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12Y1 - 복제가 불가능한 라벨 - Google Patents

복제가 불가능한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12Y1
KR200400312Y1 KR20-2005-0024663U KR20050024663U KR200400312Y1 KR 200400312 Y1 KR200400312 Y1 KR 200400312Y1 KR 20050024663 U KR20050024663 U KR 20050024663U KR 200400312 Y1 KR200400312 Y1 KR 200400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metal powder
paper
resin
fo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순
Original Assignee
박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순 filed Critical 박종순
Priority to KR20-2005-0024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7Forms or constructions including a machine-readable marking, e.g. a bar c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29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electronic seal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9Card, e.g. plastic

Abstract

본 고안은 복제가 불가능한 라벨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필름은 물론 종이 등에 있어서 일정 영역에 금속 분말 등을 임의로 분산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금속 분말 등을 임의로 분산 시킬 경우 어떤 일정한 경향을 갖게 하는 것까지는 가능하나 완전히 동일한 모양의 것은 존재하기 어렵다. 특히 금속 분말의 입자 크기가 1미크론 정도일 경우 1 평방 밀리미터의 인식 판별부에는 100만 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금속분말의 유무에 따른 조합을 한다면 1조 개의 조합이 가능하며, 본질적으로 유사성을 갖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완전히 동일하게 복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라벨을 발행자가 인식된 패턴이나 암호로 등록을 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라벨의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저렴한 가격과 안정적인 기술로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제가 불가능한 라벨{The label of protected recopy.}
위조나 변조는 통상의 정상적인 수단을 거치지 않고 목적하는 이익 등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고대로부터 이어져 오고 있으며, 초기의 초보적인 단계에서 전문적인 단계로 발전해가고 있다. 특히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위변조의 방지기술이 발전하면 위변조 기술도 똑같이 발전하기 때문에 완벽한 대책을 마련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컬러복사기, 스캐너, 컴퓨터 등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정보의 디지털화가 가속됨에 따라 쉽게 위변조에 접근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홀로그램이나 특수잉크 등은 초보적인 위조 수법에 대한 대응책으로 주로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위조 전문가들은 단순 복사가 아니라 원본과 유사하게 복제함으로 사람의 눈에 의한 판별로는 진위 식별이 불가능하며 전문적인 위조 방지 대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문적인 위변조를 막기 위하여 홀로그램, 워터마크, 미세문자, 요철판, 형광잉크, 특수재질을 이용한 인쇄 기술 등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가장 최근에 공개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62097호는 위변조 방지용 기능성 라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필름 또는 종이와 같은 베이스 시트 상에 보안 인쇄층을 형성시키고, 이면에는 고성능의 형광성 점착층을 위치시켜, 라벨지를 떼어내면 보안 인쇄층이 손상되는 특징을 이용한 라벨이다.
