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938A - 편직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방법 및기구 - Google Patents

편직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방법 및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938A
KR20040028938A KR10-2004-7000937A KR20047000937A KR20040028938A KR 20040028938 A KR20040028938 A KR 20040028938A KR 20047000937 A KR20047000937 A KR 20047000937A KR 20040028938 A KR20040028938 A KR 2004002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titches
stitch
fabric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올로 프룰리니
알베르토 프룰리니
Original Assignee
파브리텍스에스.알.엘
상기아코모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브리텍스에스.알.엘, 상기아코모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파브리텍스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04002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93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8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04B9/5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2Loop-transfer poi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transfer of knitted goods from one machine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이송되는 직물이 제 1 스테이션에서 형성되는 직물기계의 바늘로부터 스티치를 제거하고, 제 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 2 작동 스테이션으로 직물을 이송하고, 상기 이송이 직물기계의 바늘로부터 동일한 스티치의 제거를위한 복수의 수단과 상기 스티치를 연결함으로써 작동되고, 제 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 2 스테이션으로 상기 수단을 이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 및 이동하는 방법이 이들에 의해 제거되는 스티치를 따라 제거수단의 하나이상의 부분을 일시적으로 보유하는 제 2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에 상기 제 1 및 제 2 스테이션으로부터 이동가능한 제 1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로부터 상기 제거 수단의 하나이상의 부분을 역전가능하게 이송하거나, 스티치의 일시적으로 보유하나 두 이동가능한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사이에서 상기 바늘로부터 동일한 스티치를 제거하는데 포함되지 않는 복수의 수단의 역전가능하게 한 이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직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THE STITCHES OF A KNITTED TUBULAR ARTICLE TO AN OPERATING STATION}
특허 US-5.570.591 및 US-5.487.281은 편직작업과 구분되는 훅업(hook-up)작업을 위한 스테이션에 각각 해당하고 직물을 편직하는 기계에 해당하는 직물의 겉면에 수행되는 훅업작업을 통해 관형의 편직 직물의 두 단부 변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US-6.164.091은 관형의 편직 직물의 두 말단 변부를 잇는 방법을 공개하며 이 방법은 직물의 겉면 또는 뒤집힌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하는 훅업 작업에 의해 상기 결합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특히, 설비는 아마도 편직 기계로부터 직물을 미리 제거함으로써 직물의 내부 또는 뒤집힌 부분에 관한 접속 작업을 수행하고, 그 후 편직을 위해 그것과 다른 훅업 스테이션 에 위로 그것을 이동하는 것에 만들어진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작업기술은 설비가 제거를 위한 복수의 수단 사이에서 연결된 변부의 스티치를 반복하여 이송함으로써 그리고 더욱 일반적으로 동일한 스티지의 조절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서 비롯된 몇 가지 결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기술은 스티치가 손실 또는 손상받기 쉽고 어떤 경우 특히 저질의 얀을 사용할 때 작업실패를 초래할 수 있는 기계적 응력이 발생하게된다.
또한, 상기 수단은 다소 복잡하고, 따라서 결과에 대해 너무 비용이 많이 든다. 상기 수단은 또한 편직이 한 -실린더라도 또는 두-실린더 기계중 하나로 수행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본 발명은 편직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아직 하부에 있는 플레이트를 가진 스타킹의 최종편직 상태에서 한 실린더의 원형 기계의 직경 섹션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이른바“내려진”위치를 초래하는 최종 편직된 랭크의 스티치가 상승된 편직바늘 및 플레이트를 가진 도 1의 기계를 도시한다.
도 2B 및 2C는 도 2A 도면의 다른 크기의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기계의 바늘 위로 배치되는 스티치-제거 수단을 가진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 4A는 이동가능 캐리어로 지지되는 제거 수단으로부터 마지막 편직 랭크의 스티치의 이송을 허용하도록 편직바늘과 함께 하강하는 상기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 3B 및 4B는 싱커의 스티치 표면이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으로 사용되는 한 바늘의 래치를 닫기 위한 과정에 관한 도 3A 및 4A의 각각의 확대도이다.
도 3C 및 4C는 싱커의 상부 또는“부리”표면이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으로 사용되는 한 바늘의 래치를 닫기 위한 과정에 관한 각각 도 3A 및 4A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편직바늘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제거 수단과 연결되는 직물과 함께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의 상승 단계를 도시한다.
도 6은 상승되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 근처의 안전 장치를 이동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7은 직물로 삽입되는 외전튜브와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를 가진 훅업 스테이션내의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와 안전 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은 상기 외전 튜브를 상승 및 서로의 근접한 두 이동가능 캐리어를 상승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9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에서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로 스티치-제거 수단을 이송하는 최종적인 단계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로 지지되는 스티치-제거 수단에 제 3 이동가능 캐리어로 지지되는 수단의 접근과 제 2 캐리어 수단으로부터 제 3 캐리어로 스티치를 이송하는 것과 더불어 제 3 이동가능 캐리어를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로 이동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 3 이동가능 캐리어로부터 이격하여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를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2는 다른 세미랭크와 일치하는 세미랭크의 스티치를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스티치는 미리 상기 제거 수단으로 맞추어진다.
도 13은 제 2 세미랭크의 상응하는 스티치 근처에서 제 1 세미랭크의 스티치와 병치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 3 이동가능 캐리어의 최초 형상의 복원을 도시한다.
도 15는 이와 같이 형성된 스티치의 훅업 쌍의 단계를 도시한다
도 16은 상기 세미랭크에 대응하는 변부의 훅업 이후 직물을 해제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 2 이동가능캐리어로부터 제 1 캐리어로 그후 제 3 캐리어로 이동하는 최종 편직된 랭크의 스티치의 제거를 위한 상기 수단의 이송을 도시한다.
도 18은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로부터 이격하여 제 2 이동가능캐리어로의 이동 즉 초기 조건의 복원 단계를 도시한다.
도 19는 최종 편직된 랭크의 스티지의 제거를 위해 이와 연결된 수단을 가지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를 도시한다. 상기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는 상기 제거수단이 편직기계의 바늘위에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바늘은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다.
도 20은 편직바늘과 함께 이를따라 도 19의 이동가능 캐리어를 하강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21은 동일한 캐리어와 연결된 제거수단과 연결되고 편직바늘에서 해제되는 직물과 더불어 도 19의 이동가능 캐리어의 상승을 도시한다.
도 22는 안전 장치의 위치설정을 도시한다
도 23은 편직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되는 훅업 스테이션에서 직물 내부의 외전 튜브의 도입을 도시한다
도 24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부터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로 스티치-제거수단의 이송을 허용하도록 제 1 이동가능 캐리어근처의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와 안전 장치에서 이격하여 움직이는 도 23의 외전 튜브의 상승을 도시한다.
도 25는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로부터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26은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의 부분 근처의 제 3 이동가능 캐리어를 도시한다. 상기 제 3 캐리어는 복수의 훅업 스파인을 나타낸다.
도 27은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와 연결된 각각의 제거 수단으로부터 제 3 캐리어의 스파인에 세미랭크의 스티치를 이동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28은 제 3 캐리어로부터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29는 다른 세미랭크의 스티치에 상응하는 상기 스파인과 관련된 스티치의 위치설정을 도시한다.
도 30은 상기 스파인에 설치되는 것들 위에 상기 다른 세미랭크의 스티치를 병치하는 후속 단계를 도시한다.
도 31은 도 28의 상태로 스파인의 재위치설정을 도시한다.
도 32는 부분적으로 재배치되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33은 스티치의 이와 같이 배치되는 세미랭크에 대응하는 변부를 훅업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34는 스파인의 고정으로부터 직물을 해제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35는 제 1 캐리어의 완전 재배치를 위해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부터 제 1캐리어로 상기 스티치-제거 수단의 이송을 도시한다
도 36은 초기 상태의 복원과 함께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37은 도 3A-18에서 도시된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8은 스티치-제거 수단의 비보유 상태인 도 37의 캐리어의 세로 섹션의 확대도이다.
도 39는 스티치-제거 수단의 보유 상태인 도 38의 상세도이다.
도 40 및 41은 스티치-제거 수단의 비보유 상태인(도 41)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7의 캐리어의 세로 섹션에서의 확대도이다.
