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053A -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053A
KR20040034053A KR1020020063993A KR20020063993A KR20040034053A KR 20040034053 A KR20040034053 A KR 20040034053A KR 1020020063993 A KR1020020063993 A KR 1020020063993A KR 20020063993 A KR20020063993 A KR 20020063993A KR 20040034053 A KR20040034053 A KR 20040034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circuit
coil
breaker
dis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광열
Original Assignee
강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광열 filed Critical 강광열
Priority to KR1020020063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4053A/ko
Publication of KR20040034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0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02H3/044Checking correct functioning of protective arrangements, e.g. by simulating a fau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Landscapes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시설비에서 중대한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 파급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장 부분을 정상구간에서 분리시키는 차단기의 동작코일 단선유무를 감지하여 차단기 동작코일이 단선된 경우 이를 외부로부터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감지회로는 전원공급부, 차단기 동작스위치부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표시부로 구분되고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를 감지하여 동작코일이 단선되는경우에 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도록 표시하는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를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 A sensor of the state of circuit Breaker operating coil }
차단기는 전기설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발전기와 전기설비와의 접속 또는 전시설비와 다른 전기설비와의 접속등을 수행하는 중요한 전기장치 중의 하나이다. 이찬단기는 전기설비에 중대한 공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조작자의 조작 또는 보호계 전기신호에 의하여 고장구간을 분리하도록 하는 동작코일이 구비되어있다. 하지만 이러한 동작스위치를 통한 차단기의 정상동작 여부검사는 그동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에만 확인할수있으므로 언제 어떻게 발생될지 모르는 차단기의 고장을 확인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이차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발생될수 있는 전기적사고에 따른 파급 효과를 생각한다면 차단기의 신뢰도는 반드시 확보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차단기는 이를 효과적으로 확인 할수 있는 방법이 없음.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를 항상 감지하여 동작코일이 단선되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도록 표시하는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음.
ㆍ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의 도면3은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는 DC 입력전원 공급부로 공급되는 전원은 저항R2, LED(발광다이오드), 차단기 동작코일(X1)에 전압이 분배되고, 저항R2, LED(발광다이오드)는 차단기 코일조작스위치 와는 병렬이지만 차단기 동작코일(X1)과는 직렬로 연결되어 동작코일(X1)이 이상이 없을시 페회로를 구성하여 저항을 통하여 순방향 발광다이오드에 미세한 전류mA가 흘러 상시 불이 켜져있고 이때 각부하단의 분배 단자전압을 측정해본 결과 저항R2에서108V, LED(발광다이오드)약2V 구동코일 X1은 mV로써평상시 LED (발광다이오드) 램프만 보고도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뮤를 진단할수 있어 차단기 동작코의 단선유무 감지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고, 이때 차단기를 투입시 차단기 조작 스위치를 눌러 차단기를 투입하더라도 순간적으로 스위치를 누르는 도안은 릴레이 접점쪽으로 전류를 흘러 차단기 동작코일을 구동시키고 조작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 및 LED는 역방향에서는 전류 전압이 저지되어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어 전혀 회로상에는 문제가 없어 이러한 성질을 이용 차단기코일의 단선유무를 확인할수 있음.
도면1, 도면2, 도면3은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의 상세 회로도 이고,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도면1.도면2.도면3)과 같이(도면1) 동작수위치 ⑪는 차단기⑩의 정상적인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로써⑪를 온하면동작코일⑫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강한 자기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되어있고 만약 정상 동작하기전 (도면1.도면2)단선표시부에 불이들어와 있으면 차단기 코일이 단선되었다는 표시이고 단선표시부가 정상이면⑮차단기 단선 SWITCH를 눌러 이상유무를 확인하면 되고 도면3은 차단기 코일이 정상일 때 단선표시부에 불이 들어오고 단선표시부 표시LAMP LED가 꺼져 있을때는 동작코일이 단선되었다고 판단⑮차단기 단선스위치를 눌러 확인 점검후 동작코일을 예비품으로 교체하는 동작코일의 단선유무감지회로 상세회로도 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전원공급부, 차단 기동작스위치, 단선표시부
RL:전원표시램프, X1:차단기코일, RY:릴레이, OL:단선표시부, R2:저항
LED:발광다이오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1, 도면2, 도면3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면1, 도면2, 도면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감지회로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 DC100V와, 차단기동작 스위치부와 상기각부와 연결된 릴레이부를 포함하여 차단기 동작 코일의 단선유무를 감지하는 단선표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부 DC100V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회로의 각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상기 전원공급부 DC100V는 일반적으로 DC100V의 전원을 감지회로에 공급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도면1, 도면2는 릴레이와 차단기 단선 확인 스위치, 차단기 동작코일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차단기 동작스위치는 릴레이와는 병렬로 회로가 구성되어 차단기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턴온하면 턴온하는 순간 릴레이는 소자되고 전전압이 차단기 동작코일에 인가되어 동작코일을 구동시키고, 상시 운전중 차단기 단선 확인 스위치를 눌러 동작코일의 이상유무룰 확인할수도 있지만 차단기 동작코일이 단선되는 경우 발광다이오드 (LED) 또는 OL(FAULT LAMP)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확인할수있으며, 단선된 동작코일을 교환함으로써 차단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ㆍ도면3은 종래의 일반적인 차단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회로로써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본 고안에 따른 감지회로는 전원 공급부 DC110V와, 차단기 동작코일 동작 스위치 부와, 차단기 동작코일이 단선 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이를 외부로부터 표시하는 동작코일 단선 표시부로 이루어지고 저항R2, LED(발광다이오드), 차단기단선 확인 스위치, 차단기 코일은 직렬로 연결되어있어 상시 LED(발광다이오드) 램프만 보고도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를 진단 할수 있어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고, 이때 차단기를 투입시 릴레이 접점과 저항R2, LED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릴레이 접점으로 전류를 흘러 차단기 동작코일을 구동시키고 순간 LED는 역방향에서는 전류, 전압이 저지되어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어 전혀 회로 상에는 문제없이 구상하였으며, 만약 차단기 운전 중 LED 램프가 꺼져있으면 이는 차단기의 동작코일X1이 단선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 단선 된 동작 코일 X1을 교환하여야 한다.
도면4는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블록 구성도 이며,
도면5는 차단기 동작코일의 턴온시 동작 순서도 임.
상술한 바와 같아,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 유무감지회로는 차단기의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키지 않고도 동작코일의 단선유무를 동작코일 단선표시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차단기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동작스위치를 통하여도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를 확인할수 있다.

