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441Y1 -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441Y1
KR200209441Y1 KR2020000022149U KR20000022149U KR200209441Y1 KR 200209441 Y1 KR200209441 Y1 KR 200209441Y1 KR 2020000022149 U KR2020000022149 U KR 2020000022149U KR 20000022149 U KR20000022149 U KR 20000022149U KR 200209441 Y1 KR200209441 Y1 KR 200209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oor
controller
security
recog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순
김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하나에스티
김철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하나에스티, 김철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하나에스티
Priority to KR2020000022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441Y1/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체적으로 출입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방범 모드 해제시 잠금장치 및 침입자 감지센서가 출입모드로 자동 변환하게 되어 사용상의 오보를 줄이며, 각 장치간의 통신을 암호화함으로써 보안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제안된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출입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근거로 선별적으로 출입문을 개폐함과 더불어 방범모드에서 침입자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범모드에서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침입감지센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받아 들이는 사용자 인식기, 출입문을 개폐하기 위한 잠금장치, 상기 잠금장치를 개폐 제어하기 위한 잠금장치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출입문 장치와; 상기 각각의 사용자 인식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해당되는 잠금장치 제어기로 상기 출입문을 개문 또는 폐문하도록 선별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각각의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자 감지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해당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주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EXIT OR PRIME PREVENTION}
본 고안은 출입 관리 및 방범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지역의 제어기에서 컴퓨터 시스템과의 연동없이 자체적으로 출입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방범 관제 시스템의 구성시 사용자 인식기에서 방범 모드 해제시 잠금장치 및 침입자 감지센서가 출입모드로 자동 변환하게 되어 사용상의 오보를 줄이며, 잠금장치와 제어기간의 통신을 암호화함으로써 보안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제안된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0 은 종래의 일반적인 출입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 에서와 같이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은 전반적인 출입관리 제어를 수행하는 주제어기(10),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침입감지센서(16),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문열림감지센서(18),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기(20), 잠금장치(24)를 제어하기 위한 잠금장치 제어기(22), 주제어기(10)와 연결되어 출입현황 등을 조회할 때 이용되는 컴퓨터(14), 출입현황 등을 문서로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식기(20)는 사용자의 ID를 읽어 들이는 장치로서 카드인식기, 번호입력기, 지문인식기 등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이 사용된다.
상기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은 우선 주제어기(10)에 사용자 인식기(20)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한 후 사용자 인식기(20)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주제어기(10)는 상기 출입 요청된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 여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 잠금장치 제어기(22)에 개폐 명령을 내리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은 주제어기(10)에서 잠금장치 제어기(22)를 제어할 때 잠금장치 제어기(22)와 주제어기(10) 사이에 고정된 신호에 의한 통신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통신선로를 이용한 침입의 가능성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은 설치된 사용자 인식기의 종류에 따라 ID 카드 또는 지문 등 사용자 인식기를 고정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안 레벨에 따른 차별 적용이 불가능하였다. 즉, 보안 성능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 전제 사용자 인식기와 제어기의 프로그램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관리 및 비용상의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어기 관리의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은 외부에서 해당 지역의 출입관리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도 11 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범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1 에서와 같이 종래의 방범 관제 시스템은 전반적인 방범 관제 제어를 수행하는 일체형 본체(30),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침입감지센서(36),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문열림감지센서(38), 각 지역의 일체형 본체(30)와 연결되어 방범 관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34), 일체형 본체(30)에서 입력되는 방범 관제 정보를 근거로 방범 관제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관제실(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체형 본체(30)는 경보기, 사용자 인식기, 제어기로 이루어진 다.
