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614A - 구근식물의 펠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 Google Patents

구근식물의 펠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614A
KR20040038614A KR1020030056195A KR20030056195A KR20040038614A KR 20040038614 A KR20040038614 A KR 20040038614A KR 1020030056195 A KR1020030056195 A KR 1020030056195A KR 20030056195 A KR20030056195 A KR 20030056195A KR 20040038614 A KR20040038614 A KR 20040038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s
plant
bulbous
pellet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7255B1 (ko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현 filed Critical 김승현
Publication of KR2004003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Sowing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근식물 펠렛에 있어서, 피트모스에 비료, 생장조절제, 살균제, 살충제를 혼합하고 본체와 덮개로 나누어 압착·성형 제조하여 건조한 후 본체에 구근식물을 집어넣고 덮개를 덮어 압착·제조하는 구근식물 펠렛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구근식물 펠렛은 펠렛의 크기 및 모양을 식재 구근식물에 알맞게 제조가능하며, 펠렛 내의 수분이 제거되어 구근의 생리적 반응을 방지함으로써 구근의 출엽 후 생육이 현저히 뛰어나고 토양표면에 식재하고 복토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근식물의 펠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The pellet of bulbous plants, the methods of pelletization and the cultivation way with the pellet and the methods}
본 발명은 구근식물의 펠렛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트모스를 이용하여 구근식물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본체와 덮개를 나누어 제조하고 건조시킨 후 구근식물을 집어넣고 덮개를 덮어 압착·제조하는 구근식물 펠렛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하여 제조된 구근식물 펠렛 및 구근식물 펠렛을 토양표면에 식재하여 재배하는 식물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피트모스는 추운 지역의 습지나 늪지대의 갈대류 등이 오랫동안 쌓여 부식된 유기물로서, 수분 흡수력이 건조 시에 비하여 15배가 높고, 통기성이 우수하며, 무게가 가볍고 비료시비에 화학적 반응 등의 부작용이 없어 오래 전부터 종자의 파종, 유묘생산, 재배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펠렛이라 함은 식물종자의 발아와 생육촉진을 위하여 식물종자의 겉 표면에 양분 등을 혼합한 물질로 피막을 입혀 제조한 것을 말하며, 펠렛 제조는 미세 종자의 기계화 작업을 위한 대립화, 발아촉진 및 유묘시 해충·균으로부터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식물종자 펠렛 제조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처리물질을 종자 표면에 여러 겹으로 코팅하는 방법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식물종자의 펠렛은그 효과가 뛰어나지 못하고 펠렛화 재료가 토양의 역할을 하지 못하므로 파종 후 복토를 해 주어야 하는 경제적 문제와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피트모스를 펠렛화 재료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트모스가 토양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복토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으나, 식물종자 펠렛의 제조과정에서 수분첨가가 되며, 이는 종자 내로 흡수되고 흡수된 수분에 의해 배와 배유가 팽창되어 종피가 파열되고 발아하게 된다. 이러한 생리적 활성화가 이루어진 후 저장과정에서 건조되면 종자는 생리적 장애를 일으켜서 파종 시 발아에 영향을 주게되고 발아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피트모스를 이용한 펠렛의 제조과정에서는 수분의 제거가 기술적 과제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펠렛 제조 시 진흙 , 인산암 분말, 석회암 분말, 수용성 아라비아고무 등의 재료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여러 겹층으로 감싸주면서(도포) 건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생육에 필요한 비료, 생장조절제, 살균제, 살충제, 생물학제의 혼용이 원활치 못하여 모든 종자에 이용하지 못하고 있고, 특히 구근 식물에는 이용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종래에 시도된 적이 없는 구근식물의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 구근식물 펠렛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펠렛의 수분제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트모스, 비료와 생장조절제 등을 이용하여 구근식물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본체와 덮개로 나누어 제조하고 이를 건조시킨 후 본체에 구근류를 넣고 덮개로 덮어 압착·제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근식물 펠렛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근식물 