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456A -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456A
KR20040038456A KR1020020067414A KR20020067414A KR20040038456A KR 20040038456 A KR20040038456 A KR 20040038456A KR 1020020067414 A KR1020020067414 A KR 1020020067414A KR 20020067414 A KR20020067414 A KR 20020067414A KR 20040038456 A KR20040038456 A KR 2004003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contents
license information
li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용
김두현
이창열
이경희
설동명
안성호
곽지영
이은령
김연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6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8456A/ko
Publication of KR2004003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DRM이 포함된 컨텐츠를 컨텐츠 요구에 따라 제공하는 쇼핑몰; 쇼핑몰로부터 컨텐츠 자체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홈 서버로 사용된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는 설치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정보가 사용 가능할 경우, 컨텐츠를 바로 재생하며, 컨텐츠를 PDA로 사용된 다수의 제1-1 사용자 내지 제n-n 사용자로 제공하여 컨텐츠에 해당되는 라이선스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다시 사용 규칙 검증을 통하여 사용 규칙이 유효하면, 컨텐츠를 바로 재생시키는 컨텐츠 사용자 그룹; 컨텐츠 사용자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라이선스 정보 요구에 따라 라이선스 정보를 제공하는 거래 인증 서버를 구비한다. 따라서, 컨텐츠 판매에 모음/집단에 대한 보다 광범위하게 규칙 적용을 수행하여 기존 문제점인 특정 개인에 대하여만 라이선스를 제공함에 따라 가족이 공동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경우, 가족 사이에 사용 규칙을 공유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장치 및 방법{A DRM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THE DIGITAL CONTENTS IN THE HOME SERVER}
본 발명은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Digital Rights Management : DRM)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컨텐츠 유통을 위한 기술에 있어서, 특정 홈 서버에 있는 컨텐츠를 각각의 개인 단말기를 통해 사용할 때, 공통의 사용 규칙을 제공하여 컨텐츠 활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DRM 기술은 쇼핑몰, 거래인증 서버, 홈 서버, PDA 등의 전체적으로 서로 분산 및 연계되어 적용되는 기술로서,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디지털 컨텐츠를 쇼핑몰에서 구매할 경우, 구매한 컨텐츠는 홈 서버에 보관되어 상황에 따라 홈 서버 및 개인 PDA를 통해 재생(play)할 수 있다.
이러한, DRM 기술은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하는데, 보다 안전한 사용 및 투명한 거래를 보장할 수 있도록 특정 개인에 대하여만 라이선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족이 공동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경우, 가족 사이에 사용 규칙을 공유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기존 DRM 기술은 대부분 디지털 컨텐츠를 어떻게 암호화하고 재생할 수 있는가 에만 초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DRM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하는 기술로는 2001년 10월 1020010063369로 등록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가진 무선 PDA용 전자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2002년 1월 1020020001916으로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보호 방법 및 시스템"과, 2000년 9월 1020000053149로 등록된 "디지털 권리 관리 또는 워터마크의 결합/검출/제거/변경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선행기술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가진 무선 PDA용 전자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DRM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가진 무선 PDA용 전자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북 콘텐츠 제공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북 콘텐츠를 선택받고, 인증 서버로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전송하고, 인증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등록 정보에 상응하는 인증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선택된 