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890A - 디지털 송신을 위해 감소된 주파수 소스를 갖는 다중대역송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송신을 위해 감소된 주파수 소스를 갖는 다중대역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890A
KR20040032890A KR10-2004-7001840A KR20047001840A KR20040032890A KR 20040032890 A KR20040032890 A KR 20040032890A KR 20047001840 A KR20047001840 A KR 20047001840A KR 20040032890 A KR20040032890 A KR 20040032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receiving
oscillation sign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프랫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디벨로프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디벨로프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디벨로프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3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8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주파수 소스를 감소시키고, 제 1 및 제 2대역에서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이중대역 송수신기를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중대역 송수신기를 작동하기 위해 필요로하는 주파수 소스의 수를 감소시키고 일반적인 송신기 및 수신기 중간주파수들을 이용함으로써, 본발명은 필터의 수를 감소시키고, 그 작동을 위해 필요로 하는 다른 부품들의 수도 감소시킨다. 이들 두개의 주파수 소스(205,210)로부터의 발진신호들은 스케일되고, 결합되고, 믹싱되며, 필터링되어서, 단지 두개의 주요 주파수 소스들이 상기 이중대역 송수신기의 송신기 및 수신기 양쪽 모두의 전단 및 후단을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송신을 위해 감소된 주파수 소스를 갖는 다중대역 송수신기 {MULTI-BAND TRANSCEIVERS WITH REDUCED FREQUENCY SOURCES FOR DIGITAL TRANSMISSIONS}
셀룰러 및 무선 통신산업이 지속적으로 그들 자체를 한정하기 때문에, 다양한 표준 및 프로토콜의 보급이 그 산업을 지속적으로 성가시게 한다. 주파수 스펙트럼의 분할에 따른 이러한 성가심은 앞으로 이중대역, 이중모드의 무선 송수신기를 필요로하게 한다.
무선전화기 장치의 몇가지 제작은 이중모드(두개 또는 그 이상의 프로토콜을 지지하는 송수신기) 및/또는 이중대역(다중 주파수 범위내에서 작동하는 송수신기)인 송수신기를 제공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들 이중대역, 이중모드 송수신기들은 본 발명에서 주장하고 있는 특별한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중대역 송수신기의 초기 버전은 양 대역에서 작동하기 위해 필용한 전자 부품들을 갖는 두개의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이것은 서로 다른 대역에서 작동하는 두개의 송수신기를 취하는 것 및 서로 등을 맞대고 그들을 테이핑하는 것과 동등한 것이었다. 부품 사용법의 비효율성, 전력소비, 및 크기는수용할 수가 없었다.
오늘날 이중대역 무선 송수신기들에 있어서, 하나의 대역의 부품들은 상기 송수신기가 두번째 대역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공유된다. 오늘날 기술에서의 하나의 키이(key)는 제 1 과 제 2 주파수 범위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발진기(주파수 소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주파수 소스의 주파수 범위는 주로 송수신기가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대역의 함수이다. 그러나, 종래기술들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 레벨까지 이중대역 송수신기에서 필요로 하는 발진기의 수를 완전하게 감소시키지 못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부품수, 특히 이중대역 송수신기에서 필요로 하는 필터들과 주파수 소스들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다중 대역 주파수 소스의 사용에 추가해서, 고정된 제 2주파수 소스가 오늘날 제공된 기술들의 몇가지 내에 이용된다. 몇개의 종래의 송신기에 있어서, 이중대역 주파수 소스는 제 1발진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제 2주파수 소스는 제 2발진 주파수 소스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 전단 및 후단에서의 모든 주된 요구를 위한 두개의 발진기를 이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신기 및 수신기 전단 및 후단을 위해 필요로하는 주파수 소스의 수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통신장비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송수신기내에서 필터 및 주파수 소스들을 감소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다이어그램(100)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필요로하는 부품 및 기능적인 블록들을 서술하는 상세 개략 다이어그램(200)이다.
본 발명은 주파수 소스 및 필터들의 감소된 수를 필요로 하면서 다중 대역에서 신호를 진행할 수 있는 송수신기이다. 이중 대역 송수신기는 송신기 및 수신기 영역의 전체 전방 및 후방 단부를 달성하기 위해 단지 두개의 주파수 소스를 필요로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주파수 소스의 감소된 수이다. 본 발명의 제 2측면은 송수신기가 주파수 대역의 증가된 수를 다룰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소스가 확장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및 전술된 측면들은 감소된 수의 부품(주파수 소스 및 필터들을 포함함) 및 비용이다.