펠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구근식물 펠렛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피트모스에 첨가물을 달리하여 구근식물 펠렛을 제조하고 파종방법을 달리하여 식재한 후, 구근식물의 출엽율, 식재 후 일자별 출엽 수, 생육상태를 관찰하여 구근식물 펠렛의 우수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도 1은 참나리 주아의 펠렛화 처리방법과 식재방법 차이(실험예 1~8)에 따른 출엽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감자의 펠렛화 처리방법과 식재방법 차이(실험예 1~8)에 따른 출엽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무처리된 참나리 주아의 식재방법에 따른 식재 후 발아 개체수의 변화를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3b는 비료 처리만 된 참나리 주아 펠렛의 식재방법에 따른 식재 후 발아 개체수의 변화를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3c는 비료와 GA 처리된 참나리 주아 펠렛의 식재방법에 따른 식재 후 발아 개체수의 변화를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3d는 비료와 NAA 처리된 참나리 주아 펠렛의 식재방법에 따른 식재 후 발아 개체수의 변화를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4a는 무처리된 감자의 식재방법에 따른 식재 후 출엽 개체수의 변화를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4b는 비료 처리만 된 감자 펠렛의 식재방법에 따른 식재 후 출엽 개체수의 변화를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4c는 비료와 GA 처리된 감자 펠렛의 식재방법에 따른 식재 후 출엽 개체수의 변화를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4d는 비료와 NAA 처리된 감자 펠렛의 식재방법에 따른 식재 후 출엽 개체수의 변화를 나타낸 실험 그래프이다.
도 5는 식물종자와 구근식물의 펠렛 제조과정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6은 구근식물의 펠렛 제조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참나리 주아의 무처리와 펠렛화 처리별 파종 2개월 후 생육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펠렛화된 참나리 주아의 토양표면위 파종상태에서 생육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참나리 주아를 펠렛화하여 생육된 모습의 사진이다.
도 10은 감자의 무처리와 펠렛화 처리별 식재 100일 후 생육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펠렛화된 감자의 토양표면위 파종상태에서 생육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펠렛화된 감자에서 새로운 괴경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 구근식물 펠렛의 제조방법은 피트모스에 비료, 생장조절제, 살균제, 살충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첨가한 후 수용성 접착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구근식물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본체와 덮개를 나누어 압착하여 성형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압착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본체에 구근식물을 집어넣고 상기 건조된 덮개를 덮어 압착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 구근식물 펠렛의 제조방법을 공정 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제 1 공정
피트모스에 비료, 생장조절제, 살균제, 살충제 등 구근식물 출엽과 생육에 필요한 요소들을 필요에 따라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한 후 수용성 접착제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비료는 질소성분(N), 인산성분(P), 칼리성분(K)을 사용한다. 생장조절제는 식물 생장 호르몬 등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GA(Giberellin), NAA(Naphthalene acetic acid)이 있다. 수용성 접착제는 식물성 접착제(녹말풀)가 바람직하나, 아크릴제 접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피트모스는 혼합재료에 의해서 수분흡수를 하게 되고, 수분흡수 상태가 되어야 압착이 가능하다.
2)제 2 공정
상기 제 1 공정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구근식물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본체와 덮개를 나누어 압착하여 성형 제조한다. 펠렛의 크기와 형태는 구근식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 1 공정에서 수분흡수 상태의 피트모스와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압착성형이 가능하다. 도 6에서 구근식물의 펠렛 제조과정을 나타내었다.
3)제 3 공정
상기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압착 성형물을 25~80℃에서 건조한다. 이 때 압착 성형물의 수분함량은 15~25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 공정에서 건조는 대량생산을 위하여 열풍건조 방식이 바람직하나, 자연 건조하여도 무방하다. 본 단계에서 건조를 한 후 이하 단계에서 구근식물을 삽입함으로써 피트모스에 흡수되어 있는 수분에 의해 구근류가 출엽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문제점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4)제 4 공정
상기 제 3 공정에서 건조된 본체에 구근식물을 넣고 제 3 공정에서 건조된 덮개를 덮어 압착하고 밀봉한다.
