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537A - 지육 상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육 상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537A
KR20040032537A KR1020020061726A KR20020061726A KR20040032537A KR 20040032537 A KR20040032537 A KR 20040032537A KR 1020020061726 A KR1020020061726 A KR 1020020061726A KR 20020061726 A KR20020061726 A KR 20020061726A KR 20040032537 A KR20040032537 A KR 20040032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oading
trolley
beef
p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팔술
Original Assignee
장팔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팔술 filed Critical 장팔술
Priority to KR102002006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2537A/ko
Publication of KR2004003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5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0Loading cover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2Load-carriers, roll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8Rails or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육 상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육을 상차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레일(100)과, 상차 위치에 설치되어 냉장탑차(200)내부의 현수용 레일(210)과 연결되어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는 선로를 형성하는 상차 레일(400)과, 상기 상차 레일(400)에 설치되어 지육(510)(520)이 매달린 트롤리(300)를 상차 레일(400)상에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600)과, 상기 상차 레일(400)의 내측종단과 트롤리(300) 이송용 선로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차 레일(400)측 종단을 중심축으로 타측이 상/하 회동하여 이송레일(100)에 걸린 지육(510)(520)에 부착되는 트롤리(300)를 상차 레일(400)로 이동시키는 연결레일(700)로 구성되며, 상기 현수용 레일(210)과 상차 레일(400)에는 각각 절첩가능한 제 1,2연결부재(240)(440)가 설치되어 상차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상차레일(400)은 그 외측이 고정된 내측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 유동되면서 현수용레일(210)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트롤리(300)는 평철형 또는 파이프형 레일에 맞게 형성된 상차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지육을 트롤리에 매단상태로 용이하게 상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육 상차 시스템{beef and pork loading system on truck}
본 발명은 지육 상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육을 용이하게 차량으로 상차할 수 있도록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고기의 품질은 돼지고기의 육질과 위생적 품질수준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이러한 돼지고기의 품질은 농가에서 출하된 돼지가 수송되고 도축, 냉각, 1차가공(골발 및 부분육 생산)되어 물류과정을 거친후 소매점에서 상품화되어 소비자들의 식탁에 오를때까지 지속적으로 질적변화가 계속되고 어느 한 과정에서 잘못만으로도 우수한 육질과 안전성이 보장될 수 없는 품질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육질에 영향이 가장 큰 것은 돼지 사육단계와 농가에서 도축장까지 수송 그리고 도축장에서 계류, 방혈 및 내장꺼내기 과정까지라 할 수 있지만 도축후 도체의 냉각과정 그리고 유통과정에서도 육질변화가 계속되고 항상 오염에 노출되어 질적 저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도체의 유통과정의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축장에서 소매점 혹은 육가공공장등으로 지육을 수송하는 과정에서 냉장탑차에 도체를 적재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와 같이 도체를 적재하여 이동할 경우에는 최상부에 적재된 도체와 제일 저부에 위치된 도체사이에 온도편차가 심하여 적정 온도로 도체를 보관할 수 없으므로 육질의 변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뿐 아니라, 냉장탑차내부에 외부에서 착용하던 장화등을 신은채로 작업자가 들어가므로 냉장탑차내부의 오염이 심각하여 적재된 도체의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육질의 개선을 위하여 도체를 냉장탑차 내부에 현수하여 이동하고 있으나, 도축장에서 도체를 냉장탑차내부로 현수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도체를 들고 옮겨서 냉장탑차내부로 옮기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에서는 냉장탑차, 도축장, 소매점 또는 도매점등에 지육이송용 레일이 평철이나 파이프가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레일상을 움직이는 트롤리(Trolly)도 레일의 형상에 맞도록 도 1a및 도 1b와 같이 평철형 레일(2)에 사용되는 트롤리(4)와 도 1c및 도 1d와 같이 파이프형 레일(6)에 사용되는 트롤리(8)의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지육을 상차할 때 냉장탑차와 도축장 혹은 냉장탑차와 소매점 또는 도매점등의 레일형상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트롤리를 이동시킬수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지육을 이송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축장 등 지육의 상차가 필요한 장소에 냉장탑차의 