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471A - 포경 교정구 - Google Patents

포경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471A
KR20040034471A KR1020030071767A KR20030071767A KR20040034471A KR 20040034471 A KR20040034471 A KR 20040034471A KR 1020030071767 A KR1020030071767 A KR 1020030071767A KR 20030071767 A KR20030071767 A KR 20030071767A KR 20040034471 A KR20040034471 A KR 20040034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foreskin
grips
blades
tooth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588B1 (ko
Inventor
니시키 아베
Original Assignee
니시키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키 아베 filed Critical 니시키 아베
Publication of KR2004003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2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6Circumcision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장시간에 걸쳐 연속 사용해도 손이 피곤해지지 않고 포피 개구부에 다소 통증을 느끼는 정도에서 효과적으로 포피 개구부를 계속해서 넓힐 수 있어, 귀두나 포피가 다칠 위험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2개의 손잡이로 이루어진 그립(2R, 2L)을 움켜쥐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블레이드(3R, 3L)를 포경의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내부에서 포피 개구부를 넓히는 포경 교정구에서, 상기 각 그립(2R, 2L)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따라 상기 그립(2R, 2L)을 근접시키고, 상기 각 그립을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상기 그립(2R, 2L)을 떨어지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제동기구(6)를 갖추었다.

Description

포경 교정구{DEVICE FOR CORRECTING PHIMOSIS}
본 발명은 포경, 특히 진성 포경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포경 교정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페니스 전체가 포피로 덮혀 발기시에도 귀두가 전혀 노출되지 않는 진성 포경은 여분의 포피를 절제하여 포피 개구부를 넓히는 정형외과 수술에 의해 교정할 수 있지만, 그 수술비가 매우 고액인데다 수술 후의 통원비와 약값도 포함하여 금전적인 면에서의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경 수술시 포피를 너무 절제한 나머지 발기시에 그 포피가 당기거나 포피를 봉합한 곳이 켈로이드(Keloid) 상태가 되는 등 흉해지거나, 혹은 포피와 함께 성감대의 일부가 절제되거나 성감 전달신경이 손상되어 사정불능이 되는 등의 위험을 수반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수술후 2주 정도는 통증이 계속되며 그 동안 붕대를 풀 수 없기 때문에 입욕이나 방뇨도 곤란해 불편한 생활을 포경환자에게 강요하게 된다.
게다가 포경환자 중에서는 부끄러움으로 인하여 수술받기를 꺼려하여 남몰래 고민하는 사람도 많다.
포경해설서 "어린이 포경 상담실"[비특허 문헌 1 참조 : http://www.amazon.co.jp/exec/obidos/ASIN/4773356359/mamanowaigaya-22/249-6971802-7891564 (일본어)]에 따르면 진성포피는 귀두를 감싸는 포피선단의 포피륜(包皮輪)이 작은 것이 원인이며, "겸자(forceps)를 사용하여 포피륜을 넓히면 그 개구부로부터 귀두를 노출시킬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나아가 "전문의가 아니라도 쉽게 취급할 수 있는 포경 교정구가 시판되기를 바란다"라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포경환자가 스스로 진성 포경을 교정할 수 있는 포경 교정구를 제작하여 이를 환자에게 시험 사용한 결과,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각각 30분간 사용함으로써 약 2주 내지 3주 경과후 포피륜이 늘어나 그 개구부가 넓어지고 귀두가 완전히 노출되게 되었다. (특허 문헌 1 참조 :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78258호 공보)
이 포피 교정구는 2개의 손잡이로 이루어진 그립을 스프링의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켜쥐면 겸자와는 반대로 두 개의 집게다리(Jaw)가 벌어져 양 끝에 수직으로 붙어있는 한 쌍의 블레이드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핀처(pincher) 모양의 기구로, 이 한 쌍의 블레이드를 진성 포경의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그립을 움켜쥠으로써 포피륜을 늘려 내부에서 포피 개구부를 넓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 교정구를 사용할 경우, 1회당 30분이라는 장시간에 걸쳐 그립을 계속 움켜쥐고 있어야 하며, 게다가 매일 두 차례 2주 내지 3주간 계속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그립을 쥐는 손이 저리거나 피곤해지기 때문에 그러는 동안 귀찮아져 교정 효과가 나타나기 전에 사용을 중지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포피륜에 다소 통증이 느껴질 정도로 세게 움켜쥐고 있지 않으면 교정 효과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에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증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그립을 쥐는 손의 힘을 자칫 느슨하게 하기 쉬우며, 이 때문에 충분한 교정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그립을 세게 움켜쥐고 있을 때, 아차하는 사이 손이 미끄러지면 블레이드에 작용하고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블레이드가 돌발적으로 맞붙어 버려 귀두나 포피 내측이 끼여 다칠 우려가 있었다. 