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053A -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 - Google Patents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053A
KR20040041053A KR1020030078575A KR20030078575A KR20040041053A KR 20040041053 A KR20040041053 A KR 20040041053A KR 1020030078575 A KR1020030078575 A KR 1020030078575A KR 20030078575 A KR20030078575 A KR 20030078575A KR 20040041053 A KR20040041053 A KR 20040041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optical
unit
optical cable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리마츠다카시
세키노히로유키
세키구치다츠오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0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배선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커넥터보드의 규격통일이 가능하고,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광파이버 및 전력선 중 적어도 광파이버를 가지는 제 1 광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단자(5)를 가지고, 바깥 프레임 패널(2)에 설치되는 커넥터단자유닛(3)과, 광파이버 및 전력선 중 적어도 광파이버를 가지는 제 2 광케이블(6)의 한쪽 끝이 억류되어 제 1 및 제 2 광케이블이 대응하는 광파이버가 접속되는 접속유닛(4)이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과 접속유닛.

Description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CONNECTOR COMBINED LUMINOUS UNIT AND CONNECTION UNIT}
본 발명은 텔레비전중계용 광시스템 또는 방송스튜디오의 텔레비전 카메라용 광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텔레비전중계용 광시스템, 예를 들면 야구장, 축구장, 육상경기장 등에서 사용되는 도 9에 나타내는 텔레비전중계용 광시스템(25)은, 미리 주차장(26)에 커넥터보드(28)를, 관객석(30)에 복수의 커넥터보드(32)를 각각 설치하여 커넥터보드(28)와 커넥터보드(32)를 보드 밖의 광파이버 케이블 또는 광·전력 복합 케이블(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케이블을 총칭하여 「광케이블」이라 함)(62)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광시스템(25)은 주차장(26)에 주차한 중계차(27)와 커넥터보드(28)에 설치한 커넥터단자(29) 및 관객석(30)측의 텔레비전 카메라(33)와 경기장 내에 설치한 커넥터보드(32)의 커넥터단자(29)를 각각 광케이블(63)로 접속함으로써 텔레비전중계를 행하고 있다.
한편, 방송스튜디오의 텔레비전 카메라용 광시스템,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광시스템(41)은 미리 부조정실(42)에 커넥터보드(43)를 설치함과 동시에, 스튜디오(47) 내에 복수의 커넥터보드(48)를 설치하여 커넥터보드(43)와 커넥터보드 (48)를 광케이블(62)로 접속하고 있다. 광시스템(41)은 각 베이스 스테이션(44)과 커넥터보드(43)의 커넥터단자(29) 및 스튜디오의 텔레비전 카메라(33)와 커넥터보드(48)의 커넥터단자(29)를 각각 광케이블(63)로 접속하여 텔레비전중계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시스템에 있어서의 커넥터보드(28, 32, 43, 48)는 모두 커넥터단자 (29)와 접속유닛(49)을 가지고, 접속유닛(49)은 커넥터보드와는 별체로 제작되어 커넥터보드의 박스체 내에 조립되고, 접속유닛(49)과 커넥터단자(29)는 박스체 내에서 광케이블로부터 분기시킨 하나하나의 광파이버(61)에 의하여 접속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었다.