상기 종래의 방범 관제 시스템은 일체형 본체에 관리자의 정보를 등록한 후 관리자의 부재시 일체형 본체(30)에 등록된 관리자 정보를 이용하여 방범 모드를 설정하게 되고, 이어서, 불법 침입자가 침입감지센서(36)에 감지되면 관제실(32)로 자동 통보되며 상황 종료시 상기 관리자 정보를 이용하여 방범 모드를 해제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방범 관제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등록된 이용자인 경우에도 방범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출입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실하고 일체형 본체(30)에 다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방범 모드를 해제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범 모드 상황에서 출입 후 방범 모드 상황을 해제하는 것을 잊는 경우에는 오동작의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이나 방범 관제 시스템은 예컨대, 대형 건물의 경우에 있어서 개별 입주사들이 이를 전체 빌딩 출입 관리 및 방범 관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설치한 때에는 해당 출입문의 출입자 등록/삭제 및 방범 모드의 설정/해제시 빌딩의 메인 제어 컴퓨터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지역의 제어기에서 컴퓨터 시스템과의 연동없이 자체적으로 출입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방범 관제 시스템의 구성시 사용자 인식기에서 방범 모드 해제시 잠금 장치 및 침입자 감지센서가 출입모드로 자동 변환하게 되어 사용상의 오보를 줄이며, 잠금장치와 제어기간의 통신을 암호화함으로써 보안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본 고안의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와 3 은 도 1 에서의 방범 모드를 설정/해제하기 위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4 는 도 1 에서의 사용자 인식기의 구체적인 구성도.
도 5 는 도 1 에서의 주제어기의 외형적인 구성도.
도 6 은 주제어기와 잠금장치 제어기 사이의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 은 주제어기와 사용자 인식기 사이의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8 은 주제어기와 제어컴퓨터 사이의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9 는 본 고안의 각 지역에 설치되는 복수의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10 은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1 은 종래의 방범관제 시스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주제어기 42 : 외부 컴퓨터
44 : 메인 컴퓨터 52 : 제어입력장치
60 : 출입문 장치 601 : 사용자 인식기
603 : 잠금장치 제어기 605 : 잠금장치
607 : 문열림감지센서
전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은 출입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근거로 선별적으로 출입문을 개폐함과 더불어 방범모드에서 침입자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범모드에서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침입감지센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받아 들이는 사용자 인식기, 출입문을 개폐하기 위한 잠금장치, 상기 잠금장치를 개폐 제어하기 위한 잠금장치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출입문 장치와; 상기 각각의 사용자 인식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해당되는 잠금장치 제어기로 상기 출입문을 개문 또는 폐문하도록 선별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각각의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자 감지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해당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주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인식기로부터 사용자의 방범모드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잠금장치 제어기로 출입문을 폐문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방범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기로부터 사용자의 방범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잠금장치 제어기로 출입문을 개문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방범모드를 자동으로 설정 해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인식기는 RF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 인식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입력기,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출입문의 보안 등급에 따라 상기 카드 인식기, 숫자 입력기, 지문 인식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요구가 만족되었을 때 출입문의 개문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주제어기로 주기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고 상기 주제어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제어기는 정상적으로 등록되기를 요구하는 사용자 정보가 상기 사용자 인식기를 통해 입력되면 자체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해당 사용자 정보를 상기 메인 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컴퓨터는 상기 신규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임의의 출입문 장치에 대한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주제어기를 제어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해당 출입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은 통합적인 출입/방범 관리를 수행 제어하기 위한 주제어기(40), 주제어기(4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면서 주제어기(40)에서 보관하고 있는 출입관리 또는 방범관제 데이터를 수집하는 메인 컴퓨터(44), 메인 컴퓨터(44)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지의 컴퓨터(42), 주제어기(40) 또는 메인 컴퓨터(44)의 제어하에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46),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50), 방범 모드의 설정 또는 해제 등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입력장치(52), 출입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주제어기(40)로 전송한 후 주제어기(4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출입문 개폐여부 정보에 따라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문 장치(6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출입문 장치(601)는 카드 인식기, 지문인식기, 번호 입력기 등으로 되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기(601), 출입문을 개폐하기 위한 잠금장치(605), 문열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문열림감지센서(607), 문열림감지센서(607)의 감지신호를 받아들이고, 잠금장치(605)를 제어하기 위한 잠금장치 제어기(60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42)는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해 해당 지역의 출입관리 및 방범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컴퓨터(42)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메인 컴퓨터(44)에 접속한 후 출입문 장치(601)의 동작을 예컨대, 출입모드 또는 방범모드 등 원하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통신데이터는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어기(40)는 각 지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출입문 장치(601~60N)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 는 본 고안의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에서 방범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방범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주제어기(40)가 외부에 설치되어 있을 때와 내부에 설치되어 있을 때 그 동작 순서가 상이하므로 서로 구분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우선, 주제어기(40)가 내부형인 경우 퇴실자는 단계(S12)에서와 같이 제어입력장치(50)의 방범모드 버튼을 누른다.