특히 귀두 표피는 체표(體表) 중에서도 가장 얇기 때문에 상처받기 쉽고, 또한 체표 중에서도 가장 신경이 집중되어 있는 부분의 하나이기 때문에 심한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더 나아가 세게 움켜쥐고 포피륜을 늘려 개구부를 넓히고 있을 때, 그 탄력으로 포피가 블레이드에서 미끄러지면 포피와 블레이드가 스치면서 다치거나 찢어질 우려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장시간에 걸쳐 연속 사용하더라도 손이 저리거나 피곤해지지 않고, 다소의 통증을 느끼는 정도에서 효과적으로 포피륜을 늘려 포피 개구부를 넓힐 수 있으며, 나아가 귀두와 포피가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위험을 해소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경 교정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블레이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그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굽은 톱니막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그 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그 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경 교정구2R, 2L : 그립
3R, 3L : 블레이드3a : 볼형 후크(대경부)
5 : 지점6 : 제동기구
7 : 멈춤쇠8 : 굽은 톱니막대
11 : 톱니12 : 돌기
14 : 안내홈14a : 테이퍼(taper)면
15 : 미끄럼면16 : 스토퍼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개의 손잡이로 이루어진 그립을 움켜쥐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블레이드를 포경의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내부에서 포피 개구부를 넓히는 포경 교정구에서, 상기 각 그립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따라 상기 그립을 근접시키고, 상기 각 그립을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상기 그립을 떨어지지 못하게 고정할 수있는 제동기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블레이드를 포경의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그립을 움켜쥐면 그 블레이드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그립을 움켜쥐고 근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동기구에 의해 그립이 근접하게 움직이므로 블레이드는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그 블레이드에 의해 포피륜이 늘어나 포피 개구부가 넓어진다.
그리고 블레이드로 포피 개구부를 크게 넓혔을 때 포피륜의 탄력에 의해 블레이드를 근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그립을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제동기구에 의해 그립이 떨어지지 못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그립을 움켜쥔 손의 힘을 느슨하게 하더라도 블레이드가 맞붙지는 않으며, 그립을 계속 움켜쥐고 있지 않아도 포피륜이 늘어나 포피 개구부가 크게 넓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나아가 블레이드의 선단에 원주면이 둥근 대경부(大徑部)를 형성해 두면, 포피가 블레이드에서 이탈하여 스치거나 포피 내부의 일부에만 힘이 집중되어 상처를 입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장기간 사용해도 빨갛게 스쳐서 상처를 입거나 길게 부어오르지도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경 교정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블레이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3은 그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굽은 톱니막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그 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예의 포경 교정구(1)는 2개의 손잡이로 이루어진 그립(2R, 2L)을 움켜쥐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블레이드(3R, 3L)를 포경의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포피륜을 늘려, 내부에서 포피 개구부를 넓히는 핀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그립(2R, 2L)은 선단의 각 블레이드(3R, 3L)를 수직으로 기립 형성한 집게다리(4R, 4L)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점(5)을 통하여 회전(回動)할 수 있게 조인트되어 있다.
이 지점(5)에는 그립(2R, 2L)을 벌리는 방향, 즉 블레이드(3R, 3L)가 맞붙는 방향으로 스프링(그림 미표시)이 내장되어 있다.
도 2(a)는 포경 교정구(1)를 선단측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집게다리의 선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블레이드(3R, 3L)의 선단에는 포경의 포피 개구부를 넓힐 때 포피가 블레이드(3R, 3L)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포피륜을 걸어 두는 볼형 후크(대경부; 3a)가 형성되어 있다.