전자북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전자북 콘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미리 다운로드받은 사용자의 인증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전자북 콘텐츠를 멀티 미디어 콘텐츠라는 전자북 콘텐츠의 특성에 맞도록 전자북 콘텐츠를 분할 및 복호화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전자북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자북 콘텐츠를 유료화 함으로써 전자북 콘텐츠의 유통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고, 전자북 콘텐츠를 복호화 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보호 방법 및 시스템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암호화된 텍스트, 음악, 동영상강의, 영화, 소프트웨어, 게임 등 모든 형태의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복제 및 불법전송 등의 저작권 침해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정보보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행특허의 목적은 암호화된 컨텐츠를 보기 위한 전용뷰어 프로그램 대신에 일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고, 다운로드 도중에 스트리밍으로 컨텐츠를 볼 수 있는 한층 보안성능을 높이는 방법 및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행특허의 특징은 사용자 컴퓨터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단계에서 파일 입출력요청 메시지를 후킹하여 메시지의 발생, 변형, 또는 삭제를 함으로서 일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DRM 디바이스 드라이버 단계에서 응용프로그램이 요청하는 파일옵셋과 파일길이의 메시지를 변형하고, 버퍼 메모리상에서 복호화하고, 원래 응용프로그램이 요청한 파일옵셋 및 파일길이 형태의 복호화된 데이터를 복원하여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특허는 디지털 컨텐츠를 복호화된 상태로 어떤 저장장치에 보관하지 않고, 버퍼메모리 상에서만 일정단위로 쪼개진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복호화하여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기 때문에 암호화가 깨질 염려가 거의 없는 정보보호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온라인으로 연결된 DRM 인증서버에서 사용자 인증과 응용프로그램의 등록 및 인증, 관리를 수행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과 업그레이드 관리의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또한, 디지털 권리 관리 또는 워터마크의 결합/검출/제거/변경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 권리를 규정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의 구조 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a) 복수개의 디지털 권리 관리 구조간의 변환 규칙을 설정하는 단계; (b)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디지털 권리 관리의 구조 변화 서비스에 대한 안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디지털 권리 관리의 구조 변환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제공된 안내 화면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디지털 권리 관리의 구조 변환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 특허에 의하면,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된 여러 종류의 DRM 구조를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된 DRM 정보를 유지하면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지원하는 DRM 구조를 갖는 디지털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플랫폼에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되는 간접적인 효과가 발생하며,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선행 특허에 개시된 기술을 살펴보았을 때, 본원 발명에서의 문제점인 특정 개인에 대하여만 라이선스를 제공함에 따라 가족이 공동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경우, 가족 사이에 사용 규칙을 공유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개시된 선행 특허에서도 여전히 갖고 있으며, 또한, 선행 특허에서의 DRM 기술은 대부분 디지털 컨텐츠를 어떻게 암호화하고 재생할 수 있는가 에만 초점을 갖고 있어 본원 발명에서 제시한 기존 기술보다 진보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특정 홈 서버에 있는 컨텐츠를 각각의 개인 단말기를 통해 사용할 때, 공통의 사용 규칙을 제공하여 컨텐츠 활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는 DRM이 포함된 컨텐츠를 컨텐츠 요구에 따라 제공하는 쇼핑몰; 쇼핑몰로부터 컨텐츠 자체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홈 서버로 사용된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는 설치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정보가 사용 가능할 경우, 