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253A -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253A
KR20020022253A KR1020000054955A KR20000054955A KR20020022253A KR 20020022253 A KR20020022253 A KR 20020022253A KR 1020000054955 A KR1020000054955 A KR 1020000054955A KR 20000054955 A KR20000054955 A KR 20000054955A KR 20020022253 A KR20020022253 A KR 20020022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dentification
card
identification card
id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8342B1 (ko
Inventor
박지원
Original Assignee
박지원
(주)엘리트 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893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2225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원, (주)엘리트 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박지원
Priority to KR10-2000-0054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3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008Vector quantis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 벡터 처리부, 신분 판단부 등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분증, 예컨대, 주민등록증을 이미지 형태로 추출하고, 이 신분증 이미지를 일련의 전산처리 과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이용자가 외부장치, 예컨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기 이전에 해당 이용자의 신분이 미리 인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이 필요에 따라 일정 범위로 제한되기 때문에, 부적합자, 예컨대, 미성년자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담배, 주류 등을 구입할 개연성은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이를 토대로, 자동판매기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일정한 제약 없이 탄력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Image abstraction type apparatus for certifying a identity and method for certifying the identit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임의의 이용자가 외부장치, 예컨대, 자동판매기 등을 이용하기 이전에 해당 이용자의 신분이 미리 인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적합자, 예컨대, 미성년자에 의한 물건구매를 미리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 예컨대, 음료 자동판매기, 담배 자동판매기, 주류 자동판매기, 지하철 경로우대 무료 개표기 등의 설치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이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별도의 이용자 신분 인증과정 없이, 이용자가 소정의 금액만 투입하면, 일련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술한 음료 자동판매기 등과 같은 일반형 자동판매기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별도의 신분 인증과정이 특별히 필요 없지만, 그 외의 다른 자동판매기, 예컨대, 담배 자동판매기, 주류 자동판매기, 지하철 승차권 무료 발매기 등과 같은 신분 제한형 자동판매기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별도의 신분 인증과정이 반드시 요구된다.
이는 만약, 상술한 담배 자동판매기, 주류 자동판매기, 지하철 승차권 무료 발매기 등과 같은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운용하면서, 별도의 신분 인증 과정을 진행시키지 않는 경우, 미성년자가 담배, 주류 등을 별다른 제재 없이 구입할 수 있거나, 또는, 경로대상이 아닌 부당 이용자가 무료 승차권을 부당하게 구입할 수 있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자동판매기에는 이용자의 신분을 정확히 인증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자동판매기를 운용하면서, 별도의 신분 인증 과정을 진행시키는 사안은, 현재로서는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더욱이, 이러한 신분 제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종래의 많은 업체들이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이의 제품화를 포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판매기의 개발 자체가 크게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에 이용자의 신분을 손쉽게 인증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을 추가로 부여함으로써, 적합하지 않은 이용자의 제품구입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에 이용자의 신분을 일정 범위로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가 일정한 제약 없이 개발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반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자동판매기의 탄력적인 개발을 촉진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가 설치된 담배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분 인증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자동판매기 등과 같은 외부장치의 일부에 내장되어, 하우징, 신분증 접촉 센싱부,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 벡터 처리부, 신분 판단부 및 제어부의 구성을 이루는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신분증 접촉 센싱부는 하우징의 반입·반출 개구에 신분증, 예컨대,주민등록증이 접촉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는 상술한 하우징 내부로 신분증이 반입된 경우, 이 신분증을 밀착 스캔하여, 일련의 신분증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는 앞서 언급한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신분증 이미지의 잡영을 제거함과 아울러, 이 신분증 이미지의 기울기를 교정하고, 교정이 완료된 신분증 이미지를 그래픽 이미지와 텍스트 이미지로 분리하며, 분리가 완료된 텍스트 이미지의 세그먼트(Segment)를 정합하여, 이 텍스트 이미지를 이루는 개별 문자들 사이의 