현수레일과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된 내측을 기준으로 외측이 상/하로 유동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상차레일을 설치하고, 도축된 후 이송레일을 통하여 이송된 지육을 상차 레일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차레일과 연결되며 고정된 일측을 중심축으로 하여 타측이 상/하로 회동하면서 트롤리를 걸어서 상차레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레일을 설치하며, 냉장탑차와 상차레일에는 각각 절첩가능한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상차시에 연결부재를 펴서 서로 연결하여 트롤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트롤리는 평철형 및 파이프형 레일 모두에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지육을 용이하게 차량으로 상차할 수 있도록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
도 1a및 도 1b는 종래의 평철형 레일과 트롤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c및 도 1d는 종래의 파이프형 레일과 트롤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육 상차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육 상차 시스템의 상차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냉장탑차부분의 사시도
도 4a는 이송레일에 설치된 선로변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현수용 레일에 설치된 선로변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c는 파이프형 이송레일에 설치된 선로변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d는 파이프형 현수용 레일에 설치된 선로변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e는 선로변경장치의 걸림홈과 걸림돌기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및 도 5b는 평철형 상차레일과 현수용 레일을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c및 도 5d는 평철형 상차레일과 파이프형 현수용 레일을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가 파이프형 레일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c및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가 평철형 레일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송레일 102 : 주레일 104 : 돈육용 레일
106 : 우지육용 레일 110 : 제 2 승/하강부재 120 : 선로변경장치
200 : 냉장탑차 210 : 현수용 레일 220 : 선로변경장치
240 : 제 1연결부재 300 : 트롤리 400 : 상차 레일
510, 520 : 지육 600 : 이송수단 700 : 연결레일
710 : 제 3 승/하강부재 720 : 걸림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a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육 상차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써, 도 2a는 돈지육을 도 2b는 우지육을 상차 시키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지육 상차 시스템은 상차가 필요한 도축장 및 육가공공장등에 설치되어 도축된 지육을 상차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레일(100)과, 상차 위치에 설치되어 냉장탑차(200)내부의 현수용 레일(210)과 연결되어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는 선로를 형성하는 상차 레일(400)과, 상기 상차 레일(400)에 설치되어 지육(510)(520)이 매달린 트롤리(300)를 상차 레일(400)상에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600)과, 상기 상차 레일(400)의 내측종단과 트롤리(300) 이송용 선로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 1 승/하강부재(710)에 의하여 상차 레일(400)측 종단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이송레일(100)에 걸린 지육(510)(520)에 부착되는 트롤리(300)를 내측종단에 형성된 걸림부(720)에 걸리도록 하여 지육(510)(520)을 이송레일(100)에서 상차 레일(400)로 이동시키는 연결레일(700)로 구성되며, 그 세부적인 구조를 하기에서 도 3a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육 상차 시스템의 상차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냉장탑차부분의 사시도이다.
상기 이송레일(100)은 선로변경장치(120)에 의하여 주레일(102)의 종단이 복수개의 가지레일(이하 돈육용 레일과 우육용 레일이라 함 ; 104, 106)로 평행하게 분리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돈육용 레일(104)과 우육용 레일(106)로 분리되면 우육용 레일(106)에는 제 2 승/하강부재(110)가 설치되어 승/하강됨으로써, 우지육의 상부를 하강시켜 우지육의 상부에 걸리는 트롤리(300)가 연결레일(700)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차 레일(400)과 이송수단(600)은 후방은 위치가 고정되고 전방즉, 냉장탑차(200)측 부분은 제 3승/하강부재(610)에 의하여 상/하 이동됨으로써 냉장탑차(200)의 현수용 레일(210)높이에 따라 상차 레일(400)및 이송수단(600)의 전방부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이송수단(600)은 타원형으로 회전되는 컨베어(620)에 트롤리(300)를 밀어주는 다수개의 푸시바(630)가 이격되게 부착되어 트롤리(300)를 상차 레일(400)의 일측종단에서 타측종단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송레일(100)의 종단에는 트롤리 회수라인(108)이 더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돈육용 레일(104)종단에만 설치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제 1,2,3 승/하강부재(110)(610)(710)는 실린더 혹은 스크류잭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승/하강부재(710)와 제 2 승/하강부재(110)는 실린더를 사용하고 제 3 승/하강부재(610)는 스크류잭을 사용한다.