그러나 보안 인쇄층은 공지의 기술로 되어 있는 감열변색, 감광변색 및 형광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잉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이 피착물에 부착시 제거하는 이형층 상부에 점착성 물질과 혼재하여 형성되어 라벨을 제거할 때 보안 인쇄층이 손상되도록 한 것으로, 라벨을 제거한 후 피착물을 깨끗이 세척하거나 손질 한 후 복제된 라벨을 덧붙이는 것이 가능하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특2000-0073411호의 위조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플라스틱 필름 기재에 유색 염료/ 안료 또는 형광 염료/안료로 염착한 합성사를 혼합하여 필름화 한 것으로 1~5mm 길이의 아미드계 또는 레이욘계 색사 또는 은사를 저융점의 소재에 혼합하여 방사한 것으로 합성수지에 대한 약간의 지식을 갖춘 사람도 쉽게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은행권 용지등 유가증권용지와 여권용지 등 특수용지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합성수지에 적용한 것으로 대부분의 종이를 만들기 위한 기술요소를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종이를 만들기 위한 설비는 매우 고가이므로 쉽게 접근이 어려우나, 합성수지류의 설비들은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으므로 보안적인 접근에서 종이에 비교할 수 없게 낮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라벨은 위변조 방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필름, 종이 등의 일정 영역에 금속 분말 등을 임의로 분산시켜 제조한 후 발행시 광학 리더 또는 자기 리더 등으로 패턴을 인식하여 차별화된 기호나 암호로 저장하여 동일하게 복제가 불가능하며, 진품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상품권, 유가증권 등과 같은 종이류는 물론 예금용 카드를 포함한 각종 카드류 및 농산물, 공산물등 모든 물품에 부착하여 진품 여부를 보증하기 위한 복제 불가능한 라벨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라벨은 소정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0.5~5미크론 크기의 금속분말을 원료가 되는 기저 물질에 일정 농도로 임의의 형태로 분산시켜 시트 상으로 만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복제가 불가능한 라벨은 일종의 열가소성 수지 분말과 금속 분말을 요구되는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마스타 배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거쳐 얻어진 펠렛을 얻는 단계와 이 펠렛을 열가소성 수지와 요구되는 비율로 혼합하여 압출하여 필름 형상의 제품을 얻는 단계,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코팅하여 접착부를 만드는 단계,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거나 톰슨기로 모양을 내어 절단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며, 광학적 리더 또는 마그네틱 리더로 정보를 읽어내는 단계를 거쳐 그 데이터를 패턴 형태로 인식하거나 암호로 등재하여 관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라벨에 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는 금융기관 발행의 카드류에는 진정성을 보증하는 의미에서 홀로그램이 적용되고 있는 것이 많다. 또 유명 브랜드의 각종 제품이나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등 모조품이 나돌기 쉬운 상품 또는 그 케이스에는 진정성을 보증하는 의미로 홀로그램들이 사용되고 있다. 회절격자나 홀로그램이 이 같이 여러 분야의 물품에 적용되고 있는 이유로는 홀로그램이 제조 또는 복제의 곤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그 외관도 간섭색을 가지고 있어 주목하기 쉽고, 때에 따라서 제거하려 할 때 파손되기 쉬운 점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홀로그램도 그 제조 방법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잘 알려져 있으며, 또 위조된 경우에도 정밀한 가공 기술을 이용하기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진품과 구별하기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진품을 인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홀로그램도 근본적으로 위변조에 대하여 더 이상 안전한 방법이 아니므로 위변조를 막기 위한 새로운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의 사시도로 라벨의 기재(2)는 합성수지, 종이 등 여러 가지 물질이 가능하며, 필름의 경우 PVC,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스아세테이트계, 폴리스티렌계, 아크릴계, 올레핀계주지, 비정질폴리에스테르 수지, 비정질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의 블랜드 수지 또는 종이, 수지 또는 라텍스 함침 종이등의 단독, 혹은 복합체가 적용 가능하다. 필름용 마스터 배치는 레진에 중량비 50% 내외의 금속 분말(3)을 혼입한 것으로, 필름 제조시 일반 레진과 원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압출한 것이다.
