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451A -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451A
KR20040038451A KR1020020067407A KR20020067407A KR20040038451A KR 20040038451 A KR20040038451 A KR 20040038451A KR 1020020067407 A KR1020020067407 A KR 1020020067407A KR 20020067407 A KR20020067407 A KR 20020067407A KR 20040038451 A KR20040038451 A KR 20040038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
user
basic
identification car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원
Original Assignee
(주)엘리트 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리트 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엘리트 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02006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8451A/ko
Publication of KR2004003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연령 인증 제어부, 스캔센서, 기초연령 폰트 저장부, 타임 계측부 등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신분증, 예컨대,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연령 식별자(주민등록번호)의 일부를 스캔된 형태로 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연령 식별자를 일련의 전산처리 과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임의의 이용자가 전자기기, 예컨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기 이전에 해당 이용자의 연령이 미리 인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연령이 필요에 따라 일정 범위로 제한되기 때문에, 미성년자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담배, 주류 등을 구입할 개연성은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이를 토대로, 자동판매기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일정한 제약 없이 탄력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Apparatus for certifying a user age for a electrical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certifying the user 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령 인증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임의의 이용자가 전자기기, 예컨대, 자동판매기 등을 이용하기 이전에 해당 이용자의 연령이 미리 인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적합자, 예컨대, 미성년자에 의한 물건구매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판매기용 연령 인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발명은 이러한 연령 인증장치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상품 판매용 전자기기, 예컨대, 음료 자동판매기, 담배 자동판매기, 주류 자동판매기, 지하철 경로우대 무료 개표기 등의 설치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이용자의 연령을 확인하는 별도의 이용자 연령 인증과정 없이, 이용자가 소정의 금액만 투입하면, 일련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음료 자동판매기 등과 같은 일반형 자동판매기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연령을 확인하는 별도의 연령 인증과정이 특별히 필요 없지만, 그 외의 다른 자동판매기, 예컨대, 담배 자동판매기, 주류 자동판매기, 지하철 승차권 무료 발매기 등과 같은 연령 제한형 자동판매기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연령을 확인하는 별도의 연령 인증과정이 반드시 요구된다.
이는 만약, 상술한 담배 자동판매기, 주류 자동판매기, 지하철 승차권 무료 발매기 등과 같은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운용하면서, 별도의 연령 인증 과정을 진행시키지 않는 경우, 미성년자가 담배, 주류 등을 별다른 제재 없이 구입할 수 있거나, 또는, 경로대상이 아닌 부당 이용자가 무료 승차권을 부당하게 구입할 수 있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자동판매기에는 이용자의 연령을 정확히 인증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자동판매기를 운용하면서, 별도의 연령 인증 과정을 진행시키는 사안은, 현재로서는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더욱이, 이러한 연령 제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종래의 많은 업체들이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이의 제품화를 포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판매기의 개발 자체가 크게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에 이용자의 연령을 손쉽게 인증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을 추가로 부여함으로써, 적합하지 않은 이용자의 제품구입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에 이용자의 연령을 일정 범위로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가 일정한 제약 없이 개발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반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자동판매기의 탄력적인 개발을 촉진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령 인증장치가 설치된 담배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령 인증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령 