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094A - 수정 진동자의 베이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정 진동자의 베이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094A
KR20040033094A KR1020020061986A KR20020061986A KR20040033094A KR 20040033094 A KR20040033094 A KR 20040033094A KR 1020020061986 A KR1020020061986 A KR 1020020061986A KR 20020061986 A KR20020061986 A KR 20020061986A KR 20040033094 A KR20040033094 A KR 20040033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base
crystal oscillator
glass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표언
Original Assignee
제원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원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원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3094A/ko
Publication of KR2004003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
    • H03H2003/0407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21Crystal tuning forks
    • H03H9/215Crystal tuning forks consisting of quartz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전자제품 및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사용하는 수정진동자를 리드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롤형리드시트로 제작하므로써 수정 진동자를 소형화 할 수 있는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측으로는 상부로 전후방에 걸림핀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핀의 사이에는 수평선상의 안치대를 절곡하여 리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 하측으로는 절곡형성하여 전후방으로 접지리드를 형성하되 상기 접지리드의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지리드 사이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양측의 접지리드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로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리드시트의 리드가 삽입되는 리드부삽입공을 형성하여 장방형태의 글래스를 가소성하는 과정과, 상기 가소성된 글래스의 리드부가 삽입된 상태로 소성된 글래스의 하측을 연마하여 연결대를 제거하는 연마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정 진동자의 베이스 제조방법{QUARTZ CRYSTAL BAS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전자제품 및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사용하는 수정진동자를 리드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롤형리드시트로 제작하므로써 수정 진동자를 소형화 할 수 있는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정 진동자는 수정 진동편의 양측면에 전극을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도체(導體) 전극과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아 압전효과에 의해 진동되면서 안정된 주파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정 진동자는 베이스를 메탈을 재료로 하여 제조하였으나 베이스와 리드 사이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절연물질인 글래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열팬창계수가 경질유리정도로 낮은 코바르(Kovar)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의 코바르는 매탈보다는 고가이지만 수정 진동자의 소형생산이 가능하며 절연물질인 글래스와 열팽창계수가 유사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세라믹의 사용으로 수정 진동자가 더욱 소형화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세라막 수정진동자는 소형이면서도 PCB 표면실장도 가능하기는 하나 주파수의 저주파 사용용도로는 사용이 어려웠으며 제조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고 이에 반하여 메탈을 이용한 수정 진동자는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이와같은 종래 수정 진동자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리드홀, 2는 베이스, 3은 리드, 4는 글래스비드, 5는 핀, 6은 압전소자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수정 진동자는 한 쌍의 리드홀(1)이 형성된 베이스(2)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2)의 리드홀(1)에는 리드(3)를 삽입하고 상기 베이스(2)와 리드(3)가 절연상태로 되도록 상기 베이스(2)의 리드홀(1)에 글래스비드(4)를 삽입하고 상기 글래스(4)의 중앙에 리드(3)를 삽입 결합하여 리드(3)의 상단이 베이스(2)의 리드홀(1) 상단에 돌출되도록 결합한 후 글래스비드(4)를 용융하여 응고시켜 리드(3)와 베이스(2)가 절연상태로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리드(3)의 상단에는 핀(5)을 접촉시킨 후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의 핀 상측으로는 압전소자(6)을 안치시켜 전류가 인가되면 압전소자(6)가압전효과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정진동자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120단계로 베이스와 핀 및 리드의 치수를 검사하는 부품검사단계와, 제 121단계로 상기 베이스와 리드의 표면을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거칠게하는 에칭 및 수소나 증류수를 이용한 산화단계와, 제 122단계로 글래스비드에 리드를 삽입하여 조립하여 약750℃로 소결하는 1차소결단계와, 제 123단계로 시트에 연결된 핀을 상기 리드의 단부에 용접하는 핀 용접단계와, 제 124단계로 시트에 연결된 핀을 절단하는 커팅단계와, 제 125단계로 상기 핀이 용접되고 글래스비드와 고정된 리드를 베이스에 조립하는 단계와, 제 126단계로 베이스에 조립된 상태로 약 980℃온도에서 글래스비드를 용유하여 응고시키기 위한 2차 소결단계와, 제 127단계로 상기 소결결과 각 부품의 실링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 단계와, 제 128단계로 부품을 세척하는 단계와, 제 129 단계로 상기 리드와 베이스 및 핀을 니켈도금한 후 금도금을 하는 단계로 나눌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은 핀의 형상으로 인하여 수정 진동자의 높이가 높고 전체적으로 크기가 커서 초박형 저주파 수정 진동자로서는 사용이 부적합 하였으며 핀형상의 리드와 압전소자가 안치되는 핀의 용접과 조립이 번거로웠으며 각각의 형상으로 형성된 리드에 의해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핀과 리드를 일체화 시켜 핀의 용접공정이 필요없으며 수정 진동자의 높이를 낮춰 수정 진동자를 소형화 하므로써 사용범위를 확대하고 상기 리드를 대형상의 롤형으로 형성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측으로는 상부로 전후방에 걸림핀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핀의 사이에는 수평선상의 안치대를 절곡하여 리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 하측으로는 절곡형성하여 전후방으로 접지리드를 형성하되 상기 접지리드의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지리드 사이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양측의 접지리드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로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리드시트의 리드가 삽입되는 리드부삽입공을 형성하여 장방형태의 글래스를 가소성하는 과정과, 상기 가소성된 글래스의 리드부가 삽입된 상태로 소성된 글래스의 하측을 연마하여 연결대를 제거하는 연마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수정 진동자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를 나타낸 공정도,