도 42는 도 3A-18의 제 3 이동가능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43은 닫히거나 작동 상태인 도 42의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 44는 도 43에서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5는 세미크라운의 회전 후의 도 43의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 46은 도45에서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7은 훅업 스테이션에서 동축 상태인 상기 세 이동가능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48은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와 선 C-C 이외의 섹션의 다른 부분을 도시하는 도 47에서 선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9는 도 26-34에 도시된 제 3 이동가능 캐리어의 섹션에서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에서 선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2는 180°로 회전 후의 도49의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53은 도 52에서 선 E-E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4는 동축상태로 도 19-36에 도시된 세 이동가능 캐리어를 가진 기구의 직경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55는 스티치-제거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수단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57은 도 55에 도시된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5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스티치-제거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수단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60은 도 58에 도시된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6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스티치-제거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62는 도 61의 수단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63은 도 61에 도시된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64는 아직 하강하는 상부 실린더와 더불어 스타킹의 최종편직상태인 두-실린더 원형 기계의 직경의 단면도.
도 65는 상승되는 상부 실린더와 더불어 도 64의 기계를 도시한다. 최종 편직된 랭크의 스티치는 이른바“내려진”위치가 된다.
도 66은 도 64의 기계의 하부 실린더의 바늘 위에 배치되는 스티치-제거 수단과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 67 및 68은 바늘로부터 이동가능 캐리어로 지지되는 제거 수단으로 최종 편직 랭크의 스티치의 이송을 허용하도록 하부 실린더를 향해 하강함에 따른 상기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 69는 하부 실린더의 편직바늘에서 해제되고 상기 제거 수단과 연결되는 직물과 함께 이동가능 캐리어의 상승을 도시한다.
도 70은 상승되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 근처의 안전 장치를 도시한다.
도 71은 플레이트를 가진 한 실린더 원형 기계와 상승되는 편직바늘의 직경 섹션의 개략도이다. 최종 편직 랭크의 스티치는 이른바“내려진”위치가 된다.
도 72는 도 71의 기계의 바늘 위에 배치되는 스티치-제거 수단과 스티치의 제거를 위해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한정할 수 있는 외부 수단을 가진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 73은 도 71의 기계의 바늘에서 동일한 이동가능 캐리어로 지지되는 제거 수단으로 최종 편직 랭크를 이송하는 단계에 있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 74는 편직바늘에서 해제되고 상기 제거 수단에 결합되는 직물과 함께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를 상승되는 단계를 도시하고, 상기 단계에서는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한정하는 수단이 스티치의 우발적인 해제 또는 고정-실패를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 작용한다.
도 75는 직물로 도입되는 외전 튜브와 배치되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와 동축으로 배치된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를 가진 훅업 스테이션에서 안전 장치의 역할을 하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와 상기 수단을 도시한다
도 76은 안전 장치의 역할을 하는 상기 수단이 비활성화된 두 이동가능 캐리어의 접근에 선행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77은 바늘의 근처로 이동하는 스티치-제거 수단과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정의하기 쉬운 수단을 가진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의 섹션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78은 마찬가지로 도 72에 도시된 활성된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정의하기 쉬운 상기 수단과 더불어 도 77의 예를 도시한다.
도 79는 도 74에 도시되는 것과 유사하게 제거 이후 활성화되는 하는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한정하기 쉬운 상기 수단을 가진 도 77의 예를 도시한다.
도 80은 도 76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제거 이후 활성화되는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한정하기 쉬운 상기 수단을 가진 도 79의 예를 도시한다.
도 81은 바늘 근처로 이동된 스티치-제거 수단을 가진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의 섹션의 부분을 가진 일부분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정의할 수 있는 수단으로 도시되며 상기 수단은 비활성화된다.
도 82는 도 81의 예를 참조로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한정하기 쉬운 상기 수단이 활성화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83은 스티치-제거 수단의 비보유 상태에서 제 2 캐리어(SE)의 세로 섹션에서의 확대도이다.
도 84는 스티치-제거 수단의 비보유 상태의 도 8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5 및 86은 스티치-제거 수단의 비보유 상태(도 85)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캐리어(SE)의 세로 섹션에서의 확대도이다.
도 87은 이송 로드(12)의 가능한 실시예와 관련된 평면도이다.
도 88은 도 87의 이송 로드의 후부의 개략도이다.
도 89 및 90은 도 87 및 88에 도시된 이송 로드를 사용하는 가능한 방법에 관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직경 섹션의 두가지 도면이다. 상기 로드는 대기상태(도 89)가 되고 각각 작업위치가 된다.(도 90)
도 91은 상부 실린더에서 있는 스타킹과 더불어 두-실린더 원형기계에 의해 스타킹의 편직을 종료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92는 편직바늘이 하부로부터 상부 실린더로 하부 것에서 이송되는 이후의 단계를 도시한다.
도 93은 상부 실린더의 상승을 도시한다.
도 94는 하부와 상부 실린더 사이에서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를 이동하는 단계를 도시하며 상부 실린더는 상승되게 된다.
도 95는 상부 실린더와 관련되는 바늘 근처에서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 96은 도 91의 스타킹의 최종 편직 랭크의 스티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97은 이제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는 제거 수단과 연결되는 최종 편직 랭크의 스티치와 함께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의 하강을 도시한다.
도 98은 가능한 안전 장치를 도시한다
도 99는 편직을 위한 것과는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송되는 직물로 외전 튜브가 도입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0은 상기 외전 튜브의 상부이동에 따라 스타킹의 돌려진 외면과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에서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101은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부터 제 1 캐리어까지 상기 스티치-제거 수단의 이전을 도시한다.
도 102는 제 2 이동가능 캐리어 근처로 제 3 이동가능 캐리어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103은 제 3이동가능 캐리어에서 이격되는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104는 스티치의 세미랭크의 180°전복을 도시한다.
도 105는 다른 세미랭크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스파인 위로 전복된 스티치의 이송을 도시한다.
도 106은 초기 형상으로 제 3 이동가능 캐리어의 재위치설정을 도시한다.
도 107은 직물을 훅업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108은 상기 스파인에 의해 이미 보유된 스티치의 해제를 도시한다.
도 109는 해제되는 스타킹을 뒤집는 가능한 단계를 도시한다.
도 110은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부터 제 1 이동가능캐리어까지 스티치-제거수단의 이송을 도시한다.
도 111은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로부터 이격되는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112, 113 및 1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측면도, 스티치-제거 수단의 측면, 정면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5는 도 112-114에 도시된 수단의 변형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6-127은 도 7-18에 대응하며,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의 변형된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128은 도 116-127의 방법을 이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구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29는 도 128의 기구의 직경 단면도이다.
도 130은 도 128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31 및 132는 비 보유 및 각각 보유 또는 로드(9)의 잠금형태인 도 116-127의 방법을 이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구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33 및 134는 도 131 및 132에 도시된 기구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135-137은 도 128의 기구와 관련된 스파인의 세 가지 보기를 도시한다.
도 138은 도 135의 선 U-U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39-147은 관형의 직물 대신에 직립 스티치를 조절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 부호설명
1: 직물 2: 바늘
3: 실린더 4: 싱커
5: 플레이트 6: 크룩
7: 제거수단 8: 안전장치
11: 플랜지 13: 훅업 바늘
16: 암 17: 샤프트
21: 래치 20,40,60: 작동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어떤 경우에도 직물의 내부 또는 뒤집힌 부분에서 역시 수행될 수 있는 훅업 작업을 통하여 관형의 편직 기계의 두 말단 변부를 이을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결점을 극복하는데 있다.
상기 결과는 작업을 안출하고, 독립항에 나타난 특징을 가지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은 종속항에 나타난다.
본 발명의 장점은 허용되는 작은 응력에 따라 스티치가 조절되거나, 이동되며, 경제적인 이유로 저질의 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절하다는 것이다. 또한, 처리중에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부터 스티치가 해제되거나 고정 실패와 마찬가지로 스티치가 손상되는 위험이 감소된다. 또한 제조 및 운영 비용를 줄일 수 있는 본 장치의 상대적인 구조상의 간단함은 지적될만한 가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실린더 형태뿐만 아니라 한-실린더형태의 기계로 스타킹을 편직하는 스타킹 제조와 같은 경우 훅업 작업에 의해 결합되는 두 변부에 일치하는 직물의 겉면과 뒤집힌부분에 최종적인 훅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장점과 특징은 제한적인 의미로 고려되지 않아야 하며 본 발명의 실제적인 예시로써 주어진 첨부된 도면과 관련되어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특히 도 1-18에서 만들어진 기초적인 구조 및 참조로 감소된 플레이트를 제공되는 한 실린더 원형 기계(M)에 의해 스타킹을 제작하는 것에 관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레그 부분에서 시작하여, 결국 열리는 스타킹의 선단에 대응하는 말단 스티치의 랭크의 형성으로 끝나는(도 1) 스타킹의 편직 단계,
수직 지지 실린더(3)에 장착되고 그위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바늘이 형성된 원형기계(M)를 사용함으로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행되는 직물의 편직단계,
상기 바늘(2)의 각각의 상부 부분은 실린더(3)에 관해서 방사상으로 향하고 전체적으로 동일한 실린더 상부 베이스에 상응하는 원형 정면을 이루는 두 싱커(4)사이에서 위치설정 된다. 직물(1)이 편직과정에서 형성되는 중에 흡입 펌프에 연결되는 튜브(T)는 실린더(3)의 내부에 형성된다. 플레이트 그룹은 기계에서 이동가능하고 복수의 방사상 크룩(crook)을 지지하는 원형 형태의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편직 과정중, 플레이트 그룹(P)은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기계(M) 근처로 당겨진다. 편직이 끝난 후 상기 그룹은 도 2A에 도시된바와 같이 기계(M)에서 이격되어 이동한다.