인증장치의 연령 인증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령 식별자 및 기초연령 폰트의 오버-랩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의 일부에 설치되며, 해당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증을 로딩(Loading)·언로딩(Unloading)시키기 위한 개구(Open gate)가 구비된 하우징과, 앞의 개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신분증이 로딩되는 경우, 해당 신분증에기재된 연령 식별자를 스캔하여, 일련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스캔센서들과,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에 대응되는 기초 출생연도를 산출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연령 폰트 정보를 저장하는 기초연령 폰트 정보 저장부와, 앞의 전자기기가 사용되고 있는 현재 시간을 실시간 계측하는 타임 계측부와; 앞서 언급한 스캔센서들, 기초연령 폰트 정보 저장부 및 타임 계측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위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에 기록된 연령 식별자를 기초연령 폰트 정보에 기록된 기초연령 폰트에 오버-랩(Over-lap)시켜, 연령 식별자에 대응되는 기초 출생연도를 산출함과 아울러, 이 기초 출생연도를 타임 계측부에 의해 얻어진 현재 시간으로부터 차 연산하여, 이용자의 연령을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전자기기의 제어블록으로 전달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구동여부를 결정짓는 연령 인증 제어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령 인증장치(100)는 임의의 내부 제어블록(200)이 구비된 전자기기, 예컨대, 담배 자동판매기(300)에 내장됨으로써, 일련의 연령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환경을 구현 받는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령 인증장치는 크게, 하우징(101)과, 이 하우징(101)에 내장된 인증 회로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우징(101)의 단부에는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자신의 신분증(1)을 하우징(101)의 내부로 손쉽게 로딩·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개구(102)가 형성되며, 이 개구(102)의 내측에는 신분증(1)을 하우징(101) 내부의 특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자동 로딩시킴과 아울러, 본 발명 고유의 필요 프로세스 완료 시, 해당 신분증(1)을 하우징(101)의 외부로 자동 언로딩시키는 로딩·언로딩 롤러(104)가 더 배치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인증 회로블록은 크게, 연령 인증 제어부(10)와, 이 연령 인증 제어부(10)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스캔센서들(S1,S2,S3‥‥SN), 기초연령 폰트 정보 저장부(14), 타임 계측부(15)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앞의 스캔센서들(S1,S2,S3‥‥SN), 예컨대, 포토센서들은 앞의 개구(102)를 통해, 이용자의 신분증(1), 예컨대, 이용자의 주민등록증이 하우징(101)의 내부로 로딩되는 경우, 해당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연령 식별자, 예컨대, 이용자 주민등록번호를 일부 스캔하여, 일련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기초연령 폰트 정보 저장부(14)는 앞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에 대응되는 소정의 기초 출생연도를 산출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연령 폰트 정보를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앞의 타임 계측부(5)는 자체 타이머(도시안됨)를 통해, 앞의 담배 자동판매기(300)가 사용되고 있는 현재 시간(날짜)을 실시간 계측하고, 만약, 연령 인증 제어부(10)로부터 일련의 현재시간 통지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앞의 타임 계측부(15)는 보조 전원(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장치(100)측으로 인가되는 메인 전원이 오프(Off)되더라도, 정지되지 않고, 자신에게 부여된 시간흐름 계측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위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앞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에 기록된 연령 식별자를 기초연령 폰트 정보에 기록된 기초연령 폰트에 오버-랩시켜, 연령 식별자(주민등록번호)에 대응되는 기초 출생연도를 산출함과 아울러, 이 기초 출생연도를 타임 계측부(15)에 의해 얻어진 현재 시간(날짜)으로부터 차 연산(Difference calculation)하여, 이용자의 연령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제어블록(200)으로 전달하여, 해당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구동여부를 결정짓는 본 발명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령 인증장치(100)에는 앞서 언급한 여러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예컨대, 위치센서들(LS1,LS2), 스텝모터 구동부(11), 위치센싱 신호 처리부(12),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 처리부(18), 음성출력 처리부(19) 등이 더 배치된다.
여기서, 위치센서들(L1,L2)은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에 의해, 신분증(1), 예컨대, 주민등록증이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해당 신분증(10의 삽입위치를 센싱하고, 그 센싱결과를 앞의 연령 인증 제어부(10)측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위치센서들(L1,L2)은 신분증(1)의 하우징(101) 내 초기 삽입위치를 센싱하는 초기 위치센서(L1)와, 신분증(1)의 하우징 내 파이널 삽입위치를 센싱하는 파이널 위치센서(L2)로 구분된다.
