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988A -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988A
KR20040035988A KR1020020062372A KR20020062372A KR20040035988A KR 20040035988 A KR20040035988 A KR 20040035988A KR 1020020062372 A KR1020020062372 A KR 1020020062372A KR 20020062372 A KR20020062372 A KR 20020062372A KR 20040035988 A KR20040035988 A KR 2004003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flavor
crater
producing
station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엽
Original Assignee
신승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엽 filed Critical 신승엽
Priority to KR102002006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5988A/ko
Priority to JP2003167510A priority patent/JP2004131688A/ja
Publication of KR2004003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00Pencil-leads; Crayon compositions; Chalk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구용 발향 화구(畵具)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료 18.6-79.4중량%, 파라핀 5-40중량%, 가소제 10-30중량%, 분산제 5-10중량%, 안정제 0.5-0.9중량% 및 액상의 발향제 0.1-0.5중량%를 가하여 혼합, 반죽하고 가열 용융한 다음, 형틀에 흘려 넣고 냉각 후 탈형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얻어지는 발향 화구를 이용하여 그림이나 글씨를 쓸 때, 예컨데, 사과에 관한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경우 상기 액상의 발향제로서 사과향을 사용하여, 사과와 관련한 그림을 그릴 때 화구로부터 사과향이 발산하여 사용자의 시각과 후각이 동시에 조화되어 감지되면서 그림의 대상물에 대한 인식의 효과가 발휘되어 현실감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완성 후에는 이를 감상하는 사람이 사과와 관련한 그림을 보면서 사과의 향을 느낄 수 있어 감상의 질을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ERFUMING PASTEL CRAYON}
본 발명은 문구용 발향 화구(畵具)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안료 18.6-79.4중량%, 파라핀 5-40중량%, 가소제 10-30중량%, 분산제 5-10중량%, 안정제 0.5-0.9중량% 및 액상의 발향제 0.1-0.5중량%를 가하여 혼합, 반죽하고 가열 용융한 다음, 형틀에 흘려 넣고 냉각 후 탈형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얻어지는 발향 화구를 이용하여 그림이나 글씨를 쓸 때, 예컨데, 사과에 관한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경우 상기 액상의 발향제로서 사과향을 사용하여, 사과와 관련한 그림을 그릴 때 화구로부터 사과향이 발산하여 사용자의 시각과 후각이 동시에 조화되어 감지되면서 그림의 대상물에 대한 인식의 효과가 발휘되어 현실감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완성 후에는 이를 감상하는 사람이 사과와 관련한 그림을 보면서 사과의 향을 느낄 수 있어 감상의 질을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통상, 채색재로 사용되고 있는 크레용, 크레파스 등의 회화용 화구는, 안료에 파라핀 수지 등을 넣어 완성하는 것으로, 주로 어린이나 청소년층에서 많이 애용하고 있는 회화도구의 일종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화구는 원하는 색을 표현하기 위한 단순한 도구일 뿐 더 이상의 효과나 기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예컨데, 초록색 크레파스는 초록색의 안료를 혼합한 화구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 가운데 초록색을 표현할 때만 사용할 수 있고, 더 이상의 활용도는 생각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기존의 크레파스의 용도나 기능상의 한계를 극복한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00-19514호(2000. 4. 15. 공개)의 축광(蓄光) 크레파스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축광 크레파스는 축광안료 1중량%이상, 축광증진용 충진제 20-80중량%, 오일 20-80중량%, 기타 체질 개선제 약간을 함유한 것으로서, 기존의 크레파스에 축광과 이로 인한 발광의 효과를 가미한 기능성 크레파스의 일종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들이 상기 축광 크레파스를 사용할 때, 축광된 빛이 발광함으로써, 물체나 사물에 관심이 많은 아동의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의 효과를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문구용 화구의 용도를 개선하여 기능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으로, 안료, 파라핀, 가소제, 분산제, 안정제 등으로 구성된 통상의 화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라핀의 함량을 특정화하고, 액상의 발향제를 가하여 혼합, 반죽하고 가열 용융한 다음, 형틀에 흘려 넣고 냉각 후 탈형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얻어지는 발향 화구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쓸 때, 시각적인 효과는 물론 후각적인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료, 파라핀, 가소제, 분산제, 안정제 등으로 구성된 통상의 화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라핀의 함량을 특정화하고, 액상의 발향제를 가하여 혼합, 반죽하고 가열 용융한 다음, 형틀에 흘려 넣고 냉각 후 탈형하여 얻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통상의 제조방법이란, 크레파스를 만들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예컨데 안료, 파라핀, 가소제, 분산제, 안정제 등의 성분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방법을 말하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 여타의 오일, 경화유, 목랍, 축광안료, 충진재 등의 다른 기능성 성분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안료 18.6-79.4중량%, 파라핀 5-40중량%, 가소제 10-30중량%, 분산제 5-10중량%, 안정제 0.5-0.9중량% 및 액상의 발향제 0.1-0.5중량%를 사용하는데, 우선, 상기 각 성분을 순차적, 혹은 무순으로 혼합기에 넣는다.
