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697A - 모니터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697A
KR20130106697A KR1020120028433A KR20120028433A KR20130106697A KR 20130106697 A KR20130106697 A KR 20130106697A KR 1020120028433 A KR1020120028433 A KR 1020120028433A KR 20120028433 A KR20120028433 A KR 20120028433A KR 20130106697 A KR20130106697 A KR 20130106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wire
sliding plate
monitor
upp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219B1 (ko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 힌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 힌지텍 filed Critical (주)에이스 힌지텍
Priority to KR102012002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21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모니터를 하나의 승강장치에 장착할 수 있으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이동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힘의 작용으로 모니터가 장착된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모니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며 장착된 모니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의 위치에 관계없이 같은 크기로 작용하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니터 승강장치{MONITOR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모니터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모니터를 탄성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모니터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힘의 작용으로 모니터가 장착된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모니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제한된 장소에서 본체, 모니터,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진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장치나 책상 등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필요에 따라 책상의 상판에 모니터를 위치시키거나 상판 아래로 모니터를 감춤으로써 일반적인 사무와 컴퓨터 작업을 전환할 수 있는 모니터 승강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는 중량이 특정된 한 종류의 모니터만을 장착할 수 있으며, 중량이 다른 모니터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모니터 승강장치를 떼어내고 다른 종류의 모니터 승강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에 따른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된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의 모니터의 상하 이동된 위치에 따라 모니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의 크기가 다르게 작용하여 안정적인 모니터의 승하강 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중량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모니터를 장착할 수 있고, 모니터의 승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모니터 승강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모니터를 탄성부재의 길이 조절에 의해 하나의 승강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모니터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모니터가 장착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이동한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크기의 힘을 작용하여 모니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모니터의 승하강 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모니터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며 장착된 모니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의 위치에 관계없이 같은 크기로 작용하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임의의 위치에서 일정한 힘으로 상승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상에 거치되는 모니터의 중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작용시키는 힘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 중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고정롤러와, 상기 하부 고정롤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상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가운데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링크부재가 회전운동하는 링크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와, 일단(상단)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하부측에 고정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상부 고정롤러와 하부 고정롤러 및 가이드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와, 일단(상단)은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의 상부 연결턱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와, 일단(상단)은 상기 링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부재 상측단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를 포함하는 구성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 중의 상기 탄성부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고정 설치된 볼트 고정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상기 볼트 고정구에 연결시키는 탄성부재 길이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구성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의 탄성부재의 상단과 하단에는 별도의 상단 연결구와 하단 연결구가 구비되게 하여 와이어의 연결 및 위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링크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시소 고정 브래킷과, 상기 시소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어 가운데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도록 하고, 특히 상기 링크부재는 가운데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어 나와 부메랑 형상을 이루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링크부재는 가운데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 링크부재의 와이어 연결부에 각각 작용하는 모멘트 M1 과 M2 가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의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이동 위치에 관계없이 같은 값을 갖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상기 하부 고정롤러와 슬라이딩 레일부상에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롤러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의 이동위치가 최하단 또는 최상단의 위치인 경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재가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의 