여기서 커넥터보드, 예를 들면 커넥터보드(28)는 일반적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보드(28)의 박스체(28a) 내에 광케이블(62)이 도입되고, 광케이블(62)로부터 분리된 하나하나의 광파이버를 접속유닛(49)에 있어서 대응하는 광파이버 (61)와 융착 접속하고 있으며, 패널(39)이 도어로서 개폐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39)을 열면 커넥터단자(29)와 함께 접속유닛(49)도 다수의 광파이버(61)와 함께 인출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보드(28)에 있어서는 미리 패널 (39)의 개폐를 고려한 길이로 복수의 광파이버(61)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보드(28)는 광파이버(61) 및 커넥터단자(29)가 다수 설치되어 있으나, 도 11에 있어서는 커넥터보드(28)의 개략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2개만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접속유닛(49)은 통상, 광성단 박스라 불리우는 유닛이 사용되고(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내에 광케이블(62)을 도입하여 인장재(62a)를 고정부(49a)에 고정한다. 이것과 함께 광케이블(62)로부터 분리한 광파이버(62b)를 융착트레이(49b)에 설치된 복수의 핀(49c)을 이용하여 수회 감아 여유길이를 처리한 후, 중계 파이버(50)의 한쪽 끝과 융착 접속한다. 이때 중계 파이버(50)는 다른쪽 끝에 커넥터(50a)가 설치되고, 광파이버(62b)와의 접속부는 슬리브(51)로 보호되어 있다. 접속유닛(49)은 융착 트레이(49b)가 복수 적층되어 최상부에 덮개가 덮여지고, 커넥터(50a)와 광파이버(61)의 끝부에 설치한 커넥터(61a)를 접속하는 어댑터(52)가 다수 배열됨과 동시에, 광케이블(62)이 가지는 전선을 광케이블(63)이 가지는 전선과 접속하기 위한 금속용 커넥터(53)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249845호 공보
그런데 텔레비전중계용이나 텔레비전 카메라용 광시스템에서는 그 사양이 정해지지 않으면 접속유닛(49)의 규모(크기 등)가 정해지지 않고, 접속유닛(49)의 규모가 정해지지 않으면 접속유닛(49)을 수납하는 커넥터보드(28)의 박스체의 크기 등이 정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보드는 텔레비전중계용이나 텔레비전 카메라용의 광시스템의 사양에 맞추어서 그때마다 설계하지 않으면 안되어 커넥터보드의 규격통일의 지장이 되고 있었다.
또 커넥터보드에 있어서는 내부에 수납하는 접속유닛(49)의 설치방향은 광케이블(62)의 설치조건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면 광케이블(62)은 땅속 배선의 경우에는 밑으로부터 상승되고, 가공배선, 또는 건물의 천정으로부터의 배선에서는 위로부터 수직 하강되고, 또는 건물의 벽을 통하여 옆으로부터와 그 배선설계에 의하여 커넥터보드, 따라서 접속유닛(49)에 대한 입선각도가 상위하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접속유닛(49)의 융착 트레이(49b)에 있어서는 광파이버를 출입하는 출입구가 설계상 점선 A로 나타내는 4 모서리의 4개소에 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보드나 접속유닛(49)에 있어서는, 광케이블(62)이 어떠한 각도로부터 입선되더라도 대응할 수 있도록 광시스템 전체의 설계가 완료되고 나서 설계하고 있었다. 또 커넥터보드는 광케이블의 입선방향을 무시하고 범용성만을 생각한 설계로 할 경우에는 광케이블의 곡율반경을 고려할 필요로부터, 광케이블의 고정스페이스를 크게 설계하지 않으면 안되어 접속유닛(49)의 수납스페이스가 커져 커넥터보드 전체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넥터보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광시스템의 점검시에 커넥터단자(29)를 고정한 패널(39)을 열면 커넥터단자(29)와 함께 광파이버(61)도 인출된다. 이 때문에 광파이버(61)가 단선될 위험성이 있어 점검작업에는 세심한 주의와 숙련을 요하고 있었다. 또한 커넥터단자(29)와 접속유닛(49)을 접속하는 광파이버(61)는 그 접속작업이나 점검작업시에 구비하여 필요한 길이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그 수납스페이스가 요구되기 때문에 커넥터보드 전체가 대형화되고, 비용상승이 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케이블의 배선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커넥터보드의 규격통일이 가능하고,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것으로,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을 커넥터보드의 바깥 프레임 패널에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프레임체의 측면도,
도 2a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에서 사용하는 커넥터단자유닛을 나타내고, 커넥터단자를 설치한 커넥터단자유닛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커넥터단자유닛의 측면도,