Claims (3)

  1.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 동작 코일의 단선유무감지회로는 차단기 동작 스위치와는 병렬로 저항값이 큰 릴레이를 설치이용하고 차단기동작코일 및 단선확인 스위치와는 직렬로 회로를 구성하여차단기 동작 코일이 단선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이를 외부로부터 표시하는 동작코일 단선표시부로 (OL)FAULT LAMP를 설치 이용하는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감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차단기 동작코일이 단선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이를 외부로부터 표시하는 동작코일 단선표시부(OL)대신 저항과 LED(발광다이오드)를 사용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감지회로.
  3. 차단기 코일에 10㏀ 5W 저항과 LED(발광다이오드)를 직렬로설치 이용하여 동작코일(X1)이 이상이 없을시 저항을 통하여 순방향발광다이오드에 미세한전류가 흘러 상시불이켜져있어 동작코일의 단선유무를 항상감지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는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KR1020020063993A 2002-10-14 2002-10-14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KR20040034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93A KR20040034053A (ko) 2002-10-14 2002-10-14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93A KR20040034053A (ko) 2002-10-14 2002-10-14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259U Division KR200299915Y1 (ko) 2002-10-14 2002-10-14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053A true KR20040034053A (ko) 2004-04-28

Family

ID=3733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993A KR20040034053A (ko) 2002-10-14 2002-10-14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40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339B1 (ko) * 2006-08-08 2007-11-05 강광열 차단기 동작 코일 감시 장치
KR100880443B1 (ko) * 2005-01-13 2009-01-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차단기 개폐용 솔레노이드 코일 감시회로
KR20170097481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컨택터의 상태를 진단하는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82A (ja) * 1996-06-28 1998-01-16 Meidensha Corp 遮断器の操作回路
JPH1082820A (ja) * 1996-09-05 1998-03-31 Toshiba Corp 遮断器のコイル断線監視装置
KR19990032399A (ko) * 1997-10-17 1999-05-15 이종수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KR200266975Y1 (ko) * 2001-11-30 2002-03-06 한국수자원공사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82A (ja) * 1996-06-28 1998-01-16 Meidensha Corp 遮断器の操作回路
JPH1082820A (ja) * 1996-09-05 1998-03-31 Toshiba Corp 遮断器のコイル断線監視装置
KR19990032399A (ko) * 1997-10-17 1999-05-15 이종수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KR200266975Y1 (ko) * 2001-11-30 2002-03-06 한국수자원공사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443B1 (ko) * 2005-01-13 2009-01-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차단기 개폐용 솔레노이드 코일 감시회로
KR100772339B1 (ko) * 2006-08-08 2007-11-05 강광열 차단기 동작 코일 감시 장치
KR20170097481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컨택터의 상태를 진단하는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5687B (zh) 用于失效保护地断开电气负载的安全切换装置
JP4884478B2 (ja) 電気負荷のフェールセーフ切断のための安全スイッチング装置
JP4907078B2 (ja) 発光ダイオード用電気供給装置および同装置を有するランプ
KR20010090467A (ko) 전원의 역접속방지회로
JP2014091495A (ja) 短絡検知回路
US20190263335A1 (en) Switching circuit, failure detection method therefor, and control apparatus
US5406442A (en) Solid state relay
KR20040034053A (ko)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KR100482611B1 (ko) 차량의 회로 이상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0299915Y1 (ko)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US6359761B1 (en) Secondary ground fault protection
KR200342993Y1 (ko)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KR200342992Y1 (ko)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US8665576B2 (en) Fuse circuits
KR200266975Y1 (ko)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KR102352512B1 (ko) 역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역접속 누전 차단기
US7035067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il failure in an actuating solenoid of an electrical power switch
KR100442326B1 (ko) 자기진단형 안전 계전기
CN215621814U (zh) 保险装置及作业机械
JP3690573B2 (ja) 異常検出機能付き電子装置
KR20020052496A (ko) 전원공급 자동 전환장치 및 방법
KR960009899Y1 (ko) 부하제어용 릴레이의 이상유무 검출회로
CN109088543B (zh) 具有电源电路及负载的保护电路的单元
US10879891B2 (en) Power supply voltage monitoring circuit and control device
KR100340224B1 (ko) 차단기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