볼형 후크(3a)는 거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블레이드(3R, 3L)를 맞붙였을 때에도 그 선단 및 전후 양쪽에 빈틈(3b 내지 3d)이 생겨 귀두나 포피 내부가 끼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3R, 3L) 및 볼형 후크(3a)의 원주면은 매끄러운 곡면으로 처리되어 있으며, 인체에 해가 없는 금속으로 도금 처리가 되어 있거나, 또는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넓힐 때 포피가 상처를 입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립(2R, 2L)에는 이들 그립(2R, 2L)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따라 그 그립(2R, 2L)을 근접시키고, 상기 각 그립(2R, 2L)을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그 그립(2R, 2L)을 떨어지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제동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3R, 3L)를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그립(2R 및 2L)을 움켜쥐면, 이 그립(2R, 2L)은 근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제동기구(6)에 의해 회전(回動)하게 되고, 블레이드(3R, 3L)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벌어진다. 이에 따라 포피륜이 늘어나 포피 개구부가 넓어진다.
이 때, 블레이드(3R, 3L)의 개구 간격은 귀두 노출에 필요한 4cm 내지 5cm 정도로 선정되어 있다.
또한, 늘어난 포피륜의 탄력에 의해 블레이드(3R, 3L)를 근접하는 방향(맞붙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이 작용하면, 이에 따라 그립(2R, 2L)을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작용하므로, 제동기구(6)에 의해 그립(2R, 2L)이 회전(回動)하지 못하게 고정되고, 따라서 블레이드(3R, 3L)가 맞붙지 않는다.
이 제동기구(6)는 한 쪽 그립(2R)에는 멈춤쇠(7)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 그립에는 톱니막대(8)가 설치되어, 그립(2R, 2L)끼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톱니막대(8)와 상기 멈춤쇠(7)가 맞물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이 굽은 톱니막대(8)는 그립(2L)에 핀(9)으로 요동(搖動)할 수 있게 고정함과 동시에, 스프링(1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며, 바깥 원주면에는 그립(2R 및 2L)이 벌어지는 방향[블레이드(3R, 3L)가 맞붙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멈춤쇠(7)와 맞물리는 톱니(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쪽 그립(2R)에는 굽은 톱니막대(8)의 바닥면에 접해 있는 돌기(12)가 판스프링(13)에 의해 항상 톱니막대(8)의 바닥면에 대하여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굽은 톱니막대(8)가 요동해도 돌기(12)가 항상 굽은 톱니막대(8) 아래에 위치하도록 그 요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6)가 붙어 있다.
즉, 굽은 톱니막대(8)의 화살표 B 방향의 요동각은 멈춤쇠(7)에 의해 제한되며 화살표 B 반대 방향의 요동각은 스토퍼(16)에 의해 제한된다.
그리고 굽은 톱니막대(8)의 바닥면에는 긴 변을 따라서 돌출된 상태의 상기 돌기(12)와 결합하여 톱니막대(8)와 멈춤쇠(7)를 비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안내홈(14)과, 상기 돌기(12)를 몰입상태로 유지하여 톱니막대(8)와 멈춤쇠(7)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미끄럼면(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홈(14)에 돌기(12)가 결합되어 있을 때는 톱니막대(8)가 돌기(12)에 걸리기 때문에 스프링(10)의 시계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톱니막대(8)와 멈춤쇠(7)는 비결합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돌기(12)가 그립(2R) 안으로 몰입되면 안내홈(14)과 돌기(12)의 결합이 풀려 톱니막대(8)는 스프링(10)의 시계 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멈춤쇠(7)와맞닿아 결합 상태로 유지된다.
게다가 이 돌기(12)는 블레이드(3R, 3L)의 간격에 상관없이 굽은 톱니막대(8)를 요동시켜 항상 안내홈(14)에 결합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톱니막대(8) 선단측에는 그립(2R 및 2L)이 붙었을 때 안내홈(14)과 결합하고 있던 돌기(12)를 몰입시키는 테이퍼면(14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립(2R, 2L)이 벌어졌을 때[블레이드(3R, 3L)가 맞붙었을 때] 안내홈(14)과 돌기(12)의 결합이 풀린다.
따라서 벌어진 상태의 그립(2R, 2L)을 움켜쥘 때는 돌기(12)가 톱니막대(8)의 미끄럼면(15)에 의해 그립(2R) 안에 몰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기구(6)의 멈춤쇠(7)와 굽은 톱니막대(8)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블레이드(3R, 3L)를 임의의 간격까지 넓힐 수 있다.