도 3a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에서 사용하는 접속유닛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을 커넥터보드의 바깥 프레임 패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광케이블을 억류한 접속유닛의 제 1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광케이블을 억류한 접속유닛의 제 2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광케이블을 억류한 접속유닛의 제 3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것으로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의 배선도,
도 9는 종래의 텔레비전중계용 광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0은 종래의 방송용 텔레비전 카메라의 광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1은 도 9의 텔레비전중계용 광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커넥터보드의 개략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커넥터보드에서 사용되는 접속유닛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체 2 : 바깥 프레임 패널
3 : 커넥터단자유닛 4 : 접속유닛
5 : 커넥터단자 6 : 광케이블
6a : 전원선 6b : 신호선
6c : 시일드선 7 : 광파이버
8 : 인장재 10 : 설치부
11 : 중계 파이버 14 : 나사구멍
16 : 삽입구멍 17 : 여유길이 수납부
18, 19 : 나사구멍 21, 22 : 나사구멍
23, 24 : 고정지그 63 : 광케이블
63a : 전원선 63b : 신호선
63c : 시일드선 64 : 광파이버
70 : 중계선 70a : 전원선
70b : 신호선 70c : 시일드선
71, 72 : 커넥터 73 : 내뢰소자
74 : 퓨즈 75 : 수동스위치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은 광파이버 및 전력선 중 적어도 광파이버를 가지는 제 1 광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단자를 가지고, 바깥 프레임 패널에 설치되는 커넥터단자유닛과, 광파이버 및 전력선 중 적어도 광파이버를 가지는 제 2 광케이블의 한쪽 끝이 억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케이블이 대응하는 광파이버가 접속되는 접속유닛이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접속유닛은 판재의 한쪽 면에 상기 광파이버의 여유길이를 수납하는 여유길이 수납부가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제 2 광케이블의 광파이버를 삽입하는 삽입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구멍의 주위에는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 2 광케이블의 도입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은 광케이블의 배선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커넥터보드의 규격통일과 소형화를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에 관한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는 커넥터보드의 바깥 프레임 패널에 설치되는 프레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프레임체(1)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에서 사용하는 커넥터단자유닛(3)을 나타내고, 커넥터단자를 설치한 커넥터단자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커넥터단자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접속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접속유닛의 측면도이다.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은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커넥터단자유닛(3)과,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접속유닛(4)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단자유닛(3)은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1)를 거쳐 커넥터보드, 예를 들면 중계차 커넥터보드 등의 바깥 프레임 패널(2)에 설치 고정된다. 커넥터단자유닛(3)은 4각형상의 금속판을 상하방향 중앙에서 직각으로 구부린 것으로, 프레임체(1)에 설치한 나사구멍(22)에 상당하는 위치에 나사구멍(1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커넥터단자유닛(3)은 바깥 프레임 패널(2)의 안쪽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제 1면(3a)에 커넥터단자(5)가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 설치되고, 바깥 프레임 패널(2)의 안쪽을 향하여 위쪽으로 경사지는 제 2면(3b)의 이면에는 접속유닛 (4)을 설치하는 설치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임체(1)는 대략 사각형이고, 커넥터보드의 바깥 프레임 패널(2)에 나사 고정하는 나사구멍(21)과, 커넥터단자유닛(3)을 접속하는 나사구멍(22)이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 커넥터단자(5)는 전기접속과 광접속의 2개의 기능을 하나의 커넥터로 독립하여 일괄하여 행할 수 있는 전기·광복합 일괄 커넥터이고, 중계차나 텔레비전 카메라 등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광케이블이 접속된다.