중량에 따라 모니터 승강장치를 교체할 필요 없이 탄성부재의 길이를 조절해 줌에 의해 중량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모니터를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의 크기가 동일하게 작용함으로써 모니터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링크부에서의 링크부재 회전에 따른 힌지축을 기준으로 한 모멘트 형성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에 따른 관련 구성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측으로 일부 올라간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그 상부의 모니터 승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모니터 승강장치의 저부 측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의 분해도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300)는 일정 폭과 상하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 일측에 장착된 모니터(미도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상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크기로 작용하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임의의 위치에서 일정한 힘으로 상승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상하 이동범위 중 최하단 또는 최상단의 위치에서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에는 소정 중량의 모니터가 장착되므로 모니터 및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자체 중량에 의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가 하부로 내려오지 않고 상부로 올라가고자 하는 힘이 작용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고정 설치되는 링크부(200)와 탄성부(20), 일련의 와이어(91,92,93), 상/하부 고정롤러(30,71∼75) 및 가이드롤러(64,65,66)를 포함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상에 거치되는 모니터의 중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상에 작용되는 힘의 크기가 또한 조절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고정롤러(30)와, 상기 하부 고정롤러(3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에 가이드롤러(64,65,66)가 설치되고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레일부(6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측부에 설치되며 가운데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링크부(2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부(20)와, 타단(하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상의 저부측에 고정되고, 일단(상단)은 상기 하부 고정롤러(30)과 상기 가이드롤러(64,65,66) 및 상부 고정롤러(71,72)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저부면상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91)와, 타단(하단)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60)의 상측단에 연결되고, 일단(상단)은 상기 링크부(2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92)와, 일단(상단)은 상기 링크부(200)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탄성부(20)의 탄성부재(21)의 상측단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9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20)는, 압축된 상태에서 일정길이를 유지하는 탄성부재(21)와, 상기 탄성부재(21)의 하부로 탄성부재(21)의 하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고정된 볼트 고정구(25)와, 상기 탄성부재(21)와 상기 볼트 고정구(25)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21)의 하단부 위치를 고정시키는 탄성부재 길이 조절볼트(2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1)의 하단에는 별도의 탄성부재 하단 연결구(23)가 구비되고, 이 탄성부재 하단 연결구(23)에 상기 탄성부재 길이 조절볼트(26)가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 길이 조절볼트(26)는 볼트머리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볼트 고정구(25)에 위치 고정되고 탄성부재 길이 조절볼트(26)의 회전시 탄성부재 하단 연결구(2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탄성부재(21)의 길이가 조절되어진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21)로는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21)의 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은 탄성부재 길이 조절볼트(26)를 이용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성부재(21)는 장착되는 모니터의 중량에 따라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1)의 상단은 상기 제3 와이어(93)의 하단이 연결되기에 용이하도록 탄성부재 상단 연결구(24)가 별도 설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1)의 상단은 자유단으로서 상기 제3 와이어(93)의 하단이 연결될 시, 탄성부재(21)가 상부로 당겨진 상태에서 제3 와이어(93)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3 와이어(93)에는 항시 하부의 탄성부재(21) 측으로 당겨지는 인장력이 작용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10)상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부(20)의 측면에는 하부 고정롤러(30)와 제1 와이어 하단 고정구(40) 및 슬라이딩 레일부(6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하부 고정롤러(30)는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제1 하부 고정롤러(31), 제2 하부 고정롤러(32), 제3 하부 고정롤러(33)가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제3 하부 고정롤러(33)의 측방향 인접부에는 제1 와이어 하단 고정구(40)가 위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모두 고정 설치된다.
제1 와이어(91)는 일단(상단)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상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 상단 고정구(50)에 결착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다수의 가이드롤러(64,65,66)와 상기 다수의 하부 고정롤러(31,32,33) 및 상부 고정롤러(71,72)를 경유하여 제1 와이어 하단 고정구(40)에 결착된다.
즉, 제1 와이어(91)는 일단(상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하부측에 고정되고, 타단(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 설치된 제1 와이어 하단 고정구(40)상에 결착된다.
상기 제1 와이어(91)의 설치과정에서 제1 와이어(91)의 일단(상단)과 타단(하단) 사이의 중간 와이어가 경유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제1 와이어(91)의 일단(상단)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하부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와이어는 제2 상부 고정롤러(72)와 제1 상부 고정롤러(71)를 경유하여 직 하방으로 내려오고, 다시 제1 하부 고정롤러(31)와 제1 가이드롤러(64)를 거쳐 제2 고정롤러(32)와 제2 가이드롤러(65) 및 제 3 고정롤러(33)와 제3 가이드롤러(66)를 거쳐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된 제1 와이어 하단고정구(40)에 결착된다.
상기 제2 와이어(92)는 일단(상단)이 링크부(20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 플레이트(61)의 상측에 위치한 슬라이드 레일부 상부 연결턱(63)에 결착된다.