경계를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벡터 처리부는 상술한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에 의해 교정된 텍스트 이미지를 벡터 처리하여, 이 텍스트 이미지의 특징값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신분 판단부는 벡터 처리부에 의해 추출된 특징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 특징값의 범위와 비교하여, 이용자의 신분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제어부는 앞서 언급한 신분증 삽입 센싱부,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 벡터 처리부 및 신분 판단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면서, 상술한 신분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외부장치의 제어블록으로 전달함으로써, 자동판매기 등의 외부장치가 이용자의 신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이 이용자가 제품을 구입하기 이전에, 상술한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 벡터 처리부, 신분 판단부 등의 신분증 인증과정에 의해 미리 파악되기 때문에, 본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적합하지 않은 이용자, 예컨대, 미성년자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담배, 주류 등을 구입하는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되는 경우, 자동판매기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을 필요에 따라, 일정 범위로 제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동판매기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일정한 제약 없이 탄력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100)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에 내장된 인증 회로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우징(10)의 단부에는 외부장치, 예컨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증(1)을 반입·반출시키기 위한 반입·반출 개구(11)가 형성되며, 이 반입·반출 개구(11)의 내측에는 반입·반출 개구(11)에 접촉된 이용자의 신분증(1)을 하우징(10)의 내·외부로 반입·반출시키기 위한 반입·반출 롤러(12)가 더 배치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인증 회로블록은 신분증 접촉 센싱부(15),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 벡터 처리부(19), 신분 판단부(20) 및 제어부(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신분증 접촉 센싱부(15)는 하우징(10)의 반입·반출 개구(11)에 신분증(1), 예컨대, 주민등록증이 접촉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는 상술한 하우징(20)의 내부로 신분증(1)이 반입된 경우, 이 신분증(1)을 밀착 스캔하여, 일련의 신분증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는 앞서 언급한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에 의해 생성된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불필요한 잡영을 제거함과 아울러, 이 신분증 이미지의 기울기를 교정하고, 교정이 완료된 신분증 이미지를 그래픽 이미지와 텍스트 이미지로 분리하며, 분리가 완료된 텍스트 이미지의 세그먼트를 정합하여, 이 텍스트 이미지를 이루는 개별 문자들 사이의 경계를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 및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 사이에는 아날로그/디지털(A/D:Analog/Digital) 변환부(17)가 더 배치되는데,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7)는 상술한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타입의 신분증 이미지를 일련의 디지털 타입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벡터 처리부(19)는 상술한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에 의해 교정된 텍스트 이미지를 벡터 처리하여, 이 텍스트 이미지가 보유한 고유의 특징값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신분 판단부(20)는 벡터 처리부(19)에 의해 추출된 특징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 특징값의 범위와 비교하여, 이용자의 신분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제어부(22)는 앞서 언급한 신분증 삽입 센싱부(16),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 벡터 처리부(19) 및 신분 판단부(20) 등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구성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술한 신분 판단부(20)의 판단결과를 외부장치, 예컨대, 자동판매기의 제어블록(200)으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외부장치가 이용자의 신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제어부(22), 신분 판단부(20) 등은 데이터 메모리부(21)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하는데, 이 경우, 데이터 메모리부(21)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진행하기 위한 기초 프로그램, 기준 특징값 등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부(22), 신분 판단부(20) 등의 요구가 있는 경우, 이 기초 프로그램, 기준 특징값 등을 제어부(22), 신분 판단부(20) 등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는 상술한 데이터 메모리부(21)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부(14)와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하는데, 이 경우, 모터 구동부(14)는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모터(13)를 구동시켜, 상술한 반입·반출 롤러(12)의 구동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신분증(1)이 하우징(10)의 내·외부로 손쉽게 반입·반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100)는 임의의 외부장치, 예컨대, 담배 자동판매기(300)에 내장됨으로써, 자신에게 주어진 신분 인증과정을 신속히 수행한다.
이 경우,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동전 투입구, 지폐 투입구 등으로 금전을 투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100)를 통한 신분 인증과정을 신속하게 수행받는다.
