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0420A - 재생 이용가능한 덮개를 갖는 케이블 - Google Patents

재생 이용가능한 덮개를 갖는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0420A
KR20040030420A KR10-2003-7004518A KR20037004518A KR20040030420A KR 20040030420 A KR20040030420 A KR 20040030420A KR 20037004518 A KR20037004518 A KR 20037004518A KR 20040030420 A KR20040030420 A KR 20040030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polymer
weight
ethylene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011B1 (ko
Inventor
카스텔라니루카
델안나가이아
셀자크리스티아나
알비자티엔리코
Original Assignee
피렐리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렐리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피렐리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4003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liquids, e.g. oils
    • H01B3/2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liquids, e.g. oils hydrocar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42Plural coatings
    • Y10T428/2947Synthetic resin or polymer in plural coatings, each of different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이용가능한 덮개를 갖는 케이블로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덮개가 유전액체와 혼합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을 가진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을 기초로한 케이블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은 높은 작동 온도에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고 절연 내력을 포함하는 뛰어난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들을 가진다.

Description

재생 이용가능한 덮개를 갖는 케이블{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제조 및 이용에 있어 환경에 유해하지 않고 수명을 다한 후에 쉽게 재생 이용가능한 물질들로 구성된 고환경 친화적인 제품들에 대한 요구가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분야에서 이제 완전히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환경 친화적인 물질들의 사용은 비용 절감이라는 조건을 반드시 이루어야 하며, 보다 일상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통상적인 물질들의 성능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좋은 성능을 보장하는 조건을 이루어야 한다.
중 및 고 전압 에너지 수송용 케이블의 경우, 통상적으로 폴리올레핀계 가교 폴리머 물질, 특히 가교 폴리 에틸렌(XLPE) 또는 탄성체 에틸렌/프로필렌(EP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공중합체들로 이루어진 도체를 둘러싸는 다양한 덮개들 또한 가교된다. 도체에 폴리머 물질의 압출성형 후에 이루어진 가교는 전류과부하 상태로 계속해서 사용하는 동안 고온의 조건하에서 조차 물질에 만족할 만한 기계적 성능을 부여한다.
그러나, 가교 물질은 재생 이용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쓰레기 및 수명을 다한 케이블의 덮개 물질은 단지 연소하여서만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전기 케이블은 다량의 유전액체로 침지된 종이 또는 종이/폴리프로필렌 박층의 다중층 포장재로 구성되는 절연체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통상 질량 침지 케이블 또는 오일 충전 케이블로 공지됨). 다중층 포장재 안의 공간을 완전히 충전함으로써, 유전액체는 전기 절연체의 필연적인 천공에 기인하는 부분 방전을 막는다. 유전액체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품들은 미네랄 오일, 폴리부텐(poly butenes), 알킬벤젠 등이다(US-4,543,207, US-4,621,302, EP-A-0987718, WO 98/321 37을 참조).
그러나, 질량 침지 케이블은 압출성형 절연 케이블과 비교해서 많은 단점들을 가지기 때문에, 이들의 사용은 현재 특정한 분야의 활용, 지상용 및 특히 수중용 설비인 높거나 매우 높은 전압 직접 전류 수송 라인의 건설에 한정된다. 이런 점에서, 질량 침지 케이블의 생산은 박층제품의 높은 원가 및 박층제품을 덮는 단계 및 박층을 유전액체로 침지하는 단계들에서 직면하게되는 어려움들 때문에 특히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특히, 사용되는 유전액체는 빠르고 균일한 침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저온 조건하에서 반드시 낮은 점성도를 갖는 동시에 케이블의 말단으로부터의 액체 손실 또는 뒤따르는 파손을 막기 위하여 케이블을 설치 및 작동하는 동안 낮은 이동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질량 침지 케이블은 재생 이용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사용은 90℃이하의 작동 온도로 제한된다.
비가교 폴리머 물질들 내에서, 고전압 케이블을 커버링하는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HDPE는 전기 과부하 및 작동하는 동안 XLPE 보다 더 낮은 온도 저항성을 갖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열가소성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절연 덮개들은 중 및 고 전압 케이블들에 사용된다; 이런 경우에, 이런 덮개들은 매우 낮은 작동 온도(약 70℃)에 의해 제한된다.
WO 99/13477은 액체 또는 고체 폴리머 구조 내에 유동 침투상을 형성하는 쉽게 용해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연속상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폴리머로 구성되는 절연 물질을 기술한다. 열가소성 폴리머와 유전체의 중량비는 95:5 에서 25:75 사이이다. 절연 물질은 고온 배치방식 또는 연속적으로(예를 들어, 압출기에 의함)2가지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얻어진 혼합물은 과립화되어 도체에 압출됨으로써 고 전압 전기 케이블 제조용 절연 물질로 사용된다. 상기 물질은 열가소성 또는 가교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들로서 폴리올레핀, 폴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폴리머, 폴리에스터, 폴리케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마이드 및 폴라아민이 예시된다. 특히, 저 결정성의 폴리머들의 사용이 제안된다. 유전체는 바람직하게는 저 또는 고 점성도의 합성 또는 미네랄 오일, 특히 폴리아이소부텐, 나프텐, 폴리아로마틱, α-올레핀 또는 실리콘 오일이다.
US 4410869는 축전기 및 변압기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들을 침지시키는데 선택적으로 하이드로퀴논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함께 사용되는 다이톨루일 에테르 이성질체들(ditoluyl ether isomers)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전체 조성물들에 대해 기술한다.