송신 및 수신 채널들의 주파수는 상기 주파수 소스들의 옵셋(off-set)에 의해 분리된다. 제 1주파수 소스는 I 및 Q 입력을 수신하는 두개의 입력 송신기 믹서들에 공급된다. 각각의 송신기 믹서들은 개별적으로 제 1주파수 소스 출력 및 상기 입력 신호(복조식 I 및 Q 송신신호)를 결합한다. 상기 입력 송신기 믹서들의 출력은 변조된 신호(IF 송신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합산된다. IF 송신신호는 제 1대역 및 제 2대역 출력 송신기 믹서에 대한 입력이다. 또한, 상기 제 2 주파수 소스는 제 1대역 출력 송신기에 대한 직접 전기연결부를 가지며, 주파수 스케일러(scaler)를 통해 상기 제 2대역 출력 송신기 믹서에 연결된다. 만약에 상기 송신기가 제 1대역에 있다면, 상기 제 2주파수 소스 신호는 IF 송신신호와 결합되어, 상기 제 1대역에 대응하는 송신기 출력 신호(RF 송신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나, 상기 송신기가 제 2대역에서 작동하면, 스케일된 제 2주파수 소스가 제 2대역 출력 송신기에 의해 IF 송신 신호와 결합된다. 그 결과는 제 2대역에 대응하는 RF 송신 신호이다.
두개의 주파수 소스가 또한 상기 송수신기의 송신기 영역을 위해 이용된다. 만약에 상기 송수신기가 제 1대역에서 작동하면, 상기 제 1대역 입력 수신기 믹서는 상기 입력 신호(RF 수신신호)를 제 2주파수 소스 신호와 결합하여, 제 1 IF 수신신호를 얻는다. 만약에 상기 송수신기가 제 2대역에서 작동하면, 상기 제 2대역 입력 송신기 믹서는 상기 RF 수신 신호를 스케일된 제 2 주파수 소스 신호와 결합하여, 제 1 IF 수신신호를 얻는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IF 수신신호는 제 2 IF 신호를 얻기 위해 다시 다운변환(down-converted)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IF 수신신호(또는 제 2 IF수신신호)는 상기 제 1주파수 소스 신호와 결합하여, 출력 수신기 신호(복조복조신호)를 얻는다. 제 1 및/또는 제 2주파수 소스의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특정한 주파수를 얻기 위해 스케일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송수신기는 양 대역들에서 작동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및 제 2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100)이다. 하나의 대역에서 송신하고 수신하명서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신호들은 제 2대역에서 작동하면서 존재할 수 없다. 본 발명을 실행함에 있어서, 기저대역(baseband) 프로세서에 대해 이루어질 다음과 같은 임의의 가설들이 있다.
1. 기저대역은 변조기의 송신기 I 및 Q 입력을 통해서 디지털 신호 및 FM아날로그 신호 모두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들은 TDMA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디지털 변조, Ⅱ/DQPSK, GSM, 또는 8-PSK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IF 발진기가 FM 모드 동안에 직접 변조되지 않기 때문에 디지털 및 FM 아날로그 신호들 모두를 변조할 수 있는 이러한 능력은 동일한 IF 발진기로 하여금 상기 수신기와 송신기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게 한다.
2. 디지털 신호 및 FM 아날로그 신호들은 모두 기저대역에서 추가로 진행되도록 수신기 I 및 Q 출력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수신기내의 직교 복조기에서 복조된다.
3. 디지털모드에서, RF 위상동기루프(PLL: Phase Locked-Loop)는 상기 수신 및 송신 슬롯들 사이의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될 수 있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을 위해서, 상기 수신기 및 송신기는 동시에 작동하지 않고, 상기 RF PLL은 상기 주파수가 상기 수신 및 송신 슬롯 시간 주기 이전에 안정되지 않는 한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주파수 소스(105)는 상기 입력(139)에서 인가되는 인입 송신신호를 업변환(upconverting)하기 위한 발진 소스로서 사용된다. 인입 송신신호는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디지탈화된 표현이다. 제 1주파수 소스(105)는 그 신호가 후단 송신기 믹서(130)의 입력(133)에 인가되도록 전기적으로 결합된 출력(106)을 갖는다. 상기 제 1주파수 소스(105)는 인입 송신 신호의 업변환을 위해 필요한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전압 제어식 발진기(VCO) 또는 다른 주파수 소스일 수 있다. 이런 실시예의 주파수 소스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위상동기루프(PLL) 형태에 의해안정화된다.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후단 송신기 믹서(130)는 상기 제 1주파수 소스(105)로부터의 주파수와 인입 송신신호를 업변환(결합)한다.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후단 송신기 믹서(130)에 대한 입력(139)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형태는 입력상의 "I"신호와 출력상의 "Q"신호를 포함한다. 후단 송신기 믹서(130)의 출력(137)은 IF 송신신호이다. 당업자들은 IF 송신이 다운스트림 프로세싱(downdstream processing)을 위해 필요한 주파수를 얻기 위해 필터링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필터링 기술들은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고, 블록다이어그램(100)에는 서술되지 않았다. 주파수 소스에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대역을 위해 일반적인 송신 및 수신 IF 경로를 사용함으로써 요구되는 필터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후단 송신기 믹서(130)로부터의 IF 송신신호는 전단 송신기 믹서(135)의 제 1입력(145)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전단 송신기 믹서(135)는 또한 제 2 및 제 3 입력을 갖는다. 상기 전단 송신기 믹서(135)의 제 2 입력(111)은 상기 제 2주파수 소스(110)의 출력(112)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은 제 1대역에서 작동동안에 상기 전단 송신기 믹서(135)에 제 2발진 신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주파수 소스(110)는 프로그램가능하고 주파수들의 범위를 넘어서 발진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가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전단 송신기 믹서는 상기 출력(147)에서 상기 제 1대역에 대응하는 최종 송신기 주파수를 얻기위해 상기 IF 송신신호와 제 2발진신호를 결합시킨다.