상기의 마스터배치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금속 분말은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철, 티타늄 또는 이들의 산화물, 이들의 합금 들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은이나 구리, 철 등의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또 금속 분말의 크기는 작을수록 수지와의 상용성도 좋으나 너무 작으면 고가이며, 분말 간의 뭉침 현상이나 취급에 있어서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안료와 비슷한 크기인 0.5~5 마이크로 범위의 금속 분말로 한정하였다. 기재가 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금속 분말의 뭉침을 방지하고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분산제, 유동화제, 산화방지제 등을 적량 부가하였으며, 때에 따라 안료, 염료, 형광안료, 운모 등의 필라를 부가하여 차별성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마스타배치를 일반레진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마스타배치와 일반 레진의 혼합 비율은 10~100% 비율로 가능하나 필름의 물성들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20~50%가 적적하다고 판단되었으며, 마스타배치와 일반레진의 혼합시에도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등 첨가제들을 부가하였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필름에 기존의 스티카를 만들던 과정과 동일하게 접착제 도포 이형지(1) 부착, 규격절단 톰슨기를 이용한 모양내기 절단 공정을 거쳐 라벨의 제작을 완성한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제작된 라벨은 외양적으로는 기존의 라벨과 전혀 차이가 없으나,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또 하나의 인식 수단이 되는 금속 분말이 적어도 2~25% 이상 존재하게 된다. 이 라벨은 발급자의 요청에 의하여 발행 과정에서 라벨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금속 분말의 패턴을 인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분산되어 존재하는 금속 분말의 패턴을 인식하는 수단으로는 광학리더 또는 마그네틱리더 등이 사용 가능하며, 이는 부가된 금속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다르게 사용 가능하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라벨은 별도의 장비 없이도 기존의 광학리더 또는 마그네틱리더로도 리딩이 가능하나 분산되어 존재하는 금속 분말의 크기, 또는 요구되는 보안성 정도에 따라 인식하는 패턴의 정밀도를 높인 전용리더를 필요로 한다.
펄프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종이의 경우에도 합성 수지들과 동일한 형태로금속 분말들을 분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지 펄프를 기재로 하는 종이의 경우 물에 1~5% 정도로 분산된 펄프 용액을 일정 규격을 가진 망 위에 올려 탈수, 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되며 전술한 금속분말(3) 또는 그 산화물을 펄프 용액에 내재시켜 종이를 제조하면 도 1과 같은 형태로 된다. 이때 일반 종이의 제조 공정과는 달리 금속 분말이 표면에 존재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가압처리하는 과정과 인쇄 적성이 좋게 하는 무기 필러 도핑 등의 과정, 표면처리 과정을 거쳐 무진지와 같은 형태의 종이가 얻어지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종이는 외양상으로는 일반 무진지와 같지만 금속 또 그 산화물들은 빛을 투과하지 않는 특성이 있어 복사를 하게 되면 금속(또는 그 산화물)에 의한 얼룩과 같은 무늬가 얻어지므로 복사나 스캔을 하면 인쇄된 모양과는 다른 형태를 띠게 된다.
또 상기의 과정 중에 금속(또는 산화물) 분말을 특정 영역 위주로 분포하게 하거나 그 농도를 달리함으로써 또 다른 특성치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고액의 상품권이나 유가증권과 같은 경우 스캐닝하거나 리더로 읽어낸 패턴을 인식시켜 저장해 둠으로써 진위 여부를 판별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드류를 예로들면, 기존의 카드 류에서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홀로그램을 부착하거나 조각하기도 하지만 같은 종류의 카드나 물품에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위변조에 많은 비용과 기술이 요구되어도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 경우, 위변조가 발생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기존의 카드류 들에서는 정보를 기록하는 부분에는 카드의 고유번호, 비밀번호, 보안용 식별부호와 기타 정보들이 들어 있을 뿐이어서 리더에서 읽어진 정보를 라이터로 동일하게 기록하면 복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라벨은 기재에 원하는 일정 농도의 특정 금속류의 분말이 불규칙하게 혼입되어 있어 동일한 라벨이 얻어지기란 매우 힘들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라벨은 완전히 동일한 것이 얻어지기 힘들며, 설령 리더로 정보를 읽어냈다 하더라도 동일하게 복제하는 것은 매우 힘들게 된다.
왜냐하면, 동일한 인식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리더로 읽어낸 정보와 동일하게 0.5~5마이크로 정도 크기의 특정 금속류를 한점 한점 삽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의 라벨을 사용하게 되면 카드류 제조회사나 관리회사 내부로부터 발생 가능한 위변조 복제에 대해서도 적절한 보호 수단이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의 사시도