본 발명 구근식물 펠렛의 제조방법은 피트모스에 각종 비료, 생장조절제, 살균, 살충제의 혼합시 화학적 반응의 우려가 없고, 크기와 모양 등의 성형이 자유롭고 제조과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 구근식물 펠렛은 제조과정 중 수분으로 인한 구근류의 생리적 반응이 없다. 또한, 본 발명 구근식물 펠렛은 식재하여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건조 때보다 3~4배로 용적이 증가하고, 피트모스가 토양의 역할을 하여 토양표면 위에도 식재가 가능하므로 대규모 경작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 구근식물 펠렛화 방법과 종래의 펠렛화 방법의 비교
종래의 펠렛화 방법 본 발명 펠렛화 방법
이용대상 주로 미세종자 모든 식물의 종자와 구근류
목적 파종의 기계화를 위한 대립화와 균일화 대립화, 균일화, 재배 간소화, 항공파종 가능
재료 진흙, 인산암분말, 석회암분말, 수용성 아라비아고무 피트모스
제조방법과 특징 1)종자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재료를 여러 겹으로 감싸고 도포하여 펠렛으로 제조2)고가의 제조설비 필요 1)피트모스와 첨가물질을 이용하여 대상 구근류의 크기에 알맞게 본체와 덮개로 나누어 압착제조 하고, 건조한 후 본체에 구근류를 넣고 덮개로 덮어 압착, 밀봉2)제조 방법이 매우 용이간단한 설비로 제조 가능수작업 가능
수분건조 종자를 여러재료로 감싸고 도포하는 과정 중 바람, 열 등으로 건조하며, 제조과정 중 종자 내 수분침투(흡수)로 생리적 활성화 문제가 발생 피트모스를 이용하여 본체와 덮개를 제조하고 건조한 후 구근식물을 넣어서 압착 제조하므로 생리적 활성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
첨가물질 비료, 생장조절제, 살균제, 살충제, 생물학제 등의 혼합이 가능하나 화학반응 등의 저해작용 발생 비료, 생장조절제, 살균제, 살충제, 생물학제 등 필요한 성분혼합이 용이하고 저해작용이 없음
물리화학적 특성 1)통기성, 보수성이 좋지않음2)코팅재료에 따라 화학적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재료선택에 신중을 요함 1)통기성과 보수성이 매우 좋음2)화학적 저해반응이 전혀 없음
파종방법 펠렛화의 재료가 토양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토양내 파종해야함 피트모스가 토양 역할을 수행하므로 토양 내 식재와 토양 표면 식재가 모두 가능
향후 가능성 재료와 적용식물 종자에 따라 미비점 보완이 필요 모든 식물의 종자와 구근류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고 실용화 조속가능
실시예
피트모스, 비료, 생장조절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구근식물 펠렛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근식물인 참나리(Lilium tigrinum) 주아와 감자(Solanum tuberosumcv.Irish cobbler)에 대해 상기에서 설명한 펠렛의 제조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고 출엽율, 식재 후 일자별 출엽 수, 초장, 엽수,엽장, 괴경수, 괴경중량 여러 가지 생육상태를 조사한 후 이를 통계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본 실시는 2002년 4월부터 6월까지 수행하였다. 식재는 직사각형 플라스틱 삽목 상자에 마사토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중간 시비는 전혀 하지 않았으며 필요시 관수만 실시하였다. 참나리 주아와 감자에 대해 100구씩 3반복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제조된 펠렛의 식재는 토양표면 위에 파종하고 토양을 덮지 않는 토양표면 파종과 토양표면 위에 파종 후 복토하는 토양 내 파종 2가지로 실시하였다.
펠렛의 형태는 구근식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달라지나, 이하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펠렛은 실험의 편리를 위하여 구형으로 제조하였다. 펠렛화 처리와 식재방법은 하기 실시예와 같이 하였다.
실시예 1
참나리 주아와 감자를 무처리하고 토양표면에 식재하였다.