본 발명이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작동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 1대역에서의 작동과 유사하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다. 후단 송신기 믹서(130)는 제 1입력(139)에서의 입력송신신호와 후단 송신기의 제 2입력(133)에서의 상기 제 1주파수 소스(105)로부터의 제 1발진신호를 결합시켜서, 상기 출력(137)에서의 IF 송신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IF 송신신호는 그 후에 상기 전단 송신기 믹서(135)의 입력(145)에 제공된다.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하면 상기 제 2주파수 소스(110)의 출력(112)은 주파수 스테일러(115)의 입력(141)까지 통과된다. 스케일러는 곱셈이나 나눗셈 인자에 따라서 스케일된 주파수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그 입력에서의 주파수를 곱하거나 나누는 장치이다. 주파수 스케일러(115)의 출력(143)에서의 신호인 스케일된 제 2 ㅂㄹ진신호는 상기 전단 송신기 믹서(135)의 입력(119)에 제공된다. 상기 전단 송신기 믹서(135)는 그 출력(147)에서 제 2대역에 대응하는 최종 송신기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스케일될 제 2발진신호와 IF 송신신호를 결합시킨다. 그런 대역에 상관없이, 상기 송수신기는 그 안에서 작동하고, 전단 송신기 믹서(135)는 입력(145)에서 동일한 IF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및 제 2대역에서 송신하는 것에 추가해서, 상기 송수신기 또한 제 1 및 제 2대역에서 수신한다.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2주파수 소스(110)는 상기 제 1대역에 대응하는 제 2발진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 2주파수 소스(110)는 상기 전단 수신기 믹서(120)의 제 1발진입력(113)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출력(112)을 갖는다.
상기 송수신기가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전단 수신기 믹서(120)는 상기 제 1발진입력(113)에서 상기 제 2주파수 소스(110)로부터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한다. RF 수신신호들은 상기 전단 수신기 믹서(120)의 RF 입력(121)에서 수신되고, 출력(123)에서 IF 수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2발진신호와 결합된다.
상기 송수신기가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2주파수 소스(110)는 상기 스케일러(115)를 통해 상기 전단 수신기 믹서(120)의 제 2 발진입력(117)에게 그것의 출력(112)에서의 발진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제 2주파수 소스(110)의 출력(112)에서의 상기 발진신호는 상기 스케일러(115)의 입력(141)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케일러(115)의 출력(143)은 상기 전단 수신기 믹서(120)의 제 2발진입력(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단 수신기 믹서(120)는 상기 제 2대역에 대응하는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고, IF 수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진신호를 RF 신호와 믹싱한다.
상기 전단 수신기 믹서(120)의 IF 출력(123)은 상기 후단 수신기 믹서(125)의 IF 수신 입력(1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만약에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한다면, 상기 후단 수신기 믹서(125)는 상기 제 2발진신호와 RF 수신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IF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유사하게, 만약에 상기 송수신기가 제 2대역에서 작동한다면, 상기 후단 수신기 믹서(125)는 상기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와 RF 수신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IF 수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IF 수신신호는 상기 IF 수신입력(127)에 대해 동일한 입력이고, 어떠한 대역이라 할지라도 상기 송수신기는 항상 작동한다.