먼저, 사용자가 앞서 언급한 반입·반출 개구(11)에 신분증(1), 예컨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을 접촉시키면, 신분증 접촉 센싱부(15)는 이 신분증(1)의 접촉여부를 센싱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22)에 입력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는 신분증 접촉 센싱부(15)를 지속적으로 관측하여, 반입·반출 개구(11)에 이용자의 신분증(1)이 접촉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때, 신분증 접촉 센싱부(15)로부터 별다른 센싱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반입·반출 개구(11)에 이용자의 신분증이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2)는 플로우를 단계 S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신분증 접촉 센싱부(15)로부터 별도의 센싱신호가 입력되어, 반입·반출 개구(11)에 이용자의 신분증(1)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2)는 모터 구동부(14)를 제어하여, 모터(13)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반입·반출 롤러(12)를 예컨대, 순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입·반출 개구(11)에 접촉되어 있는 이용자의 신분증(1)을 하우징(10)의 내부로 반입시킨다(단계 S3).
이와 같이, 이용자의 신분증(1)이 하우징(10)의 내부로 반입된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는 당해 신분증(1)을 밀착 스캔함으로써, 이 신분증(1)에 기재된 기재내역이 동일하게 반영된 일련의 신분증 이미지를 생성한다(단계 S4).
이 상태에서, 제어부(22)는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를 지속적으로 관측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신분증 이미지 생성과정이 모두 완료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이때,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를 통한 일련의 신분증 이미지 생성과정이 모두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2)는 플로우를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를 통한 일련의 신분증 이미지 생성과정이 모두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2)는 모터 구동부(14)를 제어하여, 모터(13)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반입·반출 롤러(12)를 예컨대,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에 반입되어 있던 이용자의 신분증(1)을 하우징(10)의 외부로 반출시킨다(단계 S7). 이 경우,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하우징(10)으로부터 반출되는 자신의 신분증을 회수한 후, 본 발명의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100)가 "이용자가 해당 자동판매기에서 판매하는 물건, 예컨대, 담배를 구입할 수 있는 성년의 신분에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할 때까지 잠시 대기한다. 물론, 이 대기시간은 실질적으로, 2초~3초 사이에 불과하다.
계속해서,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는 생성이 완료된 신분증 이미지를 앞서 언급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7)로 출력하게 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7)는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타입의 신분증 이미지를 일련의 디지털 타입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8).
이러한 신분증 이미지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과정이 모두 마무리되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7)는 디지털 타입으로 변환된 신분증 이미지를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로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는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불필요한 잡영을 제거하는 잡영제거 과정 및 상술한 스캔과정 중에 기울어진 신분증 이미지를 똑 바로 교정하는 기울기 교정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9).
이 경우,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는 신분증 이미지를 구성하는 주요 연결요소(Main connected component)를 검색하여, 그것의 평균 화소 개수를 검출하고, 평균 화소 개수가 이 주요 연결요소의 평균 화소 개수 보다 적은 나머지 연결요소를 제거하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의미없는 잡영이 정교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는 예컨대, "허프변환(Hough transform)"과 같은 일련의 전산적인 화상처리 과정을 진행시켜, 신분증 이미지의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고, 기울어진 부분에 산재하는 화소들을 산출된 각도만큼 X·Y축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신분증 이미지의 기울어진 부분이 정교하게 교정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는 상술한 교정과정이 완료된 신분증 이미지를 그래픽 이미지 및 텍스트 이미지로 분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0).
이 경우,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는 신분증 이미지의 각 축별로 히스토그램(Histogram)의 분포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이 신분증 이미지가 그래픽 이미지, 가로 텍스트 이미지, 세로 텍스트 이미지 등으로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분리과정에 따라, 신분증(1), 예컨대, 주민등록증에 부착된 사진, 지문 등은 그래픽 이미지로 분리되며,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은 텍스트 이미지로 분리된다.
이어서, 상술한 과정을 통해, 신분증 이미지가 그래픽 이미지 및 텍스트 이미지로 분리되면,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는 분리가 완료된 텍스트 이미지의 세그먼트를 정합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1).