US 4543207은 유전체 오일 및 농축된 또는 비농축된 방향족 핵을 갖는 방향족 모노-올레핀 및/또는 다이올레핀을 기술한다. 상기 조성물들은, 특히, 유기산 에스터, 식물 또는 동물 오일 및 2개의 농축된 또는 비농축된 방향족 고리들을 포함하는 0.01-50% 방향족 모노 및/또는 다이올레핀을 갖는 방향족 에테르의 혼합물들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들은 축전기, 변압기 및 전기 케이블을 침지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재생 이용가능한 덮개를 갖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중 또는 고 전압 전기 에너지 수송 또는 배분용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유전액체와 혼합한 열가소성 고분자 물질을 기초로한 높은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들을 띄는 압출성형된 덮개층이 있어서 높은 작동 온도의 사용 및 고 전력의 수송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 또는 고 전압에 특히 적절한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본 출원인은 가교 물질의 절연 덮개를 갖는 케이블들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들과 비교할 만한 특성들을 띄는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로 만들어진 덮개를 갖는 전기 케이블의 제조라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기술적 문제를 고려한다. 특히, 출원인은 고온 및 저온 조건하에서 우수한 유연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가교되지 않은 절연 덮개를 갖는 동시에 높은 절연 내력을 갖는 케이블의 제조라는 문제를 고려해왔다.
상기의 문제의 관점에서, 출원인은 유전액체의 WO 99/13477에서 제안된 폴리머 물질들에 대한 첨가는 전체적으로 불만족스런 결과를 낸다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출원인은 유전액체의 절연 물질에 대한 첨가는 한편으로는, 전기적 특성(특히, 절연 내력)을 확연히 증가시키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심지어 고온 작동 온도(적어도 90℃ 및 그 이상)에서도, 물질 특성들(열역학적 특성, 제어성)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고 주장한다..
출원인은 재생 이용가능한 폴리머 기초 물질로 하기에 정의된 유전액체와 혼합된 열가소성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의 얻어진 조성물은 저온에서도, 적어도 90℃ 및 그 이상의 고온 작동 온도의 중 또는 고 전압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덮개층 및 특히 전기 절연층을 형성하게 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하는 우수한 유연성 및 높은 전기적 성능을 보유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유전액체는 기초 폴리머와의 높은 융화성 및 전기적 성능의 향상이라는 점에서 높은 효율을 갖는데, 결과적으로 절연층의 열역학적 특성들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적은 양의 첨가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유전액체 및 기초 폴리머 사이의 높은 융화성은 폴리머 매트릭스에서의 액체의 균일한 분산을 보장하고 폴리머의 저온 행동(cold behaviour)을 향상시킨다.
첫번째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2) 및 유전액체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을 기초로한 적어도 하나의 압출성형된 덮개층(3,4,5)을 포함하는 케이블(1)에 관한 것으로서;
- 상기 열가소성 물질은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코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140℃ 이거나 그 이상인 용융점 및 30 내지 100J/g의 용융엔탈피를 갖는다;
- 상기 유전액체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또는 측쇄의 지방족, 방향족 또는 혼합된 지방족 및 방향족 C1-C30, 바람직하게는 C1-C24탄화수소-라디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페닐 에테르를 포함한다.
첫번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전액체와 혼합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을 기초로한 상기 압출성형된 덮개층은 전기 절연층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전액체와 혼합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을 기초로한 상기 압출성형된 덮개층은 반도전층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145 내지 170℃의 용융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30 내지 85 J/g의 용융엔탈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실온에서 ASTM D790에 따라 측정된 30 내지 1400MPa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0MPa의 굴곡탄성률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ASTM D1238/L에 따라 21.6N로 230℃에서 측정된 0.05 내지 10.0 dg/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dg/min의 용융 흐름 지수(MFI)를 갖는다.
만일 올레핀 코모노머를 갖는 프로필렌의 코폴리머가 사용된다면, 후자는 바람직하게는 15몰% 이거나 그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몰% 이거나 그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히, 상기 올레핀 코모노머는 에틸렌 또는 R이 1-부텐(1-butene), 1-펜텐(1-pentene), 4-메틸-1-펜텐(4-methyl-pentene), 1-헥센(1-hexene), 1-옥텐(1-octene), 1-데켄(1-decene), 1-도데켄(1-dodecene)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선택된 선형 또는 측쇄 C2-C10알킬인 화학식 CH2=CH-R의 α-올레핀이다.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가소성 물질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a) 일반적으로 30 내지 900MPa,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MPa의 굴곡 탄성률을 갖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코모노머를 갖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b) 프로필렌계 열가소성상 및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과 공중합된 에틸렌계 탄성체상을 포함하는 불균일상 코폴리머(여기서 탄성체상은 불균일상 코폴리머의 전체 중량의 적어도 4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종류 a)의 호모폴리머들 또는 코폴리머들은 단일상 미세구조, 즉, 실질적으로 1 미크론 보다 큰 크기의 분자 영역으로 분산된 불균일상이 없는 단일상 미세 구조를 보인다. 사실, 이런 물질들은 불균일 폴리머 물질들의 광학 현상의 전형을 보이지 않고 특히, 더 좋은 투명성 및 편재된 기계적 응력에 기인한 감소된 백화(통상 "응력 백화"로 알려짐)를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바람직한 상기 종류 a)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코모노머를 갖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로서, 상기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140 내지 165℃의 용융점;
30 내지 80 J/g의 용융 엔탈피;
4 J/g 이거나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2 J/g 이거나 그 이하인 용융 엔탈피를 갖고, 12중량% 이거나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가 끓는 다이에틸 에테르에서 용해되는 부분;
10 내지 40 J/g,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J/g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15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가 끓는 n-헵테인에서 용해되는 부분; 및
45 J/g이상 또는 동일,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J/g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40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중량%가 끓는 n-헵테인에서 용해되지 않는 부분을 갖는다.
이런 물질들 및 덮개 케이블로서의 이들의 용도의 보다 상세한 내용은 참고로 포함되어진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1999년 11월 17일에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99122840에 있다.