상기 IF 입력(127)에 추가로, 상기 후단 수신기 믹서(125)는 또한 상기 제 1주파수 소스(105)의 출력(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 입력(129)을 갖는다. 그런 대역에 상관없이 상기 송수신기가 작동하고, 상기 후단 수신기 믹서(125)는 상기 IF 입력(127)에서 동일한 IF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발진입력(129)에서 상기 제 1발진신호와 결합한다. 상기 후단 수신기 믹서(125)의 출력(131)은 적절한 대역에 대응하는 복조된 수신기 신호(기저대역)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GSM, EDGE, 및 CDMA 형식을 포함하는 TDMA 이외의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알아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개략 다이어그램(200)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개략도는 송신기 경로(243), 수신기 경로(245) 및 두개의 주파수 소스(205),(210)를 포함하듯이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제 1주파수 소스(205)는 바람직하게는 위상동기루프 형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주파수 소스(205)는 주파수들의 범위에서 발진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다이어그램(200)에 도시된 송신기는 양 대역들을 위해서 동일한 송신기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를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주파수 소스(210)는 상기 주파수 소스의 튜닝(tuning) 범위를 연장하기 위해 전압 체배기(doubler)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체배기(240)는 RF 위상동기루프(239)의 출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주파수 소스(210)에 대한 제어신호로 하여금 더 큰 주파수 범위를 갖도록 한다.
도면의 상세(200)는 송신기 경로(243)와 수신기 경로(245)에 공통인 부품에 대해 토론함으로써 가장 최선이라 간주되고 있다. 공통 부품들의 토론 후에 상기송신기 경로(243)의 제 1 및 제 2대역 작동과 최종적으로 상기 수신기 경로(245)의 제 1 및 제 2대역 작동에 대한 토론이 뒤따를 것이다.
상기 제 1주파수 소스(205) 및 제 2주파수 소스(210)는 상기 송신기 경로(243) 및 상기 수신기 경로(245)에 공통이다. 상기 제 1주파수 소스(205)의 주파수는 상기 IF 위상동기루프 회로(241)에 의해 유지된다. 유사하게, 상기 제 2주파수 소스(210)의 주파수는 상기 RF 위상동기루프 회로(239)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I 및 Q 입력(기저대역)들은 상기 송신기 경로(243)에 연관된 상기 제 1송신기 믹서(209) 및 상기 제 2송신기 믹서(211)에 대한 입력들이다. 또한, 상기 제 1송신기 믹서(209) 및 상기 제 2송신기 믹서(211)는 상기 송신기 경로(243)와 연관된 제 1주파수 스케일러(207)의 입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주파수 스케일러(207)는 상기 제 1주파수 소스(205)로부터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송신기 믹서(209) 및 상기 제 2송신기 믹서(211)에게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제공한다. 당업자들은 상기 두개의 믹서들이 신호의 I 및 Q 부품들을 프로세싱하는데 있어서 표준인 바와 같이 서로로부터 90°위상 이동한 상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므로, 양 믹서들은 그들 각각의 송신기 신호를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와 결합한 것이고 그들 각각의 출력들은 합산장치(233)에서 함께 합산될 것이다.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송신기 믹서들의 합산은 IF 송신 신호를 형성한다. 상기 송수신기(200)의 작동 대역에 따라서, 상기 IF 송신 신호는 제 3송신기 믹서(213)나 제 4송신기 믹서(215)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일 것이다. 상기 제 3송신기 믹서(213) 및 제 4송신기 믹서(215)는 IF 송신 신호를 RF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 3송신기 믹서(213)와 제 4송신기 믹서(215) 양쪽 모두에 대한 제 2입력은 상기 제 2주파수 소스(210)의 출력인 제 2 발진신호이다. 상기 주파수 소스(210)는 주파수들의 범위내에서 발진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가능한 주파수 소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송수신기(200)는 편의상 제 1대역 및 제 2대역으로서 언급된, 다중 대역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I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경로는 제 3 송신기 믹서(2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3송신기 믹서(213)는 상기 IF 신호를 상기 제 2주파수 소스(210)로부터의 상기 제 2발진신호와 결합할 것이다. 상기 제 1대역에서의 작동동안에, 상기 제 4송신기 믹서(215)는 기능을 하지 못한다. 당업자들은 적절한 시기에 상기 제 4송신기 믹서(215)를 사용 못하게 할 수 있는 몇가지 일반적인 기술들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기술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았다. 상기 제 3송신기 믹서(213)의 출력(235)은 상기 제 대역에 대응하는 RF 송신신호이다. 이런 RF 신호는 전송을 위한 안테나 회로(미도시)에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만약에 상기 송수신기(200)가 제 2대역에서 작동하면, 상기 제 2주파수 소스(210)로부터의 제 2발진신호는 제 2주파수 스케일러(217)를 통해서 상기 제 4송신기 믹서(215)에 대한 입력이다. 상기 제 2주파수 스케일러(217)에 대한 입력은 상기 제 2주파수 소스(210)로부터의 제 2발진신호이다. 상기 제 2주파수 스케일러(217)의 출력은 상기 제 4송신기 믹서(215)에 대한 입력인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이다. 