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340A -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340A
KR20040037340A KR1020020065800A KR20020065800A KR20040037340A KR 20040037340 A KR20040037340 A KR 20040037340A KR 1020020065800 A KR1020020065800 A KR 1020020065800A KR 20020065800 A KR20020065800 A KR 20020065800A KR 20040037340 A KR20040037340 A KR 20040037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forwarding
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341B1 (ko
Inventor
김영곤
김상현
이연우
조광식
황명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3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선 전화로 수신된 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환하되, 공중 유선망을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 상에서 직접 호를 전환할 수 있는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호 전환 시스템은 공중 유선망 가입자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로부터 유선 전화기 전화번호 및 착신 전환할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착신 전환 전화번호 등록 수단;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를 시도한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모든 호 시도에 대한 착신자 전화번호를 전송받고, 착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전화번호 검색 수단 및 전화번호 검색 수단의 착신 전환 전화번호 검색 결과에 따라 최종 착신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착신번호 통보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호 전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에 의하면 공중 유선망을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직접 호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ll Switch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선 전화로 수신된 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환하되, 공중 유선망을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 상에서 직접 호를 전환할 수 있는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 전환 서비스란, 공중 유선망 가입자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의 유선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되는 호를 공중 유선망 가입자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미리 지정한 다른 단말기로 연결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 중에서 특히, 공중 유선망 가입자의 유선 단말기로 착신된 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환하는 경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의 공중 유선망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발신자가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인 경우를 나타낸다.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공중 유선망(40) 가입자의 유선 단말기 번호를 이용하여 호를 시도하면, 발신자의 호 시도는 기지국(202)을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전달된다. 이동통신 시스템(20)은 발신자의 호 시도 요구 신호로부터 발신자 정보 및 착신자 정보를 추출하는데, 착신자의 단말기 번호를 번역한 결과 유선 전화기 번호인 경우, 즉 착신 단말기 번호가 공중 유선망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역번호로 시작되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해당 호 시도 요구신호를 공중 유선망(40)으로 전송한다.
호 시도 요구 신호를 수신한 공중 유선망(40)은 착신자 번호로부터 해당 착신자가 호 전환 서비스 이용자인지 확인한 후, 호 전환 서비스 이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유선 단말기(50)로 착신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반면, 착신자가 호 전환 서비스 이용자인 경우에는 착신자가 기 설정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번호를 추출하고, 해당 착신자에게 호가 시도되었음을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착신 요구 신호를 전송하며,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이에 응답함에 따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0)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호 전환 서비스의 경우에는 통화로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 - 이동통신 시스템(40) - 공중 유선망(40) - 이동통신 시스템(20) -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같은 순서로 형성되게 된다. 즉, 결국 통화로가 형성되는 대상은 이동통신 단말기임에도 불구하고, 최초의 착신 단말기가 유선 단말기이기 때문에 공중 유선망(40)을 경유해야만 통화로가 형성되게 된다.이러한 호 전환 서비스에서는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중 유선망(40)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해 둔 상태이기 때문에, 유선 단말기로의 착신 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발생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료를 발신자와 별도로 부담해야 하고, 종국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통화로가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공중 유선망(40)을 경유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공중 유선망 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한 경우 공중 유선망을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 내에서 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공중 유선망 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한 경우 공중 유선망을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 내에서 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 전환 서비스 이용자에게 가중되는 서비스 이용료를 절감시키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호 전환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호 전환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종래의 공중 유선망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100 : 이동통신 단말기20 : 이동통신 시스템
202 : 기지국204 : 기지국 제어기(BSC)
206 : 교환기(MSC)208 : 홈 위치 등록기(HLR)
210 : 관문 교환국(CGS)30 : 호 전환 시스템
40 : 공중 유선망(PSTN)50 : 유선 전화기
300 : 제어부302 : 착신 전환 전화번호 등록 수단
304 : 전화번호 검색 수단306 : 착신번호 통보 수단
308 : 과금 수단310 : 데이터베이스
