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070A -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070A
KR20040038070A KR1020020066940A KR20020066940A KR20040038070A KR 20040038070 A KR20040038070 A KR 20040038070A KR 1020020066940 A KR1020020066940 A KR 1020020066940A KR 20020066940 A KR20020066940 A KR 20020066940A KR 20040038070 A KR20040038070 A KR 20040038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mount
engine
stage
cooling water
wat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369B1 (ko
Inventor
권오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3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2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 F02D31/003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for idle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1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elements of the transmission
    • F02D41/022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elements of the transmission in relation with the gear ratio or shift lever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2Neutral gea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고온 시동 직후 엔진 회전수가 높은 상태 또는 변속단 중립(N)단 상태에서 무부하 주행 직후 엔진 회전수가 떨어지는 도중에 변속레버가 주행(D 또는 R)단으로 절환될 시, 엔진 회전수의 언더 숫(Undershoot)됨을 방지할 목적으로;
냉각수온 별, 스로틀 밸브 개도 별 중립단 아이들 공기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변속레버 전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레버가 주행단으로 절환됨이 판단되면 엔진 공기량 제어 조건 만족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행단 공기량 제어 후, 아이들 공기량을 유지하며 변속레버 중립단으로 전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공기량을 주행단과 중립단 차이만큼 소정의 게인으로 감량 후, 중립단으로 아이들 공기량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어서, 운전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A METHODE FOR AIR FUEL RATIO CONTROLLING OF AUTOMATIC TRANSMISSION I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 시동 후 엔진 회전수가 높은 상태 또는 변속레버 중립단(N) 상태에서 무부하 주행 직후, 엔진 회전수가 떨어지는 도중에 변속레버를 주행단(D 또는 R)으로 변속하는 경우 발생되는 엔진 떨림 현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 차량은 차량의 주행속도와 부하에 따라 변속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변속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변속 제어 장치는 기어 트레인에 설치된 다수개의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작동 또는 비작동 상태로 제어하여 유성기어장치의 출력단 회전수를 조절하여 변속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 종래에 변속레버를 중립(P 또는 N)단에서 주행(D 또는 R)단으로 변속하는 순간 자동 변속기 부하가 엔진에 작용하기 때문에 엔진에서 변속기 부하를 보정하기 위해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행단 공기량에 추가 공기량을 보정해 준 후, 주행단 변속이 완료되면,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테일링(Tailing)하여 추가로 공급된 보정 공기량을 제거해 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에서 엔진의 고온 시동시, 시동 직후, 엔진 회전수가 높은 상태 또는 변속단의 중립(N)단 상태에서 무부하 주행 직후, 엔진 회전수가 떨어지는 도중에 변속레버를 주행(D 또는 R)단으로 변속하는 경우,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 회전수 드롭(Drop)량 과다로 목표 엔진 회전수 밑으로 떨어진 후, 회복하므로 아이들 안정성이 불리하고 심할 경우, 변속쇼크 발생에 의한 운전자가 차량 엔진 꺼짐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고온 시동 직후 엔진 회전수가 높은 상태 또는 변속단 중립(N)단 상태에서 무부하 주행 직후 엔진 회전수가 떨어지는 도중에 변속레버가 주행(D 또는 R)단으로 절환될 시, 엔진 회전수의 언더 숫(Undershoot)됨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자동 변속기 차량의 변속레버 변경에 따른 공기량 제어 듀티 패턴도 이고,
도 1b는 종래 자동 변속기 차량의 공기량 제어 패턴 변화에 따른 엔진 회전수 변화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차량의 변속레버 변경에 따른 공기량 제어 듀티 패턴도 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패턴 변화에 따른 엔진 회전수 변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 110 : 스로틀 밸브 개도 검출부
120 : 엔진 회전수 검출부 130 : 냉각수온 검출부
140 : 차속 검출부 150 : 변속레버 위치 검출부
200 : 엔진 제어 장치 300 : 변속 제어 장치
400 : 구동 장치 410 : 엔진 구동부
420 : 변속 구동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각수온 별, 스로틀 밸브 개도 별 중립단 아이들 공기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변속레버 주행단으로 전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공기량 제어 조건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행단 공기량 제어 후, 아이들 공기량을 유지하며 변속레버 중립단으로 전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공기량을 주행단과 중립단 차이만큼 일정 게인으로 감량 후, 중립단으로 아이들 공기량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일예로 제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차량의 변속레버 변경에 따른 공기량 제어 듀티 패턴도 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패턴 변화에 따른 엔진 회전수 변화 그래프이다.