그리고, 냉장탑차(200)내부에는 현수된 지육들이 서로 부딛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바(230)를 설치하고, 현수용 레일(210)은 주레일(212)로부터 다수의 가지레일(214)로 나누어지고 선로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레일(100)에 설치된 선로변경장치(110)와 동일한 선로변경장치(22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도 3a및 도 3b는 도축장 및 냉장탑차내부가 평철형 레일을 사용할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이프형 레일을 사용할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주레일(102)(212)과 돈육용 레일(104), 우육용 레일(106) 및 가지레일(214)은 모두 파이프형 레일을 사용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선로변경장치(110)(220)의 구조를 도 4a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a는 평철형 이송레일에 설치된 선로변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평철형 현수용 레일에 설치된 선로변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선로변경장치(110)(220)는 주레일(102)(212)의 상부에 홈(102a)(212a)을 형성하고 이 홈(102a)(212a)에 맞게 형성된 편체(111a)(221a)가 종단에 설치된 제 1연결링크(112a)(222a)를 서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기어(113a)(113b)(223a)(223b)중 일측 기어(113a)에 연결하고, 돈육용 레일(104)과 우육용 레일(106) 및 가지레일(214)의 주레일(102)(212)과 연결되는 부분 종단에는 각각 홈(104a)(106a)(214a)을 형성하고 주레일(102)(212)에 형성된 홈(102a)(212a)과 돈육용 레일(104) 또는 우육용 레일(106)에 형성된 홈(104a)(106a)(214a)내부로 삽입되어 선로를 연결하는 다른 편체(111b)(221b)가 설치된 제 2연결링크(112b)(222b)를 상기 복수개의 기어(113a)(113b)(223a)(223b)중 타측 기어(113b)(223b)에 설치하여, 기어(113a)(113b)(223a)(223b)를 레바(114)(224)로 회전시킴으로써 선로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4c는 파이프형 이송레일에 설치된 선로변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d는 파이프형 현수용 레일에 설치된 선로변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e는 선로변경장치의 걸림홈과 걸림돌기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선로변경장치(110)(220)는 주레일(102)(212)을 돈육용 레일(104)과 우육용 레일(106) 및 가지레일(214)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간극을 갖도록 설치하고, 상기 돈육용 레일(104)과 우육용 레일(106) 및 가지레일(214)의 종단이주레일(102)(212)로부터 상기 간극만큼 이격되도록 설치하며, 걸림돌기(112c)(222c)와 걸림홈(104c)(106c)(224c)에 의하여 종단이 주레일(102)(212), 돈육용 레일(104), 우육용 레일(106), 가지레일(214)과 서로 맞물리며 손잡이(115c)(225c)가 부착된 연결파이프(116c)(226c)를 상기 주레일(102)(212)에 힌지결합하여, 손잡이(115c)(225c)를 잡고 연결파이프(116c)(226c)의 위치를 변경시키면 선로가 변경되며 이 과정에서 연결파이프(116c)(226c)의 힌지결합부에 간극을 갖게 되므로 연결파이프(116c)(226c)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과정에서 걸림홈(104c)(106c)(224c)내로 삽입된 걸림돌기(112c)(222c)가 걸림홈(104c)(106c)(224c)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그리고, 도면중 미설명부호 118c, 119c, 228c, 229c는 연결파이프(116c)(226c)가 주레일(102)(212)에 쉽게 설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연결파이프(116c)(226c)와 주레일(102)(212),돈육용 레일(104), 우육용 레일(106), 가지레일(214)사이에 걸림돌기(112c)(222c)와 걸림홈(104c)(106c)(224c)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다.