상기 제 4송신기 믹서(215)는 상기 IF 송신 신호를 상기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와 결합시킬 것이다. 상기 제 4송신기 믹서(215)의 출력(235)은 상기 제 2대역에 대응하는 RF 송신 신호이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대역에서 전송하는 능력에 추가해서, 상기 송수신기는 제 1 및 제 2대역에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수신기 믹서(219) 및 제 2수신기 믹서(221)는 상기 수신기 경로(245)에 위치되고, 상기 RF 를 IF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 2주파수 소스(210)는 상기 제 1 수신기 믹서(219)와 제 2 수신기 믹서(221) 양쪽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제 2 주파수 소스(210)는 제 2주파수 스케일러(217)를 통해서 상기 제 2수신기 믹서(2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수신기 믹서(219)와 제 2수신기 믹서(221) 양쪽 모두는 RF 입력(237)을 갖고, 그들 각각의 출력들은 제 3 수신기 믹서(223)의 제 1입력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송수신기(200)가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하면, 상기 제 2주파수 소스(210)는 제 2 발진신호의 출력을 갖는다. 상기 제 2발진신호는 상기 제 1수신기 믹서(219)에 대한 입력이지만, 필요하다면 상기 제 2발진신호는 스케일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수신기 믹서(219)는 제 2입력 상에서 RF 인입 신호(237)를 수신한다. 상기 제 1수신기 믹서(219)는 RF 인입신호(237)와 제 2발진신호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 1수신기 믹서(219)의 출력은 제 1수신기 IF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수신기 IF는 상기 제 3수신기 믹서(223)에 대한 입력이다.
그러나, 상기 송수신기(200)가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하면, 상기 제 2주파수 소스(210)의 출력인 제 2발진신호는 상기 제 2주파수 스케일러(217)의 입력에 연결된다. 상기 제 2주파수 스케일러(217)의 출력은 스케일된 제 2 발진신호이다. 그러므로, 상기 스케일된 제 2 발진신호는 상기 제 2수신기 믹서(221)에 대한 입력이다. 또한, 상기 제 2수신기 믹서(221)는 RF 인입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2수신기 믹서(221)는 상기 RF 인입신호와 상기 스케일된 제 2 발진신호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 2수신기 믹서(221)의 출력은 상기 제 3수신기 믹서(223)에 연결된 상기 제 1수신기 IF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 3수신기 믹서(223)에 대한 입력은 상기 제 1수신기 IF이다. 상기 송수신기(200)가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1수신기 믹서(219)는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200)가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2수신기 믹서(221)가 작동하지 않는 다는 것은 알아야만 한다.
상기 제 1수신기 IF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추가해서, 상기 제 3수신기 믹서(223)은 또한 제 3주파수 스케일러(225)를 통해서 상기 제 1주파수 소스(2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입력을 갖는다. 상기 제 1주파수 소스(205)의 상기 제 1주파수 출력은 상기 제 3주파수 스케일러(225)에 대한 입력이다. 상기 제 3주파수 스케일러(225)의 출력은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이다. 그러므로, 상기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는 상기 제 3수신기 믹서(223)의 제 2입력이다.
제 3수신기 믹서(223)는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와 제 1수신기 IF 신호를 결합시키고, 그런 대역에 상관없이 상기 송수신기(200)는 항상 작동한다. 상기 제 3수신기 믹서(223)의 출력은 상기 제 4수신기 믹서(227)와 제 5수신기 믹서(229)에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수신기 IF 이다.
상기 제 4수신기 믹서(227)와 제 5수신기 믹서(229)는 상호간에 위상차가 90°이고,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입력위상(in-phase) "I"신호와 출력위상(out-of-phase) "Q"신호의 일반적인 형태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상기 I 및 Q 배열에 대한 추가의 상세는 본원에서 생략된다.
상기 제 4수신기 믹서(227)와 제 5수신기 믹서(229)에 대한 제 2입력은 제 4주파수 스케일러(231)을 통해서 상기 제 1주파수 소스(205)로부터의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이다. 상기 제 4주파수 스케일러(231)에 대한 입력은 상기 제 1주파수 소스(205)로부터의 제 1발진신호이고, 그것의 출력은 제 4수신기 믹서9227)와 제 5수신기 믹서(229)에 대한 입력인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이다. 상기 송수신기(200)가 제 1 또는 제 2대역 중 어느 하나에서 기능을 하면, 상기 제 4수신기 믹서(227)과 상기 제 5수신기 믹서(229)는 각각 개별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 2수신기 IF(상기 제 3수신기 믹서(223)로부터 수신됨)와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상기 제 4주파수 스케일러(231)의 출력으로부터 수신됨)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 4수신기 믹서(227)와 상기 제 5수신기 믹서(229)는 상기 기저대역 프로세서(미도시)내에서 추가로 처리될 수 있는 그들 각각의 수신기 I 및 Q 출력들 상의 복조된 수신신호(기저대역)를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속한다는 것은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의해 지지되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기술된다.

