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710A -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710A
KR20040034710A KR10-2004-7003396A KR20047003396A KR20040034710A KR 20040034710 A KR20040034710 A KR 20040034710A KR 20047003396 A KR20047003396 A KR 20047003396A KR 20040034710 A KR20040034710 A KR 20040034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circuit
periodic signal
harmon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르센에릭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3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7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1/00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combining unmodulated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 H03B21/01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combining unmodulated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by beating unmodulated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 H03B21/02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combining unmodulated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by beating unmodulated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by plural beating, i.e. for frequency synthesis ; Beating in combination with multiplication or division of frequenc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1/00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combining unmodulated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Landscapes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기 신호(100)의 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500)에 관한 것이다.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는 종래의 방법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들의 저음 개선(bass enhancement)을 위한 방법이 상당한 아티팩트들을 생성한다. 이는 음색(timbre), 즉 오디오 신호의 색깔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최초의 오디오 신호에 부가되는 주기 신호(100)의 저조파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이는 저음 개선으로 보다 많은 자연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신호(100)는, 신호의 진폭이 제 2 소정의 레벨보다 큰 경우, 그 신호의 매 제 2 주기(116)마다 제 1 소정의 레벨(a)로 클리핑된다(clipp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그 신호 레벨이 소정의 제 1 레벨을 초과한다면, 그 신호는 매 제 1 주기(115)마다 제 2 레벨(a)로 클리핑되고, 그 신호의 매 제 2 주기(116)마다 제 3 레벨(b)로 클리핑된다.

Description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Method and circuit for creating a sub-harmonic of a periodic signal}
이러한 방법의 실시예가 미국특허 제3,535,969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문서는 음악 악기들의 전자 음(tone)들을 처리하기 위한 회로를 기재하고,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의 1/2 또는 1/4인 주파수로 주기 입력 신호를 참조하여 주기적인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공지된 방법은 출력 신호가 원치않는 아티팩트들로 생성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들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 프로세서가 적어도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록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4개의 신호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4개의 신호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4개의 신호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4개의 신호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사룔을 위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기와 그 처리기를 포함하는 컴퓨터의 도식적인 표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록 캐리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원치않는 아티팩트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은 신호의 진폭이 소정의 레벨보다 큰 경우에만 저조파들이 생성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그 신호의 보다 약한 부분들보다는 단지 그 신호의 강한 부분들의 단지 저조파들을 생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저음 개선 동작들에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 그 개선된 신호가 너무 오래 지연된다는 점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실시예는 그 신호가 우수 주기에서 제 1 레벨, 그리고 기수 주기에서는 제 2 레벨로 클리핑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저음 개선에 관한 다른 속성들이 두개의 변수들을 선택할 자유가 있기 때문에, 다른 세기들을 갖는 신호들로 선택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실시예는 이 방법이 주기 신호의 진폭이 소정의 다른 레벨보다 큰 경우, 저조파의 보다 높은 고조파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는 보다 낮은 고조파들의 생성동안, 또한 그 보다 낮은 고조파들 중에서 보다 높은 고조파들이 생성되는 경우에, 스펙트럼을 넓힘으로써 오디오 신호의 저음 개선이 더 나은 결과를 산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록 캐리어는 그 명령들이 그 처리기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은 이후 기재된 실시예들로부터 분명해질 것이고 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명료해 질 것이다.