컨텐츠를 바로 재생하며, 컨텐츠를 PDA로 사용된 다수의 제1-1 사용자 내지 제n-n 사용자로 제공하여 컨텐츠에 해당되는 라이선스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다시 사용 규칙 검증을 통하여 사용 규칙이 유효하면, 컨텐츠를 바로 재생시키는 컨텐츠 사용자 그룹; 컨텐츠 사용자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라이선스 정보 요구에 따라 라이선스 정보를 제공하는 거래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방법은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중 임의의 제1 사용자가 쇼핑몰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요구하는 단계; 요구에 대응하여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설치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내 플레이어는 설치된 컨텐츠에 해당되는 라이선스 파일 내 라이선스 정보의 사용 가능한 상태를 제1 판단하는 단계; 제1 판단 단계에서 라이선스 정보의 유효기간이 만료될 경우, 거래 인증 서버로 라이선스 정보를 요청하며, 요청에 대응하는 정상적인 라이선스 정보를 제공받아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내 관리기는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를 제1-1 사용자 내지 제n-n 사용자중 임의의 제1-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제1-1 사용자 내 플레이어는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정보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라이선스 정보가 있을 경우, 사용 규칙 검증을 통해 유효성을 제2 판단하는 단계; 제2 판단 단계에서 사용 규칙이 유효하지 않으면, 관리기를 통해 제1 사용자 내 플레이어에게 라이선스 정보를 요청한 후, 요청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라이선스 정보 확인 과정을 거쳐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홈 서버로 사용되는 제1 사용자와 PDA로 사용되는 제1-1 사용자∼제1-n 사용자간의 네트웍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사용자와 제1-1 사용자간의 관계도 및 라이선스 파일 구성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라이선스 파일(205-1, 205-1-1-1)간의 정보 비교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방법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스 파일(205-1, 205-1-1-1)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쇼핑몰 200 : 컨텐츠 사용자 그룹
200-1∼200-n : 제1 사용자∼제n 사용자
200-1-1∼200-1-n : 제1-1 사용자∼제1-n 사용자
201-1-1∼201-1-n : 컨텐츠 203-1 : 관리기
205-1 : 라이선스 파일 207-1 : 플레이어
201-1-1-1∼201-1-n-1 : 컨텐츠
205-1-1-1∼205-1-n-1 : 라이선스 파일
207-1-1-1∼207-1-n-1 : 플레이어
S1, S2 : 컨텐츠 그룹 ID S3, S4 : 사용자 그룹 ID
S5, S6 : 컨텐츠 그룹 사용 규칙 S7, S8 : 사용자 그룹 사용 규칙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로서, 쇼핑몰(100)과, 컨텐츠 사용자 그룹(200)과, 거래 인증 서버(300)를포함한다.
쇼핑몰(100)은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블록으로서, 컨텐츠 사용자 그룹(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요구에 따라 DRM이 포함된 컨텐츠를 컨텐츠 사용자 그룹(200)에 제공한다.
컨텐츠 사용자 그룹(200)은 n명의 사용자(200-1 ∼ 200-n)(예로, 홈 서버를 운용하는 사용자)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중 임의의 제1 사용자(200-1)는 내부적으로 제1-1 사용자(200-1-1) 내지 제1-n 사용자(200-1-n)(예로, PDA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구비하는 것으로, 쇼핑몰(100)을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요구할 경우, 쇼핑몰(100)로부터 컨텐츠 자체를 무료로 다운로드(download)받아 설치되는 블록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컨텐츠(201-1-1∼201-1-n)와, 관리기(203-1)와, 라이선스 파일(205-1)과, 플레이어(207-1)를 구비한다.
다수의 컨텐츠(201-1-1∼201-1-n)는 쇼핑몰(100)로부터 다운로드되며, 다운로드된 임의의 컨텐츠(201-1-1)가 사용자에 의해 더블 클릭되어 재생되거나, 또는 플레이어(207-1)에 의해 호출되어 재생된다.
관리기(203-1)는 제1-1 사용자(200-1-1) 내지 제1-n 사용자(200-1-n)를 관리하기 위한 블록으로서, 이들로의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하는데, 이 프로토콜이 무선일 경우, WAP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장착형일 경우, USB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프로토콜을 통하고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다수의 컨텐츠(201-1-1∼201-1-n)중 임의의 컨텐츠(201-1-1)를 제공한다.
라이선스 파일(205-1)은 컨텐츠 내의 라이선스 정보로서, 컨텐츠들(201-1-1∼201-1-n)의 사용 가능한 상태 및 이를 재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다.