실시예 2
피트모스에 비료성분을 질소(N) 300mg/L, 인산(P) 200mg/L, 칼리(K) 400mg/L으로 첨가하고 pH는 5.8 조절한 후 수용성 접착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압착하여 본체와 덮개를 성형하였다. 참나리 주아와 감자를 집어넣어 펠렛을 제조하고 토양표면에 식재하였다.
실시예 3
피트모스에 비료성분을 질소(N) 300mg/L, 인산(P) 200mg/L, 칼리(K) 400mg/L와 지베렐린(GA) 300ppm을 첨가하고 pH 5.8로 조절한 후 수용성 접착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압착하여 본체와 덮개를 성형하였다. 참나리 주아와 감자를 집어넣어 펠렛을 제조하고 토양표면에 식재하였다.
실시예 4
피트모스에 비료성분을 질소(N) 300mg/L, 인산(P) 200mg/L, 칼리(K) 400mg/L와 나프탈렌 아세틱에시드(NAA) 300ppm을 첨가하고 pH 5.8로 조절한 후 수용성 접착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압착하여 본체와 덮개를 성형하였다. 참나리 주아와 감자를 집어넣어 펠렛을 제조하고 토양표면에 식재하였다.
실시예 5
참나리 주아와 감자를 무처리하고 식재 후 복토(토양 내 파종)하였다.
실시예 6
피트모스에 비료성분을 질소(N) 300mg/L, 인산(P) 200mg/L, 칼리(K) 400mg/L으로 첨가하고 pH 5.8로 조절한 후 수용성 접착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압착하여 본체와 덮개를 성형하였다. 참나리 주아와 감자를 집어넣어 펠렛을 제조하고 식재 후 복토(토양 내 파종)하였다.
실시예 7
피트모스에 비료성분을 질소(N) 300mg/L, 인산(P) 200mg/L, 칼리(K) 400mg/L와 지베렐린(GA) 300ppm을 첨가하고 pH 5.8로 조절한 후 수용성 접착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압착하여 본체와 덮개를 성형하였다. 참나리 주아와 감자를 집어넣어 펠렛을 제조하고 식재 후 복토(토양 내 파종)하였다.
실시예 8
피트모스에 비료성분을 질소(N) 300mg/L, 인산(P) 200mg/L, 칼리(K) 400mg/L와 나프탈렌 아세틱에시드(NAA) 300ppm을 첨가하고 pH 5.8로 조절한 후 수용성 접착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압착하여 본체와 덮개를 성형하였다. 참나리 주아와 감자를 집어넣어 펠렛을 제조하고 식재 후 복토(토양 내 파종)하였다.
실시예 1~8의 펠렛제조
실시예 비료(mg/L) 생장조절제 피트모스 pH 식재방법
1 무처리 무처리 무처리 5.8 토양표면
2 N; 300 무처리1) 본체와 뚜껑으로 압착·형성 5.8 토양표면
P; 200
K; 400
3 N; 300 GA2)300ppm 본체와 뚜껑으로 압착·형성 5.8 토양표면
P; 200
K; 400
4 N; 300 NAA3)300ppm 본체와 뚜껑으로 압착·형성 5.8 토양표면
P; 200
K; 400
5 무처리 무처리 무처리 5.8 식재 후 복토
6 N; 300 무처리 본체와 뚜껑으로 압착·형성 5.8 식재 후 복토
P; 200
K; 400
7 N; 300 GA 300ppm 본체와 뚜껑으로 압착·형성 5.8 식재 후 복토
P; 200
K; 400
8 N; 300 NAA 300ppm 본체와 뚜껑으로 압착·형성 5.8 식재 후 복토
P; 200
K; 400
[주]1)무처리; 처리 않음2)GA; Giberellin3)NAA; Naphthalene acetic acid
실시예 1~8의 방법으로 처리된 참나리 주아 펠렛의 생육차이
실시예 엽수(개) 엽장(cm) 엽폭(cm) 초장(cm) 근장(cm)
1 0.58 c1) 6.04 c 0.42 c 4.36 c 0.48 c
2 1.09 a 14.09 a 1.04 a 8.05 a 1.11 a
3 0.81 b 10.71 b 0.77 b 6.58 b 0.82 b
4 0.53 cd 5.72 c 0.42 c 2.81 d 0.32 d
5 0.45 de 5.72 c 0.43 c 3.11 d 0.48 c
6 0.38 e 6.17 c 0.42 c 2.88 d 0.51 c
7 0.77 b 1.16 d 0.06 d 0.48 e 0.08 e
8 0.00 f 0.00 d 0.00 d 0.00 e 0.00 f
[주]1)Duncan의 다중 검정법에 의한 5% 범위의 유의차
실시예 1~8의 방법으로 처리된 감자 펠렛의 생육차이
실시예 엽수(개) 줄기수(개) 초장(cm) 괴경수(개) 괴경중량(g) 총중량(g)
1 12.31 e1) 1.73 e 13.23 e 3.06 d 21.32 f 57.63 f
2 24.50 c 2.65 c 42.57 c 4.80 bc 109.78 c 203.28 bc
3 35.33 ab 3.72 ab 56.65 b 6.26 a 141.51 a 253.71 a
4 16.82 d 2.01 d 15.7 e 3.81 c 45.33 e 153.65 e
5 25.07 c 2.71 c 22.06 d 4.11 c 98.37 c 199.07 bc
6 33.50 b 3.51 b 45.31 c 5.41 b 120.17 b 212.81 b
7 38.27 a 4.05 a 62.07 a 7.02 a 156.22 a 287.54 a
8 17.43 d 2.13 d 20.60 d 3.90 c 90.66 d 181.35 d
[주]1)Duncan의 다중 검정법에 의한 5% 범위의 유의차