이어서, 단계(S14)에서 퇴실자는 출입문을 통과한 후 단계(S16)에서 사용자 인식기(601)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 인식기(601)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주제어기(40)로 전송하게 되고, 단계(S26)에서 주제어기(40)는 잠금장치 제어기(60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잠금장치(605)를 잠금상태로 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주제어기(40)가 외부형인 경우 퇴실자는 단계(S18)에서와 같이 일단 퇴실한 후 단계(S20)에서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식기(601)에 구비된 키패드(72)에서 예컨대, '2'번 버튼을 입력하고 단계(S22)에서 사용자 인식기(601)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 인식기(601)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주제어기(40)를 전송하게 되고, 주제어기(40)는 단계(S26)로 이행하여 잠금장치 제어기(60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잠금장치(605)를 잠금상태로 하도록 하게 된다.
다른 한편, 퇴실자는 단계(S24)에서와 같이 '2'번 버튼을 입력하지 않고 카드 인식기(74)를 통해 사용자 카드를 예컨대, 연속 3회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단계(S28)에서 주제어기(40)는 잠금장치 제어기(60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출입문 장치(601)에 구비되는 출입센서(도시하지 않음)의 기능을 정지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방범모드를 동작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30)에서 출입문 장치(60)는 사용자 인식기 상의 LCD(78)를 통해 '방범모드'를 알리게 되고, 단계(S32)에서와 같이 방범 모드가 해제되기 전까지 방범 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에서 방범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방범 모드의 해제시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범 모드의 설정시와 마찬가지로 주제어기(4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을 때와 외부에 설치되어 있을 때로 구분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우선, 단계(S40)에서 입실자는 출입문장치(60)의 키패드(72)에서 예컨대, '1'번 버튼을 입력한 후 단계(S42)로 이행하여 사용자 인식기(601)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 인식기(601)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주제어기(40)를 전송하게 되고, 단계(S46)에서 주제어기(40)는 잠금장치 제어기(60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잠금장치(605)를 출입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48))에서는 출입센서의 기능이 회복되고, 단계(S50)에서 출입문 장치(60)는 표시장치를 통해 '출입모드'를 표시하게 되며, 출입모드가 해제될 때(방범모드가 설정될 때)까지 출입모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다른 한편, 퇴실자는 단계(S40)에서와 같이 '1'번 버튼을 입력하지 않고 카드 인식기(74)를 통해 사용자 카드를 예컨대, 연속 3회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식기(601)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리를 위한 대화형 LCD(78),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번호 입력기(72), RF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 인식기(74),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기(76)를 모듈화하여 상기 입력장치(72, 74, 76) 중 하나 이상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입력장치(72, 74, 76)가 구성된 사용자 인식기(601)에서 출입문의 보안 등급에 따라 입력장치(72, 74, 76)의 입력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요구함으로써 보다 철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아래의 표 1 에서와 같이 관리자, 관제실, 일반사용자 그리고 방문자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분 류 기 능
관 리 자 사용자 등록 및 삭제 업무
관 제 실 방범 모드 상에서 시스템 관리
일 반 사 용 자 출입문 이용 및 방범 모드 설정 및 해제
방 문 자 출입문 이용
도 5 는 전술한 주제어기(40)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5 에서 사용자 인식기(601), 잠금장치 제어기(603), 잠금장치(605)를 포함하는 출입문 장치(6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주제어기(40)는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등의 전반적인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CPU(901), CPU(901)와 출입문 장치(60) 사이의 신호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903), CPU(901)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예컨대, 경보 스피커(917), 침입경보 시스템(909), 관제실 경보(921)로 전송 처리하는 신호출력단자(913), 경보센서(923), 화재경보기(925), 비디오폰(927) 등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CPU(901)로 입력 처리하기 위한 신호입력단자(915), 현재 시각 및 날짜를 제공하는 날짜/시각부(905), 전원감시제어를 담당하는 전원감시제어부(907), 각 출입문 장치(60)로부터 입력되는 출입정보 또는 방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저장부(909), 현재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9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그리고, 주제어기(40)는 모뎀 통신을 위한 모뎀(931), 각 출입문 장치(60)를 제어를 담당하는 컴퓨터(933), 인터넷 통신을 위한 인터넷 망(935), 음성 안내를 위한 음성 안내부(937)와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92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모뎀(931)과 인터넷 망(935)을 이용하여 주제어기(40)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주제어기(40)의 동작모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에 따라 주제어기(40)의 동작모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인터넷(935)을 이용하여 주제어기(40)를 제어하는 경우 주제어기(40)와 잠금장치(605), 잠금장치 제어기(603), 사용자 인식기(601) 및 메인 컴퓨터(44) 사이의 통신 암호화에 사용된 통신 기법으 적용함으로써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주제어기(40)와 잠금장치 제어기(603) 사이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단계(S60)에서 주제어기(40)는 출입문 장치(6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를 근거로 잠금장치 제어기(603)로 전송하여야 할 제어명령을 판단한다. 