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0008A - 완력기 - Google Patents

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0008A
KR20040030008A KR1020040012429A KR20040012429A KR20040030008A KR 20040030008 A KR20040030008 A KR 20040030008A KR 1020040012429 A KR1020040012429 A KR 1020040012429A KR 20040012429 A KR20040012429 A KR 20040012429A KR 20040030008 A KR20040030008 A KR 20040030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s
pins
pin
hand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선
Original Assignee
최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선 filed Critical 최경선
Priority to KR102004001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0008A/ko
Publication of KR2004003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0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Abstract

기판(1)에 간격유지편(2)(3)을 유지케하여 단부를 고정구(6)에 끼운, 보울트축(5)을 핸들(4)로서 조절하여 승하강판(10)의 너트(9)를 승하강되게 하고, 승하강판(10)을 안내핀(12)(12')으로 판스프링(13)(13')을 지지한 고정대(7)(7')를 연결하며 손잡이대(18)(18')에 로울러(14)(14')를 축착한지지구(15)(15')를 끼워서 축핀(16)(16')으로 유착케한 완력기에 있어서,
판스프링 고정대(7)(7')에 연결지지편(7a)(7b)과 지지축(8)(8') 및 저지핀(8a)(8b) 사이에 판스프링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고, 상기 로울러지지구(15)(15')는 작동암(15a)(15b)을 일체로 구성하여 각 선단부에 안내구(20)(20')를 뚫어서 교차시켜, 상기 안내구에 승하강 작동핀(21)을 끼우고 양단끝은 상기 전후 기판에 구성한 수직안내홈(1a)에 승하강 안내되게 한 다음, 고정받침(11)과 작동핀(21) 사이에 스프링(17)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완력기.