상기 해당 편직은 싱커(4)와 협력하고 바늘(2)에 수행되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실(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함으로써 링크된 루프 또는 스티치의 관형 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플레이트(5)의 크룩(6)은 가두리의 이중변부와 같은 직물의 특정부분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크룩(6)과 바늘(2)은 상응하는 작동 힐(heel)(20, 40, 60)에 따라 동작하는 캠의 시스템에 의해 싱커(4)와 함께 이들 사이의 위상에서 적절하게 구동된다. 단순화를 위해, 도 2A는 싱커(4)를 가진 캠(400)만을 도시한다.
상기 형태의 기계는 공지되어 있고, 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은 이탈리아 Sangiacomo S.p.A 회사의 기계 모델“Star”또는“4100”또는“Fantasia” 또는“Tornado”또는 다른 어느 같은 기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 상기 편직 단계의 완성시, 각각의 스티치가 언로드될 때 까지(도 2A), 기계(M)의 플레이트 그룹(P)과 바늘(2)의 상승하는 단계,
이 것은 특수 용어로, 상기 스티치가 적절한 래치(21)밑의 바늘로 오게될 때 "언로드된 위치"에 있다고 한다.
- 상기 단계의 완성시 최종 편직된 랭크가 각각의 바늘(2)부터 상응하는 제거수단(7)으로 이송되도록 바늘(2)로부터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에 배치된 복수의 상응하는 제거 수단(7)으로 직물(1)의 최종 랭크의 스티치(MA)를 이동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바늘(2)로부터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 위로 안정되나 제거가능한 방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는 플레이트(P)를 상승하고 난 후, 바늘 실린더와 함께 축상 정렬 배치되어, 각 제거 수단(7)의 자유 단부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응하는 바늘(2)의 크룩(22)과 접촉하고, 이에따라 각 스티치가 각각의 바늘(2)부터 각각의 제거 수단(7)까지 방해없이, 즉, 바늘의 크룩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이송되도록 하는 이른바“커버링”상태를 결정한다.
상기 상태하에서, 크룩은 크룩위로 캡을 형성하는 수단(7)의 자유단부에 의해 중첩된다. 그 후, 상기 캐리어(PE)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를만든 평면” 아래로 바늘을 놓게되어 바늘을 따라 하강하여 최종 단계의 끝에서, 각 스티치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되는 래치(21)의 자동 폐쇄로 인해 상응하는 제거수단(7)위로 맞추어지게 된다.
실행시, 캐리어(PE)와 바늘(2)을 하강함으로써 수단(7)이 최종 랭크의 스티치로 들어가게되어 수단(7)을 제위치로 들어올린다.
도 3B 및 4B의 예에 따라 코를 만든(cast off) 표면으로 사용된 평면은 스티치가 형성되는 즉, 싱커의 이른바 스티치 평면(PM)이 되는 것이다. 도 3C 및 4C에 도시된 바에 따라, 사용된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은 싱커(또한 부리로 불리는)의 상부 표면(PS)이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것과 같이,“코를 만든 평면”은 스티치(MA)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거나, 보유하기 위한 표면이다. 따라서, 스티치(MA)가 상기와 같은 평면에 있을 때, 바늘(2)의 하강과 수단(7)의 이에따른 하강은 바늘(2)로부터 수단(7)으로 스티치(MA)가 통과하거나 이송되도록 한다
- 최종 랭크의 스티치(MA)를 경유하여 제거 수단(7)과 연결되는 직물(1)과 함께 제거 수단(7)을 상승하는 단계,
상기 단계는 이동가능 캐리어(PE)와 튜브(T)를 동시에 상승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어, 튜브의 마우스는 도 5에 도시된 제거 수단(7)의 자유 단부보다 더 높게 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튜브(T)를 상승하는 것이 꼭 필요하지는 않으나 캐리어(PE)까지 직물(1)을 동시에 상승시키는 것을 돕고, 각각의 제거 수단(7)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티치의 해제를 차단하기 위해 기능한다. 또한, 기계(M)가 작동하는 스테이션(TS)으로부터 직물(1)을 이동하는 후속단계를 허용하고, 이와 같이 각각의 제거 수단(7)과 스티치가 연결되는 위험에 노출시키지 않고 상기 튜브(T)를 재하강하도록 허용하는 사용이 예를들어, 이들로부터 제 2 이동가능캐리어(SE)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이동되는 다음 스테이션으로 직물을 수반하는 캐리어로 및 캐리어로부터 이동가능한 지지암(800)의 단부로부터 나오는 원형 크라운 부분으로 형성된 안전장치(8)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6)
- 편직(TS)을 위한 것 이외의 스테이션(R) 내에 있는 직물(1)을 배치하고, 그 내부로 전이 튜브(TR)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단계는 어떤 장치(8)와 함께 상기 스테이션(R)에 캐리어(PE)를 수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외전 튜브(TR)는 양말 기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흡입 펌프에 연결되는 수직 축(v-v)을 가진 튜브일수도 있다
- 직물(1)을 뒤집는 단계,
상기 단계는 사용되는 경우 장치(8)를 이격하여 움직인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TR)를 상승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직물이 초기의 직물과는 반대되는 방법으로 즉, 상부로 돌려지는 스티치의 최종 랭크를 포함하는 부분을 가지고 경사지게 되어, 최종랭크의 스티치는 직물의 모든 다른 스티치 아래에 있게된다.
- 상기 제거 수단(7)을 상기 이동가능 캐리어(PE)로부터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에 인접한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를 이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송이 끝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동가능캐리어(SE)에서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로 이격되어 움직인다.
상기 단계의 끝에서, 수단(7)의 자유 단부는 제 1 캐리어(PE)와 미리 연결되고, 반대로, 그전에는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와 연결된다. 캐리어(PE)(SE)를 만드는 가능한 방법은 후술한다. 이들과 함께 연결된 스티치를 따라 제 1 캐리어로부터 제 2 캐리어로 수단(7)을 이송한다는 사실은 스티치에 어떤 상응하는 응력없이 직물(1)을 2 캐리어로 이송하게 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단계에서, 제 1 캐리어로부터 제 2 지지 캐리어로 직물(1)의 스티치(MA)를 이송하는 것은 오직 수단(7)을포함함으로서 이루어지고 스티치를 직접 그것과 연결하지 않게되어 상기 스티치가 상기 이송에 관해 조금의 응력도 받지 않게된다.
- 상응하는 복수의 보유 수단(9, 10)으로 상기 제거수단의 최종랭크의 스티치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보유수단은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 위에 배치되고 후속하는 훅업단계를 위해 상기 스티치를 막는 기능을 가진다. 훅업을 위한 상기 스티치 보유수단(9,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단(7)과 유사한 형태의 복수의 로드 및 두 적절한 지지크라운에 장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훅업 스파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단(7)으로부터 로드(9) 및 스파인(10)으로 스티치를 이송하는 것은 제 2 캐리어(SE)에 동축이고 제 3 캐리어(TE)로부터 및 제 3 캐리어로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칼라 플랜지(11)를 사용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11)가 상승 즉 제 3 이동가능캐리어(TE)를 향해 움직일 때, 그 상부부분은 이들이 로드(9)와 스파인(10)에 맞추어질 때까지 이들을 가압함으로서 제 2 캐리어(SE)의 수단(7) 위로 맞추어진 스티치와 접촉한다. 이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거 수단(7)과 동축이다.
상기 단계의 완성시, 직물은 제 2 캐리어(SE)로 이송되는 수단(7)과 더이상 연결되지 않게 되나 스파인에 끼워지는 다른 세미랭크의 스티치와 로드상에 맞추어지는 세미랭크의 스티치를 가진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의 수단(9, 10)과 연결된다.