접속유닛(4)은 제 2 광케이블인 광케이블(6)을 억류하여 제 1 및 제 2 광케이블이 대응하는 광파이버를 접속하는 것으로,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케이블(6)로부터 인출된 광파이버(7)를 삽입하는 삽입구(16)가 중앙에 형성되고, 이면에는 광파이버(7)의 여유길이를 수납하는 여유길이 수납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접속유닛(4)은 삽입구(16)의 주위에 뒤에서 설명하는 광케이블(6)용의 고정 지그를 고정하는 복수의 나사구멍(18)과, 광케이블(6)의 인장재용 고정 지그를 고정하는 나사구멍(19)이 각각 복수 설치되어 있다. 접속유닛(4)은 이들 나사구멍 (18, 19)을 광케이블(6)의 고정부로서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광케이블(6)을 어느 방향으로부터이더라도 접속유닛(4)에 인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접속유닛(4)은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16)를 끼운 복수의 나사구멍(18, 19)으로부터 광케이블(6)의 배선방향에 대응한 나사구멍 (18, 19)을 선택한다. 그리고 접속유닛(4)은 선택한 나사구멍(18, 19)을 이용하여 고정 지그(23)와 고정 지그(24)를 접속유닛(4)의 표면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고정 지그(23)에 의하여 광케이블(6)을 억류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고정 지그(24)에 의하여 광케이블(6)의 인장재(8)를 억류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접속유닛(4)에 있어서는 억류한 광케이블(6)의 광파이버(7)를 중앙에 형성한 삽입구(16)를 통과시키면 표면측으로부터 여유길이 수납부(17)가 있는 이면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삽입구(16)로부터 여유길이 수납부(17)측으로 인출된 광파이버(7)는 여유길이 수납부(17)에 형성된 복수의 핀을 이용하여 수회 감겨지고, 그 선단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접속단자(예를 들면, 페룰)(9)가 설치된다(도 4참조). 또 나사구멍(18, 19)은 삽입구(16)의 주위에 광케이블(6)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23)에 설치한 나사구멍과 동일간격으로 복수 설치되고, 또는 고정 지그(24)에 설치한 나사구멍의 간격과 고정 지그(23)에 설치한 나사구멍의 간격과의 양쪽을 고려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유닛(4)은 나사구멍(18, 19)과 삽입구(16)를 설치한 부분을 별체로 구성하고, 이 부분을 접속유닛(4)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설치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접속유닛(4)은 커넥터단자유닛(3)의 설치부(10)에 1개 또는 복수개 설치되고, 광파이버(7)의 단말에 설치한 접속단자(9)를 커넥터단자유닛(3)에 고정된 커넥터단자(5)와 직접,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커넥터(31)를 거쳐 커넥터단자(5)와 접속한다. 이때 접속커넥터(31)의 커넥터단자(5)측에 위치하는 접속단자(9)와 커넥터단자(5)와의 사이는 중계 파이버(11)에 의해 접속한다.
도 4는 프레임체(1)에 커넥터단자유닛(3)과 접속유닛(4)을 일체로 조립하여 접속유닛(4)에 직선상태로 고정한 광케이블(6)의 광파이버(7)와 커넥터단자(5)를 접속커넥터(31)를 거쳐 접속한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은 프레임체(1)를 거쳐 커넥터보드의 바깥 프레임 패널 (2)에 설치함으로써 커넥터보드 박스체 내에 콤팩트하게 수납되고, 커넥터단자(5)에 제 1 광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제 1 광케이블의 광파이버가 제 2 광케이블인 광케이블(6)이 대응하는 광파이버(7)와 접속된다. 이 경우 상기한 배경기술에 있어서 설명한 커넥터보드(28)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바깥 프레임 패널(2)이 패널(39)에 대응하고, 광케이블(6)이 광케이블(62)에 커넥터단자(5)에 접속하는 제 1 광케이블이 광케이블(63)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은 프레임체(1)를 거쳐 바깥 프레임 패널(2)에 설치하였으나, 커넥터단자유닛(3)을 직접 바깥 프레임 패널(2)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은 접속하는 제 1 광케이블과 제 2 광케이블의 수에 따른 수를 커넥터보드의 바깥 프레임 패널(2)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단, 텔레비전중계용이나 텔레비전 카메라용의 광시스템의 사양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 등에는 예상되는 광시스템의 규모에 따른 이상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을 설치하여 두면 그후의 광케이블의 추가에 대하여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오른쪽 아래 45도 방향으로부터 입선하는 광케이블(6)을 고정한 접속유닛(4)을 나타낸다. 접속유닛(4)은 삽입구(16)를 끼운 복수의 나사구멍 (18, 19) 중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부터 입선하여 오는 광케이블(6)에 대응한 나사구멍(181, 182)을 이용하여 광케이블(6)을 억류하는 고정 지그(23)를, 나사구멍 (191, 192)을 이용하여 인장재(8)를 억류하는 고정 지그(24)를, 각각 나사고정하고 있다.