이때, 상기 제2 와이어(92)의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부 상부 연결턱(63)에 결착되기 전의 중간부는 두 개의 상부 고정롤러(74,75)를 경유하게 된다. 즉 제2 와이어(92)의 중간부가 경유하는 상기 두 개의 상부 고정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제2 와이어 제2 고정롤러(75)를 경유한 이후의 와이어는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제2 와이어(92)에 의한 슬라이딩 레일부(60)의 상하 이동 방향이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3 와어어(9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단(상단)은 상기 링크부(200)의 타측에 결합되고, 제3 와이어(93)의 타단(하단)은 탄성부재(21)의 상단에 구비된 탄성부재 상단 연결구(24)에 결착된다. 그리고 제3 와이어(93)의 중간부는 제3 와이어 상부 고정롤러(73)와 제3 와이어 하부 고정롤러(76)를 경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와이어 하부 고정롤러(76)를 경유한 이후의 와이어부는 일직선형으로 유지되어 탄성부재(21)에 가해지는 힘이 수직방향을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링크부(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측에 고정 설치되는 시소 고정 브래킷(210)과, 상기 시소 고정 브래킷(210)에 결합되어 가운데의 힌지축(23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크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부재(230)는 가운데의 힌지축(237)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상호 경사지게 연장되어 되어 전체 형상이 마치 부메랑과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3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의 힌지축(237)을 기준으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위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와이어(92)의 상단이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231)측이 제3 와이어(93)의 상단이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233)측에 비해 길이가 더 짧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와이어(91)는 일단(상단)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그 타단(하단)은 복수개의 하부 고정롤러(31,32,33)와 그 상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64,65,66)를 모두 경유하게 되므로 제1 와이어(91)의 전체 길이는 경유하는 롤러의 수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제1 와이어(91)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가 이동한 거리만큼 제2 와이어(92)는 동일한 길이로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즉 제2 와이어(92)는 복수개의 하부 고정롤러(30)와 가이드롤러(64,65,66)의 수만큼 경유하게 되므로 중첩된 길이 만큼 짧은 길이 움직이게 된다.
예컨대, 하부 고정롤러(30) 및 그 상측의 가이드롤러(64,65,66)의 수가 각각 3개이면 제2 와이어(92)의 이동거리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이동거리의 1/6로 되어 이동거리가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링크부재(200)는 가운데의 힌지축(237)을 중심으로 링크부재(231,233)에 작용하는 모멘트 M1, M2 는 상기 링크부재(231,233)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92)와 제3 와이어(93)의 작용에 의해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이동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링크부재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변화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링크부재의 회전에 따른 힌지축을 기준으로 한 모멘트 형성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링크부재(231,233)가 힌지축(237)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즉 링크부재(231,233)의 위치가 (A)에서 (B)로 이동하였을 때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링크부재의 위치가 (A)에 있을 때의 힌지축(237)을 기준으로 제1 링크부재(231)와 제2 링크부재(233)의 와이어가 연결된 지점에서의 모멘트 M1 과 M2 는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1 = F1 ×L1
M2 = F2 ×L2
상기에서, 본 발명의 링크부(200)의 위치가 (A)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기 위해서는 상기 모멘트 M1 과 M2 는 같은 값을 유지해야 한다.(M1 = M2)
그리고, 링크부재(231,233)의 위치가 (B)에 있을 때의 힌지축(237)을 기준으로 제1 링크부재(231)와 제2 링크부재(233)의 와이어가 연결된 지점에서의 모멘트 M1´ 와 M2´ 는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1´ = F1´ ×L1´
M2´ = F2´ ×L2 ´
상기에서, 본 발명의 링크부(200)의 위치가 (B)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M1´와 M2´는 같은 값을 유지해야 한다.(M1´= M2´)
이때, 제1 링크부재(231)의 위치 변화에 따라 힌지축(237)을 기준으로 제1 링크부재(231)의 와이어 연결부에 작용하는 모멘트 변화(M1 과 M1´)를 살펴보면,
F1´의 값은 F1에 비해 커지나, 대신 힌지축(237)까지의 직선거리 L´는 줄어들게 되어 이동 전후의 모멘트 M1 과 M1´의 값은 크게 변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링크부재(233)의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작용한다. 즉 F2´의 값은 제2 링크부재(233)가 상부로 더 돌출되어 올라갔으므로 이에 작용하는 F2´ 는 F1 의 값에 비해 증가하지만, 대신 힌지축(237)에서의 직선거리 L2´는 줄어들게 되므로 이동 전후의 모멘트 M2 와 M2´의 값은 역시 크게 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상의 어느 위치로 이동하든지 힌지축(237)을 기준으로 제1 링크부재(231)와 제2 링크부재(233)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변하지 않게 되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상의 어느 위치에 고정되든지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에는 동일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를 또 다른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용시켜야 하는 힘의 크기는 동일하게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니터 승강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에 따른 관련 구성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a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최 상단에 위치한 상태이고, 도 6b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중간부에, 도 6c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최 하단에 위치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가 최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와이어(91)의 일단(상단)도 최초의 위치에서 상부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와이어(91)의 일단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면 제1 와이어(91)를 잡아 당기는 상태에서 풀어주어 상태로 변화되므로 인장되는 힘을 줄여주는 형태가 되므로 제2 링크부재(233)는 우측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힌지축(237)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1 링크부재(211)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가 최상단에서 하부로 일정거리만큼 내려와 중간 지점에 이르게 되면, 제1 와이어 하단 고정구(40)에 결착된 제1 와이어(91)의 일단(상단)도 함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가 하향 이동하게 되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에 연결된 제1 와이어(91)의 일단(상단)도 함께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하향 이동은 제1 와이어(91)를 제1 와이어 상부 고정롤러(71,72)를 지지점으로 