- 동축 및 즉 미리 조절된 훅업 형상에서 다른 세미랭크의 스티치에 병치된 세미랭크의 스티치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는 제 3 이동가능캐리어에서 이격되어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를 움직임으로써,(도 11) 180°로 로드(9)의 세미크라운을 회전시킴으로서(예를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에 따라), 그 후, 로드(9)상에 맞추어진 스티치를 스파인(10)위로 이송시킴으로써, 그리고 마지막으로 로드(9)의 세미크라운이 시작위치로 돌아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도 14).
로드(9)로부터 스파인(10)으로의 스티치의 이송은 칼라(collar) 플랜지(11)가 상술한 수단(7)에 맞추어지는 스티치상에서 작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로드(12)상의 스티치에서 작용하는 세미크라운 형상의 푸시로드(12)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의 완료시, 직물(1)의 스티치의 최종 랭크(MA)가 실제로 나누어지도록 고려될 수 있는 두 세미랭크의 스티치는 훅업을 위해 준비된 스파인(10)으로 동축 및 병치로 쌍으로 맞추어지게된다. 상기 각각의 쌍은 다른 세미랭크의 프리셋 스티치와 세미랭크의 프리셋 스티치에 의해 형성된다.
- 스티치의 훅업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폐쇄 매듭의 형성과 함께 훅업을 끝내도록 배치하는 단계(도 15),
상기 단계는 종래의 방법으로 보통의 접속 장치(RI)에 의해 구성, 공급 및 구동되는 훅업 바늘(13)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의 끝에서, 초기에 양단부가 열리게되는 직물(1))은 내부 또는 뒤집힌 부분에서 훅업으로 닫힌 팁단부가 작동되게된다.
- 이와 같이 연결된 스티치를 해제하는 단계(도 16),
상기 단계는 외전 튜브(TR)를 하강하고, 상기 방법으로 튜브(TR)로 도입되고 결국 겉면외 상태로 방출되도록 흡입하는 직물(1)의 회전하는 겉면을 결정하도록 상기 길이이상으로 동일한 튜브(TR)로 도입되는 로드(14)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16에서 AS는 흡입 방향을 가리킨다)
-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로부터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로 상기 스티치-제거 수단(7)을 이송하는 단계(도 17 및 18),
상기 단계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로부터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로 수단(7)의 이송에 대한 것에 대응하는 과정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37-63을 참조로 하기되는 참조는 조작의 방법을 이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상술한 바에 따라, 각각의 구동 수단을가진 기계(M)와 플레이트 그룹(P)은 이미 시장에서 이용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며, 따라서, 다른 세부사항이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동일한 것이 접속 장치(RI)에 적용된다.
상기 제 1 캐리어(PE)는 예를 들면 서로 협력하여 상기 제거 수단(7)을 제거가능한 방법으로 안정되게 내부로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시트(157)의 범위를 정하는 두 원형 동심의 요소(150, 151)와 함께 원형 크라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 기계(M)의 바늘(2)과 같이 각을 이루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원형 동심의 요소(150, 151)의 세로 축(a-a)과 평행하게 경사지게 된다. 도 38-41을 참조하면,상기 요소(150, 151) 사이, 특히, 한 쌍(150, 151)의 가장 외부의 요소(150)의 내부벽과 수단(7)을 위한 시트사이에서, 환상의 개스킷(152)이 고무 또는 다른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과 같이 위치설정된다.
상기 개스킷은 수단(7)을 각각의 시트 내에 잠그기를 원할 때, 내부에서 방사상 외부로 가압된다. 반대로, 수단(7)이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 위로 이들을 이송하도록 해제될 때, 개스킷(152)의 직경이 감소된다. 첨부된 도 38 및 39를 참조하면, 환상의 웨지(153)는 개스킷(152)과 크라운(150, 151)의 최내부 요소(15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웨지(153)는 도 38에 도시된 개스킷(152)을 방해하지 않는 상승된 위치와 방사상 내부로 가압함으로써 개스킷(152)을 방해하는 하강된 위치(도 39)사이에서 수직으로 움직이는 웨지를 허용하는 전자기 또는 균등형태의 예를 위한 직립 작동 장치(154)에 관련된다. 도 38의 형태에서, 수단(7)은 자유로운 반면 도 39의 형태에서 수단(7)은 그들이 확대된 개스킷(152)과 요소(150)의 내부 벽 사이에서 압축되기 때문에 크라운(150, 151)에 차단된다. 상기 웨지 대신에, 압축 공기가 개스킷(152)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첨부된 도 40 및 41을 참조하면, 크라운(15)의 상기 요소는 서로의 교통과 솔레노이드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통한 압축공기의 자원과 관련하여 두 포트(155,156)를 나타낼 수 있다. 최내부요소의 포트(156)는 개스킷(152)의 시트와 교통한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150, 151)을 수단(7)으로 차단하기 위해, 압축된 공기(또는 다른 적절한 유체)가 상기 포트(155, 156)를 통하여 개스킷(152)의 시트 내로 도입된다. 도 40에 도시된 것에 따라 수단(7)을 해제하기 위해 압축 공기는 같은 포트를 통해방출된다.
상기 수단(7)이 관련되는 한, 이들은 도 55-57을 참조로 기계(M)의 바늘(2) 및 스파인(10)의 로드 및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와 맞추어질 수 있고 이에따라 이전에 한정된 "커버링" 상태의 두 경우에도 적절히 형성되는 단부를 가지는 금속 로드(70,7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유리하게 도 58-60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단(7)은 한번 확대된 개스킷(152)에 의해 잠금을 더 지원하는 측면요홈을 나타낼 수 있고 동일한 요홈내에 맞추어질 수 있다. 이제 도 61-63을 참조하면, 캡처럼 형성되는 것 대신에 로드(7)의 단부(71)는 노치가 존재하도록 형성된다.
도 111-115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수단(7)은 U자 형상의 단면을 나타내고 따라서 좁은 섹션너머로 바늘이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는 섹션(700)이 좁아질 수 있는(도 115에 도시된바와 같이) 세로내부채널을 제한하도록 구부러진 금속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크라운(150, 151)은 반대측면상에서 수직 축(b-b)과 함께 샤프트(17)에 고정되는 캔틸레버이고, 부분(160)에 의해 같은 샤프트를 위로 연장되는 수평암(16)에 부착되어 샤프트(16)에 상응하는 받침대를 가지는 일종의 지레를 한정하게 된다. 샤프트는 또한 도 47 및 48에 도시된 바에 따라 베이스(170)로 지지되고, 정지 브라켓(171)과 함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암(16)은 직물(1)의 편직을 위해 스테이션(TS)으로 그리고 각각 훅업 스테이션(R)으로 크라운((150, 151)과 스티치-제거 수단(7)과 함께 상기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를 움직이고 배치하도록 샤프트(17)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암(16)의 회전은 예를 들면 스템이 크라운(150, 151)을 이송하는 것과 반대 측면에서 정지 구조(H)로 고체의 작동 장치(172)의 스커트에 고정된 암(16)의 부분(160)에 설치되는 작동 장치(17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17)는 요구된 바와 같이 캐리어(PE)와 상응하는 암(16)을 상승 및 하강하도록 작동 장치(18)의 제어하에서 지지수단(170, 171)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된다. 도 48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작동 장치(18)는 또한 같은 샤프트(17)를 위한 수직 가이드로 작동하는 슬리브(15)의 내부에서 샤프트(17)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안전 크라운(8)을 지지하는 암(800)은 스커트가 제 1 캐리어(PE)의 암(16)과 연결되고 스템이 암(800)의 후방 부속물에 대해 동작하는 상응하는 작동 장치(810)의 제어하에서 상기 샤프트(17) 주위 회전을 위해 장착될 수 있다.
도의 48 및 54의 예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는 이것이 상승 및 하강되는 즉 동일한 스테이션(R)에서 제 1 및 제 3 이동가능 캐리어(PE, TE)로 그리고 그로부터 이동되는 작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된 훅업 스테이션(R)에 위치한다. 특히,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가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와 같이 구성되고 환상의 개스킷(152)이 잠금 및 수단(7)을 각각 해제되기 위해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도 83-8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를 위해 형성되는 것 사이에 스티치 제거 수단(7)을 위한 복수의 시트(191)를 한정할 수 있는 두 동심 크라운(19, 190)을 포함한다.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는 도 41-48에 도시된 예에 대해 두 세미크라운(30, 31)을 포함한다. 상응하는 복수(9)의 로드에 장착된 다른 세미크라운(31)상에서 복수의 훅업 스파인(10)은 제 1 세미크라운 위에 장착된다. 로드(9)사이 및 각 스파인(10)사이의 각도 배치는 기계(M)의 바늘(2)사이의 거리와 일치한다.