여기서, 상기 파라핀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거나 혹은 40중량%를 넘게 되면 제품의 성형이 어렵게 되고, 상기 액상의 발향제가 0.1중량% 미만이면 첨가의 의미가 없고, 반대로 0.5중량%를 넘게 되면 향이 너무 강하여 역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혼합기에서는 교반을 통하여 각 성분을 혼합, 반죽하게 되는데, 이 때 약간의 열이 발생하게 되면, 워터자켓을 통해 냉각을 시키면서 반응시킨다.
혼합, 반죽된 슬러지 상의 내용물을 다시 50-80℃로 가열 용융한 다음, 크레파스 형틀(금형)에 흘려 넣어 냉각시킨 후 탈형함으로써, 본 발명의 원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를 얻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소제는 수지의 딱딱한 성질을 완화하고 잘 깎여 묻어 나오게 할 목적과 슬립성을 도와서 채질시 소프트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성분으로, DOA, DIDA 등의 지방족 에스테르계, 프탈산 에스테르계, 인산 에스테르계 모두 사용 가능하나, 인체에 무해한 오일이나 왁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산제는 안료와 수지가 잘 섞이게 하면서, 비접착으로 분자간 독립성을 유지하게 하고 절단강도와 휨 현상을 보강하는 성분으로서, 금속성분말, 스테아린산아연, 탄산칼슘, 탈크, 산화티타늄, 세라믹분말, 카올린, 마이카, 제올라이트 등이 모두 사용 가능하나, 그 가운데 금속비누 등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안정제는 산화방지용으로 색소와 수지의 종류에 따라 열화에 따른 탈색 변색방지의 안정제로 사용하는 것으로, 금속성 비누, 아인산 에스테르 등 통상의 크레파스용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액상의 발향제로는 여러 가지의 발향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푸른 잔듸를 그리고자 하는 경우 풀 냄새를 낼 수 있는 초원향의 발향제를 사용하고, 소나무를 그리고자 하는 경우는 소나무향 등, 각종 수목향을 발산할 수 있는 발향제를 선택하고, 사과와 관련된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과향, 수박의 경우는 수박향, 파인애플의 경우는 파인애플향, 오랜지의 경우는 오랜지향 등, 각종 과일향을 발산할 수 있는 발향제를 선택하며, 또한, 음식이나 음식을 만드는 소재(재료)와 관련된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경우는 참기름향, 튀김향, 야채향, 볶음향 등, 요리와 관련된 각종 향을 발산할 수 있는 발향제를 선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 발향제는 자연향과 합성향이 모두 사용 가능하나, 제조공정의 편리성과 경제성 면에서 합성향이 보다 바람직하고, 주로 사용하는 대상이 아동임을 고려하여 발향제 자체가 인체에 전혀 해가 없어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하여 얻어지는 발향 화구를 이용하여 그림이나 글씨를 쓸 때, 사용자는 생동감이 있는 회화나 문장을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데, 초록색의 푸른 잔듸를 화폭에 그리고자 하는 경우, 풀 냄새를 낼 수 있는 발향제가 들어간 초록색의 크레파스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고, 또한, 사과에 관한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경우 사과향을 낼 수 있는 발향제가 들어간 크레파스를 사용하여, 사과와 관련한 그림을 그릴 때 화구로부터 사과향이 발산하여 사용자의 시각과 후각이 동시에 조화되어 감지되면서 그림의 대상물에 대한 인식의 효과가 발휘되어 현실감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완성 후에는 이를 감상하는 사람이 그림을 보면서 푸른 잔듸나 사과의 향을 느낄 수 있어 감상의 질을 높힐 수 있는것으로, 특히 물체나 사물에 관심이 많은 아동들의 흥미를 유발시킴으로써 사용자(아동)의 학습 효과를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안료, 파라핀, 가소제, 분산제, 안정제 등으로 구성된 통상의 화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라핀의 함량을 특정화하고, 액상의 발향제를 가하여 혼합, 반죽하고 가열 용융한 다음, 형틀에 흘려 넣고 냉각 후 탈형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얻어지는 발향 화구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쓸 때, 시각적인 효과는 물론 후각적인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화구로서, 그 이용 및 응용이 기대된다 하겠다.

