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113A -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 - Google Patents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113A
KR20040040113A KR1020020068444A KR20020068444A KR20040040113A KR 20040040113 A KR20040040113 A KR 20040040113A KR 1020020068444 A KR1020020068444 A KR 1020020068444A KR 20020068444 A KR20020068444 A KR 20020068444A KR 20040040113 A KR20040040113 A KR 20040040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chip
jewelr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창열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0113A/ko
Publication of KR2004004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11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allowing simultaneous actuation of locking or unlocking elements and a handle, e.g.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an unlocking and an unlatch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 도어의 외부손잡이에 제공된 도어센서(80)와; 고유 ID칩이 내장되어 있으며 자체 전원이 구비된 장신구(10)와; 장신구(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고유 ID와 동일한 경우에 차량의 도어액츄에이터(60)를 작동시켜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고, 수회 반복시에도 고유 ID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의 비상램프나 경적기와 같은 경보수단(70)을 작동하도록 차체에 제공된 도어오픈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키의 분실이나 차량 소유자가 차 인근에 있더라도 야기되던 차량 도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함은 물론 차량 도어의 외부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 {Opening system of a door of a vehicle by sensing accessory with ID chip}
본 발명은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무선으로 개폐하는 오픈시스템에 있어서, 반지, 팔찌 또는 목걸이와 같이 인체에 치장되는 장신구에 고유한 ID칩을 내장시켜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도어오픈수단이 작동하여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오픈하도록 하여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는데 차량키나 송신기의 추가 작동이 필요하지 않는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는 도어로크 어셈블리에 내장된 로킹레버의 회동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로킹레버는 도어로크 모터에 전류를 인가하여 정,역회전시켜 움직이게 하거나 키를 도어 키실린더에 끼워넣고 수동으로 회동케 하거나 실내의 도어로크 노브를 움직이게 하는 3가지 방법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전술된 키에 의해 키실린더를 수동으로 회동케하거나 전자키, 전파발신부, 안테나 및 마이컴 등으로 구성된 무선도어 개폐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키를 분실하거나 차량 소유자가 차 인근에 있을 경우 타인에 의해 차량의 조작을 허용할 수 있어 차량도난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고유 ID의 저장 및 삭제를 할 경우 차량의 인식에 따른 혼선이 야기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외부손잡이를 당김에 의해 운전자의 신체에 치장된 ID칩을 내장된 장신구를 감지하여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의 분실이나 차량 소유자가 차 인근에 있더라도 야기되던 차량 도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도어의 외부손잡이에 제공된 도어센서와; 고유 ID칩이 내장되어 있으며 자체 전원이 구비된 장신구와; 장신구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고유 ID와 동일한 경우에 차량의 도어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고, 수회 반복시에도 고유 ID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의 비상램프나 경적기와 같은 경보수단을 작동하도록 차체에 제공된 도어오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어센서는 차량의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차량 도어의 외부손잡이가 잡아당겨지면 이를 감지하여 도어오픈수단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 차량도어 오픈시스템의 작동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신구20 : 수신안테나
30 : 분배기40 : 라디오튜너
50 : 도어오픈수단60 : 도어액츄에이터
70 : 경보수단80 : 도어센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은 차량 도어의 외부손잡이에 설치된 감지센서(80)와, 고유 ID칩을 내장하되 자체 전원을 구비한 장신구(10) 및 차량의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외부손잡이를 잡아당기면 감지센서(8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장신구(1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도어액츄에이터(60)를 작동시켜 도어를 오픈하거나 경보수단(70)을 작동하도록 차체에 제공된 도어오픈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감지센서(8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외부손잡이(catchknob) 인접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차량의 소유주(운전자)가 외부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도어오픈수단(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장신구(10)의 송출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기 때문이다.