도 1a는 주기 T[s] 및 주파수 1/T[Hz]를 갖는 원래의 주기 신호(100)을 도시한다. 도 1b, 도 1c,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b는 원래의 주기 신호(100)의 진폭이 소정의 제 1 레벨(a)보다 큰 경우 그 원래의 주기 신호(100)의 보다 낮은 고조파를 만드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그 원래의 주기 신호는 제 1 주기(115)에서는 소정의 제 1 레벨(a)로 그리고 제 2 주기(116)에서는 소정의 제 2 레벨(b)로 클리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저조파 신호(100)가 원래의 주기 신호(100)의 주파수의 1/2의 주파수로 획득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 1 저조파 신호(110)의 보다 높은 고조파가 생성된다. 상이한 고조파들의 진폭 값들은 a1이 생성된 저조파의 진폭이라는 관계식(1)에 의해 제공된다. 진폭 관계식(1)을 설정한 경우, 그 제 1 처리된 신호(110)의 파형은 제 1 주기(115)동안 소정의 제 1 레벨(a)을 그리고 제 2 주기(116)동안 소정의 제 2 레벨(b)을 갖는 직사각형 파형에 근사화된다. 그러므로, 관계식(1)은 단지 근사치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호가 클리핑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클리핑되어서는 안되는지의 여부의 결정은 그 신호(100)의 부호-변환점(zero-crossing)들의 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일처음 처리된 신호(110)가 클리핑된 레벨은 모든 제 2 부호-변환점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가 클리핑되는 레벨은 대안으로 모든 제 3, 제 4, 또는 다른 부호-변환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c는 원래의 주기 신호의 진폭이 소정의 제 1 레벨(a)보다 작고, 소정의 제 2 레벨(b)보다 큰 경우, 원래의 주기 신호(100)의 주기 신호를 원래의 주기 신호(100)의 주파수의 1/2인 주파수로 이용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래의 주기 신호는 제 1 기간(115)에는 클리핑되지 않고 제 2 주기(116)의 제 2 소정 레벨(b)에서 클리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저조파 신호(120)가 원래의 주기 신호(100)의 절반인 주파수에서 얻어진다. 또한, 이 방법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처리 신호(120)의 더 높은 고조파들이 발생된다.
그러나, 제 2 저조파 신호(120)의 더 높은 고조파들과 제 2 저조파 신호(120)의 기본 고조파 사이의 비율은 제 1 처리 신호(110)의 더 높은 고조파와 제 1 처리된 신호의 기본 고조파 사이의 비율보다 낮다. 이것은 주어진 방법이 저음 개선을 위해 사용되면, 발생된 사운드는 더 높은 고조파들과 기본 고조파 사이의 비율이 상이한 진폭들을 가진 신호들에 대해 동일할 수 있는 경우에서보다 훨씬 더 자연스럽게 소리를 내는 이점을 가진다.
도 1d는 제 2 소정 레벨(b)보다 작은 진폭을 가진 주기 신호(130)를 나타낸다. 다른 주기 신호(130)의 진폭은 제 2 소정 레벨(b)보다 작으므로, 주기 신호(130)의 저조파들은 발생되지 않는다.
도 2a는 지속 시간(T[s])과 주파수(1/T[Hz])를 가진 기간을 갖는 원래의 주기 신호(200)를 나타낸다. 원래의 주기 신호(200)의 진폭은 소정의 제 1 기간(a)보다 크다. 도 2b, 2c 및 2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상이한 파형들을 나타낸다.
도 2b는 도 1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원래의 주기 신호(200)를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실선으로 표시된, 제 1 처리 신호(210)를 나타낸다. 도 2c는 유사한 방법으로 얻어진, 실선으로 표시된, 제 2 처리 신호(220)를 나타내며, 여기서 소정의 제 1 레벨(a)에서의 클리핑은 소정의 제 2 레벨(b)에서의 클리핑으로 대체되었고 그 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으로, T[s]의 시간 지속 시간을 갖는 제 1 처리 신호(210)를 지연시킴으로써 제 1 처리 신호(210)로부터 제 2 처리 신호(220)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다수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지속 시간(T)이 미리 알려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속 시간(T)을 추적하는 것은 훨씬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지속 시간(T)은 또한 시변(time-varient)하며, 이것은 시변 지연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후, 제 1 처리 신호(210)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제 2 처리 신호(220)로부터 감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선으로 표시된 제 3 처리 신호(230)가 얻어진다. 제 3 처리 신호(230)는 원래의 주기 신호(200)의 기본 고조파의 주파수의 절반인 주파수에서 기본 고조파를 가진다. 저조파 및 이 저조파의 기수 고조파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에 비해, 저조파의 우수 고조파에 대해 비교적 훨씬 강하다. 이것은 관계식(1)과 관련하여 검토될 수 있다. 그것은 최후의 결과에 대해 바람직한 효과를 가진다.
도 3 및 도 4는, 원래의 주기 신호의 진폭이 소정의 제 1 레벨(a)보다 작고 소정의 제 2 레벨(b)보다 큰 경우(도 3) 및 원래의 주기 신호의 진폭이 소정의 제 2 레벨(b)보다 작은 경우(도 4, 각각)의, 원래의 주기 신호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동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상이한 파형들을 나타낸다.