이때, 위치센싱 신호 처리부(12)는 앞의 위치센서들(L1,L2) 및 연령 인증 제어부(10)를 전기적으로 매개한 상태에서, 예컨대, 초기 위치센서(L1)로부터 신분증(1)의 초기 삽입위치 센싱신호가 출력되거나, 파이널 위치센서(L2)로부터 신분증(1)의 파이널 삽입위치 센싱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수신한 후, 수신이 완료된 일련의 신분증 초기 삽입위치 센싱신호, 신분증 파이널 삽입위치 센싱신호 등을 연령 인증 제어부(10)에서 관리하기 용이한 신호로 증폭·처리하고, 증폭·처리 완료된 해당 신분증 초기 삽입위치 센싱신호, 신분증 파이널 삽입위치 센싱신호 등을 연령 인증 제어부(1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위치센싱 신호 처리부(12)의 기능 수행에 따라,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각 위치센서들(L1,L2)로부터 출력되는 각 감지신호를 별도의 오류 없이, 좀더 정확하게 인식·처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앞의 스텝모터 구동부(11)는 상술한 위치센싱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일련의 신분증 초기 삽입위치 센싱신호, 신분증 파이널 삽입위치 센싱신호가 출력되거나, 혹은 연령 인증 제어부(10)의 필요 프로세스가 마무리되어, 연령 인증 제어부(10)로부터 일련의 작동개시 명령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면, 연령 인증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스텝 모터(105)를 구동시켜, 상술한 로딩·언로딩 롤러(104)를 선택적으로 좌·우 스텝 회전시킴으로써,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증(1)이 장치(100)의 처리절차에 따라, 하우징(101)의 내·외부로 손쉽게 로딩·언로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앞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 처리부(18)는 상술한 스캔센서들(S1,S2,S3‥‥SN) 및 연령 인증 제어부(10)를 전기적으로 매개한 상태에서,스캔센서들(S1,S2,S3‥‥SN)로부터 일련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가 출력되면, 이를 수신한 후, 수신이 완료된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를 연령 인증 제어부(10)에서 관리하기 용이한 신호로 증폭·처리하고, 증폭·처리 완료된 해당 연령 식별자 정보를 연령 인증 제어부(1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 처리부(18)의 기능 수행에 따라,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스캔센서들(S1,S2,S3‥‥SN)로부터 출력되는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를 별도의 오류 없이, 좀더 정확하게 인식·처리할 수 있다.
이외에, 음성출력 처리부(19)는 연령 인증 제어부(10)에 의해 본 발명 고유의 연령 인증절차가 마무리되고, 그 결과에 맞추어, 연령 인증 제어부(10)로부터 일련의 처리결과 메시지 출력지시가 전달되는 경우, 연령 인증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자체 저장되어 있던 일련의 연령인증 처리결과 음성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연령인증 처리결과 음성 메시지를 엠프(20)로 전달함으로써, 연령 인증 제어부(10)의 연령인증 처리결과가 예컨대, 스피커(106)를 통해, 전자기기, 예컨대,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외부로 음성 출력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음성출력 처리부(19)의 기능 수행에 따라,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자신의 연령 인증결과가 어떻게 확정되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령 인증장치(100)에는 앞의 각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예컨대, 데이터 메모리부(13), 인터페이스부(17) 등이더 배치된다.
이때, 데이터 메모리부(13)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진행하기 위한 "기초 프로그램", "연령 적합성 판단기준 정보" 등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연령 인증 제어부(10)의 요구가 있는 경우, 이 "기초 프로그램", "연령 적합성 판단기준 정보" 등을 연령 인증 제어부(10)로 전달함으로써, 연령 인증 제어부(10)에 의한 일련의 세부적인 연령 인증절차가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인터페이스부(17)는 앞의 연령 인증 제어부(10) 및 담배 자동판매기 제어블록(200)을 매개한 상태에서, 연령 인증 제어부(10)로부터 일련의 이용자 연령 인증결과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이를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제어블록(200)으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전자기기, 예컨대, 담배 자동판매기(300)가 예컨대, 이용자의 연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령 인증장치(100) 체제 하에서,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전자기기, 예컨대,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동전 투입구, 지폐 투입구 등으로 금전을 투입하기 이전에, 음성출력 처리부(19)를 제어하여, 예컨대, "담배를 구입하시기 이전에 먼저, 신분증을 투입하여 주십시오‥‥"와 같은 안내 멘트를 스피커(106)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본격적인 담배 구입 이전에 본 발명 고유의 연령 인증절차를 미리 수행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우선, 이용자가 앞의 안내 멘트에 따라, 자신의 신분증(1), 예컨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을 하우징(101)의 개구(102)에 삽입하고, 해당 신분증(1)이 하우징(101) 내의 초기위치에 다다르면, 초기 위치센서(L1)는 이를 센싱하여, 일련의 신분증 초기 삽입위치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신분증 초기 삽입위치 센싱신호를 위치센싱 신호 처리부(18)로 출력한다.