또한, 이를 맞붙였을 때는 굽은 톱니막대(8)를 스프링(10)의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돌기(12)가 안내홈(14)과 결합하기 때문에 굽은 톱니막대(8)와 멈춤쇠(7)가 비결합 상태로 유지되어 지점(5)에 내장된 스프링(그림 미표시)의 탄성력에 의해 그립(2R, 2L)이 벌어져 블레이드(3R, 3L)가 맞붙는다.
이상이 본 발명의 구성이며, 다음으로 그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오른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그 위에 포경 교정구(1)를 도 1과 같은 방향으로 얹어 그립(2R)을 오른손 엄지 손가락의 밑둥에 대고, 그립(2L)에는 새끼손가락 및 약지를 걸어 굽은 톱니막대(8)를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엄지 손가락 끝을 자유롭게 하여 잡는다.
그리고 먼저 도 3(a)와 같이 맞붙어 있는 블레이드(3R, 3L)를 포경의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선단의 볼형 후크(3a)에 포피륜을 건 상태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그립(2R, 2L)을 움켜쥔다.
이 때, 제동기구(6)에 의해 굽은 톱니막대(8)를 화살표 B 방향으로 당겨서 멈춤쇠(7)에 결합시킨 채 그립(2R, 2L)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3R, 3L)가 화살표 C와 같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포피륜이 늘어나 포피 개구부가 넓어진다.
그리고 어느 정도 넓힌 상태에서 손의 힘을 느슨히 하면 포피륜의 탄력에 의해 블레이드(3R, 3L)가 맞붙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이에 따라 그립(2R, 2L)을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 때, 굽은 톱니막대(8)와 멈춤쇠(7)는 결합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3(b)와 같이 그립(2R, 2L)이 회전(回動)하지 못하게 고정되며, 따라서 블레이드(3R, 3L)도 고정되어 손으로 그립(2R, 2L)을 계속 움켜쥐지 않아도 포피륜이 늘어나 포피 개구부가 넓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동기구(6)에 의해 블레이드(3R, 3L)를 개인차에 따라 최적 간격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 효과가 높다.
또한, 포피륜은 볼형 후크(3a)에 걸려 있기 때문에 넓혀질 때 포피가 블레이드(3R, 3L)에서 미끄러지지도 않는다. 그리고 볼형 후크(3a)는 거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피 내부의 일부에만 힘이 집중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장기간 사용해도 빨갛게 스쳐서 상처를 입거나 길게 부어오르지도 않는다.
그리고 이대로 30분간 방치한 후, 스프링(10)의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굽은 톱니막대(8)의 선단을 엄지손가락으로 도 3(b) 화살표 D 방향으로 눌러 굽은 톱니막대(8)의 안내홈(14)이 돌기(12)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요동시키면, 도 3(c)와 같이 굽은 톱니막대(8)와 멈춤쇠(7)의 맞물림이 풀림과 동시에 돌기(12)가 돌출하여 안내홈(14)과 결합한다.
따라서 굽은 톱니막대(8)와 멈춤쇠(7)가 비결합 상태로 유지되어 지점(5)에 내장된 스프링(그림 미표시)에 의해 그립(2R, 2L)이 화살표 F와 같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벌어짐과 동시에 블레이드(3R, 3L)가 도 3(c) 화살표 E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맞붙는다.
또한, 굽은 톱니막대(8)와 멈춤쇠(7)의 맞물림이 풀린 순간에 블레이드(3R, 3L)가 돌발적으로 맞붙는다 하더라도, 포피륜이 걸려 있는 볼형 후크(3a)는 거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선단 및 전후 양쪽에 빈틈(3b 내지 3d)이 형성되어, 따라서 귀두 표피나 포피 내면이 볼형 후크(3a)에 끼이거나 상처를 입지는 않는다.
그리고 블레이드(3R, 3L)가 완전히 맞붙으면 돌기(12)가 안내홈(14)의 선단측에 형성된 테이퍼면(14a)을 따라 그립(2R) 안으로 몰입된다.