이어서, 주제어기(40)는 상기 제어명령을 판단하면 단계(S62)에서 상기 제어명령을 암호화하기 위한 새 암호키를 생성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64)에서 주제어기(40)는 상기 제어명령과 생성된 새로운 암호키를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는 등 출력신호를 변조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66)에서 주제어기(40)는 상기 변조된 출력신호를 이전의 암호키를 이용항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제어 명령을 RS-232C/422/485 통신을 이용하여 잠금장치 제어기(603)로 송신하게 된다.
이어서, 잠금장치 제어기(603)는 단계(S72)에서 주제어기(40)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어 오면 단계(S74)로 이행하여 유지하고 있던 이전의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 통신을 복호화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76)로 이행하여 주제어기(4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암호통신을 제어명령 부분과 새로운 암호키 부분으로 분리하는 등의 입력신호에 대한 변조를 실행하게 된다. 이어서, 잠금장치 제어기(603)는 단계(S78)로 이행하여 주제어기(40)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모드를 설정하여 문열림감지센서(607)의 동작 상태를 감시함과 더불어 단계(S80)로 이행하여 상기 새로운 암호키로서 이전의 암호키를 갱신하게 된다.
이어서, 잠금장치 제어기(503)는 주제어기(40)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게 되면 단계(S8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신호를 상기 새로운 암호키로 암호화한 후 단계(S82)로 이행하여 주제어기(40)와 암호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주제어기(40)는 단계(S8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장치 제어기(603)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계(S88)로 이행하여 저장되어 있는 암호키로서 수신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단계(S60)로 이행하여 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7 은 주제어기(40)와 사용자 인식기(601)의 암호화 통신을 , 도 8 은 주제어기(40)와 메인 컴퓨터(44)의 암호화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로서, 각 통신 방법은 통신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대상이 다를 뿐 전술한 주제어기(40)와 잠금장치 제어기(603)의 통신 방법과 유사하게 암호화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개별적인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을 복수 개 관리하는 통합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통합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은 하나의 빌딩에 각 지역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출입관리 및 방범관제를 수행하는 개별적인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110), 다수개의 출입/방문 관제 시스템(110)을 중간 단계에서 관리하기 위한 서브 제어기(150), 다수의 서브 제어기(150)를 통합 관리하는 메인 제어 컴퓨터(100), 메인 제어컴퓨터(100)에서 전송되는 출입/방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감시 컴퓨터(102), 관리자로부터 관리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관리자 인식기(104)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개별적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110)은 독립적으로 제어입력장치를 갖음으로써 개별 출입문의 출입자를 등록 혹은 삭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통합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하에서는 메인 제어컴퓨터(100)의 제어를 받는 하부 제어기로써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출입관리 시스템과 방범 관제 시스템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운용하므로 관리의 측면에서는 출입관리 모드에서 방범 관제 모드로의 전환이 손쉽게 가능하여 시스템의 운용이 간편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고, 하나의 제어기를 이용하여 여러 출입문과 센서들을 제어하므로 기존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출입관리 및 방범관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지역의 보안 등급에 따라 여러 개의 사용자 인식기를 사용하여 출입자에게 요구하는 사용자 인식 정보가 높아지므로 그에 따른 보안의 유지가 한결 원할해지는 효과가 있고, 시스템의 통신을 암호화함에 따라 통신 선로를 통한 침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빌딩 전제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과 연계시에도 독립적으로 출입자 등록/삭제, 모드 전환 등이 가능함으로 개별입주사의 독립성을 보장하였으며, 외부에서의 제어기 상태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하므로 운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하였다.

