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521A -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 - Google Patents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521A
KR20040032521A KR1020020061707A KR20020061707A KR20040032521A KR 20040032521 A KR20040032521 A KR 20040032521A KR 1020020061707 A KR1020020061707 A KR 1020020061707A KR 20020061707 A KR20020061707 A KR 20020061707A KR 20040032521 A KR20040032521 A KR 20040032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igh temperature
temperature regenerator
absorp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566B1 (ko
Inventor
김익생
김균석
김도형
김춘동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566B1/ko
Priority to US10/681,717 priority patent/US6817210B1/en
Priority to JP2003351192A priority patent/JP3896355B2/ja
Publication of KR2004003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25Liquid transfe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08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 multi-stag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3/00Boilers; Analysers; Rect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5/00Sorption refrigeration cycles or details thereof
    • F25B2315/002Generator absorber heat exchanger [GA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식 냉온수기의 가열장치로서 혼합식 표면연소장치를 사용한 고온재생기에 관한 것으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기실(35)과, 상기 혼합기실(35)로부터 병열 분기되어 연결된 연소챔버(46,46)와, 상기 연소챔버(46,46)와의 사이에 표면연소플레이트(37,37)를 개재하여 직결된 연소실(39,39)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Combustive region improved slim desorber}
본 발명은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온재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장치로서 혼합식 표면연소장치를 사용한 고온재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온재생기를 갖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전체적인 개략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식 냉온수기가 운전되면, 고온재생기(4)내에 수용된 버너(5)에서 연료가 연소된다. 이때 하부동체(1)내의 흡수기(3)로부터 흡수액 펌프(19)에 의해 흘러온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흡수용액)이 가열되어 비등되고 냉매증기가 희석흡수액에서 분리하여 희석흡수액은 농축된다.
여기서 냉매증기는 냉매증기관(13)을 거쳐서 상부동체(10)의 저온재생기(11)로 흐른다. 저온재생기(11)에서는 고온재생기(4)로부터 중간흡수액을 가열하여 응축한 냉매액이 응축기(12)로 흐른다. 응축기(12)에서는 저온재생기(11)에서 흘러들어온 냉매증기가 응축하여 저온재생기(11)로부터 흘러들어와 냉매액과 함께 증발기(2)로 유하한다.
증발기(2)에서는 냉매펌프(18)의 운전에 의해서 냉매액이 산포된다. 이 산포에 의해 냉각되어 온도가 저하한 냉수(21)가 부하에 공급된다.
한편, 고온재생기(4)에서 냉매증기가 분리되어 농도가 상승한 중간흡수액은 중간흡수액관(23), 고온열교환기(8), 중간흡수액관(25)을 거쳐서 저온재생기(11)로 흐른다. 증간흡수액은 고온재생기(4)로부터의 냉매증기가 흐르고 있는 가열기(14)에 의해서 가열된다. 따라서 중간흡수액으로부터 냉매증기가 분리하여 흡수액의 농도는 더욱 상승한다.
저온재생기(11)에서 가열 응축된 농축흡수액은 응축흡수관(26)으로 유입하여 저온열교환기(7)를 거쳐서 흡수기(3)로 흘러 산포장치(30)에서 냉각수관(29)에 적하한다. 그리고 증발기(2)를 경유하여 들어오는 냉매증기를 흡수하여 냉매농도가 높아진다. 냉매농도가 높아진 흡수액은 흡수액펌프(19)의 구동력에 의하여 저온열교환기(7) 및 고온열교환기(8)에서 예열되어 고온재생기(4)로 유입한다.
다른 한편, 고온재생기(4)는 버너(5)로 공급되는 연료(31)와 송풍기(33)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된다. 연료와 공기는 도 2a 내지 도 3b와 같이 혼합기실(35)에서 미리 혼합되어 혼합기가 된다. 이 혼합기는 혼합기실 하류에 설치된표면연소 플레이트(37)에서 발회되어 연소실(39)에서 화염이 형성된다. 고온재생기(4)에서 유입된 흡수액은 연소실(39) 둘레의 관벽(41)과 액관군(43)의 내부에서 대류하며 가열되어 수증기가 분리되고 농도가 진해져 고온재생기(4)를 빠져나간다.
여기서 도 2a,2b는 종래의 일단 액관식 흡수식 고온재생기의 정면도 일측면도이고, 도 3a,3b는 종래의 이단 액관식 흡수식 고온재생기의 정면도 일측면도이다.
미설명부호 '41'은 연소실(39,39)의 주변의 관벽이고, '47'은 흡수액입구이고, '48'은 냉매증기 출구이고, '49'는 엘리머네이터이고, '50'은 흡수액출구이다.