본 발명 참나리 주아와 감자의 펠렛화 처리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참나리 주아와 감자의 펠렛화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엽수, 엽장, 엽폭, 초장, 근장, 괴경수, 괴경중량, 총중량에서 월등히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표 3, 4). 출엽율에서도 참나리 주아의 경우 펠렛 처리구에서(도 1, 도 7), 감자인 경우 펠렛+GA 처리구에서 우수하게 나타내었다(도 2, 도 10). 펠렛 처리구의 생육상태는 발아 후 왕성하게 나타내었으나, 무처리구는 부진하였다. 이는 펠렛의 피트모스에 혼합되어 있는 비료성분의 흡수에 의한 것이다. 또한, 피트모스가 가볍고 통기성이 뛰어나므로 발아에 필요한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하며 관수나 강우시 수분 흡수능력이 전체 부피의 60% 이상이 되므로, 구근에 충분한 수분공급이 이루어 진 결과이다.
파종방법에 따른 구근식물 펠렛의 생육상태를 보면 참나리 주아인 경우, 토양표면파종이 모든 면에서 우수하였고, 토양 내 파종의 펠렛 처리구에서 엽장이 6.17cm로 조금 우세하게 나타났다(표 3). 토양표면 파종처리 된 참나리 주아 펠렛은 출엽율에서도 거의 2배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고(도 1), 파종 후 출엽 개체 수에서도 토양표면 파종처리가 우수하게 나타내었으며(도 3a, 3b, 3c, 3d, 도 8), 출엽 일자에서도 4일정도 빠르게 나타났다(도 3c). 감자의 경우, 파종방법간의 생육차이가 거의 비슷한데, 이는 감자체내의 저장양분의 원인으로 보이며, 실제 재배 시에 토양표면파종이 가능하다는 결과이다(표 4). 토양표면 파종처리된 감자 펠렛은 발아율에서 우세하게 나타났고(도 2, 도 11), 파종 후 발아 개체수와 발아 일자에서도 우수하게 나타났다(도 4a, 4b, 4c, 4d). 이는 펠렛화 처리로 펠렛이 토양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피트모스의 우수한 통기성으로 발아와 생육에 필요한 공기(산소)가 충분히 공급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도 9, 도 12).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본 발명 구근식물 펠렛의 생육을 비교해보면 참나리 주아 펠렛은 GA처리구가 NAA처리구에 비하여 모든 생육에서 2배 이상의 생육 상태를 나타내었고(표 3, 도 7), 출엽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파종 후 발아 일수도 빠르게 나타났다(도 1, 3c, 3d). 감자 펠렛도 GA 처리구가 NAA 처리구에 비해 모든 생육에서 2~3배 월등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표 4, 도 8). 출엽율에서도 40%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파종 후 발아일 수도 10일정도 빠르게 나타나 GA처리가 NAA처리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도2, 4c, 4d).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 구근식물 펠렛은 본 발명 펠렛 제조방법에 의한 펠렛 처리구에서, 토양표면 파종처리구에서, GA 처리구에서 생육, 출엽율, 식재 후 발아일수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피트모스와 비료, 생장조절제 등을 혼합하고 압축성형하여 건조한 후 구근식물을 넣고 압착·제조하는 구근식물 펠렛의 제조방법은 제조과정에서 혼합물의 화학적 반응 문제가 전혀 없고,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근식물 펠렛은 제조과정 중 펠렛 내의 수분이 제거되어 구근식물의 생리적 반응을 방지함으로써 출엽율과 생육이 현저히 뛰어나며 파종 후 복토처리 없이도 출엽율이 정상적으로 나타나 식재가 가능한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농업 기타 원예 산업상 뛰어난 발명이다.

Claims (5)

  1. 피트모스에 비료, 생장조절제, 살균제, 살충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첨가한 후 수용성 접착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구근류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본체와 덮개를 나누어 압착하여 성형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압착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본체에 구근을 집어넣고 상기 건조된 덮개를 덮어 압착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식물 펠렛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근은 참나리 주아 또는 감자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식물 펠렛의 제조방법.
  3. 제 1항 기재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근식물 펠렛.
