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587A -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587A
KR20040040587A KR1020020068762A KR20020068762A KR20040040587A KR 20040040587 A KR20040040587 A KR 20040040587A KR 1020020068762 A KR1020020068762 A KR 1020020068762A KR 20020068762 A KR20020068762 A KR 20020068762A KR 20040040587 A KR20040040587 A KR 20040040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state
screen adjustmen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654B1 (ko
Inventor
김대중
신승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654B1/ko
Priority to US10/703,080 priority patent/US7428018B2/en
Publication of KR2004004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09G2340/125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wherein one of the images is motion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 조정 장치는, 재생할 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되고, 사용자에게 화면 조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OSD 화면 조정부; 및 사용자가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화면 조정을 수행시,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하나의 영상 중 소정 영역의 영상만 화면 조정 상태를 반영해 표시하고 나머지는 소정 기준 화면 상태를 적용해 표시하는 영상 분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진 화면 조정 장치를 구현하고, 화면 조정시 사용자에게 하나의 영상 안에서 서로 다른 화면 상태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만하지 않은 안정된 영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picture}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조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화면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면서 화면 조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수상기와 같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OSD(On Screen Display) 표시 기능을 이용해 영상 화면을 조정하는 영상 조정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영상 화면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 영상 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OSD 표시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과 같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내 OSD 표시 기능을 이용해, 튜너를 통해 수신하거나 각 종 저장 매체등으로부터 재생하는 영상의 화면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부분의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화면을 조정할 때, 조정된 화면의 변화가 바로 나타나기 때문에 조정되기 이전의 화면과 조정된 상태에서의 화면을 비교해 볼 수 없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다음의 도 2를 이용해 설명된다.
도 2는 재생하는 영상의 화면 조정시, 조정 이전의 화면과 조정 중인 상태의 화면을 비교해 볼 수 있도록 구현한 영상 재생 장치의 개략적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의 구성은, 제1튜너(200), 제2튜너(210), 제1영상 처리기(220), 제2영상 처리기(230), PIP(Pincture in picture)처리기(240), 색신호처리기(250), OSD 처리기(260), 영상중첩처리기(270) 및 마이컴(280)을 포함한다. 제1튜너(20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 중 주화면 TV 신호를 선국해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한다. 제2튜너(21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 중 부화면 TV 신호를 선국해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한다. 제1영상처리기(220)는 제1튜너(200)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화면 조정 등을 수행한다. 제2영상처리기(230)는 제2튜너(210)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화면 조정 등을 수행한다. PIP 처리기(240)는 제1, 제2영상처리기(220, 230)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PIP 화면으로 처리한다. 색신호처리기(250)는 PIP 처리기(240)엣 출력된 영상신호 및 제1튜너(200)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휘도 및 컬러 신호로 처리한다. OSD 처리기(260)는 화면 조정 메뉴를 디스플레이기 상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구현시킨다. 영상중첩처리기(270)는 OSD 처리기(260)에서 처리한 OSD 화면 신호와 색신호처리기(250)에서 출력한 영상신호를 중첩해 디스플레이기로 공급한다. 마이컴(280)은 시스템의 각 부분을 제어하고, 화면 조정 신호가 인가되면 PIP 처리기(24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도 2의 구성에서, 사용자는 OSD 화면 기능을 이용해 화면 조정을 수행하고, 이때, 디스플레이기에는 화면 조정 이전의 영상신호와 화면 조정이 이뤄질 때의 영상신호가 각각 PIP 화면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동시에 보여진다. 도 2에 의한 화면 조정 화면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 3에 도시한다.