상기 각 세미크라운(30, 31)은 상응하는 지지 암(32, 33) 위에 있다. 상기 암(32, 33)은 그리퍼의 턱과 같이 세미크라운(30, 31)을 이동할 있도록 축이 같은 암에 대하여 직각인 힌지(323)를 통하여 스파인(10)을 지지하는 세미크라운의 암(32)의 측면 부속물(320)에 일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이동은 예를 들면 스템이 암(33)의 측면 부속물(350)에 고정된 작동 장치(324)로 달성될 수 있다. 스커트는 암(32)에 고정된다. 작동 장치(324)의 스템의 연장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하여 세미크라운(30, 31)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반면, 같은 스템의 후방 드로잉에 의해 세미크라운(30, 31)이 서로 인접하여 움직이게 된다. 상기 방법으로, 외전 튜브(TR)가 도 10에 도시된 스테이션(R)에 나타날 때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의 사용도 가능하다.
첫번째로 세미크라운(30, 31)이 분리되어 움직이고, 즉 도 42의 상태로 배치되고 그후, 이들이 한번 스테이션(R)에 위치하고 서로 가까이 당겨지며 즉, 튜브(TR)를 둘러싸기 위해 도 43의 상태로 배치된다. 이외에도, 로드(9)를 지지하는 세미크라운(31)의 암(33)은 예를 들면 세미크라운(31)이 이들의 직경에 평행한 축(s-s)에 관해 180°로 회전하도록 하는 즉, 도 12, 13, 45 및 46에 도시된바와같이 세미크라운(30) 위로 세미크라운(31)을 전복하도록 하는 모터 또는 유압 작동 장치(34))와 같은 회전 작동 장치의 샤프트 위에 맞추어진다.
세미크라운(30, 31)을 지지하는 암(32)은 제 1 캐리어(PE)를 지지하는 암(16)을 장착하기 위한 것보다 낮은 높이로 샤프트(17)에 무부하로 설치되고, 스템이 암(32)의 후방 부속물(321)에 연결되는고, 스커트가 정지 구조(K)에 연결되는 상응하는 작동 장치(322)와 관련된다. 제 3 캐리어(TE)는 제 1캐리어(PE)로부터 제 2 캐리어(SE)로 수단(7)을 이송하기위해 스테이션(R)으로 오고 상기 이송전에 대기 위치(도시되지 않음)로 스테이션(R)에서 배치된다. 스테이션(R)에 그리고 각각 상기 대기 위치에 캐리어(TE)를 배치하기 위한 암(32)의 회전은 작동 장치(322)로 조작된다.
로드(9)부터 스파인(10)까지 스티치를 이송하고 그 후 세미크라운(31)을 전복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된 세미크라운(12)이 제 3 캐리어(TE)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미크라운(12)은 일측에서 세미크라운(31)에 의해 제공되는 고정된 내부의 상응하는 시트(102)이고, 타측에서 세미크라운(12)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시트(103)에 연결되는 두 나선형의 보유 스프링(101)에 의해 로드(9)의 세미크라운(31)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세미크라운(12)의 나사형성 피치는 세미크라운의 각 나사산(100)이 두 인근 로드(9)사이의 공간 내에서 배치될 수 있는 것과 같다. 스프링(101)의 작용은 도 89에 도시된 것에 따라 세미크라운(31) 위에 세미크라운(12)을 보유하는 것이다.
스티치(MA)를 로드(9)에서 스파인(10)으로 이동하기 위해, 도 90에 도시된 바에 따라, 세미크라운(12)은 스프링(101)의 탄성 저항을 획득함으로서 스파인(10)쪽으로 밀리고, 나사산(100)은 동일한 스티치가 이들을 수용할 준비가 된 스파인(10)에 이송될 때까지 로드(9)에 맞추어지는 스티치(MA)를 대응하여 밀게된다. 상기 단부에서, 포크 푸셔(104)의 두 암(106)은 세미크라운(31)의 몸체 내에서 형성되는 두 홀(107)을 통과함으로써 세미크라운(12)에 작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크(104)의 암을 연결하는 브라켓(108)은 또한 스테이션(R)에서 튜브(TR)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원형 세미크라운형태로 형성되고, 같은 목적을 위해, 작동 장치(105)는 정지 구조(Y)와 연결되어 튜브(TR)의 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지점(Z)에서 브라켓(108)에 따라 동작하게된다.
도 1-18을 참조하여 상술한 작동 방법의 실행에 관한 상기 기구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직물(1)의 편직 완료 및 바늘(2)이 스티치를 해제할 준비를 하도록 바늘(2)을 따라 플레이트를 상승시킨 후, 암(16)은 실린더(172)에 의해 샤프트(17)의 축(b-b) 주위를 회전하고,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실린더(3)와 동축이된다. 또한, 캐리어(PE)의 로드(7)가 바늘(2)과 같이 각도상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 이어진 캐리어(PE)의 하강은 도 4에 도시된 것에 따라 로드(7)가 최종 편직 랭크의 스티치(MA)로 동일한 로드를 삽입하고 각각의 래치(21)의 자동 폐쇄를 결정하는 바늘(2)을 아래로 밀게되는 원인이 된다. 상기 방법에서, 최종 랭크의 스티치는 스티치의 전형적인 탄성과 직물에 의해 생성되는 긴장력으로 인해 로드(7)와 함께 바늘(2)과 더 이상 연결되지 않게 되고, 상기 수단(7)은 직물(1)의 자유 부분보다 적은 직경을 가지는 원주를 따라 즉, 바늘(2) 또는 수단(7)에 의해서 부분이 연결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후,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계(M)의 튜브(T)와 함께 암(16)이 상승되고,튜브(T)는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라, 원래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 점에서, 암(16)은 스테이션(R)으로 이들과 연결된 직물과 함께 캐리어(PE)를 배치하기 위해 실린더(172)의 작용으로 다시 회전되고 여기에서 훅업작동이 수행된다. 외전 튜브(TR)는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라 캐리어(PE)와 연결되는 직물(1)에 도입되고, 이어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뒤집혀지도록 상승된다. 이 점에서,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를 상승하기 위한 명령이 주어진다.
로드(7)를 위해 캐리어(PE, SE)로 보여지는 시트의 매칭 형태와 스테이션(R)내의 캐리어(PE, SE)의 동축으로 인해, 동일한 로드(7)의 자유 단부는-제 2 캐리어(SE)를 상승하기 위한 단계의 완료시-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 2 캐리어(SE)의 시트(191) 내에서 위치설정 된다. 이 점에서, 로드(7)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에서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로 옮겨진다. 특히, 설비는 이에따라 도 38 및 40의 형상으로 처리되는 개스킷(152)의 직경을 감소하고 상기 방법으로 도 39 또는 41에 해당하는 형성을 처리하는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의 해당 개스킷에서 작동함으로써 개스킷으로부터 로드(7)를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의 끝에서,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는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하강하여 제 1 및 제 2 이동가능 캐리어 사이에서, 도 10에 도시된 상태로 제 2 캐리어와 동축인 제 3 캐리어(TE)의 위치설정을 위해 공간이 만들어진다.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로부터 제 2 이동가능 캐리어로 로드(7)의 이송은 제 1 캐리어로부터 직물을 해제하고 로드(7)를 통하여 제 2 캐리어와의 연결을 해제하나 상기 작동은 로드(7)에 관해 남는 최종 랭크의 스티치를 위해 다른 응력없이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TR)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제 2 캐리어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를 위해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의 세미크라운(30, 31)을 지지하는 암(32, 33)은 먼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겨지고, 그후,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여 뒤로 당겨진다. 그 후, 이송 장치(11)는 작동되고, 이것이 진행됨에 따라 로드(7) 위에 맞추어지는 스티치를 상부로 가압되어 이들이 전송된다. 즉, 로드(9) 위로 및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의 스파인(10) 위로 맞추어 진다. 그 뒤에, 상기 이송 장치(11)는 제 2 캐리어(SE)를 따라 하강하고 이에따라 도 11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 아래에 공간을 일소하고 도 12 에 도시된 바에 따라, 로드(9)의 세미크라운(31)은 상기 축(s-s)에 관해 180°회전하게 된다.