Claims (7)

  1. 출입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근거로 선별적으로 출입문을 개폐함과 더불어 방범모드에서 침입자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범모드에서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침입감지센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받아 들이는 사용자 인식기, 출입문을 개폐하기 위한 잠금장치, 상기 잠금장치를 개폐 제어하기 위한 잠금장치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출입문 장치와;
    상기 각각의 사용자 인식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해당되는 잠금장치 제어기로 상기 출입문을 개문 또는 폐문하도록 선별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각각의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자 감지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해당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주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인식기로부터 사용자의 방범모드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잠금장치 제어기로 출입문을 폐문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방범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기로부터 사용자의 방범모드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잠금장치 제어기로 출입문을 개문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방범모드를 자동으로 설정 해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기는 RF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 인식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입력기,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출입문의 보안 등급에 따라 상기 카드 인식기, 숫자 입력기, 지문 인식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요구가 만족되었을 때 출입문의 개문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로 주기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고 상기 주제어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정상적으로 등록되기를 요구하는 사용자 정보가 상기 사용자 인식기를 통해 입력되면 신규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신규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임의의 출입문 장치에 대한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주제어기를 통해 상기 해당 출입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KR2020000022149U 2000-08-03 2000-08-03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KR200209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49U KR200209441Y1 (ko) 2000-08-03 2000-08-03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49U KR200209441Y1 (ko) 2000-08-03 2000-08-03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083A Division KR20020011666A (ko) 2000-08-03 2000-08-03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441Y1 true KR200209441Y1 (ko) 2001-01-15

Family

ID=7308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149U KR200209441Y1 (ko) 2000-08-03 2000-08-03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1851A1 (en) * 2001-04-09 2002-10-17 Eul-Soo Seo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shutting automatically an emergency ex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1851A1 (en) * 2001-04-09 2002-10-17 Eul-Soo Seo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shutting automatically an emergency exit
KR100549210B1 (ko) * 2001-04-09 2006-02-08 이영진 비상구 자동 개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6544A (en) Wireless access system
US7467400B1 (en) Integrated security system having network enabled access control and interface devices
JP2004528655A (ja) 周波数方式
KR20020011666A (ko)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894421B1 (ko) 지문 인증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사용자 인증 방법
JPH1037551A (ja) 入退管理システム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33531A (ko) 디지털 도어락
KR200209441Y1 (ko) 출입/방범 관제 시스템
WO200100483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fingerprint recognition type door lock operation
KR20040095382A (ko) 실시간 얼굴 인식을 통한 출입통제 및 방문자 기록 시스템
KR100476179B1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JP4125983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KR101255733B1 (ko)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03003470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근태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711197B1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건물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06358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15859Y1 (ko)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KR200214333Y1 (ko) 지문인식 전자카드키
KR100480475B1 (ko) 터치센서와 알에프 카드 인식장치를 이용한 출입/근태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293466Y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대여금고 통제 시스템
KR100411392B1 (ko) 핸드 헬드 프로그래머를 구비한 도어 보안장치
KR200321644Y1 (ko) 실시간 얼굴 인식을 통한 출입통제 및 방문자 기록 시스템
KR100431757B1 (ko) 블루투스를 탑재한 pda를 이용한 원격 출입관리 및 제어 방법
KR102227187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 접촉식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