또 도 6은 왼쪽 옆방향으로부터 입선하여 오는 광케이블(6)을 고정한 접속유닛(4)을 나타낸다. 접속유닛(4)은 복수의 나사구멍(18, 19) 중으로부터 왼쪽 옆방향으로부터 입선하여 오는 광케이블(6)에 대응한 나사구멍(183, 184)을 이용하여 광케이블(6)을 억류하는 고정 지그(23)를 나사구멍(193, 194)을 이용하여 인장재 (8)를 억류하는 고정 지그(24)를 각각 나사고정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오른쪽 옆방향으로부터 입선하여 오는 광케이블(6)을 고정한 접속유닛(4)을 나타낸다. 이때 접속유닛(4)은 복수의 나사구멍(18, 19)이 동심원상에 2중으로 설치되어, 안쪽을 고정 지그(23)용의 나사구멍(18)으로서 이용하고, 바깥쪽을 고정 지그(24)용의 나사구멍(19)으로서 이용한다. 그리고 접속유닛(4)은 복수의 나사구멍(18, 19) 중으로부터 오른쪽 옆방향으로부터 입선하여 오는 광케이블(6)에 대응한 나사구멍(185, 186)을 이용하여 광케이블(6)을 억류하는 고정 지그(23)를 나사구멍(195, 196)을 이용하여 인장재(8)를 억류하는 고정 지그(24)를 각각 나사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유닛은 커넥터단자유닛(3)과 접속유닛(4)을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단자유닛(3)과 접속유닛 (4), 따라서 커넥터보드의 규격통일이 가능하여 커넥터보드를 전체로서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유닛은 광케이블(6)의 광파이버(7)와 커넥터단자(5)를 일체로 조립한 유닛 내에서 접속할 수 있고, 점검을 위해 바깥 프레임 패널(2)을 벗기고 커넥터보드를 열었을 때도 커넥터단자유닛(3)과 접속유닛 (4)을 일체화된 유닛으로서 인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유닛은 커넥터단자(5)와 접속유닛(4) 사이를 접속하는 광파이버를 항상 일정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데다가 접속유닛(4)으로부터는 광파이버가 아니라 구부림이나 인장 등에 대한 항력을 가지는 광케이블이 연장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보드로부터 떼어 낼 때에 광파이버가 절단될 위험성이 없어 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접속유닛(4)은 중앙부에 삽입구(16)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면에 여유길이 수납부(17)를, 삽입구(16) 주변에는 표면에 고정 지그(23, 24)를 고정하는 복수의 나사구멍(18, 19)을 각각 설치하고, 광케이블(6)을 어느 방향으로부터이더라도 억류하여 중앙에 형성한 삽입구(16)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광파이버의 출입구가 4개소에 한정되어 광케이블의 배선방향을 배려하지 않으면 안되었던 종래의 접속유닛과 달리, 접속유닛(4)은 대폭으로 소형화되고, 또한 범용품으로서 설계할 수 있어 커넥터보드의 규격통일을 가능하게 한다. 또 접속유닛(4)은 광케이블(6)의 배선방향에 관계없이 광케이블(6)을 직선형상으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공사가 매우 행하기 용이하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에 관한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에 관한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에 있어서는 광케이블로서 전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2는 고전압 노이즈에 대한 보호기능을 구비한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것으로,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의 배선도이다. 도 8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바깥 프레임 패널(2)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광케이블, 예를 들면 광케이블(63)과, 제 2 광케이블 인 광케이블(6)을 접속하고 있다. 이때 광케이블(6)은 2개의 광파이버(7) 외에 전원선(6a)과 신호선(6b)을 각각 2개씩 가지고, 1개의 시일드선(6c)을 가지고 있다. 또 광케이블(63)도 2개의 광파이버(64) 외에 전원선(63a)과 신호선(63b)을 각각 2개씩 가짐과 동시에, 1개의 시일드선(63c)을 가지고 커넥터단자(5)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선(70)은 광케이블(6, 63)에 대응하여 전원선(70a)과 신호선(70b)을 각각 2개씩 가지고, 1개의 시일드선(70c)을 가지고 2개소에 커넥터(71, 72)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선(70a) 및 신호선(70b)은 각각 시일드선(70c)과의 사이가 내뢰소자 (73)를 거쳐 접속됨과 동시에, 각각 퓨즈(7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원선(70a), 신호선(70b) 및 시일드선(70c)은 각각에 일괄 연동식의 수동스위치(7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광·전력 복합케이블을 사용한 광시스템에 있어서는, 뇌서지 등의 고전압 노이즈가 발생하면, 이 노이즈가 옥외에 설치된 광·전력 복합 케이블의 금속심선에 침입하여 단말기기까지 전달된다. 이 경우, 단말기기측에 있어서도 서지보호용 회로를 설치함으로써 대응은 하고 있으나, 단말기기 그 자체는 옥내 사양이기 때문에 벼락서지와 같은 고전압 노이즈는 상정하고 있지 않다. 