도 3a는 시간 지속 시간(T[s])과 주파수(1/T[Hz])를 갖는 기간을 갖는 원래의 주기 신호(300)를 나타낸다. 원래의 주기 신호(300)의 진폭은 소정의 제 1 레벨보다 작고 소정의 제 2 레벨(b)보다 크다.
도 3b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원래의 주기 신호(300)를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실선으로 나타낸 제 1 처리 신호(310)를 나타낸다. 도 3c는 유사한 방법으로 얻어진, 실선으로 나타낸 제 2 처리 신호(320)를 나타내며, 여기서 소정 제 1 레벨(a)에서의 클리핑은 소정의 제 2 레벨(b)에서의 클리핑으로 대체되며 그 역도 가능하다. 대안으로 T[s]의 지속 시간으로 제 1 처리 신호(310)를 지연시킴으로써 제 1 처리 신호(310)로부터 제 2 처리 신호(320)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후, 제 1 처리 신호(310)가 본 발명에 따라는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제 2 처리 신호(320)로부터 감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선으로 나타낸 제 3 처리 신호(330)가 얻어진다. 제 3 처리 신호(330)는 원래의 주기 신호(300)의 기본 고조파의 주파수의 절반인 주파수에서 기본 고조파를 가진다.
도 4a는 시간 지속 기간(T[s])과 주파수(1/T[Hz])를 가진 기간을 갖는 원래의 주기 신호(400)를 나타낸다. 원래의 주기 신호(400)의 진폭은 소정의 제 2 레벨(b)보다 작다.
도 4b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월내의 주기 신호(400)를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실선으로 표시된 제 1 처리 신호(410)를 나타낸다. 원래의 주기 신호의 진폭이 제 2 소정 레벨보다 작으므로, 제 1 처리 신호는 원래의 주기 신호(400)와 같다. 또, 이것은 제 2 처리 신호(420)에 인가된다.
이 후, 제 1 처리 신호(410)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제 2 처리 신호(420)로부터 감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선으로 표시된 제 3 처리 신호(430)가 얻어진다. 제 1 처리 신호(410)와 제 2 처리 신호(420)가 동일하므로, 제 3 처리 신호(430)는 0과 같다.
본 발명의 주어진 실시예에서, 제 1 처리 신호(410)와 제 2 처리 신호(420)의 진폭들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2개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 3 처리 신호(430)가 0과 같지 않도록 증폭 또는 감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주어진 실시예들에 있어서, 클리핑이 일어나야 하는 신호들의 진폭의 임계값들은 클리핑 레벨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이들 값들은 대응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 신호는 진폭이 제 2 소정 레벨보다 크면 제 1 소정 레벨에서 클리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클리핑되어야 하는 신호들의 진폭의 임계값들과 클리핑이 일어나는 레벨들은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레벨들의 값이 원래의 주기 신호9100)의 진폭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들은 원래의 주기 신호가 DC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 가장 잘 작동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신호가 처리되기 전에신호로부터 가능한 DC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추천된다.
도 5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회로의 실시예로서의 회로(500)를 나타낸다. 회로(500)는 진폭 검출기(505), 클리핑 수단(510), 제로-크로싱 검출기(520) 및 카운팅 수단(530)을 포함한다. 원래의 주기 신호는 회로(500)의 입력(501)에 인가된다. 제로-크로싱 검출기(520)에 있어서, 신호는 원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로-크로싱에서 테스트된다. 입력(501)에 인가된 원래의 주기 신호에서의 제로-크로싱의 경우에, 제로-크로싱 검출기(520)는 신호를 카운팅 수단(530)에 공급한다. 카운팅 수단(530)은 입력(501)에 인가된 원래의 주기 신호가 클리핑되거나 클리핑되지 않는지의 여부를 클리핑 수단(510)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모든 제 2 제로-크로싱 후 또는 모든 제 3, 제 4 또는 다른 제로-크로싱 후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운팅 수단(530)은 클리핑 수단(510)에 표시하며, 그 레벨에서 원래의 주기 신호는 클리핑되어야 한다. 원래의 주기 신호의 진폭은 진폭 측정기(amplitude meter)(505)에서 측정된다. 더욱이, 원래의 주기 신호가 클리핑되어야 하는가 클리핑되지 않아야 하는가의 여부는 측정된 진폭과 관련지어 결정된다. 선택적 대안은 원래의 주기 신호가 클리핑되어야 하는 클리핑 레벨 및/또는 임계값이 조정될 수 있는 공급 채널(540)이다. 이런 식으로, 회로(500)에는 신호가 클리핑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레벨에서 신호가 클리핑되어야 하는지 주기 신호에 대하여 주기마다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도 2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기술된 방법을 실행하는 회로의 다른 실시예로서 회로(600)를 도시한다. 회로(600)는 제 1 고조파 발생기(610)와, 제 2고조파 발생기(620)와, 감산 수단(630)을 포함한다. 