종류 b)의 불균일상 코폴리머는 i)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가능하면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코모노머의 미량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필렌 ii) 에틸렌과 α-올레핀, 특히 프로필렌 및 가능하면 디엔의 미량과의 혼합물의 연속된 공중합에 의해 얻어진 열가소성 탄성체이다. 제품의 종류는 또한 "열가소성 반응기 탄성체"라는 용어로 공지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상기의 종류 b)는 탄성체상의 중량에 대해 15 내지 50중량%의 에틸렌 및 50 내지 85중량%의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탄성체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탄성체상인 불균일상 코폴리머이다. 이런 물질 및 덮개 케이블로서의 이들의 용도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진 본 출원인의 특허 출원 WO00/41187에 있다.
상기 종류 a)의 제품들은 예를 들어, Huntsman Polymer Corporation의 상표 RexflexR로 판매된다.
상기 종류 b)의 제품들은 예를 들어, Montell의 상표 HifaxR로 판매된다.
또한, 열가소성 기초 물질로서, 상기에 정의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일반적으로 30 J/g 이하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주로 물질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저 결정성 폴리머와 기계적으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저 결정성 폴리머의 양은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물질의 전체 중량에 대해 70중량% 이하 및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저 결정성 폴리머는 C3-C12α-올레핀 및 가능하다면 디엔을 갖는 에틸렌의 코폴리머이다. 상기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1-헥센 및 1-옥텐으로부터 선택된다. 만일 디엔 코모노머가 존재한다면, 일반적으로 C4-C20이고 1,3-부타디엔, 1,4-헥사디엔, 1,6-옥타디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바람직하게는 공액 또는 비공액 선형 다이올레핀;1,4-사이클로헥사디엔, 5-에틸리덴-2-노보넨, 5-메틸렌-2-노보넨, 5-바이닐-2-노보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모노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 디엔들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에틸렌 코폴리머들은:
(i) 35-90몰%의 에틸렌; 10-65몰%의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0-10몰%의 디엔, 바람직하게는 1,4-헥사디엔 또는 5-에틸렌-2-노보넨(이런 종류에 속하는 EPR 및 EPDM 고무들)인 모노머 조성물을 갖는 코폴리머들;
(ii) 75-97몰%, 바람직하게는 90-95몰%의 에틸렌; 3-25몰%, 바람직하게는 5-10몰%의 α-올레핀; 0-5몰%, 바람직하게는 0-2몰%의 디엔(예를 들어, Dow-Dupont Elastomers의 제품 EngageR과 같은 에틸렌/1-옥텐 코폴리머들)인 모노머 조성물을 갖는 코폴리머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액체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구조식 1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페닐 에테르를 포함한다:
[구조식 1]
R1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고, 수소, 적어도 하나의 알킬 그룹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그룹, 또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그룹을 나타낸다.
알킬 그룹이란 선형 또는 측쇄 C1-C24, 바람직하게는 C1-C20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액체들은 예를 들어, 순수한 이성질체 또는 다른 것들과 혼합된 페닐 톨루일 에테르, 2,3'-다이톨루일 에테르, 2,2'-다이톨루일 에테르, 2,4'-다이톨루일 에테르, 3,3'-다이톨루일 에테르, 3,4'-다이톨루일 에테르, 4,4'-다이톨루일 에테르, 옥타데실 다이페닐 에테르이다.
상기 유전액체는 0.4 이거나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0.7 이거나 그 이상이인 아릴 탄소 원자 수와 전체 탄소 원자수의 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이페닐 에테르는 바람직하게는 25℃에서 8 이거나 그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IEC 247에 따라 측정).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다이페닐 에테르는 절연층 내의 액체의 빠른 분산 및 액체의 밖으로의 이동을 막는 동시에 액체가 폴리머 속으로 쉽게 충전되고 혼합되도록 예정된 점성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유전액체는 20℃에서 1 내지 100mm2/s,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mm2/s(ISO 3104에 따라 측정)의 동적 점성도를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다이페닐 에테르는 5mm3/min 이거나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50mm3/min 이거나 그 이상인 수소 흡수 능력을 갖는다(IEC 628-A에 따라 측정).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에폭시 수지는 본 발명의 케이블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유전액체에 액체의 중량에 대해 1중량% 이거나 그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는데, 이것은 주로 전기장 하에서 이온 수송 및 절연 물질의 유전 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적합한 유전액체는 우수한 저항성, 상당한 가스 흡수력, 특히 수소, 부분 전하들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고, 그 결과 유전 손실은 심지어 고온 및 고 전하량 기울기에서도 높지 않다. 유전액체와 본 발명의 기초 폴리머 물질과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1:99 에서 25:75 사이, 바람직하게는 2:98 에서 20:80 사이,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3:97 에서 15:85 사이 이다.
본 발명의 유전액체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의 염 형태의 크레졸을 가능하면 구리 또는 구리 염 촉매의 존재하에서 할로겐 톨루엔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액체의 제조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US 4410869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케이블은 상기의 유전액체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로부터 형성된 전기 절연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압출성형된 덮개층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케이블은 상기의 유전액체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로부터 형성된 반도전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압출성형된 덮개층을 갖는다. 반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도전성 충전제에 폴리머 물질이 첨가된다. 기초 폴리머 물질 내의 전도성 충전제의 우수한 분산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초 폴리머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폴리머 중량에 대해 적어도 40중량%의 무정형상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들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케이블은 상기의 유전액체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절연층 및 적어도 하나의 반도전층을 갖는다. 이것은 반도전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절연층에 존재하는 유전액체의 일부를 흡수하는 하는 것을 막아서, 절연층과 반도전층, 특히 전기장이 최대인 내부 반도전층 사이의 접촉면에서의 유전액체의 양을 감소시킨다.