이에 따라 돌기(12)와 안내홈(14)과의 결합이 풀리고, 굽은 톱니막대(8)가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멈춤쇠(7)와 맞물림과 동시에 돌기(12)는 미끄럼면(15)에 의해 몰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다음에 교정을 할 때는 블레이드(3R, 3L)가 완전히 맞붙고, 동시에 제동기구(6)의 멈춤쇠(7)와 굽은 톱니막대(8)가 맞물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동기구(6)의 방향 전환과 같은 조작을 할 필요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포경 교정구(1)를 포경 환자에게 시험 사용해 본 결과,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각각 30분 정도 사용함에 따라 손이 피곤해지지 않고 다소 통증을 느끼는 정도에서 효과적으로 포피륜을 늘려 포피 개구부를 넓힐 수 있어 약 2~3주 경과후 귀두가 완전히 노출되었다.
이처럼 외과적인 수술을 하지 않아도 페니스의 성장에 따라 귀두가 포피륜을 넓히는 자연 성장 과정에 매우 가까운 형태로 귀두를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수술에 따른 위험성과 생활상의 불편함 등의 부담을 환자에게 강요하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본 예에서는 지점(5)에 내장된 스프링(그림 미표시)과 제동기구(6)에 의해 블레이드(3R, 3L)의 개폐 조작을 매우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리한 힘으로 그립(2R, 2L)을 조작하다 힘이 지나쳐 귀두에 상처를 입힐 위험성도 적다.
그리고 포경 교정구(1)에 제동기구(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해서 사용 중에 돌발적으로 블레이드(3R, 3L)가 맞붙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체표(體表) 중에서도 가장 얇기 때문에 상처받기 쉽고, 신경이 집중되어 있는 부분의 하나인 귀두 표피가 다치지 않는다.
게다가 블레이드(3R, 3L)의 선단에 볼형 후크(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피가 스쳐서 상처를 입는 일이 없으며, 볼형 후크(3a) 사이에 빈틈(3b 내지 3d)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볼형 후크(3a)에 귀두가 끼여 상처를 입는 일도 없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포경 교정구의 그 외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도 1 내지 도 4와 공통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달아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의 포경 교정구(21)는 제동기구(6)의 굽은 톱니막대(22)에 긴 변을 따라서 슬릿(Slit; 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슬릿(23) 내에는 멈춤쇠(7)와 맞물리는 톱니(11)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23)은 굽은 톱니막대(22)가 요동하여 톱니(11)가 멈춤쇠(7)에 대하여 이탈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굽은 톱니막대(22)를 화살표 G 방향으로 밀면 톱니(11)와 멈춤쇠(7)가 맞물려 그립(2R, 2L)이 벌어지는 방향(블레이드가 맞붙는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으며, 굽은 톱니막대(22)를 화살표 H 방향으로 밀면 톱니(11)와 멈춤쇠(7)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그립(2R, 2L) 및 블레이드(3R, 3L)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오른손으로 그립(2R, 2L)을 움켜쥐었을 때 엄지로 굽은 톱니막대(22)의 선단을 화살표 G 및 H 방향으로 조작하여 톱니(11) 및 멈춤쇠(7)를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도 굽은 톱니막대(22)를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핀(9)에, 굽은 톱니막대(22)를 멈춤쇠(7)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그림 미표시)을 설치해 두는 편이 바람직하지만, 이 스프링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오른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그립(2R)을 오른손 엄지 손가락의 밑둥에 대고 그립(2L)에는 새끼 손가락 및 약지를걸어 굽은 톱니막대(22)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엄지 손가락 끝을 자유롭게 한 상태에서 포경 교정구(21)를 잡는다.
그리고 맞붙은 블레이드(3R, 3L)를 포경의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선단의 볼형 후크(3a)에 포피륜을 건 상태에서 화살표 A와 같이 그립(2R, 2L)을 움켜쥔다.
이 때, 그립(2R, 2L)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3R, 3L)가 화살표 C와 같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포피륜이 늘어나 포피 개구부가 넓어진다.
그리고 어느 정도 넓힌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굽은 톱니막대(22)를 화살표 G 방향으로 요동시켜 멈춤쇠(7)와 맞물리게 하면 그립(2R, 2L)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며, 따라서 블레이드(3R, 3L)도 고정되어 손으로 그립(2R, 2L)을 계속 움켜쥐지 않아도 포피륜이 늘어나 포피 개구부가 넓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동기구(6)에 의해 블레이드(3R, 3L)를 개인차에 따라 최적 간격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 효과가 높다.