이때문에 뇌서지가 침입한 경우, 단말기기는 손상 등의 추측할 수 없는 장해를 입어 광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실시예 2에 관한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에 있어서는, 고전압 노이즈의 차단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 경우,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에 있어서는 먼저 내뢰소자(73)에 의하여 서지전압이 저하하고, 이에 의하여 단말기기가 예측할 수 없는 장해를 입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단,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은 단말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벼락의 발생이 예측되는 등의 경우에는 수동스위치(75)에 의하여 전원선(70a), 신호선(70b) 및 시일드선(70c)을 절단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 낙뢰 등의 서지에 의하여 내뢰소자(73)가 파손되어 단락모드가 되어도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에 있어서는, 전원선(70a) 및 신호선(70b)에 퓨즈(74)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더한 서지가 생기더라도 퓨즈(74)의 용단에 의하여 회로가 절단되므로 단말기기를 고전압 노이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은, 커넥터보드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텔레비전중계용 광시스템, 방송 스튜디어의 텔레비전 카메라용 광시스템 등이 소형화되고, 특히 커넥터보드가 차지하는 면적을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관객석, 스타디움 등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광파이버 및 전력선 중 적어도 광파이버를 가지는 제 1 광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단자를 가지고, 바깥 프레임 패널에 설치되는 커넥터단자유닛과,
    광파이버 및 전력선 중 적어도 광파이버를 가지는 제 2 광케이블의 한쪽 끝이 억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케이블이 대응하는 광파이버가 접속되는 접속유닛이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단자유닛은 상기 바깥 프레임 패널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는 제 1 면과, 상기 바깥 프레임 패널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는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제 1 면에 상기 커넥터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면에 상기 접속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은, 판재의 한쪽 면에 상기 광파이버의 여유길이를 수납하는 여유길이 수납부가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제 2 광케이블의 광파이버를 삽입하는 삽입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구멍의 주위에는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 2 광케이블의 도입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은 판재의 한쪽 면에 상기 광파이버의 여유길이를 수납하는 여유길이 수납부가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제 2 광케이블의 광파이버를 삽입하는 삽입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구멍의 주위에는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 2 광케이블의 도입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나사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나사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은, 광커넥터가 설치되고, 그 광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단자와의 사이가 중계파이버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광케이블이 전력선을 가질 때에는 상기접속유닛과 상기 커넥터단자와의 사이가 고전압 노이즈의 차단수단을 설치한 중계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9. 판재의 한쪽 면에 상기 광파이버의 여유길이를 수납하는 여유길이 수납부가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제 2 광케이블의 광파이버를 삽입하는 삽입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구멍의 주위에는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 2 광케이블의 도입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닛.