플레이어(207-1)는 컨텐츠들(201-1-1∼201-1-n)중 임의의 컨텐츠(201-1-1)에 대한 라이선스 파일(205-1)을 확인하기 위해 라이선스 파일(205-1)내 라이선스 정보를 검색하여 라이선스 정보가 없거나 유효기간이 만료되었을 경우, 거래 인증 서버(300)로 라이선스 정보를 요청한 후, 라이선스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하며, 검색 결과 임의의 컨텐츠(201-1-1)에 대한 라이선스 정보가 있을 경우, 사용 가능한 상태이므로, 임의의 컨텐츠(201-1-1)를 바로 재생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1-1 사용자(200-1-1) 내지 제1-n 사용자(200-1-n)중 임의의 제1-1 사용자(200-1-1)는 내부적으로 컨텐츠(201-1-1-1)와, 라이선스 파일(205-1-1-1)과, 플레이어(207-1-1-1 ∼ 207-1-n-1)를 동일하게 구비한다.
컨텐츠(201-1-1-1)는 제1 사용자(200-1)내 관리기(203-1)를 통해 제공된 임의의 컨텐츠(201-1-1)를 의미한다.
라이선스 파일(205-1-1-1)은 구조적으로 제1 사용자(200-1)내 라이선스 파일(205-1)과 다소 차이가 있는데, 도 3 및 4를 참조하면, 그 차이는 사용 규칙에 있어서, 라이선스 파일(205-1-1-1)내 사용 규칙(S6, S8)에서 횟수에 대한 사용 규칙 삭제되어 재생 날짜로만 그 규칙을 정하고 있다.
플레이어(207-1-1-1)는 컨텐츠(201-1-1-1)에 해당되는 라이선스 파일(205-1-1-1)내 라이선스 정보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라이선스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다시 사용 규칙 검증을 통하여 유효성을 확인하며, 사용 규칙이 유효하면, 컨텐츠(201-1-1-1)를 재생시키며, 그렇지 않을 경우, 제1 사용자(200-1)내 플레이어(207-1)에게 라이선스 정보를 요청한 다음에 제공되는 라이선스 정보 확인 과정을 다시 거쳐서 컨텐츠(201-1-1-1)를 재생시킨다.
즉, 제1 사용자(200-1)내 플레이어(207-1)가 임의의 컨텐츠(201-1-1)를 선정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컨텐츠(201-1-1)에 속하는 라이선스 파일(205-1)과, 이로 인하여 관리기(203-1)를 통해 제1-1 사용자(200-1-1)내로 제공된 라이선스 파일(205-1-1-1)이 각각 동일하게 세팅되는 것이다.
거래 인증 서버(300)는 컨텐츠 사용자 그룹(200)으로부터 제공되는 라이선스 정보 요구에 따라 라이선스를 제공한다.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방법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사용자 그룹(200)은 내부적으로 n명의 사용자(200-1 ∼ 200-n)(예로, 홈 서버를 운용하는 사용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중 임의의 제1 사용자(200-1)내에는 제1-1 사용자(200-1-1) 내지 제1-n 사용자(200-1-n)를 갖는 방식으로, 제2 사용자(200-2) 내지 제n 사용자(200-n)에도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홈 서버를 의미하는 제1 사용자(200-1)가 쇼핑몰(100)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요구한다(단계 501).
그러면, 쇼핑몰(100)은 제1 사용자(200-1)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요구에 따라 DRM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1 사용자(200-1)에 제공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200-1)내에 다수의 컨텐츠(201-1-1∼201-1-n)중 임의의컨텐츠(201-1-1)를 무료로 제공하여 자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502).
다수의 컨텐츠(201-1-1∼201-1-n)중 임의의 컨텐츠(201-1-1)가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플레이어(207-1)는 임의의 컨텐츠(201-1-1)에 해당되는 라이선스 파일(205-1)내 라이선스 정보의 사용 가능한 상태 및 재생 여부를 확인 판단한다(단계 503).
상기 판단 단계(단계 503)에서 라이선스 정보가 없거나 유효기간이 만료되었을 경우, 거래 인증 서버(300)로 라이선스 정보를 요청하며, 거래 인증 서버(300)로부터 라이선스 정보를 제공받아 그 상태가 정상이면 임의의 컨텐츠(201-1-1)를 재생한다(단계 504).