Claims (12)

  1. 안료 18.6-79.4중량%, 파라핀 5-40중량%, 가소제 10-30중량%, 분산제 5-10중량%, 안정제 0.5-0.9중량% 및 액상의 발향제 0.1-0.5중량%를 가하여 혼합, 반죽하고 가열 용융한 다음, 형틀에 흘려 넣고 냉각 후 탈형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발향제는 풀냄새를 낼 수 있는 초원향의 발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발향제는 나무의 향을 낼 수 있는 수목향의 발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발향제는 과일향을 낼 수 있는 발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향은 사과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향은 수박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향은 파인애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향은 오랜지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발향제는 음식이나 음식재료향을 낼 수 있는 발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재료향은 참기름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재료향은 야채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향은 볶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KR1020020062372A 2002-10-14 2002-10-14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KR20040035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372A KR20040035988A (ko) 2002-10-14 2002-10-14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JP2003167510A JP2004131688A (ja) 2002-10-14 2003-06-12 文具用発香画具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372A KR20040035988A (ko) 2002-10-14 2002-10-14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988A true KR20040035988A (ko) 2004-04-30

Family

ID=3229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372A KR20040035988A (ko) 2002-10-14 2002-10-14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131688A (ko)
KR (1) KR200400359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496B1 (ko) * 2003-07-30 2005-12-16 신승엽 발향 색연필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273A (en) * 1979-09-08 1981-04-17 Zebura Kk Writing tool
EP0298705A2 (en) * 1987-07-07 1989-01-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ragrance releasing crayons
KR19980072012A (ko) * 1998-07-14 1998-10-26 안중우 지우개로 지워지는 필기구 겸 화구(크레용,색연필,칼라샤프연필 심)의 조성물
KR20020053788A (ko) * 2002-05-02 2002-07-05 김종완 승화성 분산염료를 포함한 전사크레용 및 크레파스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273A (en) * 1979-09-08 1981-04-17 Zebura Kk Writing tool
EP0298705A2 (en) * 1987-07-07 1989-01-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ragrance releasing crayons
KR19980072012A (ko) * 1998-07-14 1998-10-26 안중우 지우개로 지워지는 필기구 겸 화구(크레용,색연필,칼라샤프연필 심)의 조성물
KR20020053788A (ko) * 2002-05-02 2002-07-05 김종완 승화성 분산염료를 포함한 전사크레용 및 크레파스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496B1 (ko) * 2003-07-30 2005-12-16 신승엽 발향 색연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31688A (ja)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5001653A (es) Proteccion de la fragancia en una vela de cera usando un antioxidante.
US20030134244A1 (en) Multilayered compressed c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e
KR20040035988A (ko) 문구용 발향 화구의 제조방법
Cavitch The Soapmaker's Companion: A Comprehensive Guide with Recipes, Techniques & Know-how
JP2009000029A (ja) 植物エキス入りマヨネーズの製造方法
KR100536496B1 (ko) 발향 색연필의 제조방법
NO129030B (ko)
KR20130093799A (ko) 친환경 실리콘 점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7022967A (ja) 粉粒状お香
KR102305027B1 (ko) 천연 왁스 조성물
KR20160073220A (ko) 캔들 제조방법
JPS6336753A (ja) 黒トリュフの香り及び味を有する芳香性製品の製造方法、製品及び得られた芳香体
CN108504453B (zh) 燃烧用熏香香精及其制备方法、应用
US20020002792A1 (en) Candle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candle product
CN106967512B (zh) 一种香味蜡粉
KR20180134722A (ko) 친환경 양초 점토의 제조 방법
KR20200126603A (ko) 천연 왁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JP5554107B2 (ja) 芳香性蝋燭
US3414421A (en) Sealing wax
US20240149180A1 (en) Creamy substance
JP3661837B2 (ja) 燃焼型香り組成物
KR100420970B1 (ko) 면실유를 주원료로 한 식품첨가물-착향료의 제조방법
KR20010038641A (ko) 플라스틱제품 제조방법
KR20190140646A (ko) 마블링 문양을 갖는 플라스틱 방향제의 제조방법
Pierce Soap Making Recipes: Soap Making For Begin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