도 2의 구성은, 사용자에게 화면 조정된 화면과 화면 조정 이전의 화면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화면 상태에 대한 구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동일한 영상이 나뉘어 보여지기 때문에, 시청자가 재생 영상을 감상할 때 화면 상태가 복잡하다는 느낌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즉, 화면 조정 모드시, 제공되고 있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감상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영상 신호 감상을 방해하지 않도록, 단일한 영상안에서 화면 조정 전후를 구별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영상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영상 화면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 영상 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OSD 표시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재생하는 영상의 화면 조정시, 조정 이전의 화면과 조정 중인 상태의 화면을 비교해 볼 수 있도록 구현한 영상 재생 장치의 개략적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으로부터 구현되는 화면 조정 모드시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면 조정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의해 구현된 화면 조정 중인 영상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면 조정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면 조정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면 조정 장치는, 재생할 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되고, 사용자에게 화면 조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OSD 화면 조정부; 및 사용자가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화면 조정을 수행시,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하나의 영상 중 소정 영역의 영상만 상기 화면 조정 상태를 반영해 표시하고 나머지는 소정 기준 화면 상태를 적용해 표시하는 영상 분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분할부가 상기 기준 화면 상태와 다른 복수의 화면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각각의 화면 상태에 상응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OSD 화면 조정부는, 사용자에게 제1화면 조정 상태, 제2화면 조정 상태 등과 같은, 복수개의 선택 가능한 화면 조정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는 이에 상응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한 화면 조정 상태를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에서 해당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가 상기 영상 분할부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영상 분할부는 소정 영역의 영역에만 상기 화면 조정 패러미터를 적용해 화면 상태를 바꾸고 나머지 영상에 대해서는 기준 화면 상태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면 조정 장치는, 재생할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맞게 영상 포맷을 변환하는 스케일러; 화면 조정 모드시, 상기 변환된 영상 포맷을 가진 영상을 분할해 그 중 한 영역은 제1화면 상태로, 나머지 영역은 제2화면 상태로 상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분할부; 디스플레이 패널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화면 조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OSD 화면 조정부; 및 상기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화면 조정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영상분할부로 하여금 상술한 화면 조정 모드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화면 상태는 소정 기준 화면 상태이고, 제2화면 상태는 상기 OSD 화면 조정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상태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OSD 화면 조정부는, 사용자에게 제1화면 조정 상태, 제2화면 조정 상태 등과 같은, 복수개의 선택 가능한 화면 조정 상태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면 조정 장치는, 재생할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맞게 영상 포맷을 변환하는 스케일러; 화면 조정 모드시, 상기 변환된 영상 포맷을 가진 영상을 분할해 그 중 한 영역은 제1화면 상태로, 나머지 영역은 제2화면 상태로 상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분할부; 복수의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패널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화면 조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OSD 화면 조정부; 및 상기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화면 조정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해당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상기 영상분할부로 제공하고, 상기 영상분할부로 하여금 상술한 화면 조정 모드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화면 상태는 소정 기준 화면 상태이고, 제2화면 상태는 상기 OSD 화면 조정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상태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OSD 화면 조정부는, 사용자에게 제1화면 조정 상태, 제2화면 조정 상태 등과 같은, 복수개의 선택 가능한 화면 조정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는 이에 상응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한 화면 조정 상태를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를 상기 영상 분할부로 제공하고, 그에 따라 영상 분할부가 소정 영역의 영역에만 상기 화면 조정 패러미터를 적용해 화면 상태를 바꾸고 나머지 영상에 대해서는 기준 화면 상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한 영상이 두 개의 화면 상태로 분할되어 표시될 때, 사용자가 상기 OSD 화면 조정부를 이용해 그 중 한 화면 상태를 선택하면, 전체 영상이 선택된 화면 상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의 화면 조정 방법은, 디스플레이될 영상이 입력되는 단계; 화면 조정 모드가 제공되는 단계; 사용자가 화면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표시할 하나의 영상 중 일부 영상을 분할해, 그 중 한 영역에 상기 화면 조정 상태를 반영해 표시하고, 나머지영역의 영상은 소정 기준 화면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면 모드 제공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1화면 조정 상태, 제2화면 조정 상태 등과 같은, 복수개의 화면 조정 상태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표시되는 단계임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화면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화면 조정 상태 중 한 상태를 선택하는 단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의 화면 조정 방법은, 영상이 입력되는 단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합하도록 영상 포맷을 변환하는 영상 스케일링 단계; 사용자에게 OSD 표시를 이용해 화면 조정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하나의 영상에서 일부분은 기준 화면 상태로 표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조정중인 화면 상태를 반영해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OSD 표시를 이용해 상기 두 화면 상태의 영상 중 한 화면 상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상태로 전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 화면 조정 장치의 일실시예이다.
영상 화면 조정 장치는, 영상 입력부(400), 스케일러(410), 영상 분할부(420), OSD 화면 조정부(430) 및 마이콤(440)을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400)는 안테나(미도시) 등을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를 선국하고, 선국된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나눈다. 영상 입력부(400)는 튜너 또는 각 종 비디오 단자를 통해 영상을 수신한다.
스케일러(420)는 영상 입력부(400)를 통해 각종 TV용 영상신호를 입력받은 후 디스플레이를 위해 입력된 영상의 포맷을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도록 변환시킨다.