이 상황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위치센싱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출력되는 시그널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신분증 삽입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때, 이용자가 아직 자신의 신분증(1)을 하우징(101)의 개구(1012)에 삽입하지 않아, 별도의 신분증 삽입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플로우를 단계 S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용자가 자신의 신분증(1)을 하우징(101)의 개구(102)에 삽입하여, 일련의 신분증 삽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그 즉시, 스텝모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스텝모터(105)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로딩·언로딩 롤러(104)를 예컨대, 순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101)) 내의 초기위치에 놓여 있던 신분증(1)을 파이널 위치센서(L2)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101) 내의 파이널 위치로 로딩시킨다(단계 S3).
이처럼, 로딩·언로딩 롤러(104)의 작용에 의해, 이용자의 신분증(1)이 하우징 내의 파이널 위치에 로딩되면, 파이널 위치센서(L2)는 이를 센싱하여, 일련의 신분증 파이널 삽입위치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신분증 파이널 삽입위치 센싱신호를 위치센싱 신호 처리부(12)를 매개로 하여, 연령 인증 제어부(10)로 출력함으로써, 연령 인증 제어부(10)가 "이용자의 신분증이 하우징 내의 파이널 위치에 정상적으로 로딩되었음"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앞의 과정을 통해, 이용자의 신분증(1), 예컨대, 이용자의 주민등록증이 하우징(1) 내의 초기위치로부터 하우징(1) 내의 파이널 위치로 로딩되고 있는 상황에서, 스캔센서들(S1,S2,S3‥‥SN)은 해당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연령 식별자, 예컨대, 이용자 주민등록번호 첫째, 둘째 자리를 밀착 스캔하여, 일련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를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 처리부(18)를 매개로 하여, 연령 인증 제어부(10)로 출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4). 물론, 신분증(2)의 스캔대상 연령 식별자 자릿수는 예컨대, 하우징(1) 내 파이널 위치의 변형 형태에 따라, "첫째 자리", "첫째자리, 둘째자리, 셋째자리", "첫째자리,‥,넷째자리" 등으로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절차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 처리부(18)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가 스캔센서들(S1,S2,S3‥‥SN)에 의해 생성 완료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이때, 앞의 단계 S4가 아직 마무리되지 않아,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가 생성 완료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플로우를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단계 S4가 모두 마무리되어, 일련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가 스캔센서들(S1,S2,S3‥‥SN)에 의해 생성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그 즉시, 스텝모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스텝모터(105)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로딩·언로딩 롤러(104)를 예컨대,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101) 내의 파이널 위치에 놓여 있던 신분증(1)이 하우징(101)의 외부로 신속히 언로딩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7).
앞의 절차를 통해, 하우징(101)의 파이널 위치에 놓여 있던 신분증(1)이 하우징(101)의 외부로 언로딩되고, 이용자가 자신의 신분증을 회수하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그 즉시, 음성출력 처리부(19)를 제어하여, 예컨대, "귀하의 성인여부를 인증하고 있는 중이오니,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106)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자신의 담배 자동판매기 사용연령 정당성 여부가 장치(100)에 의해 확인되고 있음"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단계 S8).