다른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유전액체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과 관한 것으로:
- 상기 열가소성 물질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코모노머를 가진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포함하고, 상기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140℃ 이거나 그 이상인 용융점 및 30 내지 100 J/g의 용융 엔탈피를 갖는다;
- 상기 유전액체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또는 측쇄의 지방족, 방향족 또는 혼합된 지방족 및 방향족 C1-C30, 바람직하게는 C1-C24탄화수소 라디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다이페닐 에테르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전기 절연성을 띄는 덮개층(4) 또는 반도전성을 띄는 덮개층(3,5)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 폴리머 물질로서의 상기의 폴리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용 덮개층의 형성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처리 보조제, 수트리 지연제(water tree retardants) 등과 같은 다른 통상적인 성분들이 상기의 폴리머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목적에 적합한 통상적인 산화방지제들은 예를 들어, 다이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thio-propionate), 펜타에리트릴-테트라키스(pentaerithryl-tetrakis)[3-(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1,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폴리머 기초 물질에 첨가될 수 있는 처리보조제들은, 예를 들어,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파라핀 왁스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 및 고 전압 케이블을 특별히 참고하여, 상기에 정의된 폴리머 물질들은 절연층을 형성하는데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대로, 이런 폴리머 물질들은 주위 온도 및 고온 모두에서 아주 우수한 기계적 특성들을 나타내고 또한 향상된 전기 특성들을 보여주는데, 특히 이들은 가교 폴리머 기초 물질들로 이루어진 덮개들을 가진 케이블들의 작동 온도와 비슷하거나 초과하는 높은 작동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만일 반도전층이 형성된다면, 도전성 충전제, 특히 카본 블랙은 일반적으로 반도전성을 가진 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양으로 폴리머 물질 내에서 분산된다(즉,주위 온도에서 5 Ohm.m 이하의 고유 저항을 얻기 위함). 이 양은 일반적으로 혼합물의 전체 중량의 5 내지 80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 이다.
절연층 및 반도전층 모두에 동일한 유형의 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하면 인접층들 사이에 우수한 흡착 및 특히 전기장 및 부분 방전의 위험이 높은 절연층 및 내부 반도전층 사이의 접촉면에서의 더 좋은 전기적 작용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중 또는 저 전압용 케이블을 제조하는데 특히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기초 폴리머 물질, 유전액체 및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들에 의해 제공된 어떤 다른 첨가제들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혼합은 예를 들어, 접선형 로터들(Banbury) 또는 관입형 로터들을 가진 내부 믹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Ko-Kneader(Buss) 유형 또는 혼성 또는 역회전 이중 스크루형의 연속 믹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전액체는 압출 단계 동안에 압출기 실린더에 직접 분사함으로써 폴리머 물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중 또는 고 전압용 케이블을 커버링하는데 상기의 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하면 재생 이용가능하고 유연한 덮개가 우수한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들을 갖도록 한다.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유전액체들과 동일한 폴리머 물질의 유사한 혼합물들의 경우 보다 뛰어난 융화성이 유전액체 및 본 발명의 열가소성 기초 폴리머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융화성은, 특히, 유전액체의 더 적은 삼출 및 상기의 이동 현상의 감소를 유도한다. 이들의 높은 작동 온도 및 낮은 유전 손실 때문에, 본발명의 케이블들은 동일한 전압에 대해 XLPE 덮개를 가진 전통적인 케이블에 의해 수송될 수 있는 전력 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큰 전력을 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 전압"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1 내지 35kV의 전압을 의미하는 반면, "고 전압"이란 35kV이상의 전압을 의미한다.
비록 이 설명이 주로 중 또는 고 전압 전기 에너지의 수송용 또는 배분용 케이블들의 생산에 주로 집중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폴리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전기 장치들의 덮개 및 예를 들어, 저 전압 케이블, 통신 케이블 또는 조합된 에너지/통신 케이블 또는 터미널 또는 커넥터와 같은 전기 배선 건설에 사용되는 부품들과 같은 특히 다른 유형의 특정 케이블들을 커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특성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서, 케이블(1)은 도체(2), 반도전성을 띄는 내부층(3), 절연성을 띄는 중간층(4), 반도전성을 띄는 외부층(5), 금속 차폐층(6) 및 외부 시스(7)를 포함한다.
도체(2)는 일반적으로 금속 와이어들,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방법들에 의해 함께 묶인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절연층(4) 및 반도전층(3,5)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덮개층은 상기에 정의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외부 반도전층(5)의 주위에는 나선형으로 감긴 전기 도전성 와이어 또는 스트립(strip)의 차폐층(6)이 주로 위치한다. 이 차폐층은 예를 들어, 비가교 폴리에틸렌(PE)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정의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같은 열가소성 물질의 시스(7)로 덮힌다.
또한 상기 케이블에 주목적이 충격 및/또는 압축에 대해 케이블을 기계적으로 보호하는 외부 보호 구조(도1에 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보호 구조는, 예를 들어, WO 98/52197에 기술된 금속 강화 또는 팽창된 폴리머의 층일 수 있다.
도 1은 단지 본 발명의 케이블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당업계에 공지된 적절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실시예에 분명히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은 예를 들어, 압출과 같이 열가소성 물질의 층들을 침적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들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압출은 예를 들어, 개별 압출기가 연속으로 배치된 탠덤(tandem) 방식 또는 다중 압출 헤드를 가진 혼성 압출에 의해 한번의 시도로 편리하게 실행된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며, 이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액체들은 다음과 같다:
- BaylectrolR4900: 다이톨루일 에테르(Bayer AG), IEC 247에 따라 측정된유전 상수가 25℃에서 3.5;
- NeovacRSY: 옥타데실 다이페닐 에테르(Matsumura Oil Research Corp.), IEC 247에 따라 측정된 유전 상수가 25℃에서 2.7;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비교 유전액체들은 다음과 같다:
- BaysiloneRPD5(General Electic-Bayer), IEC 247에 따라 측정된 유전 상수가 25℃에서 2.6;
- 폴리페닐메틸실록산(PPMS), 전기 절연체에 대한 IEEE 보고서(Vol.26, N0.4,1991)에 기술된대로 25℃에서 4mm2/sec의 점성도를 갖는 폴리아로마틱 유전 오일;
- FlexonR641(Esso의 상품): 40중량% 방향족 탄화수소, 57중량% 포화 탄화수소 및 3중량% 극성 화합물로 구성되고 40℃에서 22mm2/sec의 점성도를 갖는 나프텐계 방향족 오일.
