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399A -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399A
KR19990032399A KR1019970053433A KR19970053433A KR19990032399A KR 19990032399 A KR19990032399 A KR 19990032399A KR 1019970053433 A KR1019970053433 A KR 1019970053433A KR 19970053433 A KR19970053433 A KR 19970053433A KR 19990032399 A KR19990032399 A KR 19990032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ircuit breaker
breaker
coil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철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5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399A/ko
Publication of KR1999003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39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복수개의 푸시버튼과 차단기로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트립회로를 감시하는 감시부를 포함하여 차단기 내부의 클로징 코일(CC)과 트립코일(TC)의 단선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수의 보조계전기를 사용함으로써 배선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본 발명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배 전반에 사용되는 차단기 온(ON)/오프(OFF)회로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송,배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있어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또는 접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전류를 차단시키는 기기로서, 이와 같은 회로차단기에는 기준전압 이하일 때 회로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보조장치인 트립장치와 상기 트립장치에 정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의 온(ON)/오프(OFF) 감시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와, 상기 전원공급부(1)의 트립회로를 감시하는 트립회로 감시부(2)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는 온(ON)/오프(OFF)를 반복하는 푸시버튼(PB1)(PB2)과, 보호계전기 접점(TR)과, 차단기(CB)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기(CB)는 클로징 코일(CC) 및 트립 코일(TC)과 복수개의 보조접점(1a)(1b)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립회로 감시부(2)는 복수개의 전압으로 동작하는 제 1 및 제 2 보호계전기(RL1)(RL2)와, 상기 제 1 보호계전기(RL1)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1) 및 보조접점(2a)과, 상기 제 2 보호계전기(RL2)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2)과, 상기 클로징 코일(CC) 및 트립코일(TC)의 단선을 경보하는 경보접점(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기(CB)가 온(ON) 상태가 되면 차단기 내부의 보조접점(1a)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전원(+)이 입력되면 저항(R2)과, 제 2 보호계전기(RL2)의 코일에 전류가 통과하여 보조접점(1a)과 차단기 트립코일(TC)을 거쳐 전원(-)으로 연결되는 폐회로가 구성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제 2 보호계전기(RL2)의 접점(2a)이 닫히게 되고, 제 1 보호계전기(RL1)를 여자 시켜 경보용으로 사용되는 제 2보호계전기(RL2)의 접점(2b)을 오픈 시킨다.
그러나, 상기 차단기(CB) 내부의 트립코일(TC)의 단선이 발생하게 되면, 제 2 보호계전기(RL2)의 여자가 끊겨 제 2 보호계전기(RL2)의 접점(2a)이 오픈 되어 제 1 보호계전기(Rl1)의 외부 경보용 접점(2b)을 닫음으로써 트립코일(TC)의 단선상태를 알려준다.
또한, 상기 차단기(CB)가 오프(OFF)상태가 되면 차단기(CB) 내부의 보조접점(1a)이 오픈 되어 차단기(CB)의 트립코일(TC)이 정상이더라도 보호계전기(RL)를 여자 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제 1 보호계전기(RL1)의 코일부에 접속된 제 2 보호계전기(RL2)의 보조접점(2a)과 차단기의 보조접점(2b)을 병렬로 연결한다.
그러면,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이 입력되고, 차단기(CB) 보조접점(1b)과 제 1 보호계전기(RL1)에 전류가 흘러 저항(R1)거쳐 전원(-)라인으로 연결되는 폐회로를 구성한다.
한편, 제 2 보호계전기(RL2)가 여자 되어 제 2 보호계전기(RL2)의 접점(2b)을 오픈 시키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는 감시부를 통해 트립코일(TC)의 고장은 감지할 수 있지만, 차단기 내의 클로징 코일(CC) 감시에 적합하지 않으며, 배선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차단기 내의 클로징 코일(CC)과 트립코일(TC)의 직류 저항 차이를 보정하고, 클로징 코일(CC)과 트립코일(TC)이 혼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선을 간편하게 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부 10a,10b : 보조접점
20 : 감시부 20b : 외부 경고용접점
PB1,PB2 : 푸시버튼 TR : 보호계전기 접점
CB : 차단기 CC : 클로징 코일
TC : 트립코일
본 발명은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푸시버튼과 차단기로 구성되어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부와, 단수의 보조계전기(RL)와, 상기 보조계전기(RL)에 접속된 복수개의 저항(R1)(R2) 및 다이오드(D1)(D2)로 구성된 감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온(ON)/오프(OFF)회로 감시장치를 나타낸 회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와, 상기 전원공급부(10)의 트립회로를 감시하는 감시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0)는 차단기(CB)와, 보조계전기 접점(TR)과, 복수개의 푸시버튼(PB1)(PB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기(CB)는 클로징 코일(CC) 및 트립코일(TC)과 복수개의 보조접점(10a)(10b)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시부(20)는 단수의 보조계전기(RL)와, 상기 보조계전기(RL)에 각각 직렬로 접속된 저항(R1)(R2) 및 다이오드(D1)(D2)와, 상기 차단기(CB)내 클로징 코일(CC) 및 트립코일(TC)의 단선을 경보하는 보조계전기(RL)의 접점(2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항(R1)(R2)은 클로징 코일(CC)과 트립 코일(TC)의 직류 저항 차이를 보정하는데 사용되고, 또한 다이오드(D1)(D2)가 고장으로 파손되어 단락될 경우 클로징 코일(CC)과 트립 코일(TC)이 혼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오드(D1)(D2)는 클로징 코일(CC)과 트립 코일(TC)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단기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단기(CB)가 온(ON) 상태에서 차단기(CB)의 트립코일(TC)이 단선되지 않은 정상 상태라면, 전원(+)라인에서 보조계전기(RL)와 다이오드(D2) 및 저항(R2)을 통과하여 차단기 보조접점(10a)과 차단기 트립 코일(TC)을 거쳐 연결된 전원(-)라인으로 폐회로가 구성되어 전류가 흘러 보조계전기(RL)를 여자 시킨다.