제 1 고조파 발생기(610)와 제 2 고조파 발생기(620)의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원래의 주기 신호(200)가 회로(600)의 입력(601)을 통해 제 1 고조파 발생기(610)와 제 2 고조파 발생기(620)에 인가되면, 제 1 고조파 발생기(610)는 제 1 처리된 신호(210)를 발생하고, 제 2 고조파 발생기(620)는 제 2 처리된 신호(220)를 발생한다. 감산 수단(630)은 제 2 고조파 발생기(620)의 출력 신호들에서 제 1 고조파 발생기(610)의 출력 신호들을 감산하도록 적응된다. 제 1 고조파 발생기(610)의 출력 신호는 제 2 고조파 발생기(620)의 출력 신호에서 감산되며, 또는 그 역도 성립한다.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회로(600)는 또한 제 1 고조파 발생기(610)를 제 2 고조파 발생기(620)와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수단(640)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회로(700)를 도시한다. 회로(700)는 저역 통과 필터(710)와, 고조파 발생기(720)와, 대역 통과 필터(730)와, 가산 수단(740)을 포함한다. 입력 신호(701)는 회로(700)의 입력에 인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역 통과 필터(730)는 입력 신호(701)의 최고 120㎐까지의 주파수들만을 통과시킨다. 입력 신호(701)의 최고 120㎐까지의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제 1 중간 신호(702)는 고조파 발생기(720)에 인가된다. 상기 주파수들은 단지 예이며, 대안적으로 여러 값들을 선택할 수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조파 발생기(720)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중간 신호(702)에서 더 낮은 고조파와 더 높은 고조파로 된 고조파들을 발생한다. 고조파 발생기(720)는 대역 통과 필터(730)에 인가된 제 2 중간 신호(703)를 발생한다. 대역 통과 필터(730)는 제 2 중간 신호로부터 원치 않는 고조파들을 제거하도록 적응된다. 이 원치 않는 고조파들은 회로(7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재생될 수 없는 더 낮은 고조파들일 수도 있다. 그러나, 대역 통과 필터(730)는, 대역 통과 필터(730)에 의해 통과된 제 2 중간 신호의 고조파들이 조절 가능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대역 통과 필터(730)의 출력에서, 제 3 중간 신호(704)는 가산 수단(740)에 인가된다. 가산 수단(740)은 입력 신호(701)에 제 3 중간 신호를 가산한다. 이런 식으로, 회로(700)는 출력 신호(705)를 발생한다. 회로(700)는 유럽특허 EP 0 240 28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출원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일 수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회로(700)는 저역 통과 필터(710) 대신에 다른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다른 대역 통과 필터는 40㎐ 및 120㎐ 사이의 주파수들에서 신호 구성 성분들을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700)의 대역 통과 필터(730)는 능동 필터일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이 액티브 필터는 대안적으로 증폭기 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직렬로 수동 필터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증폭기 수단의 증폭은 제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는 출력 신호에 따라 증폭을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회로(700)의 하위 분기에서의 처리로 인해 신호의 지연이 생기게 된다. 회로(700)의 상부 분기에서의 오리지널 신호가 동일한 방식으로 지연됨을 보장하기위해, 지연 소자(도시되지 않음)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회로의 상부 분기에 포함된다. 회로(700)의 하부 분기의 지연을 계산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쉬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들을 재생하는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는 입력 수단(801)과, 출력 수단(802)과, 본 발명에 따른 회로(805)를 포함하는 시스템(803)을 포함한다. 입력 수단으로 가능한 실시예들은 RF 안테나, SACD, DVD, CD, 예를 들어 MP3 파일들을 사용하는 CD-ROM, 테이프 카세트, 비닐 레코드, 기록 캐리어 상의 정보를 광 또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적응된 장치의 전기 또는 광 출력 신호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열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출력 수단으로 가능한 실시예들은 CD 굽기, 전기 신호 또는 RF 신호이다. 그러나, 이 또한 이 열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캐리어의 실시예로서 디스켓(910)을 도시하며, 이 디스켓은 처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하며, 처리기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레코드 캐리어(910)는 컴퓨터(920)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개인용 컴퓨터이지만, 예를 들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UNIX 워크스테이션일 수 있다. 컴퓨터(920)는 처리기(922)에 연결된 디스켓 넣는 곳(diskette station)(921)을 포함한다. 