자동 변속기 차량의엔진 공기량 제어 장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 회전수, 냉각수온, 차속 및 변속레버 위치 등의 변화를 검출하는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와;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 회전수, 냉각수온 및 차속 등을 입력받아 소정의 검출신호를 캔(CAN)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엔진 공기량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장치(200)와;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 및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인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 회전수, 냉각수온, 차속 및 변속레버 위치 등을 입력받아 변속을 목표 변속단으로 변속시키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 장치(300)와 ;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와 변속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엔진 제어신호 및 변속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엔진의 동작시키고, 변속단을 목표 변속단으로 변속시키는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변화를 검출하는 스로틀 밸브 개도 검출부(110)와;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120)와;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냉각수온 변화를 검출하는 냉각수온 검출부(130)와;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속 변화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140)와;
운전자의 변속레버 조작에 따라 가변되는 변속레버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변속레버 위치 검출부(1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구동장치(400)는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엔진 제어 신호에 동기되어 엔진의 동작상태를 조절하는 엔진 구동부(410)와;
변속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변속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변속단을 목표 변속단으로 변속시키는 변속 구동부(4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 3 및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 엔진이 고온 시동 직후 또는 차량 주행중 변속단 중립(N)단에서 무부하 주행중 상태에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 회전수, 냉각수온, 차속 및 변속레버 위치 등을 검출한다.
이에,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 회전수, 냉각수온 및 차속 등을 입력받기 위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변속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는 변속레버 위치와 엔진 제어 장치(200)로 인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 회전수 및 차속 등을 입력받기 위한 제어신호를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와 엔진 제어 장치(200)로 출력한다.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와 변속 제어 장치(3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검출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 회전수, 냉각수온, 차속 및 변속레버 위치 등을 출력한다.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인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 회전수, 냉각수온 및 차속 등을 입력받아 차량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엔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변속 제어 장치(300)로 현재의 변속레버 위치를 입력받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 회전수, 차속 등의 신호를 상기 변속 제어 장치(300)로 출력한다.
변속 제어 장치(3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인가되는 변속레버 위치 신호와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인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 회전수 및 차속 등을 입력받아, 차량 동작상태 변화에 따른 변속단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현재의 변속레버 위치를 엔진 제어 장치(200)로 출력한다.
이에, 엔진 제어 장치(200)는 변속 제어 장치(300)로부터 변속레버 위치를 입력받아, 변속단 중립상태의 엔진 아이들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온 대비 스로틀 밸브 개도에 따른 데쉬 팟을 설정하여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00).
이어서, 엔진 제어 장치(200)는 변속 제어 장치(300)에서 인가되는 변속레버 위치 변화를 입력받아 변속레버가 중립(N)단에서 주행(D,R)단으로 변경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05).
상기에서, 운전자에 의해 변속레버 위치가 중립(N)단에서 주행(D,R)단으로 변경됨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엔진 공기량 보정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한다(S110).
상기에서 엔진 공기량 보정 조건은 |목표 엔진 회전수 - 실 엔진 회전수| ≥제1 설정 값(예 : 300rpm)을 만족하고, 냉각수온 ≥제2 설정 값(예 : 40℃) 이고, 공기량 피드 백 모드가 아닌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하는 조건이다.
상기에서 엔진 공기량 보정 조건을 만족함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각수온별 설정된 추가 1 공기량 보정량에 소정의 값(예 : 30 Step)을 추가하여 추가 2 공기량으로 상승시킨 다음, 냉각수온 별 홀딩 시간으로 유지한 후, 냉각수온 별 테일링 게인으로 소정의 기울기(K NDUP)로 0이 될 때까지 저감시키기 위한 엔진 공기량 보정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20).
하지만, 상기에서 엔진 공기량 보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냉각수온 별 설정된 보정량의 추가 1 공기량으로 상승시킨 다음, 냉각수온 별 홀딩 시간으로 유지시킨 후, 냉각수온 별 테일링 게인으로 소정의 기울기(K NDUP)로 0이 될 때까지 저감시키기 위한 엔진 공기량 보정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30).
이어서, 엔진 제어 장치(200)는 주행(D 또는 R)단 공기량 제어로 아이들을 유지하며, 변속레버가 주행(D 또는 R)단에서 중립(N 또는 P)으로 변경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40,S150).
상기에서 변속레버가 주행(D 또는 R)단에서 중립(N 또는 P)으로 변경됨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주행(D 또는 R)단과 중립(N)단의 기본 공기량 차이만큼 일정 게인(K DW)으로 감량하여 중립(N 또는 P)단의 아이들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60).
하지만, 변속레버가 주행단에서 변화가 없음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주행단 공기량 제어를 계속 유지시킨다.
이어서, 엔진 제어 장치(200)는 엔진 시동 오프 여부를 판단하여, 엔진 시동이 오프됨이 판단되면,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초기단계로 리턴한다(S170).