이 점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에 따라, 로드(9)의 스티치는 나사산이 형성된 세미크라운(12)에 의해 스파인(10)으로 이송된다. 상기 방법으로 즉 결합되는 두 변부의 두 세미랭크의 스티치의 동축 및 병치의 상태가 달성된다. 실제로 상기 단계의 완료시 세미랭크의 각 스티치는 상응하는 스파인(10)위에 있게되고 스파인과결합된다. 즉, 같은 스파인(10)에 있는 다른 다른 세미랭크의 해당 스티치와 동축 및 병치된다. 그 후, 로드(9)의 세미크라운(31)은 도 14에 도시된바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이전의 전과 반대방향으로 180°로 회전된다. 이 점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에 따라 종래의 훅업 기계에 의해 스파인(10) 위로 결합되는 스티치의 훅업수행이 가능하며 그 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1)을 겉면상태로 하게된다. 특히, 도 16에 도시된 바에 따라 스파인(10)으로부터 이들을 해제하도록 결합된 스티치로 상하로 가압하여 튜브(TR)를 하강할 수 있고 이외에도 튜브(TR)로 직물(1)을 흡입(AS)하는 것은 로드(14)의 도움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번 직물(1)이 튜브(TR)를 통하여 내려지면 직물이 상승하고 그후, 세미크라운(30,31)은 제 1 및 제 2 이동가능 캐리어(PE(SE)) 사이의 공간을 청소하기 위해 각 시작위치로 돌아간다.
이에따라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이동가능 캐리어(PE, SE)는 다시 서로 인접하여 움직이고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로부터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로 수단(7)의 이송은 작동의 역순서로 일어나게 되어, 기구는 다른 사이클을 수행할 준비가된 상술한 작동 사이클의 시작시 처리되는 형태가 된다.
도 20-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또한 플레이트가 형성된 한-실린더 원형 기계(M)로 스타킹을 생산하는데 관련된 다른 작동의 방법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기하는 차이와 함께 도 1-18에 도시된예와 관련된 단계를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도 1-2A에서 설명되었던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편직단계의 끝에서, 각 스티치가 해제될 때까지 마찬가지로 기계(M)의 플레이트 그룹(P)과 바늘(2)이 상승된다. (또한 이 경우, 스티치는 그것이 적절한 래치아래에 배치되고 바늘위에 맞추어질 때, 해제된 위치에 있게된다.)
이 점에서,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는 위치설정 되어 상기 단계의 끝에서(도 19에 도시된), 적절한 바늘(2)의 크룩과 접촉하는 각 제거 수단(7)의 자유 단부와 더불어 바늘(2)의 실린더(3)와 함께 축상 정렬되고, 이에따라 상술한 이른바“커버링”상태가 된다.
그것이 모듈 구성에 관한 것이고, 상기 캐리어에 대한 안정되지만 제거가능한 방법으로 결합된 세미크라운(SC)을 포함한다고 하는 점에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는 상술한 것과 다르다: (전체 원주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제거 수단(7)은 상술한 방법의 실행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이동가능 캐리어(PE)와 하부 제거가능한 세미크라운(SC)(도 19의 좌측)이 제공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부 세미크라운(SU)으로 세분된다(도 19의 우측에서) 이것은 스티치의 최종 랭크를 이루는 두 세미랭크의 차이를 허용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거 단계에는 두 다른 세미크라운과 관련된 수단(7)을 가진 두 직물의 세미랭크를 연결하기 위해 이동가능 캐리어(PE')의 주요부분과 일치하는 제 1 캐리어 및 제거가능한 세미크라운(SC)으로 이루어진 제 2 캐리어가 제공된다.
자명하게, 제거 수단(7)의 길이는 차이가 나게되어 더 큰 길이는 세미크라운(SU)과 결합되는 수단(7)을 위해 제공되고 더 작은 길이는 세미크라운(SC)과 결합되는 수단과 결합되어 도 19, 20, 21 및 22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치되는 상기 두 지지수단(SU, SC)과 결합된 수단(7)의 자유 단부가 모두 동일한 높이가 된다. 모듈 캐리어(PE')의 가능한 실시예는 하기된다.
그 후, 상기 캐리어(PE')는 이전의 방법을 위해 제공된 것과 유사한 절차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이어서 도 21에 도시된바와 같이 동시에 튜브(T)로 하강하여, 튜브(T)의 마우스가 제거 수단(7)의 자유 단부의 것보다 더 높아진다. 또한 이 경우, 튜브(T)를 상승하는 것이 상기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꼭 필요하지 않으나 캐리어(PE')와 함께 직물(1)의 상승을 지원하고, 하나 이상의 스티치가 관련된 제거 수단(7)으로부터 방해되는 것을 차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이전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안전 장치(8)는 지지수단의 단부에 생성되는 원형 크라운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도 22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는 그 후 훅업 스테이션(R)으로 이동하고 전이 튜브(TR)는 그내부에 삽입된다(도 23). 직물(1)은 어떤 경우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움직인 후 도 24에 도시된바와 같이 뒤집어진다. 이런 식으로, 즉 직물은 처음의 것과 반대되는 형태로 즉, 하부로 향한 최종랭크를 포함하는 부분 및 상부로 향한 잔여부분과 함께 경사지게 되어, 최종랭크의 스티치가 직물의 모든 다른 스티치 아래에 있게된다.
그 후,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는 제 1 세미랭크의 제거 수단(7)을 이송하기 위해 제 2 캐리어근처로 당겨진다. 즉, 이것은 각 시트로 이들을 삽압함으로써 제 2 이동가능캐리어(SE)로 제 1 세미크라운(SU)에 의해 지지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단계는 제 1 캐리어에 근접한 제 2 캐리어(SE)를 이동하는 것에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송이 완료되면 도 25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의 세미크라운(SU) 에 의해 움직임에 따라 제 2 캐리어(SE)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단계에서, 제 2 세미크라운(SC)은 최종 편직 랭크의 모든 스티치의 실제적인 동일평면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 근처에 남는다.
이 점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 3캐리어(TE')는 튜브(TR) 근처로 당겨지고, 상기 제 3캐리어는 후속하는 훅업 단계를 위해 직물(1)의 최종 랭크의 스티치(MA)를 보유하기 위한 복수의 보유 수단(10)이 형성된 세미크라운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수단은 반원주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 3 캐리어(TE')는 캐리어(PE')의 크라운(SU)과 세미크라운(SC) 및 제 2 이동가능 캐리어(SE)에 의해 형성되는 그룹 사이에서 위치설정 된다. 상기 위치설정이전에 제 3 캐리어(TE')는 스테이션(R) 밖의 상응하는 대기 위치에 있게된다. 제 3 캐리어(TE')을 지지하는 암(32)의 조절은 제 3 캐리어(TE)를 위해 상술한 것과 유사한 작동 장치에 의해 이뤄진다.
훅업을 위한 상기 스티치 보유수단은 상술한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에 대한 예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 2 이동가능 캐리어에 배치된 수단으로부터 스파인(10)으로 스티치를 이송하는 것은 상술한 것과 유사한 칼라 플랜지(11')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플랜지(11)와 마찬가지로 플랜지(11')의 상승과 더불어 스파인(10)위로 동일한 스티치를 이송하도록 로드(7)에 맞추어진 스티치를 상부로 누르고, 최종 랭크의 모든 스티치(MA)의 실질적인 동일평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세미크라운(SC)을 상승시킨다.
상기 단계의 완성시, 직물은 스티치(MA)의 세미랭크를 통해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의 수단(10)에 및 최종 편직된 랭크의 스티치의 다른 세미크라운을 통해 제거가능한 세미크라운(SC)의 수단(7)에, 즉 스파인(10)에 설치되는 세미랭크의 스티치와 세미크라운(SC)에 의해 나타나는 수단(7)에 맞추어진 세미랭크의 스티치와 연결된다.(도 28에 도시). 이 점에서 도 29 및 30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 3 캐리어(TE')는 제 2 세미랭크의 스티치에 대해서 동축 및 병치된 제 1 세미랭크의 스티치를 배치하기 위해 180°(도 29에서 시계 방향으로)로 회전된다. 세미크라운(SC)에 의해 이루어진 수단(7)에 맞추어진 스티치(MA)는 그 다음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의 스파인(10)으로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의 스파인(10)에 동일한 스티치를 이송하도록 하부로 로드상에 맞추어진 스티치를 가압하는 로드(12)를 사용함으로써 이송된다.
상기 단계의 완료시 스티치의 최종 랭크를 다시 분할하도록 이상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두 세미랭크의 스티치는 훅업의 준비로 스파인(10)에 쌍으로 동축 및 병치된다.
