어락들(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원격으로 도어락들(20)의 개폐를 제어한다. 그리고, 서버(40)는 도어락 제어장치들(30)을 통해 지문인식 장치(10)로부터 발생되는 이벤트정보를 제공받아 각 도어에 대한 출입현황 및 침입자 발생여부를 감시한다.
또한, 마스터로 등록된 관리자는 서버(40)를 이용해 각 지문인식 장치(10)의 정보를 생성, 변경 및 삭제가 가능하다.
도어락 제어장치들(30)과 서버(40)는 TCP/IP 또는 RS-422와 같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로 연결된다.
도 2와 같은 시스템에서 서버(40)는 도어락 제어장치들(30)과 통신을 하게 되므로 지문인식 장치들(10)과 직접 통신을 하는 경우에 비해 부하가 훨씬 적게 걸리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출입통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원이 공급되면 지문인식 장치들(10) 및 도어락 제어장치(30)는 시스템을 초기화한다(단계 301). 초기화 동작으로 지문인식 장치들(10)은 각 구성요소들(11a 내지 11f)에 대한 정상동작 여부를 테스트한 후 이상이 없으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상태로 대기한다.
초기화가 완료되면, 도어락 제어장치(30)는 제 1데이터통신부(31)를 통해 각 지문인식 장치들(10)로 폴링(Polling)한다(단계 302).
지문인식 장치(11)는 도어락 제어장치(30)로부터 폴링이 있으면, 폴링신호의 ID와 자신의 ID가 맞는지를 확인(단계 303)하여 맞지 않으면 이를 무시한 후 사용자 인증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맞으면 메모리(11f)에 로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304).
로그 데이터란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위해 키입력부(11b)를 통해 입력한 데이터 및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로, 지문인식 장치(11)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정보들이 입력되면 이를 이용해 사용자를 인증하여 그 결과를 화면출력부(11c) 또는 음성/음향 출력부(11d)를 통해 문자 또는 음성/음향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인증 관련 정보는 메모리(11f)에 저장한다.
지문인식 장치(11)는 로그 데이터가 없으면 전송 끝 문자(EOT)를 도어락 제어장치(30)로 전송한 후 단계 302부터의 과정을 다시 수행하며, 로그 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데이터통신부(11e)를 통해 도어락 제어장치(30)로 전송한다(단계 304).
도어락 제어장치(30)는 수신된 로그 데이터로 해당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단계 305)한 후 인증된 사용자이면 도어락(21)을 오픈(단계 306)하고 해당 로그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307). 도어락 제어장치(30)는 도어가 열린 후 다시 닫히게 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해당 도어를 잠근다.
그리고 전원오프 등 별도의 명령이 없는 한 단계 302 내지 단계 307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도 4는 도 2의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출입통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 도어락 제어장치(3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원이 공급되면 지문인식 장치(10) 및 도어락 제어장치(30)는 시스템을 초기화한다(단계 401).
초기화가 완료되면, 도어락 제어장치(30)는 각 지문인식 장치들(10)로 폴링(Polling)한다(단계 402).
도어락 제어장치(30)는 지문인식 장치들(10)로부터 폴링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403).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도 3에서의 단계 303 내지 단계 307의 과정을 수행하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서버(40)로부터 폴링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404).
도어락 제어장치(30)는 서버(40)로부터 폴링이 있으면 ID를 확인하여 해당 폴링이 자신에 대한 폴링인지를 확인한다(단계 405).
도어락 제어장치(30)는 ID가 맞지 않으면 이를 무시하고 단계 402부터의 동작을 다시 반복 수행하며, ID가 맞아 자신에 대한 데이터 요청이라는 것이 확인되면 지문인식 장치(11)로부터 수신한 로그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406).