이 경우,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는 예컨대, "동적 프로그래밍 정합(Dynamic programming matching)"과 같은 일련의 전산적인 화상처리과정을 진행시켜, 텍스트 이미지를 이루는 개별 문자들 사이의 경계를 정확히 구획한다. 이러한 정합과정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를 이루는 신분증의 각종 숫자, 문자 등은 개별적인 도형으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정합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는 텍스트 이미지를 벡터 처리부(19)로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벡터 처리부(19)는 상술한 텍스트 이미지를 벡터 처리함으로써, 정합과정이 완료된 텍스트 이미지가 나타내는 수학적인 특징값을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2).
이 경우, 벡터 처리부(19)는 예컨대, "원형패턴 벡터를 이용한 인쇄체 한글인식(정지호,김희태,최태영, 제 11 회 신호처리합동 학술대회, 1998, Vol.11, No.1, P113~P116) 등과 같은 문헌에 제시된 이른바, "원형패턴벡터 생성 알고리즘(Circular pattern vector growing algorithm)"을 실행시킴으로써, 정합과정이 완료된 텍스트 이미지를 수학적인 특징값으로 모델링 한다. 물론, 이러한 특징값에는 신분증(1)에 기재된 텍스트 이미지, 예컨대,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가 정확히 반영된다.
이러한 특징값 추출과정이 모두 마무리되면, 벡터 처리부(19)는 이 특징값을 신분 판단부(20)로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신분 판단부(20)는 데이터 메모리부(21)에 미리 저장된 기준 특징값을 업로드한 후, 벡터 처리부(19)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이미지의 특징값을 이 기준 특징값의 범위와 비교한다(단계 S13).
이 경우, 신분 판단부(20)는 예컨대, 미리 저장된 기준 특징값과 새로 입력된 특징값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유사도를 구하고, 이를 토대로 이용자의 신분을 판단한다.
다른 예로, 신분 판단부(20)는 새로 입력된 특징값에 반응하는 신경회로망(Neural network)의 반응정도를 계산하여, 이용자의 신분을 판단한다. 이 경우, 신경회로망은 기준 특징값에 대한 정보를 가중치에 기억하게 하는 것으로, 이 신경회로망의 반응값은 상술한 유사도와 의미상으로 일치하는 개념이다.
이때, 현재 입력된 특징값과 기준 특징값과의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특징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신분 판단부(20)는 현재,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예컨대, 성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22)로 "당해 이용자는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데 부적합하다"라는 의미를 갖는 부적합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4).
이러한 부적합 신호가 출력되는 즉시, 제어부(22)는 이 부적합 신호를 분석하여, 이를 데이터 메모리부(21)에 신속히 저장하고, 이러한 저장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그 결과를 외부장치, 예컨대,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제어블록(200)으로 전달하게 되며, 제어블록(200)은 이러한 부적합 결과를 통보 받는 즉시,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구동회로에 일련의 락을 설정함으로써, 담배의 판매 자체가 원천적으로 봉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아울러, 제어블록(200)은 예컨대, 담배 자동판매기(300)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당신은 성년이 아니므로 담배를 구입할 수 없습니다' 등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미성년자인 이용자가 담배구입을 아예, 포기하도록 한다.
그러나, 현재 입력된 특징값과 기준 특징값과의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특징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신분 판단부(20)는 현재 담배 자동판매기(300)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예컨대, 성년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22)로 "당해 이용자는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데 적합하다"라는 의미를 갖는 적합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5).