사용되는 폴리머 물질들은 다음과 같다:
- 160℃의 용융점, 56.7J/g의 용융 엔탈피, 1.8dg/min의 MFI 및 290MPa의 굴곡 탄성률(flexural modulus)을 갖는 유연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RexflexRWL105-Huntsman Polymer Corp의 상품)(표 1, 실시예들 1-6)
- 약 65중량%(탄성체상으로 72중량%의 프로필렌), 32J/g의 용융 엔탈피, 163℃의 용융점, 0.8dg/min의 MFI 및 약 70MPa의 굴곡 탄성률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탄성체상을 갖는 프로필렌 불균일상 코폴리머(HifaxRKSO81-Montell의 상품)(표 1, 실시예들 7-8).
조성물 제조
과립 형태의 폴리머를 터보믹서에서 80℃로 예열하였다. 유전액체를 표 1에 주어진 제제를 위한 특정된 양으로 80℃로 15분 동안 교반하면서 터보믹서에서 예열된 폴리머에 첨가하였다. 첨가후에 상기 액체가 폴리머 과립들 속에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80℃로 추가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 첫 단계후에, 얻어진 물질을 균질화를 이루기 위해 185℃에서 laboratory double-screw Brabender Plasticorder PL00에서 혼합하였다.
절연 내력(dielectirc strength(DS))의 측정
얻어진 폴리머 조성물들의 절연 내력은 "The EFI Test Mothod for Accelerated Growth of Water Trees"(1990,6월 3-6일, 캐나다, 토론토, IEEE 전기 절연체에 대한 국제 심포지엄)라는 간행물에서 EFI(Norwegian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에 의해 제안된 기하 도형적 배열을 갖는 절연 물질의 시료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런 방법에서, 케이블은 반도전성 물질 코팅으로 양쪽면에 코팅된 기초물질을 갖는 절연 물질의 유리 모양의 시료 형태를 띄게 된다.
상기 유리 모양의 시료들을 약 190℃에서 과립들을 압출함으로써 얻어지는 10mm 두께의 판으로부터 얻은 절연 물질의 원형물을 160-170℃에서 주조함으로써형성한다.
약 0.40-0.45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기초물질의 내부 및 외부 표면을 반도전성 코팅으로 코팅하였다. 약 20℃에서 실리콘 오일에 침지하여, 이런 표본들을 25kV의 전압의 50Hz 교류에 사용하고 시료의 천공이 발생할 때까지 매 30분 마다 5kV를 증가시키면서 DS 측정을 하였다. 각 측정은 10개 시료에 대해 반복하였다. 표 1에 주어진 값들은 개별 측정 값들의 산술 평균이다.
실시예 폴리머 유전액체 중량%의 유전액체 DS(평균)
1* Rexflex?WL 105 -- -- 92
2* Rexflex?WL 105 Baysilone?PD5 5 90
3* Rexflex?WL 105 Flexon?641 5 94
4 Rexflex?WL 105 Baylectrol?4900 6 140
5 Rexflex?WL 105 Baylectrol?4900 13 152
6 Rexflex?WL 105 Neovac SY? 10 145
7* Hifax?KS081 -- -- 90
8 Hifax?KS081 Baylectrol?4900 13 140
* 비교
표 1에 주어진 절연 내력 값들은 기초 폴리머 또는 비교 유전액체와 혼합된 기초 폴리머의 전기적 성능과 비교된 본 발명의 유전액체로부터 유도되는 전기적 성능의 향상을 강조한다.
케이블들에 대한 검사
케이블 제조:
절연층 및 반도전층의 조성물을 아래의 표 2에 기술하였다.
참조 케이블(조성물 예 1) 본 발명의 케이블(조성물 예 5)
절연체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 절연체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
Phr Phr Phr Phr
Rexflex?WL105 100 87
Baylectrol?4900 13 10
Hifax?KS081 100 100
NeroY-200 55 55
Irganox?1330 0.3 0.3
Nero Y-200: 70m2/g의 특정 표면을 가진 필름 SN2A의 아세틸렌 카본 블랙; IrganoxR1330: 1,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Ciba Geigy).
케이블을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ReflexRWL105 및 미리 첨가된 IrganoxR1330과 함께 BaylectrolR4900를 이중 스크루 압출기(T=180℃)에 공급했다; 이런 방법으로 형성된 혼합물을 여과된 혼합물(50 미크론)을 다른 압출기(스크루 단면적 150mm2, 190℃)에 공급하는 단일 스크루 압출기(스크루 단면적 150mm2, 190℃)속으로 통과시켰다. 연속적인 여과(80 미크론)후에, 구리 묶음(단면적 400mm2)의 금속 도체에 3중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물질을 3중 헤드에 공급하고 동시에 반도전층에 침적시켰다.
압출 헤드를 나온 케이블을 100℃에서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튜브 속에 공급하였고 케이블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킬 경우엔 물 속에 첨가시켰다.
완성된 케이블은 구리 도체(단면적 400mm2), 약 2mm의 내부 반도전층, 약 5.5mm의 절연층 및 마지막으로 약 2mm의 외부 반도전층으로 구성된다.
유사한 조건하에서, 표 2에서 나타난 물질들을 사용하여 참조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부분 방전:
부분 방전은 5 피코 쿨롱(pC)을 초과하는 전류를 만나지 않고 20kV/mm에서 측정하였다(IEC 60-502에 따름).
