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145A -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145A
KR20040032145A KR1020040022003A KR20040022003A KR20040032145A KR 20040032145 A KR20040032145 A KR 20040032145A KR 1020040022003 A KR1020040022003 A KR 1020040022003A KR 20040022003 A KR20040022003 A KR 20040022003A KR 20040032145 A KR20040032145 A KR 20040032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ke
pad
steering wheel
switch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745B1 (ko
Inventor
오노데라미키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10)의 패드부(3)내에 스위치 본체부(7)를 장착하고, 이 스위치 본체부(7)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9)를 상기 패드부 밖으로 돌출시켜 상기 조작부를 2개의 방향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에 있어서도 모두 동일한 스위치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SWITCH DEVICE FOR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기기기 등을 전환하기 위한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에 있어서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0)은 대략 둥근 고리형상의 링부(1)와, 링부(1)의 중심부에 배치된 패드부(3)와, 링부(1)와 패드부(3)를 연결하는 스포크부(2)에 의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티어링휠(10)은 스티어링축(도시 생략)을 거쳐 차체에 회전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즉, 스티어링휠(10)의 조작으로 차체를 우회전, 또는 좌회전의 동작을 하게 할 수 있다.
또 패드부(3)에는 패드부(3)의 표면에서 링부(1)의 근방에 복수개(예를 들어, 2개)의 오목부(3a)가 배치되어 있다. 또 오목부(3a)의 바닥벽에는 각각 긴 사각형의 구멍(3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각 구멍(3b)은 스티어링휠(10)의 중심선으로부터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패드부(3)의 내부에는 조작부(4a)를 가지는 스위치장치(4)가 프린트배선기판(5)에 접속된 상태에서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스위치장치 (4)의 조작부(4a)는 오목부(3a)의 구멍(3b)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또한 조작부(4a)의 상면은 패드부(3)의 상면과 대략 동일평면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장치(4)는 조작부(4a)를 푸시하면(화살표 G 방향으로 가압) 온되고, 조작부(4a)에 대한 푸시를 멈추면 조작부(4a)가 자동적으로 원래로 복귀하여 오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작자(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는 스티어링휠(10)의 링부(1)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스위치장치(4)의 조작부(4a)를 푸시하면 온되고,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부(4a)에 대한 푸시를 멈추면 오프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장치(4)의 온, 오프조작이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라디오 수신기의 수신국의 선국전환이나, 오토크루징의 설정전환이나, 음향기기의 뮤트전환 등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에서는 스위치장치(4)의 온, 오프조작이 조작부(4a)를 푸시(가압)조작하는 것만으로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위치장치 (4)의 조작은 링부(1)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는 엄지손가락으로의 조작이 되고, 따라서 자유도가 없어 조작의 자유도를 향상하고 싶다는 요망이 생기고 있다.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스위치장치의 조작에 자유도가 있어 조작하기 쉬운 스티어링휠용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 있어서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에 있어서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링부 2 : 스포크부
3 : 패드부 6 : 스위치장치
7 : 스위치 본체부 7a : 박스체부
7b : 구동부 8 : 레버부
9 : 조작부 9a : 제 1 끝단부
9b : 제 2 끝단부 10 : 스티어링휠
15 : 공간부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는, 링부와 패드부와 스포크부를 가지는 스티어링휠에 스위치 본체부를 장착하고, 이 스위치 본체부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를 스티어링휠의 링부와 패드부와 스포크부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에 돌출시켜 조작부를 2개의 방향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게 하여,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에 있어서도 모두 동일한 스위치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는, 스티어링휠의 패드부내에 스위치 본체부를 장착하고, 이 스위치 본체부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를 상기 패드부 밖으로 돌출시켜 상기 조작부를 2개의 방향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에 있어서도 모두 동일한 스위치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는, 스티어링휠의 링부와 패드부 사이의 공간부에 조작부의 제 1 끝단부를 돌출시켜 이 제 1 끝단부의 링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는, 스티어링휠의 스포크부내에 스위치 본체부를 장착하고, 이 스위치 본체부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를 상기 스포크부 밖으로 돌출시켜 상기 조작부를 2개의 방향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게 하여,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에 있어서도 모두 동일한 스위치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는, 스티어링휠의 링부와 스포크부 사이의 공간부에 조작부의 제 1 끝단부를 돌출시키고, 이 제 1 끝단부의 링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 있어서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스위치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또한 종래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0)은, 대략 둥근 고리형상의 링부(1)와, 링부(1)의 중심부에 배치된 패드부(3)와, 링부(1)와 패드부(3)를 연결하는 스포크부(2)에 의하여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스티어링휠(10)은 링부 (1)와, 스포크부(2)와, 패드부(3)에 의하여 주위를 둘러싼 복수개(예를 들어, 4개)의 공간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스티어링휠(10)은 스티어링축(도시 생략)을 거쳐 차체에 회전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즉, 스티어링휠(10)의 조작으로 차체를 우회전, 또는 좌회전의 동작을 시킬 수 있다.