로그 데이터가 없으면 전송 끝 문자(EOT)를 서버(40)로 전송한 후 단계 402부터의 과정을 다시 진행하고, 로그 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서버(40)로 전송한다(단계 40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문인식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과 도어의 락을 제어하는 기능을 별도의 단말기로 분리 운영하여 컴퓨터(서버)없이도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제어 대상이 많은 경우 컴퓨터가 직접 많은 수의 지문인식 장치와 통신하지 않고 중간에서 지문인식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산 수집하게 되므로 트랙픽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부터 하나의 컴퓨터(서버)로 많은 수의 지문인식 장치에 대응할 수 있으며, 각 지문인식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보다 저 비용으로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된다.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인증하는 복수의 지문인식 장치;
    외부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개폐되는 복수의 도어락; 및
    상기 복수의 지문인식 장치들에게 로그 데이터를 요청하여 제공받고 로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 장치는
    입력된 지문정보를 인식하여 데이터 처리하는 지문인식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지문인식 장치의 상태정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인증여부에 대한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출력부;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성/음향 출력부;
    상기 도어락 제어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통신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도어락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지문인식 장치로부터의 이벤트 발생정보를 수신하여 각 지문인식 장치의 출입현황을 관리하고 원격으로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하는 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장치는
    상기 지문인식 장치들과 통신을 위한 제 1데이터통신부;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제 2데이터통신부; 및
    상기 지문인식 장치들로부터의 로그 데이터 또는 상기 서버의 도어락 제어명령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지문인식 장치에 저장된 지문정보를 생성, 변경 및 삭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2002-0069623A 2002-11-11 2002-11-11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047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623A KR100476179B1 (ko) 2002-11-11 2002-11-11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623A KR100476179B1 (ko) 2002-11-11 2002-11-11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757A true KR20040041757A (ko) 2004-05-20
KR100476179B1 KR100476179B1 (ko) 2005-03-16

Family

ID=3733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623A KR100476179B1 (ko) 2002-11-11 2002-11-11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1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97B1 (ko) * 2005-12-27 2007-04-24 주식회사 카모스 지문인식을 이용한 건물 네트워크 시스템
KR100714472B1 (ko) * 2005-08-18 2007-05-07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 인식기와 그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에이용되는 메모리 카드와 그 카드의 정보 기록방법
KR100741955B1 (ko) * 2006-08-31 2007-07-23 신요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인증 도어락 개폐 및 이를위한 사용자 등록방법
KR100803536B1 (ko) * 2006-10-13 2008-02-15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일회용 인증정보에 의한 인증기능을 구비한 출입관리장치및 그 방법
KR100894421B1 (ko) * 2007-04-18 2009-04-21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 인증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사용자 인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61A (ko) * 2000-07-19 2002-01-29 오종식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시스템
KR20020007823A (ko) * 2000-07-19 2002-01-29 장용우 지문인식을 이용한 보안/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11666A (ko) * 2000-08-03 2002-02-09 김철순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0485A (ko) * 2000-09-09 2002-03-15 전주호 인터넷망을 이용한 사원 입,출입 원격 관리방법 및 그시스템
KR100463982B1 (ko) * 2001-09-25 2005-01-03 주식회사 알파엔지니어링 종합통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72B1 (ko) * 2005-08-18 2007-05-07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 인식기와 그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에이용되는 메모리 카드와 그 카드의 정보 기록방법
KR100711197B1 (ko) * 2005-12-27 2007-04-24 주식회사 카모스 지문인식을 이용한 건물 네트워크 시스템
KR100741955B1 (ko) * 2006-08-31 2007-07-23 신요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인증 도어락 개폐 및 이를위한 사용자 등록방법
KR100803536B1 (ko) * 2006-10-13 2008-02-15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일회용 인증정보에 의한 인증기능을 구비한 출입관리장치및 그 방법
KR100894421B1 (ko) * 2007-04-18 2009-04-21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 인증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사용자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6179B1 (ko)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57249B2 (en) Smart card access control system
JP6937764B2 (ja) 物理空間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669054B2 (en) Legacy access control security system modernization apparatus
AU2002257249A1 (en) Smart card access control system
US20090050697A1 (en) Apparatus for distributed data storage of security identification and security access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111084B2 (en) Authentication platform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US20140320259A1 (en) Biometric security apparatus for access and control of a physical locking storage unit
US20200098208A1 (en) Security control device, security control method, security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0476179B1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0894421B1 (ko) 지문 인증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사용자 인증 방법
KR20020011666A (ko)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7265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200214333Y1 (ko) 지문인식 전자카드키
US20190199701A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RU2260840C2 (ru) Средство защиты
KR100714472B1 (ko) 지문 인식기와 그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에이용되는 메모리 카드와 그 카드의 정보 기록방법
KR19990073948A (ko) 화상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0411392B1 (ko) 핸드 헬드 프로그래머를 구비한 도어 보안장치
KR200209441Y1 (ko)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KR100472105B1 (ko) 독립형 지문인식 모듈 및 독립형 지문인식 모듈의 보안 방법
KR20020073716A (ko) 위겐드신호 자동발생장치를 갖춘 출입통제용직렬통신인터페이스 및 그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의운영방법
KR20050029017A (ko)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200329564Y1 (ko) 실시간 화상 통화 및 디브이알 기능을 갖춘 다중 인증출입 통제 시스템과 그 방법
JPH11195103A (ja) スイッチ付きicカード
JPH1139489A (ja) 指紋照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