312 : 전화번호 매핑 데이터베이스314 : 과금 데이터베이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되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수신된 호 시도 요구 신호로부터 추출된 착신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의 검색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호 전환 시스템으로서, 공중 유선망 가입자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로부터 유선 전화기 전화번호 및 착신 전환할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착신 전환 전화번호 등록 수단; 상기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를 시도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모든 호 시도에 대한 착신자 전화번호를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전화번호 검색 수단; 및 상기 전화번호 검색 수단의 착신 전환 전화번호 검색 결과에 따라 최종 착신 전화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착신번호 통보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호 시도 요구 신호로부터 착신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호 전환 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모든 착신 전화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의 검색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호 전환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호 시도 요구 신호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호 시도 요구 신호로부터 착신자 번호를 1차 번역하여 호 전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전환 시스템이 상기 1차 번역된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호 전환 시스템이 착신 전환 전화번호 존재 여부에 따른 최종 전화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호 전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최종 전화번호를 2차 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전화번호의 2차 번역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의 종류를 확인하고, 호 접속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원시 전화번호란 발신자가 호 시도시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의미하고, 착신전환 전화번호는 착신자가 자신의 유선 전화기로 착신된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하기 위하여 기 설정해둔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호 전환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로서,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호를 시도하고, 착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중 유선망(40) 가입자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호 전환 시스템(30)은 이동통신 시스템(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 100)와 접속되며 원시 전화번호와 착신전환 전화 번호 간의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호 전환 시스템(30)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호가 시도된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 모든 호 시도 요구 신호에 대한 착신 전화번호를 전송받고, 데이터베이스에 착신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른 최종 착신번호를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 착신자가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최종 착신번호는 발신자가 입력한 원시 전화번호가 그대로 재전송되고, 착신자가 호 전환 서비스 이용자인 경우 최종 착신번호는 착신자가 기 설정해 둔 이동통신 단말기(100) 번호가 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20)은 기지국(202), 기지국 제어기(BSC, 204), 교환기(MSC, 206), 홈 위치 등록기(HLR, 208) 및 관문 교환국(CGS, 210)을 포함 하는데, 기지국 제어기(204)는 기지국(202)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 100)가 이동통신 시스템(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기지국(202)을 관리한다. 또한, 교환기(206)는 기지국 제어기(204)와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 100)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 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타 망과의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 홈 위치 등록기(208)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00) 가입자의 정보, 위치 정보,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교환기(206)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도시하지 않음)와 상호 작용하여 호 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서비스를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관문 교환국(210)은 공중 유선망(40)과 망 연동 및 호 교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중 유선망(40) 가입자의 유선 전화번호가 02-123-4567이고, 이 공중 유선망(40) 가입자가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02-123-4567을 입력하여 호를 시도하면 이동통신 시스템(20)은 해당 착신 전화번호(02-123-4567)를 일단 호 전환 시스템(30)으로 전송한다. 호 전환 시스템(30)은 착신 전화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데, 착신자인 공중 유선망(40) 가입자가 호 전환 서비스 이용자가 아니므로, 이 경우 호 전환 시스템(30)은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없게 되고, 최종 착신 전화번호로서 최초 착신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전송하여 이후의 발신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공중 유선망(40) 가입자의 유선 전화번호가 02-123-7890이고, 이 공중 유선망(40) 가입자가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 전환 전화번호로서 011-123-7890을 기 설정해둔 경우,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에02-123-7890을 입력하여 호를 시도하면 이동통신 시스템(20)은 해당 착신 전화번호(02-123-7890)를 일단 호 전환 시스템(30)으로 전송한다. 호 전환 시스템(30)은 착신 전화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데, 착신자인 공중 유선망(40) 가입자가 호 전환 서비스 이용자이므로, 이 경우 호 전환 시스템(30)은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011-122-7890)를 검색하게 되고, 최종 착신 전화번호로서 착신전환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전송하여 이후의 발신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요구되는 모든 호 시도에 대하여 호 전환 시스템(30)에서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 후 발신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착신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중 유선망 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한 경우 공중 유선망을 불필요하게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 내에서 직접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호 전환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호 전환 시스템(30)은 제어부(300), 착신전환 전화번호 등록 수단(302), 전화번호 검색 수단(304), 착신 번호 통보 수단(306), 과금 수단(308) 및 데이터베이스(31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전화번호 매핑 DB(312) 및 과금 DB(314)를 포함하는데, 이들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테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다.