한편, 상술한 단계 S4,S5를 통해, 일련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 예컨대,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이용자 주민등록번호 첫째, 둘째 자리가 확보된 상황에서,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에 기록된 연령 식별자를 기초연령 폰트 정보 저장부(14)의 기초연령 폰트 정보에 기록된 기초연령 폰트에 오버-랩시켜, 연령 식별자, 예컨대, 주민등록번호 첫째, 둘째 자리에 대응되는 기초 출생연도를 산출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9,S10).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상술한 단계 S4,S5를 통해, 이용자의 신분증(1)에 기재된 이용자 주민등록번호 첫째, 둘째 자리 "84"가 확보되면, 그 즉시, 이 "84"를 기초연령 폰트 "‥75,‥84,‥"에 오버-랩시킴으로써, "84"에 대응되는 기초 출생연도 1984를 산출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상술한 단계 S4,S5를 통해, 이용자의 신분증(1)에 기재된 이용자 주민등록번호 첫째, 둘째 자리 "75"가 확보되면, 그 즉시, 이 "75"를 기초연령 폰트 "‥75,‥84,‥"에 오버-랩시킴으로써, "75"에 대응되는 기초 출생연도 1975를 산출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앞의 과정을 통해, 신분증(1)에 기재된 연령 식별자에 대응되는 기초 출생연도가 산출되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그 즉시, 타임 계측부(15)측으로 현재 시간(날짜) 통지 요청 메시지, 예컨대, "현재 연도 통지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가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고 있는 현재 연도를 체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1).
이 경우, 타임 계측부(15)는 자체 타이머를 통해, 담배 자동판매기(300)가 사용되고 있는 현재 시간(날짜)을 실시간 계측하고 있다가, 연령 인증 제어부(10)로부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현재 연도 통지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그 즉시, 이를 알려주는 루틴을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초 출생 연도 및 현재 연도가 모두 확보되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그 즉시, 기초 출생연도를 현재 연도로부터 차 연산하여, 이용자의 추정연령을 산출한 후, 이를 데이터 메모리부(13)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연령 적합성 판단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사용 연령 정당성 여부, 예컨대, 성인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S13).
예를 들어, 앞의 단계 S9~S11을 통해, 기초 출생 연도 1984 및 현재 연도2002가 모두 확보되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그 즉시, 2002로부터 1984를 차 연산하여, 이용자의 추정연령 18을 산출한 후, 이를 데이터 메모리부(13)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연령 적합성 판단기준 정보, 예컨대, "19세 이상을 성인으로 판정하라"는 판단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사용 연령 정당성 여부, 예컨대, 성인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예로, 앞의 단계 S9~S11을 통해, 기초 출생 연도 1975 및 현재 연도 2002가 모두 확보되면,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그 즉시, 2002로부터 1975를 차 연산하여, 이용자의 추정연령 27을 산출한 후, 이를 데이터 메모리부(12)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19세 이상을 성인으로 판정하라"는 판단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사용 연령 정당성 여부, 예컨대, 성인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이용자의 추정연령이 18로 산출되어, 해당 이용자가 담배를 구매하는데 부적합한 연령자, 예컨대, 미성년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그 즉시, 인터페이스부(17)를 매개로 하여,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제어블록(200)으로 "현 이용자는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데 부적합하다"라는 의미를 갖는 부적합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4). 이 경우,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제어블록(200)은 자가 구동회로에 일련의 락을 설정함으로써, 담배의 판매 자체가 원천적으로 봉쇄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며, 결국, 이용자는 담배를 정상적으로 구매할 수 없게 된다.
앞의 절차를 통해, 담배의 판매 자체가 원천적으로 봉쇄된 상황에서, 연령인증 제어부(10)는 그 즉시, 음성출력 처리부(19)를 제어하여, 예컨대, "귀하는 미성년자이므로 담배를 구입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성인 불인정 메시지를 스피커(106)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미성년자인 해당 이용자가 스스로 담배구입을 포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단계 S15).