그리고 이대로 30분간 방치한 후, 굽은 톱니막대(22)의 선단을 엄지 손가락으로 화살표 H 방향으로 누르면, 굽은 톱니막대(22)가 요동하여 멈춤쇠(7)와의 맞물림이 풀리기 때문에 그립(2R, 2L)이 화살표 A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떨어짐과 동시에 블레이드(3R, 3L)이 화살표 C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근접한다.
이 경우에도 블레이드(3R, 3L)의 선단에 볼형 후크(3a)를 형성해 두면, 굽은 톱니막대(22)와 멈춤쇠(7)의 맞물림이 풀린 순간에 블레이드(3R, 3L)가 돌발적으로 맞붙는 일이 있다 하더라도 귀두 표피나 포피 내면이 볼형 후크(3a)에 끼이거나 상처를 입지는 않는다.
도 6은 또 다른 그 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예의 포경 교정구(31)는 각 그립(32R, 32L)이 직경 3 내지 4 mm의 피아노선(스프링재)을 거의 U자 모양 혹은 V자 모양으로 굽힌 2개의 다리(33R, 33L)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다리(33R, 33L)의 선단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굽혀짐과 동시에, 그 교차부 보다 앞 부분은 서로 기립한 ㄱ자 모양으로 굽혀진 한 쌍의 블레이드 (34R, 34L)가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34R, 34L)의 선단에는 포경의 포피 개구부를 넓힐 때 포피가 블레이드(34R, 34L)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포피륜을 걸어 두는 볼형 후크(대경부; 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립(32R, 32L)에는 이들 그립(32R, 32L)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따라 그립(32R, 32L)을 근접시키고, 상기 각 그립(32R, 32L)을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그 그립(32R, 32L)이 떨어지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제동기구(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동기구(36)는 한 쪽 그립(32R)에는 회전할 수 있는 톱니막대(3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톱니막대(37)에는 그립(32R, 32L)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다른 쪽 그립(32L)과 맞물리는 톱니(38)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오른손 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그립(32R)을 오른손 엄지 손가락의 밑동에 대고 그립(32L)에는 새끼손가락 및 약지를 걸어 톱니막대(37)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검지 손가락을 자유롭게 한 상태에서 포경 교정구(31)를 잡는다.
그리고 맞붙은 블레이드(34R, 34L)를 포경의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선단의 볼형 후크(35)에 포피륜을 건 상태에서 화살표 J와 같이 그립(32R, 32L)을 움켜쥔다.
이 때, 그립(32R, 32L)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34R, 34L)가 화살표 K와 같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포피륜이 늘어나 포피 개구부가 넓어진다.
그리고 어느 정도 넓힌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톱니막대(37)를 화살표 M 방향으로 요동시켜 그립(32L)과 맞물리게 하면 그립(32R, 32L)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므로 그립(32R, 32L)을 움켜쥐는 손의 힘을 느슨하게 하더라도 블레이드 (34R, 34L)가 맞붙지 않으며, 포피륜이 늘어나 포피 개구부가 넓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동기구(36)에 의해 블레이드(34R, 34L)를 개인차에 따라 최적 간격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 효과가 높다.
그리고 이대로 30분간 방치한 후, 그립(32R, 32L)을 약간 움켜쥐면 그립(32L)에서 톱니(38)에 작용하는 힘이 느슨해지므로, 톱니막대(37)가 중력에 의해 화살표 M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혹은 검지 손가락으로 벗김으로써 간단하게 그립(32L)과의 맞물림이 풀린다.
이에 따라 그립(32R, 32L)이 화살표 반대 J 방향으로 회전하여 떨어짐과 동시에 블레이드(34R, 34L)가 화살표 K 반대 방향으로 근접하여 맞붙는다.
이 경우에도 블레이드(34R, 34L)의 선단에 볼형 후크(35)를 형성해 두면, 톱니막대(37)와 그립(32L)의 맞물림이 풀린 순간에 블레이드(34R, 34L)가 돌발적으로 맞붙는 일이 있다 하더라도 귀두 표피나 포피 내면이 볼형 후크(35)에 끼이거나 상처를 입지는 않는다.