절연 내력:
상기한대로 생산된 2개 케이블들 각각의 100미터는 주위 온도에서 교류를 사용하는 ENEL DC4584에 기초한 절연 내력 측정에 영향을 받기 쉽다. 케이블에 사용된 기울기를 30kV/mm에서 시작하여 케이블이 천공될 때까지 매 30분마다 5kV/mm 증가시켰다. 고려되는 천공 기울기는 도체에 관한 것이다.
표 3은 케이블 및 전기적 검사의 결과들에 대한 데이타를 나타낸다.
실시예 폴리머 유전액체 중량%의 유전액체 DS(상대적)
1* Rexflex?WL 105 -- -- 100
5 Rexflex?WL 105 Baylectrol?4900 13 180
얻어진 상기 결과들은 첨가제들을 가진 케이블이 첨가제가 없는 케이블에 대해 절연 내력(DS)이 80% 증가한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내용중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51)

  1. (1)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 (2) 및 유전 액체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을 기초로한 적어도 하나의 압출성형된 덮개층(3,4,5)을 포함하는 케이블로서,
    - 상기 열가소성 물질이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코모노머를 가진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140℃ 이거나 그 이상인 용융점을 갖고 30 내지 100 J/g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 상기 유전 액체가 적어도 하나의 선형 또는 측쇄의 지방족, 방향족 또는 혼합된 지방족 및 방향족 C1-C30탄화수소 라디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다이페닐 에테르를 포함하는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가 145 내지 170℃의 용융점을 갖는 케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가 30 내지 85 J/g의 용융 엔탈피를 갖는 케이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가 실온에서 측정된 30 내지 1400MPa의 굴곡 탄성율(flexural modulus)을 갖는 케이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가 실온에서 측정된 60 내지 1000MPa의 굴곡 탄성율을 갖는 케이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가 230℃에서 측정된 0.05 내지 10.0 dg/min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갖는 케이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가 230℃에서 측정된 0.5 내지 5.0 dg/min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갖는 케이블.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레핀 코모노머가 15몰% 이거나 그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케이블.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레핀 코모노머가 10몰% 이거나 그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케이블.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레핀 코모노머가 에틸렌 또는 R이 선형 또는 측쇄 C2-C10알킬인 화학식 CH2=CH-R의 α-올레핀인 케이블.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α-올레핀이 1-부텐(1-butene), 1-펜텐(1-pentene), 4-메틸-1-펜텐(4-methtyl-1-pentene), 1-헥센(1-hexene), 1-옥텐(1-octene), 1-데켄(1-decene), 1-도데켄(1-dodecene) 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케이블.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물질이
    (a)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고 30 내지 900MPa의 굴곡 탄성율을 갖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b) 프로필렌계 열가소성상 및 α-올레핀과 공중합된 에틸렌계 탄성체상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상이 불균일 코폴리머의 전체 중량의 적어도 4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불균일상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포함하는 케이블.
  13. 제 12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가 50 내지 400MPa의 굴곡 탄성율을 갖는 케이블.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a)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가
    140 내지 165℃의 용융점;
    30 내지 80J/g의 용융 엔탈피;
    4 J/g 이거나 그 이하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끓는 다이에틸 에테르에서 12중량% 이거나 그 이하의 양으로 용해되는 부분;
    10 내지 40 J/g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끓는 n-헵테인(heptane)에서 15 내지 60중량%의 양으로 용해되는 부분;
    45 J/g 이거나 그 이상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끓는 n-헵테인에서 40 내지 85중량%의 양으로 용해되지 않는 부분을 갖는 케이블.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의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가
    2 J/g 이거나 그 이하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끓는 다이에틸 에테르에서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용해되는 부분;
    15 내지 30 J/g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끓는 n-헵테인에서 20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용해되는 부분;
    50 내지 95 J/g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끓는 n-헵테인에서 50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용해되지 않는 부분을 갖는 케이블.
  16. 제 12 항에 있어서,
    (b)의 불균일상 코폴리머의 탄성체상에 포함된 α-올레핀이 프로필렌인 케이블.
  17. 제 16 항에 있어서,
    탄성체상이 탄성체상의 중량에 대해 15 내지 50중량%의 에틸렌 및 50 내지 85중량%의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탄성체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초 열가소성 물질이 30 J/g 이거나 그 이하인 용융 엔탈피를 갖고 열가소성 물질의 전체 중량에 대해 70중량% 이거나 또는 그 이하인 저 결정성 폴리머와 기계적으로 혼합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인 케이블.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저 결정성 폴리머가 열가소성 물질의 전체 중량에 대해 20 내지 60중량%인 케이블.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저 결정성 폴리머가 C3-C12α-올레핀을 가진 에틸렌의 코폴리머인 케이블.
  21.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저 결정성 폴리머가 α-올레핀 및 디엔을 가진 에틸렌의 코폴리머인 케이블.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에틸렌 코폴리머가
    (i) 35-90몰%의 에틸렌; 10-65몰%의 α-올레핀; 0-10몰%의 디엔의 모노머 조성을 갖는 코폴리머;
    (ii) 75-97몰%의 에틸렌; 3-25몰%의 α-올레핀; 0-5몰%의 디엔의 모노머 조성을 갖는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케이블.
  23. 제 22 항에 있어서,
    에틸렌 코폴리머가 90-95몰%의 에틸렌; 5-10몰%의 α-올레핀; 0-2몰%의 디엔인 모노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케이블.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α-올레핀이 프로필렌, 1-헥센 및 1-옥텐으로부터 선택되는 케이블.
  25.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엔이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케이블.
  26.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엔이 공액 또는 비공액 선형 다이올레핀 및 모노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 디엔으로부터 선택되는 케이블.
  27.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엔이 1,3-부타디엔, 1,4-헥사디엔, 1,6-옥타디엔, 1,4-사이클로헥사디엔, 5-에틸리덴-2-노보넨, 5-메틸렌-2-노보넨, 5-바이닐-2-노보넨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되는 케이블.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화수소 라디칼이 1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케이블.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액체가 다음의 구조식 1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페닐 에테르를 포함하는 케이블:
    구조식 1
    (R1및 R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 적어도 하나의 알킬 그룹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그룹 또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그룹).