그러나, 앞의 단계 S13에서, 이용자의 추정연령이 27로 산출되어, 해당 이용자가 담배를 구매하는데 적합한 연령자, 예컨대, 성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그 즉시, 인터페이스부(17)를 매개로 하여,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제어블록(200)으로 "현 이용자는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데 적합하다"라는 의미를 갖는 적합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6). 이 경우,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제어블록(200)은 자가 구동회로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금전 입급 과정-담배 선택 과정-담배 공급 과정"과 같은 일련의 담배 판매과정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는 기반환경을 마련한다.
앞의 절차를 통해, 담배가 정상적으로 판매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상황에서,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음성출력 처리부(19)를 제어하여, 예컨대, "귀하는 성년인 것으로 판정되어, 원하시는 담배를 자유롭게 구입하실 수 있사오니‥‥"와 같은 성인 인정 메시지를 스피커(106)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성인인 해당 이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상품, 예컨대, 담배를 손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단계 S17).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연령이 예컨대, 이용자가 제품을 구입하기 이전에, 상술한 연령 인증 제어부(10)의 인증과정에의해 미리 파악되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적합하지 않은 이용자, 예컨대, 미성년자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담배, 주류 등을 구입하는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자동판매기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연령을 필요에 따라, 일정 범위로 제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자동판매기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일정한 제약 없이 탄력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연령 인증장치(100)는 종래의 다른 인증장치, 예컨대, 바코드 리드형(Bar-code read type) 인증장치, 아이디 카드 리드형(ID-card read type) 인증장치 등과 달리, 카드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독취하여, 이용자의 연령을 확인하는 방식이 아니라, 단지, 신분증에 기재된 연령 식별자를 추출하여, 이를 이용자의 연령 확인에 활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이용자는 자신의 신분증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예컨대, 자성체 등의 작용에 의해 지워짐으로써, 자신의 연령확인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문제점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본 발명의 연령 인증 제어부(10)는 일련의 자동판매기 이용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술한 이용자 연령 인증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적합하지 않은 이용자가 물건을 구입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령 인증장치(100)는 상술한 자동판매기 분야에만 활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자동판매기 분야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게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연령 인증장치(100)는 학교, 병원 등에 배치된 무인 증명서 발급기, 무인 도서 대출기, 출석 체크기, 무인 진료카드 발급기 등의 분야에서도 폭 넓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령 인증장치(100)는 은행 등에 배치된 수표 입금기, 공공기관 등에 배치된 민원서류 발급기, 각종 직장에 배치된 출퇴근 체크기, 기밀장소 출입 체크기, 숙박업소의 숙박자 신원 체크기, 성인업소의 성인 체크기 등의 분야에서도 폭 넓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령 인증 제어부, 스캔센서, 기초연령 폰트 저장부, 타임 계측부 등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신분증, 예컨대,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연령 식별자(주민등록번호)의 일부를 스캔된 형태로 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연령 식별자를 일련의 전산처리 과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이용자가 전자기기, 예컨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기 이전에 해당 이용자의 연령이 미리 인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연령이 필요에 따라 일정 범위로 제한되기 때문에, 미성년자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담배, 주류 등을 구입할 개연성은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이를 토대로, 자동판매기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일정한 제약 없이 탄력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전자기기의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증을 로딩(Loading)·언로딩(Unloading)시키기 위한 개구(Open gate)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신분증이 로딩되는 경우, 상기 신분증에 기재된 연령 식별자를 스캔하여, 일련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스캔센서들과;
    상기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에 대응되는 기초 출생연도를 산출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연령 폰트 정보를 저장하는 기초연령 폰트 정보 저장부와;
    상기 전자기기가 사용되고 있는 현재 시간을 실시간 계측하는 타임 계측부와;
    상기 스캔센서들, 기초연령 폰트 정보 저장부 및 타임 계측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에 기록된 연령 식별자를 상기 기초연령 폰트 정보에 기록된 기초연령 폰트에 오버-랩(Over-lap)시켜, 상기 연령 식별자에 대응되는 기초 출생연도를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기초 출생연도를 상기 타임 계측부에 의해 얻어진 현재 시간으로부터 차 연산(Difference calculation)하여, 상기 이용자의 연령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를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블록으로 전달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구동여부를 결정짓는 연령 인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신분증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신분증의 삽입위치를 센싱하는 위치센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령 인증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신분증을 상기 하우징 내부의 특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로딩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령 인증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신분증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언로딩시키는 로딩·언로딩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령 인증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연령 인증 제어부의 연령 인증결과를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로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5. 전자기기의 일부에 설치된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증이 삽입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이 삽입된 경우, 해당 신분증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로딩시킴과 아울러, 상기 신분증에 기재된 연령 식별자를 밀착 스캔하여, 일련의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령 식별자 스캔정보에 기록된 연령 식별자를 일련의 기초연령 폰트정보에 기록된 기초연령 폰트에 오버-랩시켜, 상기 연령 식별자에 대응되는 기초 출생연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출생연도를 현재 시간으로부터 차 연산하여, 상기 이용자의 사용 연령 정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정당 연령자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블록으로 일련의 적합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의 연령 인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후에, 일련의 정당 연령 인정 메시지를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의 연령 인증방법.