  4. 제 1항 기재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근식물 펠렛을 식재하여 발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식물 펠렛을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5. 제 1항 기재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근식물 펠렛을 토양표면에 파종하고 복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식물 펠렛을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KR1020030056195A 2002-10-28 2003-08-13 구근식물의 펠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KR100647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65847 2002-10-28
KR1020020065847 2002-10-28
PCT/KR2003/001891 WO2004036974A1 (en) 2002-10-28 2003-09-16 A pellet of bulbous plants, a method of pelletization and a cultivation method of plant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14A true KR20040038614A (ko) 2004-05-08
KR100647255B1 KR100647255B1 (ko) 2006-11-17

Family

ID=3694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195A KR100647255B1 (ko) 2002-10-28 2003-08-13 구근식물의 펠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96117A1 (ko)
EP (1) EP1583413A4 (ko)
KR (1) KR100647255B1 (ko)
CN (1) CN100441081C (ko)
AU (1) AU2003263616A1 (ko)
WO (1) WO2004036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56B1 (ko) * 2002-10-28 2004-11-18 김승현 식물종자 펠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CN102487801B (zh) * 2011-12-27 2013-02-20 云南大学 一种东方百合组培苗子球无土培育的方法
US9756775B2 (en) 2014-07-07 2017-09-12 Cherished Ones Llc Memorial flower planting product made with or without human or pet cremated remains
CN109526469A (zh) * 2018-12-26 2019-03-29 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一种用于退化草地羊草定植的营养钵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7841A (en) * 1954-04-06 1956-08-07 Ralph W Chapman Apparatus for producing a soil packed flower mold
US3561159A (en) * 1968-05-01 1971-02-09 Fmc Corp Seed capsu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616573A (en) * 1969-01-22 1971-11-02 Fmc Corp Seed capsule
US3555730A (en) * 1969-02-06 1971-01-19 Fmc Corp Seed capsu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690034A (en) * 1971-03-08 1972-09-12 Aptek Ind Inc Environmental seed cell
IE36773B1 (en) * 1972-02-02 1977-02-16 Odd Melvold Expandable shape-retaining peat moss briquett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IT1008055B (it) * 1972-10-13 1976-11-10 Hydroculture Sistema di coltivazione agricola idroponica
SE452239B (sv) * 1981-11-26 1987-11-23 Lars Nilsson Grobarhetsforbettrande frokapsel
NZ203860A (en) * 1982-04-22 1985-04-30 Nat Res Dev Seed pellets containing mycorrhizal fungi
CA2010408A1 (en) * 1989-03-06 1990-09-06 Saburo Murayama Pelletized seed
DE3925933A1 (de) * 1989-08-03 1991-02-07 Jochims Karsten Verfahren zur direktaussaat
FR2657497B1 (fr) * 1990-01-31 1992-04-24 Saint Gobain Isover Technique de culture de plantes a bulbes.