장신구(10)는 고유 ID칩이 내장된 반지, 팔찌 또는 목걸이 형태로써, 차체 전원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장신구(10)는 지속적으로 고유 ID에 관련된 송출신호를 송출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의한 무선도어 개폐시스템과는 달리 별도의 조작이 요구되지 않고 전술된 바와 같이 도어의 외부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여기서, 장신구(10)는 식별부호를 기억하여 부호화하고 FSK 복조와 FM복조를 한 다음 지속적으로 송신안테나를 통해 고유 ID에 관련된 송출신호를 송출하며, 이러한 장신구(10)의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무선도어 개폐시스템의 트랜스미터(Transmitter)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장신구(10)로부터 지속적으로 송출되는 신호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외부손잡이가 당겨질 때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0)에 의해 전원이 도어오픈수단(50)에 인가됨으로써 수신되어 도어액츄레이터(60) 또는 경보수단(70)을 작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장신구(10)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출된 미약한 신호는 차체에 설치된 수신안테나(20)를 통해 라디오 튜너(40)와 연결된 분배기 (30)를 경유하여 증폭되고 변조된 후 식별코드와의 동일성 유무가 판단된다. 본 발명의 도어오픈수단(70)은 일반적인 리시버(Receiver)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때문에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 오픈시스템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D칩 내장 장신구(반지)를 착용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여(S10) 차량의 외부손잡이를 잡아당긴다(S20). 이 때, 도어가 열린 상태이면 감지센서(80)에 의해 도어오픈수단(5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외부손잡이가 잡아당겨지면 감지센서(80)에 의해 전원이 도어오픈수단(50)에 인가되어 단거리(1M 이내)에 위치된 운전자의 장신구(10)로부터 당차량의 칩을 확인한다(S30). 여기서, 도어오픈수단(50)에 의해 장신구(10)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고유 ID와 동일한 경우에는 도어엑츄에이터(60)를 작동시켜 도어를 오픈하고(S52) 만약 고유 ID와 동일하지 않고 수차례 시도시에는 차량의 비상램프나 경적기와 같은 경보수단(70)을 작동시켜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키의 분실이나 차량 소유자가 차 인근에 있더라도 야기되던 차량 도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함은 물론 차량 도어의 외부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이점(利點)이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은 장신구에 의한 송출신호가 1M이내의 단거리에서만 수신되도록 하여 종래기술의 무선도어 개폐시스템에서의 야기되던 차량 소유주가 차 인근에 있더라도 타인에 의해 차량 조작이 허용되어 차량이 도난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손잡이를 잡아당기는 일회성의 행위에 의해 도어가 신속하게 오픈되도록 하였으며, 장신구에 ID 칩을 내장함으로써 종래의 키나 무선도어 장치의 분실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 도어의 외부손잡이에 제공된 도어센서(80)와;
    고유 ID칩이 내장되어 있으며 자체 전원이 구비된 장신구(10)와;
    상기 장신구(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고유 ID와 동일한 경우에 차량의 도어액츄에이터(60)를 작동시켜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고, 수회 반복시에도 고유 ID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의 비상램프나 경적기와 같은 경보수단(70)을 작동하도록 차체에 제공된 도어오픈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센서(80)는 차량의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차량 도어의 외부손잡이가 잡아당겨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오픈수단(50)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
KR1020020068444A 2002-11-06 2002-11-06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 KR20040040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444A KR20040040113A (ko) 2002-11-06 2002-11-06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444A KR20040040113A (ko) 2002-11-06 2002-11-06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113A true KR20040040113A (ko) 2004-05-12

Family

ID=3733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444A KR20040040113A (ko) 2002-11-06 2002-11-06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1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87B1 (ko) * 2003-01-13 2006-03-07 (주)서울승강기 자동차 도어락 제어장치
KR100741322B1 (ko) * 2006-04-25 2007-07-23 조창래 이륜 자동차용 전자 시동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87B1 (ko) * 2003-01-13 2006-03-07 (주)서울승강기 자동차 도어락 제어장치
KR100741322B1 (ko) * 2006-04-25 2007-07-23 조창래 이륜 자동차용 전자 시동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4617A (en) Operator intent based passive keyless vehicle control system
US6359348B1 (en) Semi-passive keyless entry method and device
US66502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ed vehicle tire pressure monitoring, remote keyless entry, and vehicle immobilization
US8427276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sequence of vehicle functions
KR100699721B1 (ko) 차량용 패시브 도어/시동 장치
US20100207722A1 (en) Wireless passive keyless entry system with touch sensor
JP3537111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US5969596A (en)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door locking/unlocking function
KR20040040113A (ko) Id칩을 내장한 장신구 감지에 의한 차량도어 오픈시스템
US20010040497A1 (en) Differential range remote control
CN203415013U (zh) 车辆无线控制系统
JP2002339609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用の送信機
JPH01275239A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H01114193A (ja) 自動車の遠隔操作装置
JPS6033987A (ja) 車両ドア錠のキ−レス開閉装置
KR100243884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US20030174065A1 (en) Passive vehicle actuation card incorporated into personal use item
US20070069870A1 (en) Vehicle intruder alert system
KR910007176B1 (ko) 자동 발신 리모콘을 이용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12215B1 (ko) 퍼스널 ic 카드를 차량내부에 두고 내렸을시 도어언록방법
JP2003041823A (ja) ワイヤレスドアロック装置
KR20020049526A (ko) 원격 윈도우 글라스작동장치
JP4430256B2 (ja) 車両用施解錠装置
JPH063113Y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解錠装置
AU2004100122A4 (en) Personal Access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