또한 제동기구(6, 36)는 상기 서술의 각 실시 형태의 구조에 한하지 않으며 임의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립을 움켜쥐는 손의 힘을 느슨하게 하더라도 제동기구에 의해 블레이드를 벌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연속 사용해도 손이 저리거나 피곤해지지 않으며 다소 통증을 느끼는 정도에서 효과적으로 포피륜을 늘려 포피 개구부를 넓힐 수 있고, 또한 귀두나 포피가 다칠 위험성이 없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2개의 손잡이로 이루어진 그립을 움켜쥐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블레이드를 포경의 포피 개구부에 삽입하여 내부에서 포피 개구부를 넓히는 포경 교정구에 있어서,
    상기 각 그립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따라 상기 그립을 근접시키고, 상기 각 그립을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상기 그립을 떨어지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제동기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경 교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립은 상기 각 블레이드와 일체가 되어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回動)할 수 있게 지지되는 핀처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동기구는 한 쪽 그립에 멈춤쇠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 그립에 톱니막대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그립끼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톱니막대와 상기 멈춤쇠가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경 교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 그립에는 상기 톱니막대의 바닥면에 접하여 돌출 또는 몰입할 수있는 돌기가 돌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톱니막대 바닥면에는 긴 변을 따라서 돌출된 상태의 상기 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톱니막대와 상기 멈춤쇠를 비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안내홈과, 상기 돌기를 몰입된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톱니막대와 상기 멈춤쇠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미끄럼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막대 선단에는 상기 그립이 벌어졌을 때 상기 안내홈과 결합하고 있던 상기 돌기를 몰입시켜 상기 미끄럼면으로 이행시키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경 교정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립은 스프링재가 거의 U자 혹은 V자 모양으로 굽은 두 개의 다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양 다리의 선단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굽어짐과 동시에, 상기 교차부 보다 앞 부분은 서로 기립한 ㄱ자 모양으로 굽혀진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제동기구는 상기 한 쪽 그립에 회전할 수 있게 상기 톱니막대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그립끼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다른 쪽 그립과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경 교정구.
  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포경의 포피 개구부에 삽입했을 때 상기 포피가 상기블레이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대경부(大徑部)가 상기 블레이드 선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경부는 그 원주면이 둥글게 되어 있어 상기 블레이드를 맞붙였을 때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에 빈틈이 생기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경 교정구.
KR1020030071767A 2002-10-21 2003-10-15 포경 교정구 KR100567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6198A JP2004141188A (ja) 2002-10-21 2002-10-21 包茎矯正具
JPJP-P-2002-00306198 2002-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471A true KR20040034471A (ko) 2004-04-28
KR100567588B1 KR100567588B1 (ko) 2006-04-05

Family

ID=3228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767A KR100567588B1 (ko) 2002-10-21 2003-10-15 포경 교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098003A1 (ko)
JP (1) JP2004141188A (ko)
KR (1) KR100567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501786L (sv) * 2005-08-09 2007-02-10 Atos Medical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tracheotomi
WO2009135268A1 (en) 2008-05-09 2009-11-12 Iph001 Pty Ltd Foreskin stretching
US20100298840A1 (en) * 2009-05-22 2010-11-25 Schwartz Lyman D Phimosis Treatment Device and Method
DE102009034495A1 (de) * 2009-07-22 2011-01-27 Christian Bich Weitungs- und Dehnungsapparatur zur Behandlung von Phimose
CN103340669A (zh) * 2013-06-06 2013-10-09 常熟市亨利医疗器械有限公司 包皮切割缝合器用平衡移动器
CN110201290B (zh) * 2015-05-12 2021-08-31 苏峻良 包皮塑型套组
CN106821565B (zh) * 2017-03-05 2018-10-12 深圳市龙岗中心医院 一种儿童包茎扩张器
WO2020248021A1 (en) * 2019-06-13 2020-12-17 Iph001 Pty Ltd Balloon for expanding an orifice
JP7136516B1 (ja) * 2022-04-12 2022-09-13 春一 阿部 包茎矯正具、及び、包茎矯正具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9007A (en) * 1919-10-14 Tool for
US797541A (en) * 1905-01-12 1905-08-15 Fredrick L Walker Shoe-stretcher.
US855031A (en) * 1907-01-31 1907-05-28 Oscar Winter Piston-ring expander.