이러한 흡수식 냉온수기에서는 아주 적은 부하가 필요할 때가 존재하는 반면, 종래의 고온재생기에서는 연소영역의 최소한계가 존재하여 흡수식 냉온수기의 운전부하의 최소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흡수식 냉온수기의 부하는 날씨와 낮밤의 시간 등에 의해서 많이 변하게 된다. 이에 부하가 자주 변동이 되면 전체적인 효율 및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따라서 보통의 경우는 조금 더 비용을 들여 여러 대의 흡수식 냉온수기를 병렬로 가동하여 이런 부하 변동에 대응을 한다. 예로, 200RT의 용량이 필요할 경우 가격이 반이 넘는 100RT 두 대를 구입하여 가동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고온재생기가 흡수식 냉온수기의 상하동 바로 옆에 위치하므로 흡수식 냉온수기의 상하동 보다 작은 고온재생기의 높이나 길이는 전체 크기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반면, 고온재생기의 폭이 전체 크기에 큰 영향을 준다. 종래의 고온재생기는연소실의 높이가 일정 수준을 넘을 수 없다. 그 이유는 연소실의 높이가 너무 클 때에 비등시 생기는 수증기가 흡수액 상단으로 올라가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흡수액에 비해 많이 모여 흡수액과 연소가스 사이의 열전달을 저해하고 과열부위를 생성하여 부식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소실의 높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고온재생기는 폭이 비교적 커질 수밖에 없어 전체 흡수식 냉온수기 시스템의 폭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온재생기의 최소 부하를 감소시키고 그 폭을 현저히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1b는 본 발명의 흡수식 고온재생기의 정면도 및 일측면도.
도 2a,2b는 종래의 일단 액관식 흡수식 고온재생기의 정면도 일측면도.
도 3a,3b는 종래의 이단 액관식 흡수식 고온재생기의 정면도 일측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이중효용 흡수식 냉온수기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고온재생기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고온재생기는 도 1a,1b와 같이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기실(35)이 일측에 구비된다. 이 혼합기실(35)은 도 4의 연료(31)와 송풍기(33)에 의한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상기 혼합기실(35)에는 2개의 분기관로(44,44)가 연결되어 있고, 이 분기관로(44,44)의 시작 분기부와 각 종단 분기부에는 혼합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45,45,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기관로(44,44)의 종단에는 각기 연소챔버(46,46)가 위치하고 있고, 상기 연소챔버(46,46)에는 연소실(39,39)이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소챔버가 2개 구성되어 각 분기관로에 1개씩 연결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갯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소챔버(46,46)와 각 연소실(39,39)과의 사이에는 표면연소 플레이트(37,37)가 각기 개재되어 있고, 이 표면연소플레이트(37,37)는 한 장 또는 여러장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연소실(39,39)내에는 액관군(43)이 종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액관군(43)이 1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3b와 같이 다수개를 지그재그로 배열시킬 수 있다.
상기 연소실(39,39)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재생기의 실질적인 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3개의 밸브(45,45,45)를 설치하였으나 최전단의 밸브를 제거하고 최종단의 밸브 2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설명부호 '41'은 연소실(39,39)의 주변의 관벽이고, '47'은 흡수액입구이고, '48'은 냉매증기 출구이고, '49'는 엘리머네이터이고, '50'은 흡수액출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혼합기실(35)에서 혼합된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는 분기관로(44,44)를 경유하여 연소챔버(46,46) 및 연소실(39,39)로 흐르게 된다. 이때 혼합기의 유량은 밸브(45,45,45)의 조작으로 조절된다.
3개의 밸브(45,45,45)를 사용하여 두 연소실(39,39)로 흐르는 혼합기량을 제어하게 되면 저부하시 한쪽 연소실(39)에서만 연소를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수식 고온재생기의 부분 부하 특성을 좋게 만들 수 있다.
혼합기실(35)에서 미리 혼합된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는 표면연소플레이트(37)를 지나면서 발화되며 연소실(39)내에서 화염을 생성하게 된다.
화염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액관군(43) 및 관벽(41)내의 흡수액과 열전달을 이루어 흡수액을 비등시켜 준다. 이때 발생된 수증기는 엘리머네이터(49)를 거쳐 액과 분리된 후 수증기출구(48)를 통해 저온재생기로 공급된다.
한편, 흡수액입구(47)로는 흡수기의 묽은 흡수액이 공급되어 고온재생기의 상단에 뿌려지게 되며, 흡수액 출구(50)에서는 수증기가 분리되어 진해진 흡수액이 빠져나가 저온재생기로 공급된다.