도 3는 본 발명의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 진동자를 보인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 진동자의 리드시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는 본 발명의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 진동자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 진동자의 리드시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술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100단계로 베이스와 리드시이트의 치수를 검사하는 부품검사단계와, 제 101단계로 상기 베이스와 리드의 표면을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거칠게하는 에칭 및 수소나 증류수를 이용한 산화단계와, 제 102단계로 양측으로는 상부로 전후방에 걸림핀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핀의 사이에는 수평선상의 안치대를 절곡하여 리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 하측으로는 절곡형성하여 전후방으로 접지리드를 형성하되 상기 접지리드의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지리드 사이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양측의 접지리드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로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리드시트의 리드가 삽입되는 리드부삽입공을 형성하여 장방형태의 글래스를 가소성하는 단계와,
제 103단계로 그래스비드에 리드시트의 리드부를 삽입하여 조립하여 약750℃로 소결하는 1차소결단계와, 제 104단계로 리드시트에 연결된 리드부를 절단하는 커팅단계와, 제 105단계로 상기 리드부와 글래스가 고정된 리드부를 베이스에 조립하는 단계와, 제 106단계로 베이스에 조립된 상태로 약 980℃온도에서 글래스비드를 용유하여 응고시키기 위한 2차 소결단계와, 제107단계로 상기 소결결과 각 부품의 실링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 단계와, 제 108단계로 부품의 글래스의 하측을 연마하여 연결대를 제거하는 연마단계와, 109단계로 부품을 세척하는 단계와, 제 110 단계로 상기 리드부와 베이스를 니켈도금한 후 금도금을 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이와같은 공정을 거쳐서 생산되는 수정진동자는 도 4에 도시 된 바와같이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수정 진동자는 베이스(10)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10)는 종래와 같이 상측으로 일정한 크기의 수용홈(11)을 형성하고 양측으로는 관통공(12)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10)의 관통공(12)에 삽입되도록 리드부(20)를 형성하되 상기 리드부(20)는 양측으로 걸림핀(21)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핀(21) 사이에는 안치대(22)를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21)과 연결되며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곡되어 전후방으로 접지리드(23)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리드부(20)와 베이스(10)의 사이에는 글래스부(30)를 형성하되 상기 글래스부(30)는 걸림핀(21)과 안치대(22)가 삽입되도록 양측에 리드공(3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핀(21)과 접지리드(23)의 절곡되어 이격된 사이에 개제되어 리드부(20)와 베이스(10)를 용융 응고되어 절연상태로 고정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리드부(20)의 걸림핀(21) 사이의 안치대(22)에는 압전소자(40)를 안치시키되 상기 압전소자(40)는 리드부(20)의 접지리드(23)에 전류가 인가되면 압전효과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도록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리드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 상부로 전후방에 걸림핀(21)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핀(21)의 사이에는 수평선상으로 절곡된 안치대(22)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21) 하측으로는 절곡형성하여 전후방으로 접지리드(23)를 형성하되 상기 접지리드(23)의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접지리드(23) 사이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양측의 접지리드(23)를 연결하는연결대(25)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25)는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리드시트(200)의 롤형상으로 형성되어 절단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핀과 리드를 일체화 시켜 핀의 용접공정이 필요없으며 수정 진동자의 높이를 낮춰 수정 진동자를 소형화 하므로써 사용범위를 확대하고 상기 리드를 대형상의 롤형으로 형성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효율성을 높링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측으로는 상부로 전후방에 걸림핀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핀의 사이에는 수평선상의 안치대를 절곡하여 리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핀 하측으로는 절곡형성하여 전후방으로 접지리드를 형성하되 상기 접지리드의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지리드 사이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양측의 접지리드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로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리드시트의 리드가 삽입되는 리드부삽입공을 형성하여 장방형태의 글래스를 가소성하는 과정과,
    상기 가소성된 글래스의 리드부가 삽입된 상태로 소성된 글래스의 하측을 연마하여 연결대를 제거하는 연마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 진동자의 제조방법.