  30. 제 29 항에 있어서,
    알킬 그룹이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케이블.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액체가 순수한 이성질체 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인 페닐 톨루일 에테르, 2,3'-다이톨루일 에테르, 2,2'-다이톨루일 에테르, 2,4'-다이톨루일 에테르, 3,3'-다이톨루일 에테르, 3,4'-다이톨루일 에테르, 4,4'-다이톨루일 에테르, 옥타데실 다이페닐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케이블.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릴(aryl) 탄소 원자수와 유전액체의 전체 탄소 원자수의 비가 0.4 이거나 그 이상인 케이블.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릴 탄소 원자수와 유전액체의 전체 탄소 원자수의 비가 0.7 이거나 그 이상인 케이블.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페닐 에테르의 유전상수가 25℃에서 8 이거나 그 이하인 케이블.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페닐 에테르의 유전상수가 25℃에서 4 이거나 그 이하인 케이블.
  36. 제 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액체가 20℃에서 1 내지 100mm2/s의 동적 점성도(kinematic viscosity)를 갖는 케이블.
  37.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액체가 20℃에서 3 내지 50mm2/s의 동적 점성도(kinematic viscosity)를갖는 케이블.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페닐 에테르가 5mm3/min 이거나 그 이상의 수소 흡수 능력을 갖는 케이블.
  39. 제 38 항에 있어서,
    수소 흡수 능력이 50mm3/min 이거나 그 이상인 케이블.
  40. 제 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가 액체의 중량에 대해 1중량% 이거나 그 이하의 양으로 유전액체에 첨가되는 케이블.
  41. 제 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액체와 기초 폴리머 물질의 중량비가 1:99 내지 25:75인 케이블.
  42. 제 1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액체와 기초 폴리머 물질의 중량비가 2:98 내지 20:80인 케이블.
  43. 제 1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액체와 기초 폴리머 물질의 중량비가 3:97 내지 15:85인 케이블.
  44. 제 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초 폴리머 물질이 전체 폴리머 중량에 대해 적어도 40중량%의 무정형상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들 또는 코폴리머들로부터 선택되는 케이블.
  45. 제 1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출성형된 덮개층이 전기 절연성을 띄는 층(4)인 케이블.
  46. 제 1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출성형된 덮개층이 반도전성을 띄는 층(3,5)인 케이블.
  47. 제 46 항에 있어서,
    도전성 충전제가 반도전성을 띄는 층으로 분산되는 케이블.
  48. 제 1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절연성을 띄는 적어도 하나의 층 및 반도전성을 띄는 적어도 하나의 층이 있는 케이블.
  49. 제 1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전액체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
  50. 전기 절연성을 띄는 덮개층(4) 제조용 기초 폴리머 물질로서의 제 49 항의 폴리머 조성물의 용도.
  51. 반도전성을 띄는 덮개층(3,5) 제조용 기초 폴리머 물질로서의 제 49 항의 폴리머 조성물의 용도.
KR1020037004518A 2000-09-28 2001-08-22 재생 이용가능한 덮개를 갖는 케이블 KR100777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21110 2000-09-28
EP00121110.1 2000-09-28
PCT/EP2001/009700 WO2002027731A1 (en) 2000-09-28 2001-08-22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420A true KR20040030420A (ko) 2004-04-09
KR100777011B1 KR100777011B1 (ko) 2007-11-16

Family

ID=2976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518A KR100777011B1 (ko) 2000-09-28 2001-08-22 재생 이용가능한 덮개를 갖는 케이블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323171B1 (ko)
JP (1) JP4875282B2 (ko)
KR (1) KR100777011B1 (ko)
CN (1) CN1229821C (ko)
AR (1) AR037079A1 (ko)
AT (1) ATE285112T1 (ko)
AU (2) AU8403001A (ko)
BR (1) BR0114264B1 (ko)
CA (1) CA2425382C (ko)
DE (1) DE60107864T2 (ko)
ES (1) ES2234874T3 (ko)
HU (1) HU229633B1 (ko)
NZ (1) NZ525495A (ko)
WO (1) WO200202773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052A (ko) * 2012-09-25 2014-04-02 넥쌍 전기 케이블용 실리콘 다층 절연물
KR20140102407A (ko) * 2013-02-14 2014-08-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20140102408A (ko) * 2013-02-14 2014-08-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20190079535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케이블 절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87346A (ko) * 2019-06-19 2019-07-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20190087345A (ko) * 2019-06-19 2019-07-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20200010347A (ko) * 2017-06-21 2020-01-30 넥쌍 극성 유전체 액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1143B2 (en) * 1999-11-17 2005-03-01 Pirelli Cavi E Sistemi S.P.A.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WO2002047092A1 (en) 2000-12-06 2002-06-13 Pirelli S.P.A. Process for producing a cable with a recyclable coating
WO2004066317A1 (en) * 2003-01-20 2004-08-05 Gabriele Perego Cable with recycable covering layer
JP2007515742A (ja) * 2003-07-25 2007-06-14 ピレリ・アンド・チ・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電気ケーブルを製造する連続的な方法
AU2005337789B2 (en) 2005-10-25 2012-09-13 Prysmian Cavi E Sistemi Energia S.R.L. Energy cable comprising a dielectric fluid and a mixture of thermoplastic polymers
WO2008058572A1 (en) * 2006-11-15 2008-05-22 Prysmian S.P.A. Energy cable
WO2009000326A1 (en) 2007-06-28 2008-12-31 Prysmian S.P.A. Energy cable
CN102822257B (zh) 2010-01-29 2014-03-12 普睿司曼股份公司 能量电缆
RU2539359C1 (ru) * 2010-11-25 2015-01-20 Призмиан С.П.А. Силовой кабель, содержащий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й электроизоляционный слой со стабилизатором напряжения
BR112013014593B1 (pt) 2010-12-23 2019-12-10 Prysmian Spa processo para fabricar um cabo de energia, e, aparelho para fabricar um cabo de energia