또 패드부(3)에는 패드부(3)의 내면측에 스위치장치(6)가 수납,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이 스위치장치(6)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위치장치(6)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스위치소자 등의 스위치 본체부(7)와, 스위치 본체부(7)내의 가동접점(도시 생략)과 고정접점(도시 생략)을 접촉 이탈시키는 레버부(8)와 레버부(8)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 본체부(7)는 대략 박스형으로서 성형가공된 박스체부(7a)와, 박스체부(7a)로부터 바깥 쪽으로 돌출된 구동부(7b)와, 이 구동부(7b)에 의해 구동되고 박스체부(7a)내에 배치된 가동접점(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또 이 가동접점(도시 생략)과 대향하고, 이 가동접점과 접촉 이탈하는 고정접점(도시 생략)이 박스체부(7a)내에 배치되고, 또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에 접속된 단자(도시 생략)를 가지고 있다.
레버부(8)는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지고, 구부림·절단가공되어 직사각형의 기초부(8d)와 한 쌍의 아암부(8e)를 구비한 ㄷ자형의 유지부(8a)와, 이 유지부 (8a)의 기초부(8d)로부터 동일평면상에 바깥쪽으로 연장설치된 작동부(8c)를 구비하고 있다. 또 작동부(8c)의 중앙부에는 아암부(8e)측으로 굽혀 곡면부(8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유지부(8a)의 아암부(8e)가 상기 스위치 본체부(7)의 박스체부 (7a)의 측벽에 적절한 수단(예를 들어 나사나 코킹가공 등으로)으로 요동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고, 이 상태일 때, 작동부(8c)의 한쪽 면(이면)이 상기 구동부(7b)에 접촉한다.
이에 의하여 레버부(8)의 요동에 의해 구동부(7b)가 전후로 구동되고, 이 구동부(7b)에 의해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접촉이탈되도록 동작한다.
조작부(9)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성형가공되어 약간 두꺼운 소정의 두께치수를 가지고, 대략 평판형상으로서 한쪽의 끝단부에 설치된 누름·당김의 2개의 방향의 조작을 하기 위한 제 1 끝단부(9a)와, 다른쪽의 끝단부에 설치된 곡면형상의 제 2 끝단부(9b)와, 대향하는 측면(9d)의 제 2 끝단부(9b)의 근방에 설치된 원형의 한 쌍의 오목부(9c)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재(11)는,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지고, 구부림·절단가공되어 대략 평판형상의 기판부(11a)와, 기판부(11a)의 한쪽 끝단부에 직교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제 1 아암부(11b)와, 다른쪽 끝단부에 제 1 아암부(11b)와 동일 방향에 설치된 1개의 제 2 아암부(11c)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 1 아암부 (11b)에는 대향하는 원형의 한 쌍의 구멍(11d)이 형성되고, 제 2 아암부(11c)에는 원형의 설치구멍(1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부재(11)의 한 쌍의 구멍(11d)에는 원주형상의 걸어맞춤핀(12)이 끼워지고, 이 걸어맞춤핀(12)의 한쪽의 끝단부는 상기 조작부(9)의 오목부(9c)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부터 조작부(9)는 걸어맞춤핀(12)으로 한 쌍의 제 1 아암부 (11b) 사이에 유지되고, 따라서 조작부(9)가 유지부재(11)에 요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유지부재(11)의 제 2 아암부(11c)의 설치구멍(11e)에는 스위치 본체부 (7)의 박스체부(7a)가, 예를 들어 나사(13) 등 적절한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 본체부(7)는 제 2 아암부(11c)에 설치되고, 이때 레버부(8)의 다른쪽 면이 제 l 아암부(11b)쪽을 향하여 기판부(11a)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상태일 때, 레버부(8)의 곡면부(8b)와 상기 조작부(9)의 제 2 끝단부 (9b)는 근접 또는 접촉,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지부재(11)는, 상기 스티어링휠(10)의 패드부(3)의 내면측에 수납·배치되어 또 패드부(3)에 적절한 수단(예를 들어 나사고정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부(9)의 제 1 끝단부(9a)는 상기 링부(1)와, 스포크부(2)와, 패드부(3)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부(15)(도 1 참조)내로 돌출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이 공간부(15)는 운전자가 링부(1)를 조작을 위하여 잡을 때, 가장 빈번하게 손을 대는(잡는) 좌우측의 공간부(15)로서, 링부(1)에 대하여 선대칭의 위치에 대향하여 설치된 공간부(15)이다.