KR1020020061986A 2002-10-11 2002-10-11 수정 진동자의 베이스 제조방법 KR20040033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986A KR20040033094A (ko) 2002-10-11 2002-10-11 수정 진동자의 베이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986A KR20040033094A (ko) 2002-10-11 2002-10-11 수정 진동자의 베이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094A true KR20040033094A (ko) 2004-04-21

Family

ID=3733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986A KR20040033094A (ko) 2002-10-11 2002-10-11 수정 진동자의 베이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30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37B1 (ko) 2018-04-06 2019-08-30 오투컴(주) 증착 두께 측정장치의 센서홀더, 센서홀더의 가공툴 및 가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0769A (ja) * 1998-05-22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接合圧電基板の製造方法
KR20000006332A (ko) * 1998-06-23 2000-01-25 게르하르트 암라인, 루드비히 비르스 수정디스크공진기홀더및그제조방법
JP2000124764A (ja) * 1998-10-20 2000-04-28 Ngk Spark Plug Co Ltd 周波数濾波器に用いられる短冊状圧電共振子
JP2000216451A (ja) * 1998-11-18 2000-08-04 Ngk Spark Plug Co Ltd フィルタ用圧電素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0769A (ja) * 1998-05-22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接合圧電基板の製造方法
KR20000006332A (ko) * 1998-06-23 2000-01-25 게르하르트 암라인, 루드비히 비르스 수정디스크공진기홀더및그제조방법
JP2000124764A (ja) * 1998-10-20 2000-04-28 Ngk Spark Plug Co Ltd 周波数濾波器に用いられる短冊状圧電共振子
JP2000216451A (ja) * 1998-11-18 2000-08-04 Ngk Spark Plug Co Ltd フィルタ用圧電素子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37B1 (ko) 2018-04-06 2019-08-30 오투컴(주) 증착 두께 측정장치의 센서홀더, 센서홀더의 가공툴 및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2915A (ko) 압전 진동자, 압전 진동자의 제조 방법 및 발진기
TWI539560B (zh)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piezoelectric vibrator and oscillator
TW201222743A (en)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package, piezoelectric vibrator, and oscillator
KR20040033094A (ko) 수정 진동자의 베이스 제조방법
KR101688664B1 (ko) 패키지의 제조 방법, 압전 진동자 및 발진기
KR20030019941A (ko) 전자커넥터 제조방법
JP2009044599A (ja) ケースの製造方法、圧電振動子、発振器、電子機器、及び電波時計
JP2001267190A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部品
JP3757770B2 (ja) 成形部品とその製造方法
JP4349622B2 (ja) 薄型金属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KR200303561Y1 (ko) 수정 진동자
JP3744327B2 (ja) 成形部品の製造方法
KR20040033098A (ko) 수정 진동자
JP3471215B2 (ja) 水晶振動子
CN100471037C (zh) 压电振荡器及其制造方法
JP4162384B2 (ja) 水晶振動子
JP2005184325A (ja) 水晶振動子
JP5207753B2 (ja) 電子素子用円筒型パッケー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25617U (ja) 表面実装型振動子用の気密性器体
JP3758484B2 (ja) 成形部品の製造方法
JP2002223142A (ja) 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30191A (ja) 圧電振動子
JPS5832331Y2 (ja) 水晶ユニツト
KR100286694B1 (ko) 수정진동자
JP3692708B2 (ja) 水晶振動子用気密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サポータ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