영상 분할부(420)는 스케일러(420)로부터 나온 영상 중, 화면 조정이 이뤄진 영상 화면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영상이 표시될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한 영상 화면 중 일부 영역은 제1화면 상태로, 나머지 영역은 제2화면 상태로서 보여진다.
OSD 화면 조정부(430)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화면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화면 조정을 위한 OSD 화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상에서 기존 영상 위에 중첩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조작해 OSD 화면 조정부(430)를 동작 시키면,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OSD 화면이 나타난다. 사용자는 OSD 화면에 표시되는 여러가지 화면 상태 변화 팩터(밝기, 명암 등)를 변화시켜, 화면 조정을 수행한다. OSD 화면 조정부(430)는 제1화면 상태, 제2화면 상태,...등으로 표시되는 복수개의 화면 상태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 중 한 화면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이콤(440)은 OSD 화면 조정부(430)를 통해 화면 조정이 수행되면, 영상 분할부(420)를 제어하여 분할된 한 영역의 영상에 대해서만, 조정된 화면 조정 상태가 반영되어 출력되게 하고, 다른 영역의 영상에 대해서는 조정 전에 설정된 소정 기준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
도 5는 도 4를 통해, 화면상에서 하나의 영상이 두 가지 화면 조정 상태로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영상은 영상 재생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 것이다. 제2영상은,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조정 후 상태를 반영한 화면 상태로 디스플레이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면 조정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디스플레이될 영상이 입력된다(600단계).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에 알맞도록 입력 영상의 포맷을 변환한다(스케일링)(610단계). 사용자가 OSD 표시 기능을 통해 화면 조정 모드를 선택해, 조정하고자 하는 화면 상태를 선택한다(620단계). 한 화면에 표시될 영상 가운데 일부 영역을 정해, 해당 영역에 대해서만 선택된 화면 상태를 반영한다(630단계). 연속된 하나의 영상 내에서 상기 소정 영역 부분의 영상만 화면 조정 이후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영역의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한 기준 설정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한다.
위의 과정에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일부 화면 조정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으로부터 원하는 화면 조정 상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조정 상태로, 전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면 조정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화면 조정 장치는, 영상 입력부(700), 스케일러(710), 영상분할부(720), OSD 화면 조정부(730), 화면 상태 저장 메모리(740) 및 마이콤(750)을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700), 스케일러(710), 영상분할부(720)의 동작 및 기능은 도 4의 동명의 구성 요소들과 각각 대응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OSD 화면 조정부(7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으로서, OSD 표시 창에, 가령, 제1화면 설정값, 제2화면 설정값, 제3화면 설정값,... 과 같이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화면 상태 설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화면 상태 저장 메모리(740)는 OSD 화면 조정부(730)로 제공되는 영상의 여러 화면 상태에 상응하는 각종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이 시스템내에서 미리 산출되어 저장된다.
마이콤(750)은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마이콤은 특히, 화면 조정과 관련해, 사용자가 OSD 화면 조정부(730)를 통해 소정의 화면 설정값을 선택할 때, 화면 상태 저장 메모리(740)로부터 해당 화면 설정값에 따른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영상분할부(720)로 제공한다. 그리고나서, 영상분할부(720)로 하여금 화면을 차지하는 일부 영상 영역에 대해서는 시스템에서 정한 기준 화면 상태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고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는 화면 상태 저장 메모리(740)로부터 전달 받은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적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 마이콤(750)은 한 영상이 두 화면 상태로 분할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OSD 화면 조정부(730)를 이용해 한 화면 상태를 선택하면, 해당 화면 상태로 영상의 전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을 도 2에서 설명한 종래의 발명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발명이 화면 조정된 영상과 그렇지 않은 영상을 비교하기 위해 두 개의 튜너와 두 개의 영상 처리부 등을 이용한 것과 달리, 하나의 영상 입력부를 통해 영상을 입력한 후, 시중에 나와 있는 영상 분할 칩 등으로 구현된 영상 분할기를 이용해 한 영상에서, 서로 다른 화면 조정 패러미터를 적용시킨 두 부분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발명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발명이 화면 조정시 한 스크린에 동일한 영상을 두개로 나누어 디스플레이(PIP)하는데 비해, 본 발명은 한 스크린에 기준 화면이 적용된 부분과 사용자가 조정하고자 한 화면이 적용된 하나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되므로, 화면 조정시에도 사용자가 산만해지지 않고 훨씬 안정적으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진 화면 조정 장치를 구현하고, 화면 조정시 사용자에게 하나의 영상 안에서 서로 다른 화면 상태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만하지 않은 안정된 영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화면 조정 장치에 있어서,
    재생할 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되고, 사용자에게 화면 조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OSD 화면 조정부; 및