Description

완력기{omitted}
본발명은 완력기의 외부로 다수개의 스프링을 장치하지 않고, 내부에 판스프링을 다수매 중첩한 것을 기판내부에 장치하여 완력기의 취급, 사용과정에서 발생할수 있는 코일스프링의 신축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기구의 단순화와 고장, 마모로 인한 파손등이 없도록 하면서 수출시장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수 있도록 외모 또한 미려하게한 완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완력기로서 판스프링을 다수 중첩하여 몸체내에 삽입, 장치하는 완력기가 여러 가지 있으나, 그중에서 본원출원인이 선행 출원한 10-2003-0088811호가 있는데, 이것은 보울트축에 승하강너트를 끼우고, 양측에 안내홈을 뚫은 승하강판을 일체로 고정하며 승하강판에는 고정홈을 구성한 고정대를 연결대와 일체로 구성하여 안내핀과 안내홈에 끼워져서 안내되게 조립한 다음, 고정홈에는 다수개를 중첩한 판스프링을 끼우고 이 하단부에는 양측손잡이에 연결된 손잡이내에 끼워서 축핀으로 유착된 지지구에 유착로울러를 판스프링 하단내지 중단에 조절하여 접속되게하고 탄발스프링을 지지구에 받쳐지게 한 구성으로서, 압지로울러가 판스프링을 접속하여 벌어지게하는 작용의 정확도가 낮으며, 손잡이의 벌어짐과 오무려지는 운동 역시 원할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발명은 이와같은 선행출원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 및 보완하고자 선행출원의 발명을 대폭 개선하여 압지로울러가 판스프링을 접속하여 손잡이의 떨어짐과 오무려지는 작용의 정확도가 신뢰할수 있는 최고수준에 도달하며, 벌어짐과 오무려지는 작용의 운동역시 원할하고 고장, 마모로 인한 파손, 고장등이 없도록 완벽하게 개량함에 목적을 두고 연구와 실험을 한바,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의 전면기판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발명의 전면기판을 제거한 상태의 작동 예시도
도 3은 본발명의 도1에서 중단정도로 승하강판을 하강시켜 절접한 상태의 작동 예시도
도 4는 본발명의 도2에서 승하강판을 하강시킨 절접 상태의 작동 예시도
기판(1)에 간격유지대(2)(3)을 유지케하여 단부로 고정부(6)에 끼운 보울트축(5)을 핸들(4)로서 조절하여 승하강판(10)의 너트(9)를 승하강되게 하고, 승하강판(10)을 안내핀(12)(12')으로 판스프링(13)(13')을 지지한 고정대(7)(7')를 연결하며, 손잡이대(18)(18')에 로울러(14)(14')를 축착한지지구(15)(15')를 끼워서 축핀(16)(16')으로 유착케한 완력기에 있어서,
판스프링 고정대(7)(7')에 연결지지편(7a)(7b)과 지지축(8)(8') 및 저지핀(8a)(8b) 사이에 판스프링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고, 상기 로울러 지지구(15)(15')는 작동암(15a)(15b)를 일체로 구성하여 각 선단부에 안내구(20)(20')를 형성하고 교차되게한, 상기 안내구에 승하강 작동핀(21)을 끼워서 양단을 상기 전후 기판에 구성한 수직안내홈(1a)에 안내되게 한 다음, 고정받침(11)과 작동핀(21) 사이에 스프링(17)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의 상태는 핸들(4)을 돌려서 승하강판(10)의 너트(9)가 보울트축(5)을 타고 상승하여 판스프링(13)(13')을 지지편(7a)(7b)과 지지축(8)(8') 및 저지핀(8a)(8b) 사이에 끼워서 고정한 고정대(7)(7')가 지지축(8)(8')(지지축은 전후 기판을 관통하여 축착하였슴)을 기점으로 약간씩 유동하는데 상기 고정대의 안내핀(12)(12')은 승하강판(10)의 양측 안내홈에 유삽되여 있어서 상기 승하강판(10)의 승강과 하강에 따라 지지축(8)(8')을 기점으로 상기 고정대(7)(7')는 하단이 상,하로 승하강판(10)의 유동에 따라 승강과 하강이 이루어지고, 여기서 고정구(6)는 상기 승하강판(10)의 하강시 보울트축(5) 단부끝을 벗어나지 않도록 저지하는 정지점 역할을 한다,
양측에 중첩된 판스프링(13)(13')의 하단부에 접속된 압지 로울러(14)(14')는 지지구(15)(15')에 축으로 유착되여 있고, 지지구(15)(15')와 일체로 구성하되 대향쪽으로 작동암(15a)(15b)(작동대)이 구성되고 상기 작동암 끝부분은 꾸부려지며, 꾸부려진 부분에 안내구(20)(20')가 통공되여 상기 안내구(20)(20')가 교차되게 하고 승하강 작동핀(21)을 끼워서 상기 작동핀(21)의 전후 단부는 전후기판(1)에 구성된 수직안내홈(1a)에 유삽되여 상하 승하강의 유동 작용을 하며, 상기 작동핀(21)과 고정받침(11)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7)을 걸어서 연결하였다,
도1의 상태는 손잡이대(18)(18')가 최대한으로 벌어진상태이고 동시에 승하강판(10)의 너트(9) 역시 보울트축(5)을 상승하여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이고, 이때에 승하강 작동핀(21)은 기판 수직안내홈(1a)의 최하단에 위치되어 스프링(17)의 탄력은 최대한으로 벌어진 상태가 된다
도2는 도1의 상태에서 양측 손잡이대(18)(18')를 잡고 오무리는 완력작용을 하여 압지로울러(14)(14')가 다수개 중첩된 양측의 판스프링(13)(13')을 일점선 위치에서 벌어지게 함과 동시에 작동암(15a)(15b)은 안내구(20)(20')의 작동핀(21)이 전후 기판(1)의 수직안내홈(1a) 최상단 끝에 위치하도록 상승케되고, 고정받침(11)과 작동핀(21)에 연결된 스프링(17)은 오무려저서 원위치된다, 즉 상기 손잡이대(18)(18')를 접어줌과 동시에 상기 작동암은 제쳐지면서 상승토록 작동핀(21)을 스프링(17)이 당겨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도3은 도1의 도시 상태보다 강화된 중간상태의 작동예시도이며, 도4는 도2의 도시 상태보다 강화된 중강상태의 작동 예시도로서 힘의 균형이 도1. 도2에 비해서 중간정도의 작동 예시도인데, 상기 도3. 4는 핸들(4)을 돌려서 승하강판(10)의 승하강너트(9)가 보울트축(5)을 타고 고정구(6)의 정지점 위치까지 하강시켰을 때의 작동 예시도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은 본원출원인이 선행출원한 완력기의 미비점과 작동상의 결점등을 완전하게 보완한 구성으로서, 취급, 사용시에 운동자가 힘의 균형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사용할수 있고 고장, 마모, 기구의 불안전에 인한 안전사고가 전무하도록 개량하였으며, 특히 외모가 단순, 미려하여, 수출시장에서 상품적인 가치를 돋보이게 하여 우위를 선점할수 있도록하는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1)