그러면, 경보 접점인 보조계전기(RL)의 접점(20b)이 오픈된다.
한편, 차단기 트립코일(TC)이 고장나서 단선 상태이면 상기 폐회로가 구성되지 않아 보조계전기(RL)가 여자 되지 않으므로 경보 접점인 보조계전기(RL)의 접점(20b)는 닫히게 된다.
따라서, 닫힌 보조계전기(RL)의 접점(20b)에 부저(Busser)를 접속하거나 감시부로 전송하여 차단기의 트립코일(TC)에 이상상태를 알린다.
또한, 차단기가 오프(OFF) 상태일 경우에 클로징 코일(CC)이 단선되지 않은 정상 상태라면 전원(+)라인에서 전원이 입력되고 보조계전기(RL)와 다이오드(D1) 및 저항(R1)을 통과하여 차단기 보조접점(10b)과 클로징 코일(CC)을 거쳐 전원(-)라인으로 폐회로가 구성된다.
그러면, 경보접점인 보조계전기(RL)의 접점(20b)은 오픈된다.
그러나, 차단기의 클로징 코일(CC)이 고장나서 단선되면 폐회로가 구성되지 않으므로 보조계전기(RL) 또한 여자 되지 않는다.
따라서, 경보접점인 보조계전기(RL)의 접점(20b)이 닫히게 되고, 상기 보조접점(20b)을 이용하여 차단기의 클로징 코일(CC)의 이상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는 복수개의 저항 및 다이오드를 각각 클로징 코일(CC)과 트립코일(TC)에 접속함으로써 각각의 코일 단선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수의 보조계전기(RL)를 사용함으로써 배선을 단순화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트립회로를 감시하는 감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복수개의 푸시버튼(PB1)(PB2)과, 상기 푸시버튼(PB1)(PB2)에 직렬로 연결된 차단기(CB)와, 상기 푸시버튼(PB2)에 병렬로 연결된 보호계전기 접점(TR)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단수의 보조계전기(RL)와, 상기 보조계전기(RL)에 각각 직렬로 연결된 저항(R1)(R2) 및 다이오드(D1)(D2)와, 상기 차단기(CB)내 클로징 코일(CC) 및 트립코일(TC)의 단선을 경보하는 보조계전기(RL) 접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R1)(R2) 및 다이오드(D1)(D2)는 각각 차단기(CB)내 클로징 코일(CC)과 트립코일(TC)에 직렬로 접속됨으로써 각각 클로징 코일(CC) 및 트립코일(TC)의 단선을 감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KR1019970053433A 1997-10-17 1997-10-17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Ceased KR19990032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433A KR19990032399A (ko) 1997-10-17 1997-10-17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433A KR19990032399A (ko) 1997-10-17 1997-10-17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99A true KR19990032399A (ko) 1999-05-15

Family

ID=6604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433A Ceased KR19990032399A (ko) 1997-10-17 1997-10-17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3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053A (ko) * 2002-10-14 2004-04-28 강광열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KR100911734B1 (ko) * 2007-08-31 2009-08-10 한국전력공사 차단기 트립회로 이상 감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053A (ko) * 2002-10-14 2004-04-28 강광열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KR100911734B1 (ko) * 2007-08-31 2009-08-10 한국전력공사 차단기 트립회로 이상 감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2088C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gfci) end-of-life (eol) status indicator
US5546266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cause for trip indication
US6952150B2 (en) Protective device with end of life indicator
CN101305439B (zh) 用于防故障地关断电消耗装置的安全开关装置
US4853821A (en) Alternating current power sensing device for preventing start-up at power restoration
US5347418A (en) Fuse blowout detector circuit
EP1105958B1 (en) A monitor circuit for a current limiting device
KR19990032399A (ko) 차단기의 온(on)/오프(off) 회로 감시장치
US6628485B1 (en) Apparatus for limiting an electrical current
KR101541208B1 (ko) 로드 피더의 연결 단자들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들을 갖는 제어 모듈 및 로드 피더
CN101091298B (zh) 用于后备保护的总开关装置
EP1306955A2 (en) Mobile high voltage network
KR100596357B1 (ko) 누설전류 검출장치
JP5631852B2 (ja) 零相電圧監視装置、零相電圧監視機能付きの試験端子具及び零相電圧監視システム
EP0078620A1 (en) Protective circuit for control unit power supply
EP0651488A1 (en) An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JPH10336880A (ja) 過電圧検出回路
EP0890846A2 (en) The monitoring of earth leakage faults
ATE181185T1 (de) Fehlerstromschutzschalter
KR200342993Y1 (ko)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SU12692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заимной блокировки включени нагрузок
SU111912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состо ни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в сети
KR200275717Y1 (ko) 신호표시 제어기
JP4626311B2 (ja) 分電盤用機器
KR19990019539U (ko) 휴즈 단락시 자동복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06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2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