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013A -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013A
KR20090110013A KR1020080035572A KR20080035572A KR20090110013A KR 20090110013 A KR20090110013 A KR 20090110013A KR 1020080035572 A KR1020080035572 A KR 1020080035572A KR 20080035572 A KR20080035572 A KR 20080035572A KR 20090110013 A KR20090110013 A KR 2009011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ingerprint
basic
voice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248B1 (ko
Inventor
권용호
김경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80035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24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여 생성한 지문데이터 및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지문인증을 수행하는 지문인식모듈을 포함하며,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단어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를 랜덤으로 선택한다. 또한, 사용자 인식 시스템은 선택된 기본 단어에 해당하는 등록 음성 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여, 본인 인증 여부를 재확인하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식 시스템은 지문인식으로 인증된 인증결과를 음성인식으로 재검증함으로써, 위조지문을 방지할 수 있다.
지문, 음성, 사용자, 인식, 랜덤선택

Description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ser recogni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위조지문을 방지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인식기술(Biometrics)은 사용자가 지니고 있는 개인별 신체 특정 부위의 고유한 특징 또는 행동상의 특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사전에 입력된 특징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식하는 패턴인식기술이다.
생체인식기술 중에서 지문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은 출입제어,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개인용 컴퓨터의 보안 및 사무적 결재체계 등과 같이 인증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사용자 인식 시스템은 인증의 편리성 및 경제성에 불구하고, 위조지문에 의한 오인증이 발생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오인증의 피해를 개선 및 방지하기 위한 보안 알고리즘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위조지문에 대한 정확한 식별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인식 시스템은 실제 지문을 다른 재료로 위조한 위조지문에 대해, 실제 인간의 생체 지문인지 위조된 위조지문 인지 정확히 판별할 수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문인식으로 인증된 인증결과를 음성인식으로 재검증함으로써, 위조지문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 방법은 사용자에 해당하는 기본지문 정보 및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기본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그룹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지문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기본 단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등록 음성 정보와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본인 인증 여부를 재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단어그룹 및 이에 대응하는 등록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 상기 사용자의 단어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를 랜덤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상기 등록 음성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본인인증여부를 재확인하는 확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여 생성한 지문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지문인증을 수행하는 지문인식모듈 및 상기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단어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에 해당하는 등록 음성 정보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여, 본인 인증 여부를 재확인하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은 인증성공 시, 재확인 단계를 거쳐 인증률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은 지문인식에 성공한 경우, 정의된 단어에 한하여 음성인식을 재수행함으로써 인증시간을 단축시키며, 음성인식을 수행할 때마다 단어가 달라지므로 보안성이 높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인식 시스템(10)은 지문인식장치(100), 연산장치(200) 및 음성인식장치(300)를 포함하며, 사용자 인식 시스템(10)의 사용자는 각각 ID(identity) 를 포함한다.
먼저, 지문인식장치(100)는 지문 저장부(110), 지문 감지부(120) 및 판단부(130)를 포함한다.
지문 저장부(110)는 사용자의 ID 별로 해당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지문 감지부(120)는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여 지문데이터를 생성한다.
판단부(130)는 지문 감지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지문데이터와 지문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130)는 판단결과를 연산장치(200)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지문데이터와 기본지문 정보가 일치하면, 연산장치(200)는 지문인증신호를 음성인식장치(300)로 전송하여,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재검증을 하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사용자의 지문데이터와 기본지문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연산장치(200)는 사용자의 지문을 재감지하여 지문데이터를 재생성하도록 지문인식장치(100)를 제어한다.
지문인증신호를 수신한 음성인식장치(300)는 기본지문 정보가 포함하는 단어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단어에 대응하는 등록 음성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동일여부를 확인하여, 음성인식을 수행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시스템(10)의 음성인식장치(300)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시스템의 음성인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인식장치(300)는 예약어 테이블(310), 랜덤 선택부(320), 출력부(330), 음성 입력부(340) 및 음성 확인부(350)를 포함한다.
예약어 테이블(310)은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 별로 해당 사용자의 단어그룹에 포함되는 등록 음성 정보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한다. 예약어 테이블(310)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8027351279-PAT000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어 테이블(310)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단어그룹은 음절, 단어, 숫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랜덤 선택부(320)는 지문인증신호를 연산장치(200)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단어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를 예약어 테이블(310)에서 랜덤하게 선택한다.
출력부(330)는 랜덤 선택부(320)의 선택 결과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330)는 선택된 기본 단어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출력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한다. 즉, 출력부(330)는 화면표시부(도시하지 않음) 또는 음성출력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음성 입력부(340)는 사용자로부터 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된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 음성 입력부(340)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음성 확인부(350)는 랜덤 선택부(320)에서 선택한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등록 음성 정보와 음성 입력부(34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음성 정보가 일치하면, 음성 확인부(350)는 본인 인증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사용자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토대로 사용자 인식 시스템을 제어하는 일련의 처리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문인식장치(도 1의 100)는 사용자의 ID 별로 해당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를 연계하여 등록한다(S101). 또한, 음성인식장치(도 1의 300)는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단어그룹이 포함하는 복수개의 기본단어 및 기본단어의 등록 음성 정보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한다(S102).
지문인식장치(도 1의 100)는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여 지문데이터를 생성한다(S103). 또한, 생성된 사용자의 지문데이터와 해당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104).
사용자의 지문데이터와 기본지문 정보가 일치하면, 음성인식장치(도 1의 300)는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단어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예약어 테이블(도 2의 310)에서 랜덤하게 선택하여, 선택 결과를 표시한다(S105). 그러면, 음성인식장치(도 1의 30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S106).
음성인식장치(도 1의 300)는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 및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S107). 이때, 음성 정보가 일치하면 음성인식장치(도 1의 300)는 본인 인증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고, 본인 인증절차를 종료한다. 반면에 음성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음성인식장치(도 1의 300)는 연산장치(도 1의 200)는 지문인식장치(도 1의 10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시스템은 정의된 단어에 한하여 음성인식을 수행하여 인증시간을 단축시키며, 인증을 시도하는 단어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인증률을 상승시킨다. 또한, 사용자 인식 시스템은 인증 시 마다 단어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시스템의 음성인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3)