아래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하부 고정롤러(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레일부(60) 전체가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레일부의 상측에 제2 와이어(92)의 타단(하단)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와이어(92)의 일단(상단)이 연결된 제1 링크부재(231)의 단부를 아래로 당기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부재(231)의 단부는 힌지축(237)을 중심으로 아래로 내려오는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가 최하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와이어 하단 고정구(40)에 결착된 제1 와이어(91)의 일단(상단)도 함께 이전 상태의 위치에서 최하부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제1 와이어의 일단(상단)이 최하부로 내려오게 되면 제1 와이어 상부 고정롤러(71,72)를 경유하는 제1 와이어(91)의 타단은 슬라이딩 레일부(60)를 아래로 내려오게 만든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60)의 하향 이동은 또한 제2 와이어(92)를 아래로 당기게 되어 제1 링크부재(231)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힌지축(237)을 중심으로 반대에 위치한 제2 링크부재(233)의 단부도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링크부재(233)의 단부는 상부로 길이가 더 늘어나게 되어 탄성부재(21)에 의한 인장력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되나 힌지축(237)에서의 힘의 작용거리는 그만큼 더 짧아지게 되어 힌지축(237)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에 있어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힌지축(237)을 중심으로 한 제1 링크부재(231)측에서의 모멘트 변화를 살펴보면, 제2 와이어(92)의 하향 이동에 따라 인가되는 힘이 커지는데 반해, 힌지축으로부터 상기 제2 링크부재(231)의 단부측까지의 수평거리는 오히려 줄어들게 되어 전체적인 모멘트 변화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이 순간에서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링크부재의 양측단에 작용하는 두 모멘트(M1, M2)의 값은 동일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서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부로 항시 일정한 힘으로 상승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되므로, 소정 위치에서의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예시된 도면에서는 고정수단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홈 형태의 고정부재(81,83)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부재(81,83)의 내부홈에 삽입되어 결착구(미도시)가 삽입될 경우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착구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와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약간의 거리만큼만 하향 이동시키면 되고, 이 후에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가 임의의 위치에서 항시 상부로 상승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부재(81,83)의 형성위치는 본 발명의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00)가 최상단의 위치 또는 최하단의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장치는, 탄성부재의 길이 조절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중량을 가진 모니터나 단일의 모니터 승강장치에서 장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와이어와 링크부 및 와이어를 지지하는 롤러을 구비하에 의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동일한 크기의 힘의 작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 모니터의 승강운동을 안정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탄성부 21 : 탄성부재
23 : 탄성부재 하단 연결구 24 : 탄성부재 상단 연결구
25 : 볼트 고정구 26 : 탄성부재 길이조절용 볼트
30 : 하부 고정롤러 31 : 제1 하부 고정롤러
32 : 제2 하부 고정롤러 33 : 제3 하부 고정롤러
40 : 제1 와이어 타단(하단) 고정구 50 : 제1 와이어 일단(상단) 고정구
60 : 슬라이딩 레일부 61 : 슬라이드 레일 플레이트
63 : 제2 와이어 타단(하단) 연결턱 64 : 제1 가이드롤러(제1 와이어)
65 : 제2 가이드롤러(제1 와이어) 66 : 제3 가이드롤러(제1 와이어)
70 : 상부 고정롤러부 71,72 : 상부 고정롤러(제1 와이어)
73 : 상부 고정롤러(제3 와이어) 74,75 : 상부 고정롤러(제2 와이어)
76 : 제3 와이어 하부 고정롤러 81,83 : 고정부재
90 : 와이어부 91 : 제1 와이어
92 : 제2 와이어 93 : 제3 와이어
100 :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110 : 모니터 연결홈
200 : 링크부 210 : 시소 고정브래킷
230 : 링크부재 231 : 제1 링크부재
233 : 제2 링크부재 237 : 힌지축
300 : 모니터 승강장치

Claims (11)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며 장착된 모니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의 위치에 관계없이 같은 크기로 작용하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임의의 위치에서 일정한 힘으로 상승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모니터 승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고정롤러와,
    상기 하부 고정롤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상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가운데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링크부재가 회전운동하는 링크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와,
    일단(상단)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하부측에 고정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상부 고정롤러와 하부 고정롤러 및 가이드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와,
    일단(상단)은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의 상부 연결턱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와,
    일단(상단)은 상기 링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부재부재 상측단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를 포함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고정 설치된 볼트 고정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을 상기 볼트 고정구에 연결시키는 탄성부재 길이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상에 다양한 크기의 중량을 갖는 모니터가 장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모니터 승강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별도의 상단 연결구와 하단 연결구가 구비되는 모니터 승강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시소 고정 브래킷과,
    상기 시소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어 가운데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재는 가운데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어 나와 부메랑 형상을 이루는 모니터 승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가운데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 링크부재의 와이어 연결부에 각각 작용하는 모멘트 M1 과 M2 는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의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이동 위치에 관계없이 같은 값을 갖도록 구성된 모니터 승강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모니터 승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의 이동위치가 최하단 또는 최상단의 위치인 경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재가 마련되는 모니터 승강장치.