이러한 적합신호가 출력되는 즉시, 제어부(22)는 이 적합 신호를 분석하여, 이를 데이터 메모리부(21)에 신속히 저장하고, 이러한 저장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그 결과를 외부장치, 예컨대,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제어블록(200)으로 전달하게 되며, 제어블록(200)은 이러한 적합 결과를 통보 받는 즉시, 담배 자동판매기(300)의 구동회로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금전 입급 과정-담배 선택 과정-담배 공급 과정"과 같은 일련의 담배 판매과정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이 예컨대, 이용자가 제품을 구입하기 이전에, 상술한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 벡터 처리부(19), 신분 판단부(20) 등의 신분증 인증과정에 의해 미리 파악되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적합하지 않은 이용자, 예컨대, 미성년자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담배, 주류 등을 구입하는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자동판매기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을 필요에 따라, 일정 범위로 제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자동판매기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일정한 제약 없이 탄력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신분 인증장치(100)는 종래의 다른 인증장치, 예컨대, 바코드 리드형(Bar-code read type) 인증장치, 아이디 카드 리드형(ID-card read type) 인증장치 등과 달리, 카드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독취하여, 이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방식이 아니라, 단지, 신분증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 이미지를 이용자의 신분 확인에 활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이용자는 자신의 신분카드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예컨대, 자성체 등의 작용에 의해 지워짐으로써, 자신의 신분확인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문제점을 손쉽게 차단시킬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16),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18), 벡터 처리부(19), 신분 판단부(20) 등은 자동판매기를 이용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술한 이용자 신분 인증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적합하지 않은 이용자가물건을 구입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100)는 상술한 자동판매기 분야에만 활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자동판매기 분야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게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100)는 학교, 병원 등에 배치된 무인 증명서 발급기, 무인 도서 대출기, 출석 체크기, 무인 진료카드 발급기 등의 분야에서도 폭 넓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100)는 은행 등에 배치된 수표 입금기, 공공기관 등에 배치된 민원서류 발급기, 각종 직장에 배치된 출퇴근 체크기, 기밀장소 출입 체크기, 숙박업소의 숙박자 신원 체크기, 성인업소의 성인 체크기 등의 분야에서도 폭 넓게 활용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에서는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 벡터 처리부, 신분 판단부 등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분증,예컨대, 주민등록증을 이미지 형태로 추출하고, 이 신분증 이미지를 일련의 전산처리 과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이용자가 외부장치, 예컨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기 이전에 해당 이용자의 신분이 미리 인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신분이 필요에 따라 일정 범위로 제한되기 때문에, 미성년자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담배, 주류 등을 구입할 개연성은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이를 토대로, 자동판매기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를 일정한 제약 없이 탄력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Claims (5)

  1. 신분증의 반입·반출을 위한 반입·반출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반입·반출 개구에 상기 신분증이 접촉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신분증 접촉 센싱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기 신분증이 반입된 경우, 상기 신분증을 밀착 스캔하여, 일련의 신분증 이미지를 생성하는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와;
    상기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잡영을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기울기를 교정하고, 상기 신분증 이미지를 그래픽 이미지와, 텍스트 이미지로 분리하며, 상기 텍스트 이미지의 세그먼트를 정합하여, 상기 텍스트 이미지를 이루는 개별 문자들 사이의 경계를 구획하는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와;
    상기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에 의해 교정된 상기 텍스트 이미지를 벡터 처리 하여, 상기 텍스트 이미지의 특징값을 추출하는 벡터 처리부와;
    상기 벡터 처리부에 의해 추출된 특징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 특징값과 비교하여, 이용자의 신분을 판단하는 신분 판단부와;
    상기 신분증 삽입 센싱부,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 벡터 처리부 및 신분 판단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신분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외부장치의 제어블록으로 전달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구동여부를 결정짓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신분증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반입·반출시키기 위한 반입·반출 롤러가 더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 및 신분증 이미지 교정부 사이에는 상기 신분증 이미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신분증 이미지를 디지털 타입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4. 반입·반출 개구에 신분증이 접촉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반입·반출 개구에 상기 신분증이 접촉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분증을 하우징 내부로 반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을 밀착 스캔하여, 일련의 신분증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생성이 모두 완료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생성이 모두 완료된 경우, 상기 신분증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반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 이미지를 디지털 타입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타입으로 변환된 신분증 이미지의 잡영을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기울기를 교정하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 이미지를 그래픽 이미지 및 텍스트 이미지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텍스트 이미지의 세그먼트를 정합하여, 상기 텍스트 이미지를 이루는 개별 문자들 사이의 경계를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텍스트 이미지를 벡터 처리하여, 상기 텍스트 이미지의 특징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특징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 특징값과 비교하여, 상기 특징값이 기준 특징값의 범위에 포함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특징값이 기준 특징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일련의 적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의 신분 인증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값이 상기 기준 특징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일련의 부적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의 신분 인증방법.