실질적으로 50RT 일단 액관식 흡수기 고온재생기에 비해 그 폭을 520㎜에서 321㎜로 줄여 약 62%로 축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RT 이단 액관식 흡수기 고온재생기에 비해 그 폭을 556㎜에서 321㎜로 줄여 약 58%로 축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흡수식 냉온수기 전체 시스템에서 볼 때에, 종래 1단 고온재생기 도입 시스템 대비 폭과 부피를 86%로 축소시키고, 상용 2단 고온재생기 도입 시스템대비 폭과 부피를 84%로 축소시킨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밸브(45)로 연소영역의 연소량을 가변시킬 수 있어 최소 부하를 50%로 축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소챔버, 표면연소 플레이트, 연소실을 각각 2개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에 따르면, 그 폭을 대략 반이상 줄일 수 있어 시스템 전체를 콤팩트화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연소실을 개별적으로 연소 제어할 수 있어 부분 부하특성을 좋게 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온재생기에 있어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기실(35)과;
    상기 혼합기실(35)로부터 병렬 분기되어 연결된 2개 이상의 연소챔버(46,46)와;
    상기 연소챔버(46,46)와 직결된 2개 이상의 연소실(39,39);
    상기 연소챔버와 상기 연소실 사이에 개재된 표면연소플레이트(37,37)를 포함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고온재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39,39)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고온재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실(35)과 상기 연소챔버(46,46)와의 각 분기관로에 밸브(45,45,45)가 추가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고온 재생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39,39)내에 다수의 액관(43)군이 입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흡수식 고온 재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연소플레이트(37,37)는 한 장 또는 2장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고온 재생기.
KR10-2002-0061707A 2002-10-10 2002-10-10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 KR100473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07A KR100473566B1 (ko) 2002-10-10 2002-10-10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
US10/681,717 US6817210B1 (en) 2002-10-10 2003-10-08 Absorptive high temperature desorber having mechanically narrow width of combustion area and absorption chiller-heater using the same
JP2003351192A JP3896355B2 (ja) 2002-10-10 2003-10-09 機構的に燃焼領域の幅が狭い吸収式高温再生器と、これを用いた吸収式冷温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07A KR100473566B1 (ko) 2002-10-10 2002-10-10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521A true KR20040032521A (ko) 2004-04-17
KR100473566B1 KR100473566B1 (ko) 2005-03-08

Family

ID=3229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707A KR100473566B1 (ko) 2002-10-10 2002-10-10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17210B1 (ko)
JP (1) JP3896355B2 (ko)
KR (1) KR100473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0441A (ja) * 2007-03-07 2010-06-10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ニュー オーリンズ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ファウンデイ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型冷却熱電併給システム
US8631660B2 (en) * 2011-03-23 2014-01-21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system with vapor absorption chill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2207A (en) * 1987-06-12 1990-02-20 Recovery Engineering, Inc. Energy recovery apparatus
US5097676A (en) * 1990-10-24 1992-03-24 Erickson Donald C Vapor exchange duplex GAX absorption cycle
JP3078364B2 (ja) 1991-08-28 2000-08-21 川重冷熱工業株式会社 吸収冷温水機における高温度温水取出装置
JP3593268B2 (ja) 1997-10-24 2004-11-24 荏原冷熱システム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及びその初期防食皮膜形成方法
US6487875B1 (en) * 2000-08-03 2002-12-03 Rocky Research Aqua-ammonia absorption system generator utilizing structured packing
US6550272B2 (en) 2000-11-08 2003-04-22 Kawasaki Thermal Engineering Co., Ltd. Absorption chiller/absorption chiller-heater having safety device
EP1205718B1 (en) 2000-11-08 2006-09-27 Kawasaki Thermal Engineering Co., Ltd. Absorption chiller/absorption chiller-heater having safe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17210B1 (en) 2004-11-16
JP3896355B2 (ja) 2007-03-22
JP2004132694A (ja) 2004-04-30
KR100473566B1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8048A (en) Direct fired absorption machine flue gas recuperator
KR100473566B1 (ko)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
KR100458890B1 (ko) 고온재생기
KR100392597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US5951280A (en) High-temperature regenerator
JP2004239558A (ja) 吸収式冷温水機
US3848430A (en) Absorption refrigeration machine with second stage generator
JP4031377B2 (ja) 吸収式冷温水機
KR100213780B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급탕시스템.
CN1828182A (zh) 空气预热溴冷机火管群冷剂蒸汽再生方法和装置
JP3759549B2 (ja) 液管対流式燃焼加熱炉
KR100436587B1 (ko)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KR100315627B1 (ko) 급탕기능이부가된흡수식냉난방시스템
KR0146008B1 (ko) 열효율이 향상된 급탕기를 구비한 흡수식냉온수기
KR200161048Y1 (ko) 흡수식 냉동기의 재생기
KR0164005B1 (ko) 가스연소장치
JP3754108B2 (ja) 吸収式冷温水機の再生器
CN100383471C (zh) 溴冷机火管群冷剂蒸汽再生方法和装置
JP2003075010A (ja) 排ガス駆動吸収冷温水機
KR20000040517A (ko) 흡수식 냉온수기
KR100522197B1 (ko) 고온재생기
JP2795109B2 (ja) 吸収式冷凍機
KR100428317B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고온재생기
JPH10238705A (ja) 液管対流式燃焼加熱炉
KR200152369Y1 (ko) 흡수식 냉 난방기의 보조 이덕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