  11. 모니터를 상하 이동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의 힘을 작용시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로서,
    상하 일정길이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의 일측에 모니터를 장착하기 위한 모니터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고정롤러와,
    상기 하부 고정롤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상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가운데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링크부재가 일정각도 내에서 회전이동하는 링크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와,
    일단(상단)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하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고정롤러와 상기 하부 고정롤러 및 상기 이동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측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와,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부의 상측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일측 링크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와,
    일단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부재 상측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타측 링크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를 포함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KR1020120028433A 2012-03-20 2012-03-20 모니터 승강장치 KR101357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433A KR101357219B1 (ko) 2012-03-20 2012-03-20 모니터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433A KR101357219B1 (ko) 2012-03-20 2012-03-20 모니터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697A true KR20130106697A (ko) 2013-09-30
KR101357219B1 KR101357219B1 (ko) 2014-02-03

Family

ID=4945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433A KR101357219B1 (ko) 2012-03-20 2012-03-20 모니터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2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613B1 (ko) * 2020-06-03 2021-01-11 이재섭 디스플레이 승하강 장치
KR102308988B1 (ko) * 2020-11-02 2021-10-07 김종겸 텐션 장치가 구비된 이송 스테이지 및 이를 포함한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180B1 (ko) * 2004-03-08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스탠드 구조
KR100719357B1 (ko) * 2006-02-01 2007-05-18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평편형 모니터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15913Y1 (ko) 2006-02-27 2006-05-10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평편형 모니터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57457Y1 (ko) * 2009-07-03 2011-12-20 주식회사 일광산업 보호덮개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엘씨디모니터 수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613B1 (ko) * 2020-06-03 2021-01-11 이재섭 디스플레이 승하강 장치
KR102308988B1 (ko) * 2020-11-02 2021-10-07 김종겸 텐션 장치가 구비된 이송 스테이지 및 이를 포함한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219B1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1467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CA2887948C (en) Wall-moun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positioning objects
JP2018525086A (ja) 昇降作業台
AU2013240206A1 (en) Counterbalancing lift mechanisms and methods
US10323713B2 (en) Antivibration device
CN1892919A (zh) 用于显示设备的支撑装置
JP2014151531A (ja) スライド式ボード
CN114046429B (zh) 一种用于显示设备的可调节支架
KR101357219B1 (ko) 모니터 승강장치
US8814119B2 (en) Arbor apparatus for counterweight rigging system
KR101954847B1 (ko) 지하 전력구 분할 배전선로 지지대
US20170022980A1 (en) Lifting system and method
CN106322077A (zh) 一种用于智能显示设备的双向稳定型安装机构
CN202912588U (zh) 工件升降机械装置暨升降机械臂
KR20200000871A (ko) 모니터 승하강 장치
CN216868102U (zh) 一种用于显示设备的可调节支架
CN203339118U (zh) 半导体元件排列治具
CN101799105A (zh) 可收合锁固的支撑架
KR102201613B1 (ko) 디스플레이 승하강 장치
US20200039786A1 (en) Elevator pit ladder apparatus
KR20100012517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2637638B1 (ko) 추력 승강 장치
CN109081279B (zh) 锁紧机构及具有其的载货结构
WO2010024538A2 (ko) 디스플레이 유닛 승·하강장치
CN108497698B (zh) 一种升降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