KR1020030078575A 2002-11-08 2003-11-07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 KR20040041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24969 2002-11-08
JP2002324969 2002-11-08
JP2003336221A JP3956928B2 (ja) 2002-11-08 2003-09-26 コネクタ一体型光成端ユニット及び接続ユニット
JPJP-P-2003-00336221 2003-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053A true KR20040041053A (ko) 2004-05-13

Family

ID=3271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575A KR20040041053A (ko) 2002-11-08 2003-11-07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56928B2 (ko)
KR (1) KR20040041053A (ko)
CN (1) CN1501691A (ko)
TW (1) TWI27070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8927A1 (en) * 2007-03-27 2008-10-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plice apparatus for optical fiber
KR101406662B1 (ko) * 2007-01-19 2014-06-11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아우트렛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8540B2 (ja) 2006-11-14 2009-12-24 カナレ電気株式会社 光成端ユニット
JP2010148771A (ja) * 2008-12-26 2010-07-08 Nippon Foods Center:Kk 食品焼成装置の加熱部配線構造
CN103235368A (zh) * 2013-05-13 2013-08-07 罗春晖 光纤熔接机组件校验方法和该光纤熔接机
DE102021123961A1 (de) * 2021-09-16 2023-03-16 Vodafone Gmbh Endgeräteanschlussdose zur Unterputz-Install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662B1 (ko) * 2007-01-19 2014-06-11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아우트렛 장치
WO2008118927A1 (en) * 2007-03-27 2008-10-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plice apparatus for optical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70926A (ja) 2004-06-17
TWI270706B (en) 2007-01-11
CN1501691A (zh) 2004-06-02
TW200407578A (en) 2004-05-16
JP3956928B2 (ja)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2497B2 (en)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cabinet
KR101369118B1 (ko)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접지 단말기를 갖는 섬유 분배 허브
USRE41777E1 (en) Outside plant fiber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US6721484B1 (en) Fiber optic network interface device
US7619160B2 (en) Enclosure for housing communications equipment
US7583885B2 (en) Fiber distribution enclosure
US7471867B2 (en) Fiber optic splice and distribution enclosure
KR20040041053A (ko) 커넥터 일체형 광성단 유닛 및 접속유닛
CN110568572B (zh) 一种终端盒
KR20090012698A (ko) 가입자 인입용 광케이블 성단시 소형의 접속점 보호장치 및이를 장착한 광케이블 단자함
KR20170095431A (ko) 광 케이블 어셈블리 일체형 광접속함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6845206B2 (en) Interbay housing assembly for fiber optic management systems
JP2003215352A (ja) 光配線盤及び光接続ユニット
CN208334717U (zh) 光电混合式面板装置
JP2007241296A (ja) コネクタ一体型光成端ユニット
KR200261552Y1 (ko)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
JP2001136612A (ja) 分電盤
AU2015201519A1 (en) Protection element for protecting a fiber network component against damage thereof, tapping box, method of installing a network, and communications network
ES2296458A1 (es) Caja de conexiones.
MXPA01000865A (en) Outside plant fiber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