상차 레일과 현수용 레일을 연결하는 구조를 도 5a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a및 도 5b는 평철형 상차레일과 현수용 레일을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c및 도 5d는 평철형 상차레일과 파이프형 현수용 레일을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상차 레일(400)과 현수용 레일(210)사이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냉장탑차내부의 현수용 레일(210)에는 트롤리(300)가 이동될수 있도록 형성된 제 1연결부재(240)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펼쳤을 경우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는 선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차 레일(400)의 외측 종단에는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연결부재(24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 2연결부재(440)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펼쳤을 경우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는 선로가 형성되도록 하되, 이분형성하여 내측 연결부재(442)는 상차 레일(400)에 고정되도록 하고 외측 연결부재(444)는 상기 내측 연결부재(442)를 따라 인출과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1연결부재(240)의 길이에 상관없이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는 선로를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제 1연결부재(240)와 제 2연결부재(440)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제 1연결부재(240)의 종단에 걸림홈(246)을 형성하고, 제 2연결부재(440)는 내측 연결부재(442)를 다시 이분하여 서로 힌지결합하고 외측 연결부재(444)의 종단에 걸림홈(246)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돌기(446)를 형성하여, 서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1연결부재(240)와 제 2연결부재(440)를 모두 펼친상태에서 제 2연결부재(440)의 내측 연결부재(442)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들어올린 후, 외측 연결부재(444)를 제 1연결부재(240)와 맞물리도록 인출 혹은 삽입시켜 내림으로써, 걸림홈(246)내로 걸림돌기(446)가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연결부재(440)의 외측 연결부재(444)를 내측 연결부재(442)로부터 인출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외측 연결부재(444)가 내측 연결부재(442)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외측 연결부재(444)에는 장공(444b)을 형성하며, 외측 연결부재(444)가 내측 연결부재(442)로부터 적정길이로 인출 혹은 삽입되면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내측 연결부재(442)와 외측 연결부재(444)의 장공(444b)을 관통하는 볼트(442b)를 체결한다.
또한, 상기 트롤리(300)의 구성을 도 6a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a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가 파이프형 레일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c및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가 평철형 레일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종단에 행거(310)가 부착된 브라켓(320)에 설치된 축(330)의 외주로 롤러(340)가 결합된 것으로, 상기 롤러(340)는 도 6a내지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형 레일(352)에 맞물리는 파이프용 요입홈(342)이 형성됨과 아울러 파이프형 요입홈(342)중심에 평철형 레일(354)에 맞물리는 평철형 요입홈(344)을 더 형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00은 연결레일(700)과 상차 레일(400)이 설치되는 수직 포스트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육 상차 시스템을 이용한 지육의 상차 예를 살펴보되, 상차를 예로써 살펴본다.
우선, 냉장탑차(200)가 도착되면 제 3승/하강부재(610)를 구동하여 상차 레일(400)및 이송수단(600)의 전방부를 냉장탑차(200)의 현수용 레일(210)과 연결될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한다.
그리고, 제 1연결부재(240)와 제 2연결부재(440)를 모두 펼친뒤 제 2연결부재(440)의 내측 연결부재(442)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들어올린 후, 외측 연결부재(444)를 제 1연결부재(240)와 맞물리도록 인출 혹은 삽입시켜 내림으로써, 걸림홈(246)내로 걸림돌기(446)가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한다.
또한, 도축된 가축의 종류에 따라 상기 선로변경장치(110)를 조작하여 이송레일(100)의 주레일(102)이 돈육용 레일(104)혹은 우육용 레일(106)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냉장탑차(200)내부의 선로변경장치(220)를 조작하여 걸려고 하는 현수용 가지레일(214)이 주레일(212)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설정이 완료되면, 지육(510)(520)을 도축장으로부터 냉장탑차(200)내부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우선 돼지의 경우를 예로써 살펴본다.