KR1020020067407A 2002-11-01 2002-11-01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 KR20040038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07A KR20040038451A (ko) 2002-11-01 2002-11-01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07A KR20040038451A (ko) 2002-11-01 2002-11-01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451A true KR20040038451A (ko) 2004-05-08

Family

ID=3733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407A KR20040038451A (ko) 2002-11-01 2002-11-01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84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828B1 (ko) * 2004-07-31 2006-12-06 안우영 주민등록증 판독장치
KR20230160053A (ko) 2022-05-16 2023-11-23 서지원 자판기 연령 인증 결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279A (ja) * 1995-12-19 1997-06-24 Toshiba Corp 制限付自動販売機及び制限付自動販売機における物品の販売方法
KR20010088024A (ko) * 2000-03-10 2001-09-26 안우영 연령제한 자동판매기
KR20010109410A (ko) * 2000-05-31 2001-12-10 이선오 성인 용품 자동 판매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279A (ja) * 1995-12-19 1997-06-24 Toshiba Corp 制限付自動販売機及び制限付自動販売機における物品の販売方法
KR20010088024A (ko) * 2000-03-10 2001-09-26 안우영 연령제한 자동판매기
KR20010109410A (ko) * 2000-05-31 2001-12-10 이선오 성인 용품 자동 판매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828B1 (ko) * 2004-07-31 2006-12-06 안우영 주민등록증 판독장치
KR20230160053A (ko) 2022-05-16 2023-11-23 서지원 자판기 연령 인증 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6257C (zh) 生物体认证装置、生物体认证系统、ic卡和生物体认证方法
US20020145051A1 (en) Combined smartcard and magnetic-stripe card and reader and associated method
JPH0582629B2 (ko)
JPH08509560A (ja) クレジットカード取引情報を磁気的に記憶し、かつ取り出す方法および装置
JP4101420B2 (ja) 電子認証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
JPS6244869A (ja) Icカ−ドの照合方式
CA2286851C (en) System for the secure reading and editing of data on intelligent data carriers
JP5061810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
WO2007094145A1 (ja) 電子マネー入金システム
KR20040038451A (ko) 전자기기용 연령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령 인증방법
JP2002175505A (ja) 携帯型情報装置、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データ消去方法
JP3843263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icカード
JP2004030167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06350579A (ja) 自動取引装置
JP2021114069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システム
KR20040067572A (ko) 전자기기용 이용자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KR20050022901A (ko) 전자기기용 이용자 인증 및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JP2000057305A (ja) Icカード及びパスワード変更方法
JP2003110552A (ja) カード認証システム、情報記録カードおよびカード認証方法
JP3897950B2 (ja) 非接触券処理装置
JP2006228240A (ja) 認証システム
JP3875006B2 (ja) 認証識別子処理システム
KR20020022253A (ko)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
KR0159832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전기요금 자동 징수방법 및 그 장치
JPS60207963A (ja) Ic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