Claims (30)

  1. 감소된 수의 주파수 소스를 이용함과 동시에 입력신호의 주파수 스케일링을 허용하는 다중대역 송수신기에 있어서,
    제 1발진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제 1주파수 소스;
    중간주파수(IF) 송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그리고 상기 제 1발진신호와 복조된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하며, 상기 제 1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단 송신기 믹서;
    복조된 수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그리고 상기 제 1발진신호와 IF 수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하며, 상기 제 1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단 수신기 믹서;
    상기 송수신기가 제 1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제 1대역 또는 상기 송수신기가 제 2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제 2대역에 대응할 수 있는 제 2발진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제 2주파수 소스;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제 1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상기 제 1대역에 대응하고 상기 송수신기가 제 2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제 2대역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RF) 송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발진신호와 상기 IF 송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하며, 상기 제 2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단 송신기 믹서; 및
    상기 IF 수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제 1모드에서작동할 때의 상기 제 1대역에 연관되고 상기 송수신기가 제 2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제 2대역에 연관된 RF 수신신호와 상기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하며, 상기 제 2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단 수신기 믹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전단 수신기 믹서는,
    상기 RF 수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입력 및 IF 수신출력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IF 수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RF 수신신호를 상기 제 2발진신호와 결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후단 수신기 믹서는,
    상기 제 1대역과 연관된 상기 IF 수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F 수신입력 및 복조된 수신출력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조된 수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IF 수신신호와 상기 제 1발진신호를 결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후단 송신기 믹서는,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조된 송신입력 및 IF 송신출력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IF 송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와 상기 제 1발진신호를 결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전단 송신기 믹서는,
    상기 IF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F 송신입력 및 RF 송신출력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RF 송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 1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IF 송신신호와 상기 제 2발진신호를 결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전단 수신기 믹서는,
    상기 RF 수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입력 및 IF 수신출력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IF 수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RF 수신신호와 상기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를 결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후단 수신기 믹서는,
    상기 IF 수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F 수신입력 및 복조된 수신출력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조된 수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IF 수신신호와 상기 제 1발진신호를 결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후단 송신기 믹서는,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조된 송신입력 및 IF 송신출력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IF 송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와 상기 제 1발진신호를 결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전단 송신기 믹서는,
    상기 IF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F 송신입력 및 RF 송신출력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RF 송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IF 송신신호와 상기 제 2발진신호를 결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주파수 소스가 상기 제 1 및 제 2대역에서 작동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은 셀룰러 대역이고, 상기 제 2대역은 PCS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은 GSM 대역이고, 상기 제 2대역은 DCS1800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발진기는 위상동기루프 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위상동기루프는 상기 제 2발진기의 튜닝 범위를 확장하고 노이즈비(noise ration)까지 신호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압체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기.
  14. 제 1대역 및 제 2대역에서 작동하기 위한 이중대역 수신기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이중대역 수신기는,
    제 1발진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제 1주파수 소스;
    제 2발진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제 2주파수 소스;
    인입 RF 수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수신입력,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하고 상기 제 2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진신호입력,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스케일러를 통해 상기 제 2발진신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입력, 및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2발진신호와 상기 인입 RF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IF 수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와 상기 인입 RF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상기 IF 수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중간 주파수(IF) 수신출력을 구비하는 전단 수신기 믹서; 및
    상기 IF 수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F 수신입력, 상기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하고 상기 제 1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입력, 및 상기 IF 수신신호를 상기 제 1발진신호와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복조된 수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복조된 수신출력을 구비하는 후단 수신기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대역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 1대역 및 제 2대역에서 작동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주파수 소스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 1대역 및 제 2대역에서 작동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은 셀룰러 대역이고 상기 제 2대역은 PCS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은 GSM 대역이고 상기 제 2대역은 DCS1800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19. 제 1대역 및 제 2대역에서 송신하기 위한 이중대역 송신기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이중대역 송신기는,
    제 1발진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제 1주파수 소스;
    제 2발진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제 2주파수 소스;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조된 송신입력, 상기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하고 상기 제 1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입력, 및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와 상기 제 1발진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IF 송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중간 주파수(IF) 송신출력을 구비하는 후단 송신기 믹서; 및
    IF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F 송신입력,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하고 상기 제 2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진신호입력,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하고 스케일러를 통해 상기 제 2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케일된 발진신호입력, 및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2발진신호와 상기 IF 송신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RF 송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와 상기 IF 송신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상기 RF 송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RF 송신출력을 구비하는 전단 송신기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대역 송신기는,