도축되어 이송레일(100)을 통해서 이송된 돈지육(510)은 돈육용 레일(104)로 옮겨지고, 이와 같이 옮겨진 돈지육(510)에 작업자가 트롤리(300)의 행거를 끼운 후, 제 1승/하강부재(710)를 구동시켜 연결레일(700)을 하강시킴으로써 걸림부(720)가 돈지육(510)에 끼워진 트롤리(300)를 걸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가 트롤리(300)를 걸림부(720)에 걸면 상기 제 1승/하강부재(710)를 다시 상승시켜 트롤리(300)가 상차 레일(400)로 이동되도록 하는데 상차 레일(400)에서는 상기 이송수단(600)이 동작하면서 트롤리(300)를 자동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차 레일(400)의 종단으로 이송된 트롤리(300)에 걸린 돈지육(510)은 제 1및 제 2연결부재(240)(440)를 거쳐 냉장탑차(200)내부의 해당 가지레일(214)로 이송되며, 이러한 이송은 작업자가 밀어서 이루어지고, 돈육용 레일(104)에 걸려진 트롤리는 회수라인(108)을 통해서 도출장내로 회수된다.
그리고, 우지육(520)의 경우에는 연결레일(700)이후는 상기 돈지육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그 이전과정을 살펴보면 도축된 우지육(520)은 짧은 트롤리(300)에 의하여 이송레일(100)과 우육용 레일(106)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된 우지육(520)은 작업자가 하부에 트롤리(300)를 끼운 후 제 1승/하강부재(710)를 작동하여 연결레일(700)을 내려서 트롤리(300)가 걸림부(720)에 걸리도록 한 후 우지육(520)을 이분하고, 이분이 완료되면 잘려진 부분 즉, 전지(520a)는 연결레일(700)을 승강시켜 상차하고, 우육용 레일(106)에 걸린 부분 즉 후지(520b)는 제 2 승/하강부재(110)를 작동하여 우육용 레일(106)을 연결레일(700)위치로 내려서 작업자가 다른 트롤리(300)를 후지에 끼운 후 연결레일(700)의 걸림부(720)에 걸어서 상차하게 되고, 우육용 레일(106)에 걸려있는 트롤리(300)는 작업자가 회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육을 작업자가 들어서 옮기지 않고 트롤리에 걸린상태로 상차하므로 상차 작업이 용이하고, 지육이 바닥에 닿지 않으므로 위생상태가 양호함과 아울러 지육이 적재되지 않으므로 모든 지육이 동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육질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냉장탑차의 높이에 상관없이 지육을 상차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트롤리를 평철형 레일과 파이프형 레일 모두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레일 형상 불일치로 인한 상차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우지육과 돈지육의 종류에 상관없이 하나의 상차 시스템으로 지육을 상차 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지육 상차 시스템에 있어서,
    상차가 필요한 도축장 및 육가공공장등에 설치되어 도축된 지육을 상차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레일(100)과,
    상차 위치에 설치되어 냉장탑차(200)내부의 현수용 레일(210)과 연결되어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는 선로를 형성하는 상차 레일(400)과,
    상기 상차 레일(400)에 설치되어 지육(510)(520)이 매달린 트롤리(300)를 상차 레일(400)상에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600)과,
    상기 상차 레일(400)의 내측종단과 트롤리(300) 이송용 선로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 1 승/하강부재(710)에 의하여 상차 레일(400)측 종단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이송레일(100)에 걸린 지육(510)(520)에 부착되는 트롤리(300)를 내측종단에 형성된 걸림부(720)에 걸리도록 하여 지육(510)(520)을 이송레일(100)에서 상차 레일(400)로 이동시키는 연결레일(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100)은 선로변경장치(120)에 의하여 주레일(102)의 종단이 복수개의 가지레일(이하 돈육용 레일과 우육용 레일이라 함 ; 104, 106)로 평행하게 분리되며, 상기 우육용 레일(106)에는 제 2 승/하강부재(110)가 설치되어 승/하강됨으로써, 우지육의 상부를 하강시켜 우지육의 상부에 걸리는 트롤리(300)가 연결레일(700)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차 레일(400)과 이송수단(600)은 후방은 위치가 고정되고 전방 즉, 냉장탑차(200)측 부분은 제 3승/하강부재(610)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탑차(200)내부에는 현수된 지육들이 서로 부딛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바(23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용 레일(210)은 주레일(212)로부터 다수의 가지레일(214)로 나누어지고 주레일(212)과 가지레일(214)에는 선로변경장치(2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