Claims (5)

  1. 기재에 금속 분말물이 2~25% 존재하게 하는 복제 불가능한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라벨의 기재는 PVC,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스아세테이트계, 폴리스티렌계, 아크릴계, 올레핀계주지, 비정질폴리에스테르 수지, 비정질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의 블랜드 수지, 종이, 수지 또는 라텍스 함침 종이 등의 단독, 혹은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금속 분말로는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철, 티타늄 또는 이들의 산화물, 이들의 합금
  4. 제1항에 있어서 금속 분말은 그 크기가 0.5~5 마이크로의 크기의 것
  5. 제1항에 있어서 금속 분말의 분포 패턴을 인식하여 저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KR20-2005-0024663U 2005-08-26 2005-08-26 복제가 불가능한 라벨 KR200400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63U KR200400312Y1 (ko) 2005-08-26 2005-08-26 복제가 불가능한 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63U KR200400312Y1 (ko) 2005-08-26 2005-08-26 복제가 불가능한 라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2Y1 true KR200400312Y1 (ko) 2005-11-03

Family

ID=4370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663U KR200400312Y1 (ko) 2005-08-26 2005-08-26 복제가 불가능한 라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94B1 (ko) 2007-06-27 2009-07-07 김익년 미세립자액에 포함된 랜덤한 분포를 가진 미세립자의 배열 판독으로 보안 유지를 판단하는 봉인 보안장치 및 그 방법
WO2010074355A1 (en) * 2008-12-22 2010-07-01 Ik Nyeon Kim Security device and the system
KR101024042B1 (ko) 2009-07-15 2011-03-22 한국과학기술원 복제방지 라벨의 제조 및 진위 판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94B1 (ko) 2007-06-27 2009-07-07 김익년 미세립자액에 포함된 랜덤한 분포를 가진 미세립자의 배열 판독으로 보안 유지를 판단하는 봉인 보안장치 및 그 방법
WO2010074355A1 (en) * 2008-12-22 2010-07-01 Ik Nyeon Kim Security device and the system
KR101024042B1 (ko) 2009-07-15 2011-03-22 한국과학기술원 복제방지 라벨의 제조 및 진위 판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4669A (en) Holographic check authentication article
KR101388615B1 (ko) 광학적 가변 접착제를 포함하는 보안 장치
RU2265524C2 (ru) Защищенная от подделки бумага (варианты), изготовленный из нее ценный документ (варианты), используемый на ценном документе многослойный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варианты), переводной материал для переноса такого защитного элемента на ценный документ и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рев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ценного документа с защитным элементом
DE60121814T2 (de) "sicherheits-, identifikations- und verifikationssystem"
KR20160040237A (ko) 자성 또는 자화성 안료 입자 및 광학 효과층
JP4962042B2 (ja) 真偽判定部を有するラベル
RU2668545C2 (ru) Защитные нити и полоски
JP2017521281A (ja) 光学可変磁気セキュリティスレッド及びストライプ
US20080236447A1 (en) Flake For Covert Security Applications
CN101435927A (zh) 复合防伪元件及设置有该防伪元件的有价物品
KR102543844B1 (ko) 위변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활용방법
JP2012071477A (ja) 画像形成体、個人認証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1034330B1 (fr) Document de securite comportant des particules magnetiques
KR200400312Y1 (ko) 복제가 불가능한 라벨
JP2013092746A (ja) 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JP3984470B2 (ja) 真正性識別体、真正性識別用具、およびそれらの組み合わせ、並びに真正性識別方法
JP4853177B2 (ja) 真偽判定用媒体およびそれを有する物品、真偽判定用媒体ラベル、真偽判定用媒体転写シートならびに真偽判定用媒体転写箔
CN103261333A (zh) 有色的可磁化安全元件
US20180247170A1 (en) Authentication and anti-harvesting security feature with machine detectable indicia
EP1054343B1 (fr) Substrat comportant un marquage magnétique, procédé de fabrication dudit substrat et dispositif l'utilisant
JP4984741B2 (ja) 真偽判定用媒体およびそれを有する物品、真偽判定用媒体ラベル、真偽判定用媒体転写シートならびに真偽判定用媒体転写箔
JP2008173862A (ja) 真偽判定体
JP5282514B2 (ja) 真正性識別体
JPH04303693A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読み取り方法
CN2722362Y (zh) 原币防伪标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