제 3 캐리어(TE')는 스티치의 훅업을 시작하여 그렇게 배치되고 하나 또는 그이상의 폐쇄 매듭의 형성으로 끝나도록 하는 그 초기 위치(도 33)로 되어 다시 회전된다(도 31 및 32).
상기 단계의 끝에서, 초기에 양단부가 열린 직물(1)은 내부 또는 뒤집힌 부분에서 작동되는 훅업에 의해 닫히는 한 끝을 가진다. 결국, 도 34에 도시된 바에따라, 이와 같이 링크된 스티치는 해제된다. 상기 단계는 외전 튜브(TR)를 하강하고, 겉면상태(도 34에서 AS로 표시되는 흡입방향)로 분출되는 흡입과 튜브(TR)로 도입되는 상기 방법에서의 직물의 겉면을 돌리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서와 같이 상기 길이에 의해 동일한 튜브(TR)로 도입되는 로드(14)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 3 이동가능 캐리어(TE')은 이격되어 움직이며, 튜브(TR)는 상승된다 즉, 도 35에 도시된 바에 따라, 시작위치로 돌아간다. 그리고, 제 2 캐리어(SE)는 세미크라운(SU)위로 수단(7)의 이송하고 도 36에 도시된바와 같이 각 시작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먼저 제 1 캐리어(PE')에 인접하여 움직이게 되어 모든 수단(7)이 다시 형성된 재설정된 제 1 캐리어(PE')가 다른 직물의 처리를 위해 편직 tm테이션(TS)내에 재위치설정될 수 있게된다.
상기 제 1 모듈의 캐리어(PE')는 마찬가지로 캐리어(PE))가 스테이션(TS)과 스테이션(R)사이에서 그것에 관한 조절을 허용하는 암(16)으로 지지되는 플랜지(SCC)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SCC)는 도 54에 도시된 바에 따라, 가장 짧은 수단(7)과 하부 원형부분(SCI)에 연속 하지 않고 연결된 상부 원통형 부분(SCS)을 지지하는 세미크라운(SC)을 이들과 함께 연결하는 하부 반원형부분(SCI)을 가진다. 플랜지(SCC)의 상부 부분(SCS)은 암(16)의 상부측면에 고정된 상응하는 지지수단(BS)으로 상기 암(16)에 의해 지지되는 작동장치(SA)와 관련된다. 시작하는 작동장치(SA)는 도 25-31의 하강된 부분과 각각 도 19-24, 32-36 및 54의 상승된 부분으로 캐리어(PE')의 세미크라운(SC) 움직이도록 한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두-실린더 원형 기계에 적용 가능하다.도 64-7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하기하는 작동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18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레그 부분으로부터 시작하여 스타킹(1)을 편직하고 스타킹의 선단에 일치하는 단말 스티치의 랭크가 형성되는 편직을 위해 제공된다. (도 64). 직물(1)의 편직은 하부 실린더(L)와 상부 실린더(U)와 함께 두-실린더 원형 기계(MD)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방법으로 수행된다.
상기 기계는 자체로 알려져 있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은 Sangiacomo SpA 회사에서 제조된 기계 모델“Sangiacomo INES”또는 MATEC SpA 회사에서 제조된 기계 모델“Silver”또는 다른 적절한 기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실행을 준수하여, 상술한 편집단계후 상부 실린더(U)는 상승하고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실린더(L)로부터 이격되어 움직인다. 상승된 상부 실린더를 가지는 상기 상태 하에서, 상기 스티치는 하부 실린더(L)와 결합하고, 적절한 래치 아래에 배치되는 바늘(2)상에 있게된다.
이점에서, 도 66에 도시된 바에 따라, 기계(MD)의 두 실린더(U(L)) 사이의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의 위치설정 이후, 직물(1)의 최종 랭크의 스티치는 바늘(2)부터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에 배치된 복수의 상응하는 제거 수단(7)으로 이송되어, 상기 단계의 끝에서, 최종 랭크의 각 스티치는 각각의 바늘(2)로부터 상응하는 제거 수단(7)으로 이송된다(도 67 및 68 참조).
그 뒤, 상기 단계는 하부 실린더의 편직 바늘로부터 해제되고 제거수단(7)과해제되는 직물을 가진 제 1 이동가능 캐리어의 상승을 도시하는 도 69의 예와 제 1 이동가능 캐리어로 안전장치의 접근을 보여주는 도 70의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것과 유사하다. 실제로, 도 1-18을 참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유일한 차이는 직물(1)이 한-실린더 기계(M) 대신에 두-실린더 기계(MD)로 생산된다는 사실이다.
몇몇 기계적 부분의 가능한(제한되지 않은) 해결책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도 71-82는 이미 설명된 바 있다. 도 71은 도 2A와 동일하고 표현을 위하여 단지 다시 한번 도시된다.
특히 도 72-80은 스티치의 제거를 위해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정의할 수 있는 수단(80)을 도시한다. 상기 수단은 또한 상술한 장치(8)와 같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안전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실린더 형태의)원형 기계(M)가 그 플레이트와 이른바“내려진”위치에서 최종랭크의 스티치를 가지고 상승되는 편직바늘을 가질 때,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는 바늘(2)의 플레이트 그룹(P)과 실린더 사이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 경우, 도 72-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단(80)은 예를들어 상응하는 작동캠(명료성을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관련된 적절한 힐(82)을 사용함으로써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복수의 로드가 각각 위치된 내부의 원형 크라운과 같은 형상의지지 몸체(88)로 구성된다. 상기 수단(80)은 실린더(3)의 바늘(2)주위에 원주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드(81)는 동일한 실린더의 세로 축으로부터 및 그로부터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로드(81)는 도 76, 77 및 80에 도시된 안전장치 EH는 비작동 형태로 동작하고 수단(80)이 코를 만든(cast off) 평면(PA)을 한정하는 작동형태(도 72-75, 78, 79에서 도시됨) 어느 것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들은 후퇴 즉, 바늘(2)의 궤도외부에 유지된다.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선택적으로 한정하는 수단의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다는 도 81 및 82에 도시된다. 이 경우, 수단은 바늘(2)외부 및 그주위에 전개되는 지지 크라운(86)에서 받침점을 가지고 원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레(88)로 이루어진다. 각 지레(88)는 내부 부분(87)과 외부 부분(89)을 받침점에 대해서 대향되게 배치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 크라운(86)에 대해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 크라운(90)은 지지 크라운(86) 주위에 제공된다. 그 수직의 운행에서, 구동 크라운(90)은 지레(88)의 외부 부분(89) 위에 인접하고 이에따라 상기 형태에서 스티치(MA)를 위해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한정하는 내부 부분(87)을 상부로 배치한다. 상기 크라운(90)은 도 81에서 및 도 82에서 각각 위치설정하도록 결정되는 상응하는 작동장치(도시되지 않음)와 관련된다.
도 91-111에 도시된 예는 동일한 스타킹의 형성의 마지막 단계에서 두-실린더 기계의 상부 실린더(U)에서 나타나는 스타킹(1)의 형성 및 전개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방법의 적용을 참조한다(도 91). 한번, 편직단계가 완료되면, 도 92에 도시된 것에 따라 바늘(2)은 상부 실린더(U)와 관련된다.
그 후, 상부 실린더(U)는 바늘(2) 및 직물(1)을 따라 상승하고 기계의 상부 및 하부 실린더 사이의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의 위치설정을 위한 공간을 만들게된(도 93 및 94). 이후, 상기 캐리어(PE)는 도 95 및 9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단(7)이 바늘(2)을 대신하여 최종 편직 랭크의 스티치로 맞추어지는 동일한 캐리어에 의해 지지될 때까지 상승된다. 그 다음, 캐리어(PE)는 도 9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전장치(8)를 사용할 수 있고 동일한 실린더로부터 스타킹을 완전히 해제하는 상부 실린더 내에 있는 튜브(T)와 함께 하강한다(도 97).
상기 단계의 끝에서, 캐리어(PE)는 도 9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R)에 배치되고, 안전장치(8)는 스타킹(1)위로 외전튜브(TR)를 아래에서부터 도입된 후 이격되어 움직이며, 제 2 캐리어(SE)는 제 1 캐리어(도 100)근처로 당겨지고 튜브(TR)는 스타킹(1)을 뒤집기 위해 하강한다. 이후, 수단(7)은 제 2 캐리어(SE)로 이송되어 스타킹과 연결되고 1 캐리어(PE)와는 더 이상 연결되지 않으며, 제 2 캐리어(SE)는 최종 편직된 랭크의 스티치가 제 3 캐리어(TE)의 스파인(10)으로 그리고 로드(9)로 이송되는 도 101 및 102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 3 캐리어를 위한 룸을 만드는 제 1 캐리어(OE)로부터 이격되어 움직이게 되어, 세미랭크의 각 스티치가 상응하는 로드(9)로 이송되고 다른 세미랭크의 각 스티치가 상응하는 스파인(10)위로 이송되게 된다.