KR10-2000-0054955A 2000-09-19 2000-09-19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 KR10037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955A KR100378342B1 (ko) 2000-09-19 2000-09-19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955A KR100378342B1 (ko) 2000-09-19 2000-09-19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307U Division KR200214764Y1 (ko) 2000-09-19 2000-09-19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253A true KR20020022253A (ko) 2002-03-27
KR100378342B1 KR100378342B1 (ko) 2003-03-31

Family

ID=1968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955A KR100378342B1 (ko) 2000-09-19 2000-09-19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3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048A (ko) * 2002-09-27 2004-04-01 도은정보통신 주식회사 여권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7689B1 (ko) * 2005-04-21 2007-04-16 퍼스텍주식회사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 및 방법
WO2016053366A1 (en) * 2014-10-04 2016-04-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Modified document gene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436A1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호자 제어가 가능한 물품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563A (ja) * 1994-12-28 1996-07-16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年令制限がある商品の自動販売機
JPH09167279A (ja) * 1995-12-19 1997-06-24 Toshiba Corp 制限付自動販売機及び制限付自動販売機における物品の販売方法
KR200171682Y1 (ko) * 1999-07-19 2000-03-15 이용희 자동판매기에서 성년 물품 판매 제한장치
KR200193467Y1 (ko) * 2000-02-01 2000-08-16 주식회사엠케이씨 주민등록증에 의한 연령식별장치
KR100378239B1 (ko) * 2000-03-10 2003-03-29 안우영 연령제한 자동판매기
KR20000050216A (ko) * 2000-04-15 2000-08-05 이대섭 아이디 카드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048A (ko) * 2002-09-27 2004-04-01 도은정보통신 주식회사 여권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7689B1 (ko) * 2005-04-21 2007-04-16 퍼스텍주식회사 개인이격도에 의한 화상인증시스템 및 방법
WO2016053366A1 (en) * 2014-10-04 2016-04-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Modified document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8342B1 (ko) 200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936B1 (en) Terminal
KR100456619B1 (ko) 에스.브이.엠(svm)을 이용한 얼굴 등록/인증 시스템 및방법
EP3646247B1 (en)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rfid-enabled identity document and gesture challenge-response protocol
US20020126882A1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biometric identification apparatus
US20060242691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using a portable data support
JP4299894B2 (ja) 携帯電子装置及び生体情報を用いた個人認証方法
JPH0424889A (ja) 個人認証機能付きicカード
KR20180017317A (ko) 홍채 또는/및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30046555A1 (en) Identity verification using biometrics
JP2008234402A (ja) 自動販売機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100378342B1 (ko)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분 인증방법
KR20000030122A (ko) 멀티바이오메트릭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인증방법 및사용자인증시스템
KR200214764Y1 (ko)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KR101485798B1 (ko) 개인 식별 카드, 개인 식별 카드의 발급 방법 및 시스템, 개인 식별 카드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0209145Y1 (ko) 이미지 추출형 신분 인증장치
JP2001167280A (ja) 指紋識別装置、方法および指紋識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0255118A (ja) カード真偽判定装置
KR20040028210A (ko) 얼굴인식을 통한 대상자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38553A (ko) 지문 영상의 전역적 정보 및 지역적 특성 정보의 조합을이용한 지문 인증방법
KR20170017190A (ko) 생체 인식 정보 검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모바일 인증 및 결제 방법
JP2007066330A (ja) 認証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623054B2 (ja) 携帯電子装置及び生体情報を用いた個人認証方法
KR102138659B1 (ko) 지문인식 스마트 신용카드 및 결제 시스템
KR20050021669A (ko) 생체정보 인식 신분조회 시스템 및 신분증 조회단말기
KR20090110013A (ko)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116

Effective date: 20061027

EXTG Extinguishme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