    사용자가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화면 조정을 수행시,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하나의 영상 중 소정 영역의 영상만 상기 화면 조정 상태를 반영해 표시하고 나머지는 소정 기준 화면 상태를 적용해 표시하는 영상 분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할부가 상기 기준 화면 상태와 다른 복수의 화면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각각의 화면 상태에 상응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 조정부는,
    사용자에게 제1화면 조정 상태, 제2화면 조정 상태 등과 같은, 복수개의 선택 가능한 화면 조정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는 이에 상응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한 화면 조정 상태를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에서 해당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가 상기 영상 분할부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영상 분할부는 소정 영역의 영역에만 상기 화면 조정 패러미터를 적용해 화면 상태를 바꾸고 나머지 영상에 대해서는 기준 화면 상태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5. 화면 조정 장치에 있어서,
    재생할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맞게 영상 포맷을 변환하는 스케일러;
    화면 조정 모드시, 상기 변환된 영상 포맷을 가진 영상을 분할해 그 중 한영역은 제1화면 상태로, 나머지 영역은 제2화면 상태로 상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분할부;
    디스플레이 패널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화면 조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OSD 화면 조정부; 및
    상기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화면 조정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영상분할부로 하여금 상술한 화면 조정 모드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 상태는 소정 기준 화면 상태이고, 제2화면 상태는 상기 OSD 화면 조정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 조정부는,
    사용자에게 제1화면 조정 상태, 제2화면 조정 상태 등과 같은, 복수개의 선택 가능한 화면 조정 상태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8. 화면 조정 장치에 있어서,
    재생할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맞게 영상 포맷을 변환하는 스케일러;
    화면 조정 모드시, 상기 변환된 영상 포맷을 가진 영상을 분할해 그 중 한 영역은 제1화면 상태로, 나머지 영역은 제2화면 상태로 상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분할부;
    복수의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패널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화면 조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OSD 화면 조정부; 및
    상기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화면 조정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상기 영상분할부로 제공하고, 상기 영상분할부로 하여금 상술한 화면 조정 모드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 상태는 소정 기준 화면 상태이고, 제2화면 상태는 상기 OSD 화면 조정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 조정부는,
    사용자에게 제1화면 조정 상태, 제2화면 조정 상태 등과 같은, 복수개의 선택 가능한 화면 조정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는 이에 상응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들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OSD 화면 조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한 화면 조정 상태를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하는 화면 조정 패러미터를 상기 영상 분할부로 제공하고, 그에 따라 영상 분할부가 소정 영역의 영역에만 상기 화면 조정 패러미터를 적용해 화면 상태를 바꾸고 나머지 영상에 대해서는 기준 화면 상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 영상이 두 개의 화면 상태로 분할되어 표시될 때, 사용자가 상기 OSD 화면 조정부를 이용해 그 중 한 화면 상태를 선택하면, 전체 영상이 선택된 화면 상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장치.
  13.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의 화면 조정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될 영상이 입력되는 단계;
    화면 조정 모드가 제공되는 단계;
    사용자가 화면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표시할 하나의 영상 중 일부 영상을 분할해, 그 중 한 영역에 상기 화면 조정 상태를 반영해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영상은 소정 기준 화면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화면 모드 제공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1화면 조정 상태, 제2화면 조정 상태 등과 같은, 복수개의 화면 조정 상태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표시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화면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화면 조정 상태 중 한 상태를 선택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방법.
  16.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의 화면 조정 방법에 있어서,
    영상이 입력되는 단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합하도록 영상 포맷을 변환하는 영상 스케일링 단계;
    사용자에게 OSD 표시를 이용해 화면 조정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하나의 영상에서 일부분은 기준 화면 상태로 표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조정중인 화면 상태를 반영해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OSD 표시를 이용해 상기 두 화면 상태의 영상 중 한 화면 상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상태로 전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조정 방법.