다음에 이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티어링휠(10)의 링부(1)와 패드부(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15)내에 돌출한 조작부(9)의 제 1 끝단부(9a)에 누름압력(화살표 A 방향의 힘)을 가하면 조작부(9)는 한 쌍의 오목부(9c)내에 삽입된 각 걸어맞춤핀(12)을 지지점으로 하여 누름·당김을 위한 제 1 끝단부(9a)가 눌러 내려진다. 한편 조작부(9)의 제 2 끝단부(9b)는 밀어 올려지고, 이 제 2 끝단부(9b)의 밀어 올림에 의해 제 2 끝단부(9b)가 상기 레버부(8)의 곡면부(8b)의 한쪽의 끝단부(상부측)에 접촉하고, 이 접촉으로 레버부(8)가 스위치 본체부(7)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 밀어 넣어진 레버부(8)에 의해 스위치 본체부(7)의 구동부(7b)가 구동되고, 따라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스위치의 온이 행하여진다. 이 상태에서 제 1 끝단부(9a)에 대한 누름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구동부(7b)의 복귀력(자동복귀력)에 의해 레버부(8)가 되돌아가고, 제 2 끝단부(9b)가 상기 곡면부(8b)에 따라 구동되며,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의 순서로 제 1 끝단부(9a)가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 오도록 동작한다.
다음에 제 1 끝단부(9a)에 당김압력(화살표 B 방향의 힘)을 주면, 조작부(9)는 각 걸어맞춤핀(12)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 1 끝단부(9a)가 당겨올려진다. 한편 조작부(9)의 제 2 끝단부(9b)는 밀어 내려지고, 이 제 2 끝단부(9b)의 밀어 내려림에 의해 제 2 끝단부(9b)가 상기 레버부(8)의 곡면부(8b)의 다른쪽 끝단부(하부측)에 접촉하고, 이 접촉으로 레버부(8)가 스위치 본체부(7)측으로 밀어넣어진다. 이하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위치장치가 동작하여 스위치의 온이 행하여진다. 이 상태에서 제 1 끝단부(9a)에 대한 당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구동부(7b)의 복귀력(자동복귀력)에 의해 레버부(8)가 되돌아가고, 그리고 상기와는 역순서로 제 1 끝단부 (9a)가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오도록 동작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위치장치(20)는 한 쌍의 스위치 본체부(21, 21)와, 스위치 본체부(21)가 접속된 프린트 배선기판(22)과, 이 프린트 배선기판(22)을 유지하는 유지부재(23)와, 한 쌍의 스위치 본체부(21, 21)를 조작하는 조작부 (24)에 의해 개략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부(21)는 대략 박스형으로 성형가공된 박스체부(21a)와, 이 박스체부(21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구동부(21b)와, 이 구동부(21b)에 의해 구동되고 박스체부(21a)내에 배치된 가동접점(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또 이 가동접점(도시 생략)과 대향하고, 이 가동접점과 접촉이탈하는 고정접점(도시 생략)이 박스체부(21a)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박스체부(21a)의 바닥벽에는 상기 가동·고정 접점에 각각 접속된 단자(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기판(22)은 평판형상으로서, 적어도 한쪽 면에는 소정의 회로패턴(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로패턴과 상기 스위치 본체부(21)의 단자가 예를 들어 땜납에 의해 접속되고, 따라서 프린트 배선기판(22)에 스위치 본체부 (21)가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스위치 본체부(21, 21)의 각 단자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병렬접속에 의해 어느 한쪽의 스위치 본체부(21)가 온되더라도 동일한 온신호가 출력된다.