반면에, 상기 판단 단계(503)에서, 라이선스 정보가 있을 경우, 사용 가능한 상태이므로, 임의의 컨텐츠(201-1-1)를 재생한다(단계 505).
이때, 제1 사용자(200-1)내 관리기(203-1)는 제1-1 사용자(200-1-1) 내지 제1-n 사용자(200-1-n)중 임의의 제1-1 사용자(200-1-1)로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임의의 컨텐츠(201-1-1)를 제공한다(단계 506).
그러면, 제1-1 사용자(200-1-1)내 플레이어(207-1-1-1)는 컨텐츠(201-1-1-1)(관리기(203-1)를 통해 제공된 임의의 컨텐츠(201-1)를 의미함)에 대한 라이선스 정보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라이선스 정보가 있을 경우에 다시 사용 규칙 검증을 통하여 유효성을 확인 판단한다(단계 507).
상기 판단 단계(507)에서 사용 규칙이 유효하면, 컨텐츠(201-1-1-1)를 바로 재생시킨다(단계 508). 반면에,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 규칙이 유효하지 않으면,관리기(203-1)를 통해 제1 사용자(200-1)내 플레이어(207-1)에게 라이선스 정보를 요청한 다음에 다시 제공되는 라이선스 정보 확인 과정을 다시 거쳐 컨텐츠(201-1-1-1)를 재생시키는 것이다(단계 509).
도 4를 참조하면, 라이선스 파일(205-1, 205-1-1-1)간의 동작에 대하여 도 6의 흐름도를 보면서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제1 사용자(200-1)내 플레이어(207-1)가 임의의 컨텐츠(201-1-1)를 선정할 경우(단계 601), 라이선스 파일(205-1, 205-1-1-1)내 컨텐츠 그룹 ID(S1, S2)를 각각 확인하다(단계 602). 여기서, 컨텐츠 그룹은 동일한 행동을 하는 컨텐츠 그룹으로, 작품의 1부, 2부 또는 CD를 구매 시 CD에 들어있는 음악들로, 그 예로, "조용필의 노래 모음집"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컨텐츠 그룹 ID(S1, S2)가 확인되면, 사용자 그룹 ID(S3, S4)를 확인하는데(단계 603), 이 사용자 그룹은 "같은 가족", "같은 직장직원"과 같이 컨텐츠를 사용하는 집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사용자 그룹 ID(S3, S4)가 확인되면, 사용 요구 조건(예로, 1일 동안 무제한 재생 요구 조건, 1일간 5회 재생 요구 조건,....)과 사용 규칙(S5, S6, S7, S8)을 각각 비교하여 요구 조건이 맞을 경우에 요구 사항을 처리한다(단계 604).
그 예로, 1일 동안 무제한 재생 요구일 경우, 사용자 그룹 ID(S3, S4)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여 동일한 그룹이면, 1일간 무제한으로 재생시키며, 또한 1일간 5회 재생 요구일 경우, 사용 규칙(S7)에 기록되어 있으면, 동일한 사용자 그룹에서 재생 후, 재생한 해당 횟수만큼 감소시킨다.