US5138794A (en) * 1990-03-28 1992-08-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Method for producing lilium elegans
KR950001845B1 (ko) * 1992-05-04 1995-03-04 흥농종묘주식회사 코팅종자의 피막형성 처리방법
JPH0870628A (ja) * 1994-09-02 1996-03-19 Sumitomo Chem Co Ltd 種子または被覆造粒種子の乾燥方法
US6058649A (en) * 1995-09-11 2000-05-09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Agriculture Seed coating for enhancing the level of selenium in crops
US6088957A (en) * 1996-10-09 2000-07-18 Mjm Technologies, L.L.P. Seed-containing fertilizer package
JP3674214B2 (ja) * 1997-02-13 2005-07-20 タキイ種苗株式会社 造粒コーティング種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04227U (ko) * 1998-10-28 1999-01-25 최원영 육묘용 배양지
JP2001190107A (ja) * 2000-01-13 2001-07-17 Sumika Agrotech Co Ltd コート種子およびコート種子の製造方法
US20050102895A1 (en) * 2003-11-17 2005-05-19 W. Michael Bissonnette Soil-less seed support medium and method for germinating a se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0852A (zh) 2005-11-23
US20060196117A1 (en) 2006-09-07
KR100647255B1 (ko) 2006-11-17
EP1583413A1 (en) 2005-10-12
AU2003263616A1 (en) 2004-05-13
EP1583413A4 (en) 2006-01-04
CN100441081C (zh) 2008-12-10
WO2004036974A1 (en) 200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856B1 (ko) 식물종자 펠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US9822042B2 (en) Method of hydroponically growing of plants
CN104396535A (zh) 一种马尾松容器育苗方法
CN103918431A (zh) 马铃薯的种植方法
RU2423036C1 (ru) Био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садки растений
US9527778B2 (en) Method of hydroponically growing plants
CN110810157A (zh) 一种工业大麻的育苗方法
KR100647255B1 (ko) 구근식물의 펠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WO2020002980A1 (en) Plant material coating and preparation procedure
Ceccagno et al. Potential of Pinus sp. needles for use as substrate conditioners in the production of'Trifoliata'rootstock in greenhouses
JP3481439B2 (ja) 覆土材
KR102181105B1 (ko) 원면 수경 재배 방법
KR102190394B1 (ko) 용출제어형 피복비료 및 그 제조방법
Park et al. Influence of pre-plant root substrate nitrogen levels on growth of selected fruit bearing vegetable seedlings in cylindrical paper pots
CN110373209A (zh) 一种甘薯专用保水剂及节水栽培甘薯的方法
Diaz-Perez et al. Transplant growth and stand establishment of bell pepper (Capsicum annuum L.) plants as affected by compost-amended substrate
RU2813923C1 (ru) Субстрат для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адаптации растений-регенерантов земляники на этапе ex vitro
CN111937704B (zh) 一种高海拔地区马铃薯种植方法
KR102550898B1 (ko) 이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기질 토양개량제 및 이의 용도
EP1124776B1 (de) Mykorrhizapilzart enthaltendes düngemittel für pflanzen, das in körniger form vorliegt
CN106954450A (zh) 一种草花播种覆盖方法
KR800001441B1 (ko) 농업 및 원예용 토양 영양조성물
KR20200113450A (ko)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한 참깨 육묘 방법
Z&arate-Nicol&as et al. Mixtures design of Agave angustifolia Haw (Asparagales: Agavaceae) residue as a growth medium for tomato seedlings
CN114258837A (zh) 一种梨树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以及梨树育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