처리기(922)는 입력(924)과 출력(925)을 갖는 신호 처리 회로(923)에 또 연결된다. 디스켓 넣는 곳(921)은 디스켓(910)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도록 적응되며, 이 정보를 처리기(922)에 보낸다. 정보는 처리기(92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하며, 그 처리기(922)로 하여금 신호 처리 회로(923)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신호 처리 회로(923)의 입력(924)에서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게 한다. 처리된 신호는 이어서 재생하기 위하여 신호 처리 회로(923)의 출력(925)을 통해 확성기(930)로 보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캐리어는 카세트(910)이다. 그러나, 기록 캐리어(910)는 대안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WAN에 연결된 대량 기억 장치뿐만 아니라, CD-ROM 또는 플래시 카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캐리어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처리될 신호는 주기 신호로 나타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회로의 응용에서, 처리될 신호는 예를 들어, 음악 또는 음성일 것이다. 이 타입의 신호는 종종 준주기(quasi-periodic)로서 규정된다. 이것이 일반적으로 완전히 주기 신호가 아니라 하더라도, 원래의 주기 신호(100)(도 1)도 예를 들어 음악 또는 음성 신호일 수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저조파의 주기 신호(100)를 발생하는 방법 및 회로(500)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들의 저음 강화를 위해 저조파의 주기 신호를 발생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다량의 아티팩트들을 생성한다. 본 발명은 오리지널 오디오 신호에 부가되어, 저음이 강화된 보다 자연스러운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저조파의 주기 신호(100)를 발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제 1 실시예에서, 신호(100)는 신호의 진폭이 제 2 소정 레벨보다 클 때 신호의 제 2 주기(116)마다 제 1 소정 레벨(a)에서 클리핑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신호는 신호 레벨이 제 1 소정 레벨을 초과한다면, 신호의 제 1 주기(115)마다 제 2 레벨(a)에서, 그리고 제 2 주기(116)마다 제 3 레벨(b)에서 클리핑된다.

Claims (11)

  1. 실질적인 주기 신호(100)의 저조파(sub-harmonic)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100)의 진폭이 소정의 제 1 레벨보다 큰 경우에만 저조파들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매 제 2 주기마다 제 2 소정 레벨(a)로 클리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100)는 기수 주기(115)에서는 제 2 소정 레벨(a)로, 그리고 우수 주기(116)에서는 제 3 소정 레벨(b)로 클리핑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신호(210)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주기 신호(100)를 기수 주기(115)에서는 제 2 소정 레벨(a)로 그리고 우수 주기(116)에서는 제 3 소정 레벨(b)로 클리핑하는 단계와,
    제 3 신호(220)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주기 신호(100)를 기수 주기(115)에서는 상기 제 3 소정 레벨(b)로 그리고 우수 주기(116)에서는 상기 제 2 소정 레벨(a)로 클리핑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신호(220)로부터 상기 제 2 신호(210)를 감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210)를 소정의 값으로 스케일링(scaling)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신호(220)를 소정의 값으로 스케일링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주기 신호의 진폭이 소정의 다른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저조파의 보다 높은 고조파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정의 레벨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정의 레벨은 상기 신호(100)의 진폭에 의존하여 조정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적어도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500)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신호의 진폭이 소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신호의 저조파만을 생성하도록 적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500).
  10. 오디오 신호(810)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 9 항의 회로(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처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록 캐리어(910)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처리기가 제 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캐리어(910).