US9576703B2 (en) 2010-12-23 2017-02-21 Prysmian S.P.A. Energy cable having stabilized dielectric resistance
US20140255692A1 (en) * 2011-08-04 2014-09-11 Gabriele Perego Energy cable having a thermoplastic electrically insulating layer
US9697927B2 (en) 2011-12-23 2017-07-04 Prysmian S.P.A. Cable comprising an element indicating water infiltration and method using said element
US10297372B2 (en) 2012-05-18 2019-05-21 Prysmian S.P.A Process for producing an energy cable having a thermoplastic electrically insulating layer
ES2749509T3 (es) * 2012-05-18 2020-03-20 Prysmian Spa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 cable de energía que presenta una capa termoplástica de aislamiento eléctrico
US10662323B2 (en) 2013-08-12 2020-05-26 Nkt Hv Cables Ab Thermoplastic blend formulations for cable insulations
WO2016005791A1 (en) 2014-07-08 2016-01-14 Prysmian S.P.A. Energy cable having a thermoplastic electrically insulating layer
EP3234013B1 (en) 2014-12-17 2018-11-28 Prysmian S.p.A. Energy cable having a cold-strippable semiconductive layer
CN108350583B (zh) 2015-09-25 2020-09-08 普睿司曼股份公司 由四唑化合物腐蚀抑制剂涂覆的铝的电力电缆
DK3365952T3 (da) 2015-10-23 2020-06-15 Prysmian Spa Samling til elektriske kabler med termoplastisk isolering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deraf
EP3549144A1 (en) 2016-11-30 2019-10-09 Prysmian S.p.A. Power cable
US20200126687A1 (en) 2016-12-27 2020-04-23 Prysmian S.p. A. Electric cable having a protecting layer
DK3695424T3 (da) * 2017-10-12 2022-09-12 Prysmian Spa Elektrisk kabel med forbedret termoplastisk isoleringslag
US20220112367A1 (en) * 2018-06-13 2022-04-14 Nexans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 dielectric liquid of improved polarity
JP6800362B1 (ja) 2020-03-30 2020-12-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ケーブル及び電力ケーブ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180A (en) * 1975-06-25 1977-01-11 Dainichi Nippon Cables Ltd Oil immersed power cables
DE3115545A1 (de) * 1981-04-16 1982-11-18 Bayer Ag, 5090 Leverkusen Impraegniermittel und seine verwendung
US4543207A (en) * 1982-12-25 1985-09-24 Nippon Petrochemicals Company, Limited Electrical insulating oil and oil-filled electrical appliances
US4501688A (en) * 1984-02-01 1985-02-26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Silane oligomers useful as anti-treeing additives
CA1290479C (en) * 1986-09-22 1991-10-08 Teruo Fukuda Radiation-resistant high molecular composition
JPH0781049B2 (ja) * 1986-12-15 1995-08-30 チッソ株式会社 デイストリビユ−タキヤツプ用樹脂組成物
EP0690458A3 (en) * 1994-06-27 1997-01-29 Mitsubishi Cable Ind Ltd Insulating composition and formed articles
JPH08289454A (ja) * 1995-04-13 1996-11-01 Hitachi Cable Ltd ゴムモールドストレスコーン
AU740973B2 (en) * 1997-09-09 2001-11-15 Nkt Research Center A/S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insulated objects comprising said materia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052A (ko) * 2012-09-25 2014-04-02 넥쌍 전기 케이블용 실리콘 다층 절연물
KR20140102407A (ko) * 2013-02-14 2014-08-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20140102408A (ko) * 2013-02-14 2014-08-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20200010347A (ko) * 2017-06-21 2020-01-30 넥쌍 극성 유전체 액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KR20190079535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케이블 절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87346A (ko) * 2019-06-19 2019-07-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20190087345A (ko) * 2019-06-19 2019-07-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403001A (en) 2002-04-08
ATE285112T1 (de) 2005-01-15
CN1229821C (zh) 2005-11-30
CN1466766A (zh) 2004-01-07
DE60107864T2 (de) 2005-12-22
BR0114264B1 (pt) 2011-10-18
JP2004510299A (ja) 2004-04-02
DE60107864D1 (de) 2005-01-20
BR0114264A (pt) 2004-01-06
CA2425382C (en) 2010-01-12
HUP0303679A3 (en) 2010-01-28
AR037079A1 (es) 2004-10-20
KR100777011B1 (ko) 2007-11-16
HU229633B1 (hu) 2014-03-28
WO2002027731A1 (en) 2002-04-04
NZ525495A (en) 2004-07-30
HUP0303679A2 (hu) 2004-03-01
AU2001284030B2 (en) 2006-01-12
JP4875282B2 (ja) 2012-02-15
EP1323171A1 (en) 2003-07-02
ES2234874T3 (es) 2005-07-01
EP1323171B1 (en) 2004-12-15
CA2425382A1 (en)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011B1 (ko) 재생 이용가능한 덮개를 갖는 케이블
DK1588387T3 (en) Cable with reusable cover
EP2092535B1 (en) Energy cable
EP1295301B1 (en)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KR101810542B1 (ko) 열가소성 전기 절연층을 구비한 에너지 케이블
AU2001284030A1 (en)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AU2001272485A1 (en)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AU2010344307A1 (en) Energy cable
RU259090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илового кабеля, имеющего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й электроизоляционный слой
US6824870B2 (en)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US6908673B2 (en)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RU2377677C1 (ru) Силовой кабель, включающий в себя диэлектрическую жидкость и смесь термопластичных полиме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