유지부재(23)는, 예를 들어 금속평판재로 이루어지고, 절단·구부림가공되어 평판형상이고, 직사각형의 기초부(23a)와, 이 기초부(23a)의 한쪽의 대향하는 끝단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설치된 대향하는 제 1 아암부(23b)와, 다른쪽의 대향하는 끝단면으로부터 제 1 아암부(23b)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대향하는 제 2 아암부(23f)를 가지고 있다. 또 제 1 아암부(23b)에는 복수개(예를 들어, 4개)의 나사구멍(23c)이 형성되고, 또 제 2 아암부(23f)에는 원형의 관통구멍(23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아암부(23b)에는 프린트 배선기판(22)이 나사(23e)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스위치 본체부(21, 21)의 각 구동부(21b)는 소정의 간극을 거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24)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성형가공되어 전체형상이 대략 L 자형상으로서, 기초부(24a)와, 이 기초부(24a)의 한쪽 끝단부에 설치된 누름·당김되는 제 1 끝단부(24b)와, 기초부(24a)의 다른쪽 끝단부에 설치된 제 2 끝단부(24c)와, 기초부(24a)의 측벽(24d)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원주형상의 한 쌍의 볼록부(24e)를 가지고 있다.
이 조작부(24)의 볼록부(24e)가 상기 제 2 아암부(23f)의 관통구멍(23d)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볼록부(24e)를 지지점으로 하여 조작부(24)가 요동할 수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제 2 끝단부(24c)는 각 스위치 본체부(21)의 구동부(21b)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유지부재(23)는, 상기 스티어링휠(10)의 패드부(3)의 내면측에 수납·배치되고, 또한 패드부(3)에 적절한 수단(예를 들어, 나사고정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상태일 때, 조작부(24)의 제 1 끝단부(24b)는 상기 링부(1)와 스포크부(2)와 패드부(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15)내에 돌출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이 공간부(15)는 운전자가 링부(1)를 조작하기 위하여 잡을 때 가장 빈번하게 손을 대는(잡는) 좌우측의 공간부(15)로, 링부(1)에 대하여 선대칭의 위치에 대향하여 설치된 공간부(15)이다.
다음에 이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티어링휠(10)의 링부(1)와 패드부(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15)내에 돌출한 조작부(24)의 제 1 끝단부(24b)에 누름압력(화살표 C 방향의 힘)을 가하면 조작부(24)는 한 쌍의 볼록부(24e)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 1 끝단부(24b)가 밀어 내려진다. 한편 조작부(24)의 제 2 끝단부(24c)는 한 쌍의 볼록부(24e)를 지지점으로 하여 밀어 올려지고, 이 밀어 올림으로 한쪽(조작부의 바깥쪽)의 스위치 본체부(21)의 구동부(21b)가 구동(밀어 넣어짐: 화살표 E 방향)되고, 따라서 이 한쪽의 스위치 본체부(21)가 온된다.
다음에 제 1 끝단부(24b)에 대한 누름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구동부(21b)의 탄발력에 의하여 제 2 끝단부(24c)가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따라서 제 1 끝단부(24b)도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에 복귀한다. 이때 이 한쪽 스위치 본체부(21)가 오프된다.
다음에 제 1 끝단부(24b)에 당김압력(화살표 D 방향의 힘)을 가하면 조작부(24)는 한 쌍의 볼록부(24e)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 1 끝단부(24b)가 당겨 올려진다. 한편, 조작부(24)의 제 2 끝단부(24c)는 한 쌍의 볼록부(24e)를 지지점으로 하여 밀어 내려지고, 이 밀어 내림으로 다른쪽(조작부의 안쪽) 스위치 본체부(21)의 구동부(21b)가 구동(밀어 넣어짐: 화살표 F 방향)되며, 따라서 이 다른쪽 스위치 본체부(21)가 온된다.