KR1020020068762A 2002-11-07 2002-11-07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788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762A KR100788654B1 (ko) 2002-11-07 2002-11-07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US10/703,080 US7428018B2 (en) 2002-11-07 2003-11-07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762A KR100788654B1 (ko) 2002-11-07 2002-11-07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587A true KR20040040587A (ko) 2004-05-13
KR100788654B1 KR100788654B1 (ko) 2007-12-26

Family

ID=3286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762A KR100788654B1 (ko) 2002-11-07 2002-11-07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28018B2 (ko)
KR (1) KR1007886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829B2 (en) 2003-07-31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223B1 (ko) * 2003-12-12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질개선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7508451B2 (en) * 2004-04-30 2009-03-24 Telegent Systems, Inc. Phase-noise mitigation in an integrated analog video receiver
WO2005109625A2 (en) * 2004-04-30 2005-11-17 Telegent Systems, Inc. Integrated analog video receiver
US7595840B2 (en) * 2004-07-05 2009-09-2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controlling a symmetry-type OSD menu in an image display device
PE20060219A1 (es) * 2004-07-12 2006-05-03 Shell Int Research Tratamiento de gas natural licuado
CN1735163A (zh) * 2004-08-14 2006-02-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预览及切换喜好频道的系统及方法
KR100609916B1 (ko) * 2004-11-25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246248A (ja) * 2005-03-04 2006-09-14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JP2006254275A (ja) * 2005-03-14 2006-09-21 Pioneer Electronic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画面調整方法並びに画面調整プログラム
KR20060124281A (ko) * 2005-05-31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 장치, 방법 및 화상형성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07181030A (ja) * 2005-12-28 2007-07-12 Funai Electric Co Ltd 画像表示装置
US7697074B2 (en) * 2006-02-08 2010-04-13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processing demonstration
US20080043031A1 (en) * 2006-08-15 2008-02-21 Ati Technologies, Inc. Picture adjustm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TWI404041B (zh) * 2008-12-01 2013-08-01 Mstar Semiconductor Inc 自動調整螢幕上顯示資訊的裝置與方法
CN102577398B (zh) * 2009-06-05 2015-11-25 Lg电子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8456417B2 (en) * 2009-09-15 2013-06-04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image presentation
TW201233168A (en) * 2011-01-25 2012-08-01 Acer Inc Method of displaying on-screen-display message
JP2013005010A (ja) * 2011-06-13 2013-01-07 Funai Electric Co Ltd 映像再生装置
US20220376870A1 (en) * 2021-05-19 2022-11-24 Hughes Network Systems, Llc Demodulator implementation that supports both non-vlsnr and vlsnr downlink frames present in a single strea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9767A (en) * 1995-09-08 1999-10-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picture video signal display apparatus with modified picture indication
KR100300589B1 (ko) * 1998-07-15 2001-10-27 구자홍 화상처리장치및그방법
KR100308040B1 (ko) * 1998-12-31 2001-11-02 구자홍 Pip화면을이용한화면조정장치및방법
JP2000206954A (ja) * 1999-01-08 2000-07-28 Nec Corp 画質調整方法及び装置
JP2001045527A (ja) * 1999-07-15 2001-02-1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画面のカラー調整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4564613B2 (ja) * 1999-10-19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画像処理方法
US20060129933A1 (en) * 2000-12-19 2006-06-15 Sparkpoint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authoring and playback
WO2003058952A1 (en) * 2001-12-28 2003-07-17 Sony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829B2 (en) 2003-07-31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RE42640E1 (en) 2003-07-31 2011-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28018B2 (en) 2008-09-23
KR100788654B1 (ko) 2007-12-26
US20040165113A1 (en) 200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654B1 (ko)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JP4326589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040155982A1 (en) Video display appliance capable of adjusting a sub-picture and method thereof
US200502669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2076031B1 (en) Dynamic-colored user menu for display systems
US6172715B1 (en) Picture-in-pic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television system
US55394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fting a display position of a small-sized picture on a display screen of a television receiver
KR100329273B1 (ko) 티브이 화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54017A (ko) 티브이의 다중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JP4948999B2 (ja) 調整パラメータの設定方法及び表示装置
JP309665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10016498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0209909B1 (ko) 화질조정장치 및 방법
KR1006625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47669B1 (ko) 더블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조정용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H0955895A (ja) 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KR20050076448A (ko) 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부 화면 처리방법
KR20010107133A (ko) 사용자별 저장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3153115A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画面の表示システム
KR0157557B1 (ko) 두화면 디스플레이 텔레비전의 채널선택방법 및 장치
KR19980027644U (ko) 사용자 선택형 티브이 모드 설정 장치
KR100331828B1 (ko) 티브이의 방송정보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731386B1 (ko) 화질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228673B1 (ko) 부가제품 동작상태에 따른 부화면제어방법 및 장치
KR2005005643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