  6.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변경장치(110)(220)는 주레일(102)(212)의 상부에 홈(102a)(212a)을 형성하고 이 홈(102a)(212a)에 맞게 형성된 편체(111a)(221a)가 종단에 설치된 제 1연결링크(112a)(222a)를 서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기어(113a)(113b)(223a)(223b)중 일측 기어(113a)에 연결하고, 돈육용 레일(104)과 우육용 레일(106) 및 가지레일(214)의 주레일(102)(212)과 연결되는 부분 종단에는 각각 홈(104a)(106a)(214a)을 형성하고 주레일(102)(212)에 형성된 홈(102a)(212a)과 돈육용 레일(104) 또는 우육용 레일(106)에 형성된 홈(104a)(106a)(214a)내부로 삽입되어 선로를 연결하는 다른 편체(111b)(221b)가 설치된 제 2연결링크(112b)(222b)를 상기 복수개의 기어(113a)(113b)(223a)(223b)중 타측 기어(113b)(223b)에 설치하여, 기어(113a)(113b)(223a)(223b)를 레바(114)(224)로 회전시킴으로써 선로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
  7.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변경장치(110)(220)는 주레일(102)(212)을 돈육용 레일(104)과 우육용 레일(106) 및 가지레일(214)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간극을 갖도록 설치하고, 상기 돈육용 레일(104)과 우육용 레일(106) 및 가지레일(214)의 종단이 주레일(102)(212)로부터 상기 간극만큼 이격되도록 설치하며, 걸림돌기(112c)(222c)와 걸림홈(104c)(106c)(224c)에 의하여 종단이 주레일(102)(212), 돈육용 레일(104), 우육용 레일(106), 가지레일(214)과 서로 맞물리며 손잡이(115c)(225c)가 부착된 연결파이프(116c)(226c)를 상기 주레일(102)(212)에 힌지결합하여, 손잡이(115c)(225c)를 잡고 연결파이프(116c)(226c)의 위치를 변경시키면 선로가 변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차 레일(400)과 현수용 레일(210)사이의 연결구조는 냉장탑차(200)내부의 현수용 레일(210)에는 트롤리(3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연결부재(240)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펼쳤을 경우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는 선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차 레일(400)의 외측 종단에는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연결부재(24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 2연결부재(440)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펼쳤을 경우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는 선로가 형성되도록 하되, 이분형성하여 내측 연결부재(442)는 상차 레일(400)에 고정되도록 하고 외측 연결부재(444)는 상기 내측 연결부재(442)를 따라 인출과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1연결부재(240)의 길이에 상관없이 트롤리(300)가 이동할 수 있는 선로를 형성하도록 하되, 제 1연결부재(240)와 제 2연결부재(440)는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300)는 종단에 행거(310)가 부착된 브라켓(320)에 설치된 축(330)의 외주로 롤러(340)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340)에는 파이프형 레일(352)에 맞물리는 파이프용 요입홈(342)이 형성됨과 아울러 파이프형 요입홈(342)중심에 평철형 레일(354)에 맞물리는 평철형 요입홈(3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육 상차 시스템.