  1. 사용자 인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해당하는 기본지문 정보 및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기본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그룹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지문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기본 단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등록 음성 정보와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본인 인증 여부를 재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 음성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본인 인증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여 지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문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에 해당하는 기본지문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지문 데이터와 상기 기본지문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지문인증에 성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외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방법.
  5. 사용자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단어그룹 및 이에 대응하는 등록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
    상기 사용자의 단어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를 랜덤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상기 등록 음성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본인인증여부를 재확인하는 확인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등록 음성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동일하면, 본인 인증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랜덤 선택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8. 사용자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여 생성한 지문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지문인증을 수행하는 지문인식모듈; 및
    상기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단어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에 해당하는 등록 음성 정보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여, 본인 인증 여부를 재확인하는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기본지문 정보에 대응하는 단어그룹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등록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
    상기 단어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단어를 랜덤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기본 단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기본 단어에 대응하는 상기 등록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등록 음성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동일하면, 본인 인증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모듈은
    복수명의 사용자 별로 상기 기본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여 상기 지문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지부; 및
    상기 지문데이터와 해당 사용자의 상기 기본지문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데이터와 상기 기본지문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본인 인증 여부를 재확인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데이터와 상기 기본지문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재감지하여 상기 지문데이터를 재생성하는 사용자 인식 시스템.
KR1020080035572A 2008-04-17 2008-04-17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0944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572A KR100944248B1 (ko) 2008-04-17 2008-04-17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572A KR100944248B1 (ko) 2008-04-17 2008-04-17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013A true KR20090110013A (ko) 2009-10-21
KR100944248B1 KR100944248B1 (ko) 2010-02-24

Family

ID=4153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572A KR100944248B1 (ko) 2008-04-17 2008-04-17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2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1251A (zh) * 2017-08-07 2017-12-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指纹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509B1 (ko) 2018-01-03 202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9443A (ja) * 1993-04-21 1994-11-04 Matsumura Electron:Kk 個人認識に指紋と音声を融合させた方式
JP2003085149A (ja) 2001-06-07 2003-03-20 Systemneeds Inc 指紋認証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JP4652833B2 (ja) 2005-01-31 2011-03-16 富士通株式会社 個人認証装置および個人認証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1251A (zh) * 2017-08-07 2017-12-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指纹控制方法
CN107491251B (zh) * 2017-08-07 2021-06-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指纹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248B1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0898B2 (en)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technology through a consumer device
US106503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ng personalized account identifiers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self-learning algorithms
US8396711B2 (en) Voic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9390445B2 (en)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technology through a consumer device
JP4578244B2 (ja) 携帯型データ記憶媒体を使って安全な電子取引を実行する方法
US88319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fraudulent electronic transactions using voiceprints of uncommon words
US8924285B2 (en) Building whitelists comprising voiceprints not associated with fraud and screening calls using a combination of a whitelist and blacklist
JP5285432B2 (ja) 署名検証のためのローリング登録の方法及び装置
US20150317638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ransaction Initiation
WO2016039883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electronic notary with signature and biometric identifier
US20060213970A1 (en) Smart authenticating card
JP2007025934A (ja) 生体認証システム
CN112788269B (zh) 视频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2818300A (zh) 电子合同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080037842A1 (en) Smart Card That Stores Invisible Signatures
KR100944248B1 (ko)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JP2007065858A (ja) 認証方法、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Akinola Kayode et al. Multi-factor authentication model for integrating iris recognition into an automated teller machine
JP2006163875A (ja) 生体情報認証装置およびその生体情報認証装置を用いた情報処理端末
JP2019061462A (ja) 生体認証システムおよび生体認証方法
JP2003058890A (ja) 署名照合システム、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21141529A (ja) 本人確認支援装置、本人確認支援方法、及び本人確認支援システム
Kumar et al. Multifactor Authentication to Enhance Security in Banking System
JP2007004445A (ja) 個人認証システム
JP2005063246A (ja) 指紋認証システム及び指紋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