다음에 제 1 끝단부(24b)에 대한 당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역순서로 되돌아가고, 따라서 이 다른쪽 스위치 본체부(21)가 오프된다.
이와 같이 조작부(24)의 제 1 끝단부(24b)에 대한 누름 또는 당김동작에 의하여 어느 동작이라도 병렬접속된 한 쌍의 스위치 본체부(21, 21)중 어느 하나가 온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장치를 패드부에 배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장치를 스포크부에 배치하여 그 조작부를 링부와 패드부와 스포크부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돌출시켜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는, 스위치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를 가지고, 이 조작부는 누름 및 당김의 조작으로 모두 스위치신호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누름동작, 또는 당김동작, 예를 들어 누름동작은 엄지손가락으로, 또 당김동작은 집게 손가락으로 라는 식으로 어느 조작자(운전자)나 조작하기 쉬운 동작으로 스위치장치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따라서 용이한 조작으로의 스위치입력이 행하여진다.
또 링부를 잡는 손가락으로 조작부의 제 1 끝단부에 대한 누름동작 또는 당김동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중에 링부로부터 손을 떼는 일 없이 스위치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조작의 확실성이 한층 증가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링부와 패드부와 스포크부를 가지며, 상기 패드부 또는 상기 스포크부에 스위치 본체부를 장착하고, 상기 스위치 본체부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를 상기 패드부 또는 상기 스포크부로부터 상기 스티어링휠의 상기 링부와 상기 패드부와 상기 스포크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조작부를 2개의 방향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에 있어서도 모두 동일한 스위치 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패드부 또는 스포크부에 요동 자유롭게 유지되고, 그 한쪽의 끝부에는 누름(push), 당김(pull)의 2개 방향으로 조작하기 위한 제 1 끝단부를 가지고, 또한 그 다른쪽에는 제 2 끝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끝단부가 상기 패드부 내 또는 상기 스포크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스위치 본체부는, 제 1 끝단부에의 누름압력 또는 당김압력에 의하여 제 2 끝단부와 연동하여 요동 자유롭게 동작하는 레버부와, 제 1 끝단부에의 누름압력 또는 당김압력의 해제에 의하여 레버부를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시킴과 동시에, 제 2 끝단부를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에서 구동되는 가동접점과, 가동접점에 접촉 이탈하는 고정접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끝단부는 곡면형상을 이루며, 상기 레버부는 제 2 끝단부에 근접 또는 접촉, 대향하는 곡면부(8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패드부 또는 스포크부에 요동 자유롭게 유지되고, 그 한쪽의 끝부에는 누름, 당김의 2개 방향으로 조작하기 위한 제 1 끝단부를 가지고, 또한 그 다른쪽 끝부에는 제 2 끝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끝단부가 상기 패드부 내 또는 상기 스포크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본체부는 상기 제 2 끝단부를 끼우도록 배치되며, 제 1 끝단부에의 누름압력 또는 당김압력에 의하여 요동하는 제 1 끝단부에서 구동됨과 동시에 제 1 끝단부에의 누름압력 또는 당김압력의 해제에 의하여 제 2 끝단부 및 제 1 끝단부를 자동적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에서 구동되는 가동접점과, 가동접점에 접촉 이탈하는 고정접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KR10-2004-0022003A 1999-07-01 2004-03-31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KR100461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88187A JP2001014986A (ja) 1999-07-01 1999-07-01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のスイッチ装置
JPJP-P-1999-00188187 1999-07-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962A Division KR20010029870A (ko) 1999-07-01 2000-06-30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145A true KR20040032145A (ko) 2004-04-14
KR100461745B1 KR100461745B1 (ko) 2004-12-13

Family

ID=162192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962A KR20010029870A (ko) 1999-07-01 2000-06-30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KR10-2004-0022003A KR100461745B1 (ko) 1999-07-01 2004-03-31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962A KR20010029870A (ko) 1999-07-01 2000-06-30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68576B1 (ko)
EP (1) EP1065104B1 (ko)
JP (1) JP2001014986A (ko)