KR10-2004-7003396A 2001-09-06 2002-07-24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KR200400347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3362.7 2001-09-06
EP01203362 2001-09-06
PCT/IB2002/003140 WO2003021764A2 (en) 2001-09-06 2002-07-24 Method and circuit for creating a sub-harmonic of a periodic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710A true KR20040034710A (ko) 2004-04-28

Family

ID=818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396A KR20040034710A (ko) 2001-09-06 2002-07-24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011191A1 (ko)
EP (1) EP1438785A2 (ko)
JP (1) JP2005502094A (ko)
KR (1) KR20040034710A (ko)
CN (1) CN1552057A (ko)
WO (1) WO20030217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9888B2 (ja) * 2004-06-24 2011-03-16 ヤマハ株式会社 音声効果付与装置及び音声効果付与プログラム
US9247342B2 (en) 2013-05-14 2016-01-26 James J. Croft, III Loudspeaker enclosure system with signal processor for enhanced perception of low frequency outpu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2263A (en) * 1956-09-10 1963-08-27 Lab For Electronics Inc Doppler radar system
US3450991A (en) * 1967-06-05 1969-06-17 Rosenberry W K Digital direct reading high frequency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US3535969A (en) * 1968-08-09 1970-10-27 Baldwin Co D H Musical instrument electronic tone processing system
US3555167A (en) * 1969-06-02 1971-01-12 Whippany Electronics Inc Multivoice circuitry with vibrato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2118631U (ko) * 1976-03-05 1977-09-08
US4180707A (en) * 1977-06-21 1979-12-25 Norlin Industries, Inc. Distortion sound effects circuit
DE2852196C2 (de) * 1978-12-02 1983-01-27 Richard Hirschmann Radiotechnisches Werk, 7300 Esslingen Akustischer Warnsignalgeber mit periodisch sich ändernder Frequenz des Ausgangssignals
US4357852A (en) * 1979-05-21 1982-11-09 Roland Corporation Guitar synthesizer
US4513387A (en) * 1982-07-13 1985-04-23 Lgz Landis & Gyr Zug Ag Method an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periodic digital time function signals
US4757737A (en) * 1986-03-27 1988-07-19 Ugo Conti Whistle synthesizer
US4790014A (en) * 1986-04-01 1988-1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w-pitched sound creator
US5133014A (en) * 1990-01-18 1992-07-21 Pritchard Eric K Semiconductor emulation of tube amplifiers
US4856401A (en) * 1987-09-02 1989-08-15 Mcclish Richard E D Sub-harmonic tone generator for bowed musical instruments
WO1991020134A1 (en) * 1990-06-13 1991-12-26 Sabine Musical Manufacturing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audio resonant frequency filtering
US6148086A (en) * 1997-05-16 2000-11-14 Aureal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a voice with an original lead singer's voice on a karaoke machine
US6384761B1 (en) * 2000-08-07 2002-05-07 Cirrus Logic, Inc. Second and higher order dynamic element matching in multibit digital to analog and analog to digital data converters
JP3671876B2 (ja) * 2001-06-29 2005-07-13 ヤマハ株式会社 楽音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2057A (zh) 2004-12-01
US20040011191A1 (en) 2004-01-22
WO2003021764A3 (en) 2004-05-06
JP2005502094A (ja) 2005-01-20
EP1438785A2 (en) 2004-07-21
WO2003021764A2 (en) 200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231B1 (ko) 저음 증강 장치 및 방법
US8229135B2 (en) Audio enhancement method and system
US8204239B2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audio processing apparatus
KR960033076A (ko) 저음증강회로
JP4254479B2 (ja) オーディオ帯域拡張再生装置
JP3810257B2 (ja) 音声帯域拡張装置及び音声帯域拡張方法
JP3605363B2 (ja) 音響効果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0154092A (ja) 雑音検出装置及び雑音検出方法
KR101329308B1 (ko)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성분 보강 방법 및 그 장치, 오디오신호의 기본 주파수 계산 방법 및 그 장치
JP3659489B2 (ja) デジタル音声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750148B1 (ko) 음성신호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US20030044023A1 (en) Circuit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KR20040034710A (ko) 주기 신호의 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US8022289B2 (en) Harmonic sound generat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harmonic sound
JP5265008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JPH07131881A (ja) スピーカ駆動装置
JP3043844B2 (ja) D/a変換装置
JP3521821B2 (ja) 楽音波形分析方法及び楽音波形分析装置
US20230215407A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method of generating musical soun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4213856B2 (ja) エンベロープ検出装置
US6421637B1 (en) Pitch shifting apparatus and method
JP3003586B2 (ja) 音処理装置および音声処理方法
KR900002629Y1 (ko) 음향 재생장치용 잡음 제거 장치
JPH05297866A (ja) 電子楽器および電子楽器における楽音発音方法
JPH04340999A (ja) ノイズ付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