US1477786A (en) * 1923-02-15 1923-12-18 Vincent C Tillier Piston-ring-expanding tool
US1615125A (en) * 1924-03-21 1927-01-18 Victor D Lespinasse Caponizing instrument
US1978210A (en) * 1931-05-28 1934-10-23 George E Lovekin Tool
CH610710B (fr) * 1976-06-23 Far Fab Assortiments Reunies Dispositif d'extraction des boutons-poussoirs chasses dans les boitiers de montres.
US4269089A (en) * 1978-11-24 1981-05-26 Hastings Charles E Adjustable ratchet pliers
US4257406A (en) * 1979-05-18 1981-03-24 Schenk Alan G Iris retractor and pupil dilator
US4754746A (en) * 1986-09-25 1988-07-05 Cox Kenneth L Self-retaining metatarsal spreader
US5370659A (en) * 1992-04-09 1994-12-06 Olympus Optical Co., Ltd. Grasping forceps for medical treatment
US5371658A (en) * 1993-07-30 1994-12-06 Christie; Brian L. Broken light bulb base removal tool
US6400681B1 (en) * 1996-06-20 2002-06-0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the connection set up time in high speed packet switching networks
DE69840110D1 (de) * 1997-02-13 2008-11-20 Boston Scient Ltd Befestigung für Nähfaden mit Schnellkuplung
US6116124A (en) * 1997-08-12 2000-09-12 Great Neck Saw Manufacturers, Inc. Adjustable pliers
US5887495A (en) * 1997-10-24 1999-03-30 Kao; Hung-Tien Pliers
US6618359B1 (en) * 1998-10-07 2003-09-09 Nortel Networks Limited Error recovery in a mixed protocol networks
US6347565B2 (en) * 1999-01-11 2002-02-19 Hand Held Design Corporation Multi-drive specialty tool
US6279431B1 (en) * 1999-06-15 2001-08-28 Brett P. Seber Self-adjusting pliers
US6325625B1 (en) * 1999-06-28 2001-12-04 Dentsply International Inc. Dental separator and matrix stabilizing device
US6450975B1 (en) * 1999-12-30 2002-09-1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Ultrasonic transmission guide wire
US6635072B1 (en) * 2000-07-20 2003-10-21 Synthes Safety ratchet mechanism
US7117266B2 (en) * 2001-07-17 2006-10-03 Bea Systems, Inc. Method for providing user-apparent consistency in a wireless device
US6663562B2 (en) * 2001-09-14 2003-12-16 David Chang Surgical retractor
US20030233119A1 (en) * 2002-06-18 2003-12-18 Tiedemann Margie Cheryl Port deaccessor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98003A1 (en) 2004-05-20
JP2004141188A (ja) 2004-05-20
KR100567588B1 (ko)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7920A (en) Tendon sectioning support clamp
JP2013514817A (ja) 検鏡
KR100567588B1 (ko) 포경 교정구
US10076355B2 (en) Circumcision tool
US4975051A (en) Instrument for attaching and removing orthodontic elastic bands
JP2821216B2 (ja) 歯科矯正治療用結紮糸銃
KR20140102802A (ko) 치아 발치기
EP2699173B1 (en) Surgical needle holder
US6146139A (en) Forceps apparatus
JP4372005B2 (ja) 歯根ポストを有する補綴物またはインプラントの引抜き用器具類
DE602004025572D1 (de) Eine vorrichtung zum ergreifen und/oder abtrennen
JP2004524936A (ja) 抜歯用の歯科鉗子
JP3560063B2 (ja) 人口器官の体内補綴用器具
JP6436552B1 (ja) 包茎矯正具
JP7164911B1 (ja) 包茎矯正具、及び、包茎矯正具の使用方法
EP2022415A1 (en) Pressure limiting forceps
JP7136516B1 (ja) 包茎矯正具、及び、包茎矯正具の使用方法
KR101779971B1 (ko) 치아 발치용 시술기구
JP6784672B2 (ja) 装着方向表示付き外科用鉗子顎装具
KR101860905B1 (ko) 치과용 겸자
KR102230304B1 (ko) 양말 착용구
JP2008142107A (ja) 包茎矯正具
US11883253B2 (en) Tooth loosening device
CN211583365U (zh) 一种舌系带手术钳
JPH0975361A (ja) 医療用鋼製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