    상기 이중대역 송신기가 상기 제 1대역 및 제 2대역에서 작동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주파수 소스는,
    상기 이중대역 송신기가 상기 제 1대역 및 제 2대역에서 작동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은 셀룰러 대역이고 상기 제 2대역은 PCS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은 GSM 대역이고, 상기 제 2대역은 (a) DCS1800 대역; (b) 셀룰러 대역; 및 (c) PCS 대역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24. 각각 수신채널과 송신채널을 갖는 제 1대역과 제 2대역에서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이중대역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이중대역 송수신기는,
    제 1발진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제 1주파수 소스;
    상기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1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 입력과, 제 1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스케일된 발진신호출력을 구비하는 제 1주파수 스케일러;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조된 송신입력, 상기 제 1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1주파수 스케일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주파수 스케일러 입력,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와 상기 제 1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IF 송신출력을 구비하는 제 1송신기 믹서;
    복조된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조된 송신입력, 90°의 위상이동을 갖는 상기 제 1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1주파수 스케일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주파수 스케일러 입력, 및 상기 90°의 위상이동을 갖는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와 상기 제 1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IF 송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IF 송신출력을 구비하는 제 2송신기 믹서;
    상기 제 1대역과 제 2대역에서 작동하도록 프로그램가능하고 제 2발진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제 2주파수 소스;
    상기 제 1믹서와 제 2믹서로부터 상기 IF 송신신호를 합산함으로써 발생된 상기 IF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믹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IF 송신 입력,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2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입력, 및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IF 송신신호와 상기 제 2발진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RF 송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RF 송신출력을 구비하는 제 3송신기 믹서;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2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 입력과,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스케일된 발진신호출력을 구비하는 제 2주파수 스케일러; 및
    상기 제 1믹서와 제 2믹서로부터 상기 IF 송신신호를 합산함으로써 발생된 상기 IF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믹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IF 송신 입력,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2주파수 스케일러를 통해 상기 제 2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입력, 및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IF 송신신호와 상기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RF 송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RF 송신출력을 구비하는 제 4송신기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대역 송수신기는,
    RF 수신신호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수신입력,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2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입력, 및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 2발진신호를 상기 RF 수신신호와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제 1 IF 수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IF수신출력을 구비하는 제 1수신기 믹서;
    RF 수신신호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수신입력,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2스케일러에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입력, 및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할 때 상기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를 상기 RF 수신신호와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IF 수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IF수신출력을 구비하는 제 2수신기 믹서;
    상기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제 1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입력과, 제 2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출력을 구비하는 제 3주파수 스케일러;
    상기 제 2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3주파수 스케일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케일된 발진신호입력, 상기 제 1 IF 수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F 수신입력, 및 상기 제 2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와 상기 제 1 IF 수신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제 2 IF 수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IF수신출력을 구비하는 제 3수신기 믹서;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1주파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입력과, 제 3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스케일된 발진신호를 구비하는 제 4주파수 스케일러;
    상기 제 2 IF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3수신기 믹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IF입력, 상기 제 3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4주파수 스케일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입력, 및 상기 제 2 IF신호와 상기 제 3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복조된 수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복조된 수신출력을 구비하는 제 4수신기 믹서; 및
    상기 제 2 IF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3수신기 믹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IF입력, 90°위상 이동을 갖는 상기 제 3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4주파수 스케일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진신호입력, 및 상기 90°위상 이동을 갖는 상기 제 3 스케일된 제 1발진신호와 상기 제 2 IF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발생된 복조된 수신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복조된 수신출력을 구비하는 제 5수신기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제 1대역 및 제 2대역에서 작동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송수신기.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주파수 소스는 상기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제 1대역 및 제 2대역에서 작동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송수신기.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은 셀룰러 대역이고 상기 제 2대역은 PCS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송수신기.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역은 GSM 대역이고, 상기 제 2대역은 (a) DCS1800 대역; (b) 셀룰러 대역; 및 (c) PCS 대역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30. 감소된 수의 주파수 소스를 이용함과 동시에 신호의 주파수 스케일링을 허용하는 이중대역 송수신기를 작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발진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제 2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만약에 상기 이중대역 송수신기가 상기 제 1대역에서 작동하면,
    복조된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와 상기 제 1발진신호를 결합함으로써 IF송신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IF 송신신호와 상기 제 1발진신호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대역에 대응하는 RF 송신신호를 발생시키고;
    무선주파수(RF)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F 수신신호를 상기 제 2주파수 신호와 결합시킴으로써 IF 수신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IF 수신신호와 상기 제 1발진신호를 결합시킴으로써 복조된 수신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 및
    만약에 상기 이중대역 송수신기가 상기 제 2대역에서 작동하면,
    복조된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조된 송신신호와 상기 제 1발진신호를 결합시킴으로써 IF 송신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IF 송신신호와 상기 스케일된 제 2발진신호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 2대역과 연관된 RF 송신신호를 발생시키고;
    RF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주파수 신호를 스케일링함으로써 스케일된 제 2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RF 수신신호를 상기 스케일된 제 2주파수 신호와 결합시킴으로써 IF 수신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IF 수신신호와 상기 제 1발진신호를 결합함으로써 복조 수신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송수신기 작동방법.