여기서, 플레이어(207-1, 207-1-1-1)를 통해 해당 컨텐츠(201-1-1, 201-1-1-1)를 각각 재생(play) 시, 공동의 개념이 존재함에 따라 라이선스 파일(205-1)내 컨텐츠 그룹 및 사용자 그룹사용 규칙(재생(play) 날짜, 횟수)(S5, S7)과, 라이선스 파일(205-1-1-1)내 컨텐츠 그룹 및 사용자 그룹 사용 규칙(재생(play) 날짜)(S6, S8)이 동일한 개념으로 적용되는데, 예외적으로, 라이선스 파일(205-1-1-1)내 컨텐츠 그룹 및 사용자 그룹 사용 규칙(재생(play) 날짜)(S6, S8)에는 횟수에 관한 사용 규칙을 제외시켜 재생 날짜로만 사용 규칙을 공유하게 되어 날짜가 유효한 상황에서 독립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200-1)와 제1-1 사용자(200-1-1)내의 컨텐츠(201-1-1, 201-1-1-1)에 대한 라이선스 파일(205-1, 205-1-1-1)의 공유는 "컨텐츠 그룹 정보", "사용자 그룹 정보", "PC에서의 재생 날짜 정보", "PC에서의 재생 횟수", "PDA에서의 재생 날짜 정보"의 조합으로 사용 규칙이 필수적으로 통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특정 홈 서버에 있는 컨텐츠를 각각의 개인 단말기를 통해 사용할 때, 공통의 사용 규칙, 즉 컨텐츠를 묶어서 판매하는 모음(collections)에 동일한 사용 규칙을 적용하는 기능 및 동일한 그룹에 동일한 사용 규칙을 적용하는 기능을 공유함으로써, 컨텐츠 판매에 모음/집단에 대한 보다 광범위하게 규칙 적용을 수행하여 기존 문제점인 특정 개인에 대하여만 라이선스를 제공함에 따라 가족이 공동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경우, 가족 사이에 사용 규칙을 공유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홈 서버 컨텐츠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디알엠(Digital Rights Management : DRM) 장치에 있어서,
    상기 DRM이 포함된 컨텐츠를 컨텐츠 요구에 따라 제공하는 쇼핑몰;
    상기 쇼핑몰로부터 컨텐츠 자체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홈 서버로 사용된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는 상기 설치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정보가 사용 가능할 경우, 상기 컨텐츠를 바로 재생하며, 상기 컨텐츠를 PDA로 사용된 다수의 제1-1 사용자 내지 제n-n 사용자로 제공하여 상기 컨텐츠에 해당되는 라이선스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다시 사용 규칙 검증을 통하여 상기 사용 규칙이 유효하면, 상기 컨텐츠를 바로 재생시키는 컨텐츠 사용자 그룹;
    상기 컨텐츠 사용자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라이선스 정보 요구에 따라 라이선스 정보를 제공하는 거래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자 그룹은 홈 서버로 사용된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와, PDA로 사용된 다수의 제1-1 사용자 내지 제n-n 사용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 내에 다수의 컨텐츠와, 관리기와, 라이선스 파일과, 플레이어를 갖으며, 상기 PDA로 사용된 다수의 제1-1 사용자 내지 제n-n 사용자 내에컨텐츠와, 라이선스 파일과, 플레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 내에 다수의 컨텐츠는 쇼핑몰로부터 다운로드되며, 상기 다운로드된 다수의 컨텐츠중 임의의 컨텐츠가 상기 플레이어에 의해 호출되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 내에 관리기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제1-1 사용자 내지 제1-n 사용자에게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다수의 컨텐츠중 임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 내에 라이선스 파일은 상기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 가능한 상태 및 재생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라이선스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 내에 플레이어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중 임의의 컨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라이선스 파일 내 라이선스 정보를 검색하여 라이선스 정보의 유효기간이 만료되었을 경우, 상기 거래 인증 서버로 라이선스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거래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라이선스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 가능한 상태에 바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사용자 내지 제1-n 사용자중 임의의 제1-1 사용자에 컨텐츠는 상기 관리기를 통해 제공된 임의의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사용자 내지 제1-n 사용자중 임의의 제1-1 사용자에 라이선스 파일은 사용 규칙에서 횟수에 대한 사용 규칙 삭제하여 재생 날짜로만 그 규칙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사용자 내지 제1-n 사용자중 임의의 제1-1 사용자에 플레이어는상기 제1-1 사용자 내 컨텐츠에 해당되는 라이선스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라이선스 파일 내 라이선스 정보를 검색하여 존재할 경우에 사용 규칙 검증을 통하여 유효성을 확인하며, 상기 사용 규칙이 유효하면, 상기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규칙이 유효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내 플레이어에게 라이선스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라이선스 정보 확인 과정을 거쳐 상기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장치.