KR (2) KR20010029870A (ko)
DE (1) DE6000881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9861B2 (ja) * 1998-11-12 2005-11-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EP1211119B1 (en) * 2000-12-01 2008-01-09 Alps Electric Co., Ltd. Vehicle-mounting steering switch
US7762159B2 (en) * 2002-08-28 2010-07-27 Alps Electric Co., Ltd. Steering switch for vehicle
JP4035401B2 (ja) * 2002-08-28 2008-01-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US7278367B1 (en) 2005-07-05 2007-10-09 Brunswick Corporation Marine vessel steering wheel with integrated throttle control device
US8915342B2 (en) * 2008-04-24 2014-12-23 David Cook Dual stage input lever transmission downshift system
DE102008022544A1 (de) * 2008-04-30 2009-11-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einrichtung an einem Fahrzeuglenkrad
DE102012018910B4 (de) 2012-09-24 2018-03-15 Audi Ag Schaltvorrichtung zum Schalten eines elektronischen Geräts eines Kraftwage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8836A (en) * 1984-04-17 1985-05-21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Control pod and switch assembly
US5855144A (en) * 1992-07-13 1999-01-05 Parada; Nikolay Steering wheel
US5365803A (en) * 1993-07-13 1994-11-22 Caterpillar Inc. Steering and transmission shifting control device
DE4324788C2 (de) * 1993-07-23 1996-03-28 Porsche Ag Kraftfahrzeug mit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am Lenkrad
DE4436291C1 (de) * 1994-10-11 1995-09-28 Opel Adam Ag Kraftfahrzeuglenkrad
DE19511878A1 (de) * 1995-03-31 1996-10-02 Eaton Controls Gmbh Elektrischer Tastschalter
US5569893A (en) * 1995-04-10 1996-10-29 Takata Inc. Driver air bag cover with integral horn and redundant switches
IT1285333B1 (it) * 1996-05-17 1998-06-03 Fiat Auto Spa Dispositivo di comando di un avvisatore acustico, particolarmente per il volante di un autoveicolo.
IT1284667B1 (it) * 1996-07-16 1998-05-21 Bruzolo Manifatt Gestind Mb Volante di sterzo per autoveicoli con interruttore per il comando di di un avvisatore acustico.
JPH1097821A (ja) 1996-08-01 1998-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載用機器の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5104A3 (en) 2002-03-27
JP2001014986A (ja) 2001-01-19
DE60008816T2 (de) 2005-01-13
DE60008816D1 (de) 2004-04-15
EP1065104A2 (en) 2001-01-03
EP1065104B1 (en) 2004-03-10
KR20010029870A (ko) 2001-04-16
US6268576B1 (en) 2001-07-31
KR100461745B1 (ko) 2004-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745B1 (ko)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US5813520A (en) Housing and actuator button assembly
JPH10188722A (ja) 電気的押しボタン形成用部材及びキーボード装置
EP1693278A2 (en) Switch on steering wheel
JP2000260249A (ja) 照光式スイッチ装置
US20220293365A1 (en) Switching device
JPH07141961A (ja) 操作ボタンの取付構造
JP3236452B2 (ja) 電子機器のツマミ装置
US11915893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device
JPH054659Y2 (ko)
US6208730B1 (en) Key top attachment structure
KR1006171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키 구조
JP2000182472A (ja) 車両用操作レバー
JPH069190U (ja) プリント基板の取付構造
CN116583811A (zh) 操作装置
JP2021180131A (ja) 押釦構造および電子機器
EP3633787A1 (en) One-hand mounting system for fixing an antenna module on a vehicle
JP2023111813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装置
JP2014207196A (ja) スイッチ装置
JP5659891B2 (ja) 電子装置
JP4311147B2 (ja) スイッチの操作機構
JP2550823Y2 (ja) スイッチ装置
JP2012169101A (ja) スイッチ装置
JP2004291662A (ja) 車両用表示器のスイッチ操作構造
JP2013191350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