이로서, 엔진 고온 시동 직후, 엔진 회전수가 높은 상태 또는 중립(N)단 상태에서 무부하 주행 직후 엔진 회전수가 떨어지는 도중에 변속레버를 주행(D 또는 R)단으로 절환될 시,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 회전수는 안정상태를유지하며 서서히 저감됨으로써, 엔진 회전수의 언더 숫(Undershoot)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고온 시동 직후 엔진 회전수가 높은 상태 또는 변속단 중립(N)단 상태에서 무부하 주행 직후 엔진 회전수가 떨어지는 도중에 변속레버가 주행(D 또는 R)단으로 절환될 시, 엔진 회전수의 언더 숫(Undershoot)됨을 방지함으로써, 운전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냉각수온 별, 스로틀 밸브 개도 별 중립단 아이들 공기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변속레버 전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레버가 주행단으로 절환됨이 판단되면 엔진 공기량 제어 조건 만족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행단 공기량 제어 후, 아이들 공기량을 유지하며 변속레버 중립단으로 전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공기량을 주행단과 중립단 차이만큼 소정의 게인으로 감량 후, 중립단으로 아이들 공기량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엔진 공기량 제어 조건은 |목표 엔진 회전수 - 실 엔진 회전수| ≥제1 설정 값을 만족하고, 냉각수온 ≥제2 설정 값이고, 공기량 피드 백 모드가 아닌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하는 조건인 것을 포함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엔진 공기량 제어 조건을 만족하면 냉각수온별 설정된 추가 1 공기량 보정량에 소정의 값을 추가하여 추가 2 공기량으로 상승시킨 다음, 냉각수온 별 홀딩 시간으로 유지한 후, 냉각수온 별 테일링 게인으로 소정의 기울기로 0이 될 때까지 저감시키며, 주행단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엔진 공기량 제어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냉각수온 별 설정된 보정량의 추가 1 공기량으로 상승시킨 다음, 냉각수온 별 홀딩 시간으로 유지시킨 후, 냉각수온 별 테일링 게인으로 소정의 기울기로 0이 될 때까지 저감시키며 주행단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 변속기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KR10-2002-0066940A 2002-10-31 2002-10-31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KR10050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940A KR100501369B1 (ko) 2002-10-31 2002-10-31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940A KR100501369B1 (ko) 2002-10-31 2002-10-31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070A true KR20040038070A (ko) 2004-05-08
KR100501369B1 KR100501369B1 (ko) 2005-07-18

Family

ID=3733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940A KR100501369B1 (ko) 2002-10-31 2002-10-31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3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79B1 (ko) * 2003-09-30 2006-06-19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들 회전수 제어 장치
KR20080054491A (ko) * 2006-12-13 200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방법
KR101006198B1 (ko) * 2008-04-16 2011-01-12 ㈜비엔컴 블루투스를 이용한 핸즈프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4634A (ja) * 1989-07-31 1991-03-20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JPH0821285A (ja) * 1994-07-08 1996-01-23 Daihatsu Motor Co Ltd アイドルアップ制御方法
KR19980048342A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자동변속차량의 관성주행시 엔진 아이들링 제어장치
KR100337332B1 (ko) * 1999-12-30 2002-05-22 이계안 차량용 엔진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
KR100410495B1 (ko) * 2000-12-28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 부하 보정 학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79B1 (ko) * 2003-09-30 2006-06-19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들 회전수 제어 장치
KR20080054491A (ko) * 2006-12-13 200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방법
KR101006198B1 (ko) * 2008-04-16 2011-01-12 ㈜비엔컴 블루투스를 이용한 핸즈프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1369B1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369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공기량 제어 방법
KR10031688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JP2007071300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6478717B1 (en) Damper clutch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3374574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リップ制御装置
KR100448769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출력 저하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KR10039165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KR100423294B1 (ko) 차량용 엔진의 아이들 제어 방법
KR100452211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냉시동 후 변속 쇼크 제어 방법
JP2002181178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キックダウン変速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354016B1 (ko) 차량용 엔진 제어 방법
JP2008038653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0411122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4512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엔진 아이들 제어 방법
KR10038781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저속단 변속 제어 방법
KR20010057657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총합 제어 방법
KR10042819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매뉴얼 변속 지연 제어방법
KR20030031756A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KR100412896B1 (ko) 차량용 엔진의 아이들 제어 방법
KR100507163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엔진 아이들 회전수 상승 제어 장치및 그 방법
KR100412885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제동력 향상 위한 엔진 제어 방법
KR100345113B1 (ko) 차량용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035013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2 →3 업 시프트시의 변속 제어방법
KR100337332B1 (ko) 차량용 엔진의 공기량 학습 제어 방법
KR20080054491A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