착신 전환 전화번호 등록 수단(302)은 호 전환 서비스 이용 희망자 특히, 공중 유선망(40) 가입자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가입자로부터 원시 전화번호 및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전화번호 매핑 DB(312)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호 전환 서비스 등록은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자동응답 서비스, 고객 관리 시스템 (Customer Oriented Information System, COIS) 등 모든 가능한 부가 서비스 등록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전화번호 검색 수단(304)은 이동통신 시스템(20)에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호 시도 요구 신호가 전송된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 착신자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전송된 착신자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매핑 DB(312)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착신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매핑 DB(312)에 존재하는 경우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추출한다.착신번호 통보 수단(306)은 전화번호 검색 수단(304)에서 전화번호 매핑 DB(312)를 확인하고 난 후,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최종 착신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 착신 전화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매핑 DB(312)에 존재하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전송되는 최종 전화번호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되는 한편, 착신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매핑 DB(312)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는 원시 전화번호가 재전송된다.
과금 수단(308)은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부과될 서비스 이용료를 산출하여 과금 DB(314)에 저장하고, 이동통신 시스템(20)의 요구가 있을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과금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를 위하여 공중 유선망 가입자는 본 발명의 호 전환 시스템(30)의 착신 전환 전화번호 등록 수단(302)에 접속하여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할 것을 등록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로부터 호 시도 요구 신호가 전송되면, 이동통신 시스템(20)의 MSC(206)는 호 시도 요구로부터 착신자 번호를 1차 번역하여(S101), 호 전환 시스템(30)으로 전송한다(S102). 호 전환 시스템(30)의 전화번호 검색 수단(304)은 해당 착신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매핑 DB(312)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103), 착신번호 통보 수단(306)은 확인 결과에 따른 최종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MSC(206)로 전송한다(S104).
예를 들어, 착신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매핑 DB(312)에 존재할 경우 최종 전화번호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되고, 착신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매핑 DB(312)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최종 전화번호는 원시 전화번호가 된다.
이동통신 시스템(20)의 MSC(206)는 호 전환 시스템(30)의 착신번호 통보 수단(306)으로부터 수신한 착신 전화번호를 2차 번역하여(S105), 착신 단말기의 종류를 확인한다. 단계(S106)의 확인 결과 만약, 착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인 경우에는 HLR(208)로 호 시도 요구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 간의 호 접속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중 유선망(40) 가입자의 유선 전화기(50)로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해 호가 시도된 경우, 공중 유선망(40)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10, 100) 간에 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착신 단말기가 유선 전화기(50)인 경우에는 공중 유선망(40)으로 호 시도 요구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유선 전화기(50) 간의 호 접속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호 전환 시스템은 이동통신 시스템(20)의 교환기(206) 또는 관문 교환국(21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지능망 교환기(Signaling Control Part; SCP) 내에 구비되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로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모든 호 시도 요구 신호로부터 1차 번역한 착신 전화번호를 호 전환 시스템(30)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구비하여야 하고, 호 전환 시스템(30)의 전화번호 검색 결과에 따라 전송되는 최종 전화번호를 2차 번역하는 기능 또한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은 호 전환 과정에 의해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 요구 신호를 전송하였는데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되어 있는 경우, 통화중인 경우 또는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환된 호를 다시 유선 전화기로 전환하여 착신 요구 신호를 전송하거나,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안내멘트를 송출하거나, 발신자에게 음성 녹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중 유선망 가입자의 유선 전화기로 호를 시도한 경우, 공중 유선망을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직접 호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중 유선망 가입자에게 호가 시도되어 통화로가 형성된 경우,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는 착신자가 별도의 통화요금 부담을 없앨 수 있고, 이에 따른 이동통신 가입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통신 사업자의 기업 이미지 상승에 의한 통화량 증대로 인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의 수익이 향상되게 된다.