  11. 거래 인증 서버와, 홈 서버로 사용된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와, PDA로 사용된 다수의 제1-1 사용자 내지 제n-n 사용자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홈 서버 컨텐츠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DRM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중 임의의 제1 사용자가 쇼핑몰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요구에 대응하여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내 플레이어는 상기 설치된 컨텐츠에 해당되는 라이선스 파일 내 라이선스 정보의 사용 가능한 상태를 제1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단 단계에서 라이선스 정보의 유효기간이 만료될 경우, 상기 거래 인증 서버로 라이선스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정상적인 라이선스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내 관리기는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1-1 사용자 내지 제n-n 사용자중 임의의 제1-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1 사용자 내 플레이어는 상기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정보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라이선스 정보가 있을 경우, 사용 규칙 검증을 통해 유효성을 제2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판단 단계에서 사용 규칙이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관리기를 통해 제1 사용자 내 플레이어에게 라이선스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라이선스 정보 확인 과정을 거쳐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 단계에서 라이선스 정보가 있을 경우, 사용 가능한 상태이므로, 상기 임의의 컨텐츠를 바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 단계에서 사용 규칙이 유효하면, 상기 컨텐츠를 바로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방법.
  14. 홈 서버로 사용된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 내 라이선스 파일과, PDA로 사용된 다수의 제1-1 사용자 내지 제n-n 사용자 내 라이선스 파일간의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내지 제n 사용자 중 임의의 제1 사용자 내 플레이어가 임의의 컨텐츠를 선정할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내 컨텐츠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파일 내 컨텐츠 그룹 아이디(ID)를 각각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그룹 ID가 확인되면, 동일 집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사용자 그룹 ID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그룹 ID가 확인되면, 사용 요구 조건과 사용 규칙을 각각 비교하여 요구 조건이 맞을 경우에 요구 사항을 재생한 후, 상기 재생한 해당 횟수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어를 통해 각각의 컨텐츠를 재생할 경우에는 공동의 개념이 존재함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내 라이선스 파일 내 컨텐츠 그룹 및 사용자 그룹사용 규칙(재생(play) 날짜, 횟수)과, 상기 제1-1 사용자 내 라이선스 파일 내컨텐츠 그룹 및 사용자 그룹 사용 규칙(재생(play) 날짜)을 동일한 개념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사용자 내 라이선스 파일 내 컨텐츠 그룹 및 사용자 그룹 사용 규칙(재생(play) 날짜)에는 횟수에 관한 사용 규칙을 제외시켜 재생 날짜로만 사용 규칙을 공유하게 되어 날짜가 유효한 상황에서 독립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DRM 방법.