KR10-2004-7001840A 2001-08-07 2002-08-05 디지털 송신을 위해 감소된 주파수 소스를 갖는 다중대역송수신기 KR200400328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23,978 2001-08-07
US09/923,978 US6952593B2 (en) 2001-08-07 2001-08-07 Multi-band tranceivers with reduced frequency sources for digital transmissions
PCT/US2002/024693 WO2003015300A1 (en) 2001-08-07 2002-08-05 Multi-band tranceivers with reduced frequency sources for digital transmiss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890A true KR20040032890A (ko) 2004-04-17

Family

ID=2544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840A KR20040032890A (ko) 2001-08-07 2002-08-05 디지털 송신을 위해 감소된 주파수 소스를 갖는 다중대역송수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52593B2 (ko)
EP (1) EP1415404A1 (ko)
JP (1) JP2004538709A (ko)
KR (1) KR20040032890A (ko)
CN (1) CN1539206A (ko)
WO (1) WO2003015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1729B2 (en) * 2005-07-13 2014-02-04 Creighton University Systems and techniques for minimally invasive gastrointestinal procedures
US8906040B2 (en) * 2005-07-13 2014-12-09 Creighton University Systems and techniques for minimally invasive gastrointestinal procedures
DE102006011682B4 (de) * 2006-03-14 2015-04-09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Transceiver-Schaltungsanordnung
EP2446540B1 (en) * 2009-06-23 2018-04-25 Nokia Technologies Oy Dual channel transmission
US8892159B2 (en) * 2011-05-12 2014-11-18 St-Ericsson Sa Multi-standard transceiver architecture with common balun and mixer
KR102120926B1 (ko) 2016-07-18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송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326454B2 (en) 2017-06-02 2019-06-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All-digital phase locked loop using switched capacitor voltage doubl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0342A (en) * 1996-02-16 1997-08-20 Northern Telecom Ltd Dual mode radio transceiver front end
US5881369A (en) * 1996-07-03 1999-03-09 Northern Telecom Limited Dual mode transceiver
US5794159A (en) * 1996-08-07 1998-08-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ual band mobile station employing cross-connected transmitter and receiver circuits
JP3898830B2 (ja) * 1998-03-04 2007-03-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バンド無線端末装置
US6028850A (en) * 1998-07-10 2000-02-22 Hyundai Electronics America, Inc. Wireless transceiver and frequency pl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38709A (ja) 2004-12-24
US20040152484A1 (en) 2004-08-05
US6952593B2 (en) 2005-10-04
EP1415404A1 (en) 2004-05-06
CN1539206A (zh) 2004-10-20
WO2003015300A1 (en)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804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through various radio interfaces of communication systems
US5974305A (en) Dual band architectures for mobile stations
US6269253B1 (en)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735426B1 (en) Multiple-band wireless transceiver with quadrature conversion transmitter and receiver circuits
US6754508B1 (en) Multiple-band wireless transceiver with quadrature conversion transmitter and receiver circuits
JPH07221667A (ja) デジタル無線電話機において異なる周波数の信号を発生する方法
US20060276142A1 (en) Radio equipment communicatable in two frequency bands and method for generating local oscillator signal in radio equipment
KR20050029237A (ko) 무선 송수신기 아키텍쳐 및 방법
JP200012482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集積回路
US6912376B1 (en) Mobile phone transceiver
KR20040032890A (ko) 디지털 송신을 위해 감소된 주파수 소스를 갖는 다중대역송수신기
US7239846B2 (en) Up-conversion modulation loop for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JP3010622B1 (ja) デュアルバンド送受信装置
JP2001345727A (ja) シンセサイザ及びこのシンセサイザを備えた送受信回路
KR100421960B1 (ko) 휴대폰과 무전기 기능이 혼용된 통신단말기
JP3530504B2 (ja) 無線送受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6180165A (ja) Pllシンセサイザ及びこれを用いたマルチバンド無線機
EP1257065A1 (en) Frequency synthesiser for mobile terminals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s
JP2002026762A (ja) 無線通信機
KR20020069948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수신장치
JP2000091945A (ja) 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