Claims (10)

  1.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되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수신된 호 시도 요구 신호로부터 추출된 착신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의 검색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호 전환 시스템으로서,
    공중 유선망 가입자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로부터 유선 전화기 전화번호 및 착신 전환할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착신 전환 전화번호 등록 수단;
    상기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를 시도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모든 호 시도에 대한 착신자 전화번호를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전화번호 검색 수단; 및
    상기 전화번호 검색 수단의 착신 전환 전화번호 검색 결과에 따라 최종 착신 전화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착신번호 통보 수단;
    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서비스는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자동응답 서비스, 고객 관리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의 호 시도시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착신자 전화번호는 유선 단말기 전화번호이고, 상기 착신 전환 전화번호는 상기 유선 단말기 전화번호에 매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번호 통보 수단은 상기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착신 전환 전화번호를 최종 전화번호로써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착신 전화번호를 최종 전화번호로써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재전송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시스템은 상기 호 전환 서비스 이용료를 산출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과금 수단을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6.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호 시도 요구 신호로부터 착신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호 전환 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모든 착신 전화번호를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의 검색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호 전환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호 시도 요구 신호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호 시도 요구 신호로부터 착신자 번호를 1차 번역하여 호 전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전환 시스템이 상기 1차 번역된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호 전환 시스템이 착신 전환 전화번호 존재 여부에 따른 최종 전화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호 전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최종 전화번호를 2차 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전화번호의 2차 번역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의 종류를 확인하고, 호 접속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화번호는 상기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최종 전화번호로 결정되고, 상기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착신 전화번호가 최종 전화번호로 결정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를 시도하는 단계 이전에, 공중 유선망 가입자 중 적어도 1명 이상의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서비스는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자동응답 서비스, 고객 관리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의 호 시도시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착신자 전화번호는 유선 단말기 전화번호이고, 상기 착신 전환 전화번호는 상기 유선 단말기 전화번호에 매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방법.
KR10-2002-0065800A 2002-10-28 2002-10-28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0500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800A KR100500341B1 (ko) 2002-10-28 2002-10-28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800A KR100500341B1 (ko) 2002-10-28 2002-10-28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340A true KR20040037340A (ko) 2004-05-07
KR100500341B1 KR100500341B1 (ko) 2005-07-11

Family

ID=3733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800A KR100500341B1 (ko) 2002-10-28 2002-10-28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79B1 (ko) * 2004-08-12 2009-09-22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공유 전화번호를 통하여 직접 호출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650B1 (ko) * 1996-12-02 2002-08-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시스템의착신호전환방법
KR100391171B1 (ko) * 1999-08-04 200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20020095823A (ko) * 2001-06-15 2002-12-28 공남수 이동통신망 가입자와 유선망 가입자 단말간의 통신 서비스접속 방법 및 이동통신 서비스 접속 시스템
KR20030021563A (ko) * 2001-09-06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전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79B1 (ko) * 2004-08-12 2009-09-22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공유 전화번호를 통하여 직접 호출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341B1 (ko)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4776A (en) Call redirection feature for relay services
US5465295A (en) Caller directed routing of a telephone call based on a dialed suffix
US5339352A (en) Directory assistance call completion via mobile systems
US20090011759A1 (en) Flexible numbering in mobile networks
HU215874B (hu) Rendszer mobiltávbeszélő-összeköttetés továbbítására két vagy több mobiltávbeszélő-állomás, vagy mobil távbeszélő állomások és másik távbeszélő-hálózattal társított célállomások között egy távközlési rendszerben
NO302497B1 (no) Hjelpekommunikasjons-tjenesteruting
JPH08500956A (ja) 電話呼を完成させるのに用いる方法
JPH07508634A (ja) Pabxアクセスを得る移動体通信システム用の加入者サービス機構
US5724409A (en) Speed forwarding system for personal number communications system
EP1195975A2 (en) Call setup by translating a text message into telephone number
CN1147747A (zh) 建立与一个移动用户通信的系统和方法
KR0162977B1 (ko) 이동 전화 교환기에서의 착신 불가시 메세지 송출 서비스 방법
KR100321722B1 (ko) 개인번호서비스2차착신연결방법
KR100500341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19457A (ko) 분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호 제어 방법
KR100329068B1 (ko) 이동전화 가입자를 위한 서비스 의뢰방법
KR101062136B1 (ko) 이동통신망에서 문자를 이용한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0641331B1 (ko) 이동통신망에 있어 일반 착신번호와 착신전환에 의한 착신번호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27641A (ko) 방문국 가입 휴대전화의 렌탈형 국제 이동통신 로밍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JP2939367B2 (ja) 移動体通信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KR100314150B1 (ko) 고속 가상사설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15869A (ko) 지능망을 이용한 음성전화광고방법
KR100586898B1 (ko) 호 전환 기능을 이용한 자동 임대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194756B1 (ko) 개인통신시스템에서의 일반개인원격통신서비스 방법
KR100909823B1 (ko) 수신 가입자가 설정한 발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