KR1020020061726A 2002-10-10 2002-10-10 지육 상차 시스템 KR20040032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26A KR20040032537A (ko) 2002-10-10 2002-10-10 지육 상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26A KR20040032537A (ko) 2002-10-10 2002-10-10 지육 상차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238U Division KR200299749Y1 (ko) 2002-10-10 2002-10-10 지육 상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537A true KR20040032537A (ko) 2004-04-17

Family

ID=3733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726A KR20040032537A (ko) 2002-10-10 2002-10-10 지육 상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25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538A (ko) * 2020-06-02 2021-12-09 (주)한국육류연구소 가축 도체 상차용 로딩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21112U (ko) * 1987-05-29 1988-12-23 함상원 도축용 셔클 트롤리
US4944227A (en) * 1987-02-20 1990-07-31 Alfa-Laval Agri Scandinavia A/S Rail transportation system with switches
JPH03124618A (ja) * 1989-10-04 1991-05-28 Honda Motor Co Ltd ハンガ搬送装置
JPH0428607A (ja) * 1990-05-22 1992-01-31 Juki Corp 搬送装置における路線切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644U (ja) * 1993-10-21 1996-04-16 東京食肉市場株式会社 パン型車両等における懸垂枝肉の移し替え装置
JPH08277027A (ja) * 1995-04-05 1996-10-22 Nippon Steel Kk 衣類分配装置
JPH08310290A (ja) * 1995-05-19 1996-11-26 Tomoe Tekko:Kk 自動車の食肉吊り下げ式荷台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227A (en) * 1987-02-20 1990-07-31 Alfa-Laval Agri Scandinavia A/S Rail transportation system with switches
KR880021112U (ko) * 1987-05-29 1988-12-23 함상원 도축용 셔클 트롤리
JPH03124618A (ja) * 1989-10-04 1991-05-28 Honda Motor Co Ltd ハンガ搬送装置
JPH0428607A (ja) * 1990-05-22 1992-01-31 Juki Corp 搬送装置における路線切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644U (ja) * 1993-10-21 1996-04-16 東京食肉市場株式会社 パン型車両等における懸垂枝肉の移し替え装置
JPH08277027A (ja) * 1995-04-05 1996-10-22 Nippon Steel Kk 衣類分配装置
JPH08310290A (ja) * 1995-05-19 1996-11-26 Tomoe Tekko:Kk 自動車の食肉吊り下げ式荷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538A (ko) * 2020-06-02 2021-12-09 (주)한국육류연구소 가축 도체 상차용 로딩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4230A (en) Food processing system with simplified loading and transfer
US5487700A (en) Poultry shackle with rotatable stirrups
EP1205111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ultry carcasses
US3533495A (en) Apparatus for handling wieners and the like
US20020090905A1 (en) Telescopic poultry shackle
EP0916264A1 (en) Shackle for supporting poultry
US8882571B2 (en) Method of deboning animal thigh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meat therefro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4838036A (en) Carcass conveyor for chilling chamber
KR200299749Y1 (ko) 지육 상차 시스템
KR20040032537A (ko) 지육 상차 시스템
CN113766834A (zh) 悬吊式轨道运输系统
AU683432B2 (en) Carcass deboning
GB24646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carcasses from gambrels
CN113277285B (zh) 一种自动化进货输送设备
KR200154183Y1 (ko) 도축용 샤클
GB2277245A (en) "Carcass Deboning"
CN208761704U (zh) 链条输送式自动倒瓶机
JP2567617Y2 (ja) バン型車両等における懸垂枝肉の移し替え装置
CN101104412A (zh) 一种猪保定车
US3732971A (en) Conveying system for use in smoke houses and the like
KR102651272B1 (ko) 돈육 정형 가공방법에 사용되는 반송부
EP0432338B1 (en) An automatic device for lifting, rotating and unloading clothes hangers, capable of operating between two overhead clothing conveyor systems installed side by side
CN220174318U (zh) 一种腌腊制品生产用腊肠悬挂架
EP2700319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arrying out poultry slaughter
CN115530214B (zh) 一种生猪屠宰流水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