  1. 기판(1)에 간격유지대(2)(3)을 유지케하여 단부를 고정구(6)에 끼운 보울트축(5)을 핸들(4)로서 조절하여 승하강판(10)의 너트(9)를 승하강되게 하고 승하강판(10)을 안내핀(12)(12')으로 판스프링(13)(13')을 지지한 고정대(7)(7')를 연결하며 손잡이대(18)(18')에 로울러(14)(14')를 축착한 지지구(15)(15')를 끼워서 축핀(16)(16')으로 유착케한 완력기에 있어서,
    판스프링 고정대(7)(7')에 연결 지지편(7a)(7b)과 지지축(8)(8') 및 저지핀(8a)(8b) 사이에 판스프링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고, 상기 로울러지지구(15)(15')는 대향으로 작동암(15a)(15b)을 일체로 구성되게 하여 각 선단부는 안내구(20)(20')를 뚫어서 교차되게 겹쳐서 상기 안내구에 승하강 작동핀(21)을 끼우고 양단끝은 상기 전후 기판에 구성된 수직안내홈(1a)에 승하강이 자유롭게 안내되케 한다음, 고정받침(11)과 작동핀(21) 사이에 스프링(17)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완력기.
KR1020040012429A 2004-02-20 2004-02-20 완력기 KR20040030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429A KR20040030008A (ko) 2004-02-20 2004-02-20 완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429A KR20040030008A (ko) 2004-02-20 2004-02-20 완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008A true KR20040030008A (ko) 2004-04-08

Family

ID=3733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429A KR20040030008A (ko) 2004-02-20 2004-02-20 완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00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66B1 (ko) * 2006-04-11 2007-05-18 안태진 완력기
KR101044262B1 (ko) * 2009-08-18 2011-07-01 유융상 판스프링을 이용한 완력기
KR101221694B1 (ko) * 2010-06-07 2013-01-11 최경선 완 력 기
KR101247412B1 (ko) * 2010-06-04 2013-04-01 최경선 완 력 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66B1 (ko) * 2006-04-11 2007-05-18 안태진 완력기
KR101044262B1 (ko) * 2009-08-18 2011-07-01 유융상 판스프링을 이용한 완력기
KR101247412B1 (ko) * 2010-06-04 2013-04-01 최경선 완 력 기
KR101221694B1 (ko) * 2010-06-07 2013-01-11 최경선 완 력 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1354B (zh) 一种冰柜内胆囗形围板第二折弯铆接机构
CN110094049B (zh) 一种建筑工程快速早拆支撑
KR20040030008A (ko) 완력기
KR20090031490A (ko) 액세서리 부착기
CN107060548B (zh) 一种挂趟门下滑轮组的改良结构
CN110744293B (zh) 一种钢板弹簧叠装组件
CN209891906U (zh) 一种便于拆卸的撑杆固定座
JP3545312B2 (ja) ペーパー切断機用切断刃の昇降装置
CN202073585U (zh) 薄煤层液压支架用单侧抬底机构
KR100664481B1 (ko) 작업대용 브레이크 장치
CN208004642U (zh) 导向结构及具有其的导向系统
CN219358565U (zh) 一种金属夹组装机
CN209891983U (zh) 一种采用独立悬挂吊轮的滑动门
CN101490353A (zh) 用于滑动大门或者滑动门的装置
KR20130106697A (ko) 모니터 승강장치
CN110116169A (zh) 一种抽芯片铆合装置
CN220428130U (zh) 一种加工用夹持稳定装置
CN213595674U (zh) 一种物料提升机
CN218183665U (zh) 一种卡装式plc控制器
CN214868287U (zh) 一种桥式起重机主梁组焊装置
CN209967701U (zh) 一种带限位功能的舞台道具升降机
CN204938845U (zh) 提升力可调的升降机构
CN215438870U (zh) 一种新型单张纸胶印机的送纸装置
CN216976297U (zh) 一种滑动升降支架
CN110028016A (zh) 举升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