KR1020020067414A 2002-11-01 2002-11-01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장치 및 방법 KR20040038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14A KR20040038456A (ko) 2002-11-01 2002-11-01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14A KR20040038456A (ko) 2002-11-01 2002-11-01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456A true KR20040038456A (ko) 2004-05-08

Family

ID=3733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414A KR20040038456A (ko) 2002-11-01 2002-11-01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845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0650A1 (en) * 2004-10-08 2006-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620588B1 (ko) * 2005-01-11 2006-09-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암호화된 콘텐츠의 복수 사용자 적용이 가능한 drm 방법
WO2009148241A2 (ko) * 2008-06-02 2009-12-10 주식회사 포비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품 공동 이용 방법 및 시스템
US7890428B2 (en) 2005-02-04 2011-02-15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licensing architecture for licensing digital application
US8091142B2 (en) 2005-04-26 2012-01-03 Microsoft Corporation Supplementary trust model for software licensing/commercial digital distribution policy
WO2012150727A1 (ko) * 2011-05-03 2012-1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는 drm 기능을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387687B1 (ko) * 2005-12-23 2014-04-22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다수의 디바이스를 갖는 대화형 매체 안내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861A (ja) * 2000-08-24 2002-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配信制御方法
JP2002158985A (ja) * 2000-11-17 2002-05-31 Hitachi Ltd 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布システム、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布方法、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布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記録媒体
JP2002229447A (ja) * 2001-01-30 2002-08-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デジタルコンテンツ流通における著作権保護システム
KR20030023415A (ko) * 2001-09-13 2003-03-19 김승현 네트워크상 연락물을 이용한 컨텐츠 동시 이용 서비스제공방법
KR20030083224A (ko) * 2002-04-19 2003-10-30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마스터 로컬 서버 시스템
KR20040028043A (ko) * 2002-09-28 2004-04-03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망에서 다단계 분산 공유방식의 컨텐츠 서비스방법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861A (ja) * 2000-08-24 2002-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配信制御方法
JP2002158985A (ja) * 2000-11-17 2002-05-31 Hitachi Ltd 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布システム、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布方法、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布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記録媒体
JP2002229447A (ja) * 2001-01-30 2002-08-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デジタルコンテンツ流通における著作権保護システム
KR20030023415A (ko) * 2001-09-13 2003-03-19 김승현 네트워크상 연락물을 이용한 컨텐츠 동시 이용 서비스제공방법
KR20030083224A (ko) * 2002-04-19 2003-10-30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마스터 로컬 서버 시스템
KR20040028043A (ko) * 2002-09-28 2004-04-03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망에서 다단계 분산 공유방식의 컨텐츠 서비스방법 및 기록매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0650A1 (en) * 2004-10-08 2006-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620588B1 (ko) * 2005-01-11 2006-09-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암호화된 콘텐츠의 복수 사용자 적용이 가능한 drm 방법
US7890428B2 (en) 2005-02-04 2011-02-15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licensing architecture for licensing digital application
US8091142B2 (en) 2005-04-26 2012-01-03 Microsoft Corporation Supplementary trust model for software licensing/commercial digital distribution policy
KR101387687B1 (ko) * 2005-12-23 2014-04-22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다수의 디바이스를 갖는 대화형 매체 안내 시스템
WO2009148241A2 (ko) * 2008-06-02 2009-12-10 주식회사 포비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품 공동 이용 방법 및 시스템
WO2009148241A3 (ko) * 2008-06-02 2010-03-04 주식회사 포비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품 공동 이용 방법 및 시스템
US8380578B2 (en) 2008-06-02 2013-02-19 Fobik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joint-use of electronic product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12150727A1 (ko) * 2011-05-03 2012-1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는 drm 기능을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63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ed therewith
US20190147143A1 (en) Decoupling rights in a digital content unit from download
US7823180B2 (en) Content distribution method, content obtain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US10027730B2 (en) System,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8117463B2 (en)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7788271B2 (en)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US8934624B2 (en) Decoupling rights in a digital content unit from download
KR100983982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0401816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py-protected distribution of electronic documents
US20020062290A1 (en) Method for distributing and licensing digital media
US20060294017A1 (en) Information server,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iton processing program
US200500217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4066155A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又は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288411A1 (en) Methods, media, and systems for tracking and encrypting content usage
KR20040078674A (ko) 멀티미디어 객체 분배 방법 및 시스템
JP2004520755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保護及び管理のための方法並びにこれを利用したシステム
JP2005523487A (ja) リチャージ可能なメディア配布/再生システム
JP2004046790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保護及び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
KR20080035940A (ko) Drm 제공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510102A (ja) コンテンツの分配を許容するシステム
WO201211636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US20090199279A1 (en) Method for content license migration without content or license reacquisition
JP2005516278A (ja) 情報を秘密保護して送信および分配し、中間情報記憶媒体において送信された情報の物理的な例示を行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40038456A (ko)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장치 및 방법
US20040015519A1 (en) Content delivery server and content delivery system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