그 뒤에, 제 2 캐리어(SE)는 제 3 캐리어로부터 이격되어 움직이고(도 103) 로드(9)의 세미크라운은 훅업작동을 위한 준비위치에서 최종랭크의 스티치를 배치하기 위한 180°로 회전된다(도 104). 상기 단계의 끝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세미크라운(12)은 도 105에 도시된바와 같이 로드(9)의 세미크라운이 시작위치(도 106)로 복귀하고 훅업 장치(RI)가 스파인(10)에 쌍으로 동축 및 병치되는 스티치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후 로드(9)에 맞추어진 스티치를 스파인(10)으로 이송하도록 작동한다. 이 점에서, 튜브(TR)는 스파인(10)으로부터 스티치를 해제하도록 상승된다(도 108). 따라서, 스타킹(1)은 편직 기계의 상부실린더(U)로부터 픽업된후 겉면상태로 이미 있기 때문에 더 뒤집히지 않고 방출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스타킹이 상기 훅업 작업 후 뒤집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도 109). 결국, 수단(7)은 제 1 캐리어(PE)로 돌아가고 이에따라 시스템의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도 110 및 111).
도 116-127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정된 실시예는 다음의 작동단계를 위한 도 1-6(편직과는 다른 스테이션(R)으로 이송되고 최종랭크의 스티치의 제거하는 직물의 편직)을 참조로 상술된 단계로 제공된다.:
- 스테이션(R)에서, 직물(1)의 내부로 외전튜브(TR)를 도입하는 단계(도 116)
- 직물(1)의 단말 스티치가 있고 동일한 크라운(11), 스티치상에서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가는 스러스트(도 117), 상기 로드(9) 및 상응하는 캐리어(SE')에 의해 지지되는 스파인(10)을 통해 가해짐으로써 상기 스티치가 상응하는 스파인과 로드에 맞추어지도록 하는 크라운(11)의 도움을 가지는 수단(7)근처로 로드(9)와 스파인(10)을 당기는 튜브(TR)를 상승함으로써 직물(1)을 뒤집는 단계,
- 이들사이의 다른 캐리어(QE)를 위한 룸을 만들도록 수단(7)의 캐리어(PE)로부터 이격하여 캐리어(SE')를 움직이는 단계(도 118)
- 캐리어(SE')근처의 캐리어(QE)를 당기고 캐리어(SE')로부터 캐리어(QE)로 로드(9)와 스파인(10)을 이송하는 단계(도 119)
- 캐리어(QE)로부터 캐리어(SE')를 이격하여 움직이는 단계
- 동축 및 병치된 관계로 로드(9) 및 스파인(10)과 각각 연결된 즉, 훅업을 위해 미리설정된 형태가 준비된 스티치를 배치하는 단계(도 121 및 122)
- 캐리어(QE)의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도 123)
- 연결되는 변부(L1, L2)의 훅업을 수행하는 단계(도 124)
- 상기 훅업 작업을 위한 지지수단으로 기능하는 스파인(10)로부터 스티치를 해제하는 단계(도 125)
- 캐리어(QE)로부터 캐리어(SE')로 로드(9)와 스파인(10)을 이송하는 단계(도 126)
- 다른 작동 사이클을 시작하도록 각각의 원래위치로 모든 요소를 이송하는 단계(도 127).
상기 동작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기구의 다른 캐리어 상부로 그들의 이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단(7)은 단순히 캐리어(PE)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러나, 로드(9)와 스파인(10)은 캐리어(SE', QE)에 안정되나 제거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단부에서, 도 128-138에 도시된 바에 따라, 캐리어(SE')는 로드(9)와 각 스파인(10)을 수용하기 위한 시트가 형성된 두 세미크라운(HH, HK)으로 이루어진다. 로드(9)는 각각 단부에 상응하여 동일하게 형성되고, 도 38-41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152)로 도 131-134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개스킷에 의해 요홈을 허용하는 측면 요홈을 나타낸다.
동일한 것이 도면을 참조하여 서술된 바에 따라 작동하고 상호작용하는 참조번호 (150, 151, 153, 154, 155, 156)로 나타난 요소로 유효한다. 세미크라운(HK)은 말단의 중지 수단(181)과 더불어 스파인(10)을 위해 상응하는 도브테일(dovetail)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시트(180)를 나타낸다. 상기 해당 스파인(10)은 세미크라운(HK)의 상응하는 시트(182)에 수용된 탄성 환상의 개스킷(152)에 의해 각각의 시트 내에 보유될 수 있고, 같은 세미크라운(HK)내에 형성된 채널(155, 156)을 통한 압축 공기의 도입을 위해 시스템과 결합되며, 마찬가지로 도 38-41의 예를 참조로 상술한 바 있다.
스파인(10)은 도 135-1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을 직립형상을 가지며, 탄성링(152)의 팽창에 따른 작용을 용이하게 하고, 양 단부에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용이하도록 두 요홈(900)이 형성된다. 가이드(180)로 스파인(10)을 도입하기 위한 측면(910)에서, 상기 스파인은 가이드(18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반대 측면에서, 스파인(10)은 훅업 기계(RI)의 바늘을 위한 세로 요홈(911)을 나타낸다.
캐리어(QE)는 로드(9) 및 스파인(10)을 수용하는 시스템에 관련되는한 캐리어(SE')와 같이 형성되고, 훅업 상태의 스티치를 배치하기 위한 로드(9)의 세미크라운을 회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세미크라운(310,300)을 닫는 집게형상 및 열기 위한 시스템인 한 도 42-45에 도시된 캐리어(TE)와 같은 형태가 된다.
본 발명은 또한 관형의 형체 외에 직립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하는 것을 역시혀용한다.
도 139-147에서 개략적으로 묘사된 예는 실제로 역경사로, 즉, 오직 겉면에서만 편직될 수 있는 기계(자체로 당업자에게 공지된)에의해 한 단일 전면에의해 바른 및 역 밴드로 편직된 직물을 달성하여 편직되도록 뒤집은(LR) 겉면부분(LD)으로 동일한 기계 또는 다른 기계중의 하나로 직물을 배치할 수 있도록 원형 기계 대신에 직선으로 편직되는 직물(1)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기계에 제공된 바늘의 수에 관계없이 적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동일한 단계로 고려되는 한편, 기계의 최소 편직 유닛 즉, 개별 싱커(4)를 가진 개별바늘(2)은 도 139-147의 예에서 도시된다.
상기 예를 참조로, 작동 방법은 다음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 관형 직물의 편직을 참조로 서술된 것으로 스티치를 위한 코를 만든(cast off) 평면을 범위를 정하는 고정된 바늘(2)과 이동가능한 싱커(4)의 단순한 전면을 가지는 직선형 기계와 함께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직물을 편직하는 단계(도 139)
- 내려진 위치에서 즉, 그 위에 최종 형성된 스티치를 집어올리기 위한 상응하는 지지캐리어(PE)와 안정되나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수단(7)에 근접한 각 바늘(2)의 헤더를 움직이고 래치(21)의 단부밑에서, 최종 랭크의 스티치를 위치설정함으로써 바늘(2)을 상승하는 단계;
- 수단(7)으로 바늘(2)의 최종 랭크 스티치의 이송을 결정함으로써 수단(7)을 따라 캐리어(PE)를 하강하는 단계(도 141)
- 수단(7)을 다라 캐리어(PE)를 상승시킴을써 직물 기계로부터의 직물(1)을해제하는 단계(도 142)
- 편직을 위한 것과는 다른 스테이션으로 직물(1)을 가진 캐리어(PE)를 이송하는 단계(도 143)
- 제 2 지지 캐리어(SE)로 상기 수단을 이송하는 단계(도 144 및 145)
- 편직 스테이션으로 상기 제 2 캐리어(SE)를 이송하고(도 146) 수단(7)으로부터 바늘(2)로 스티치를 이송함으로써 상응하는 바늘(2)의 헤드(22)의 근처에 각 수단(7)의 자유 단부를 이송하는 단계
- 상기 제 2 캐리어를 이격하여 움직이고 편직을 계속하는 단계(도 147).
상기 사이클은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반복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모든 구성 세부사항은 사용된 물질의 형상, 크기, 요소 배치, 본질이 관련되는 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용된 해결 아이디어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균등한 방법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산업적 발명을 위해 본 특허에 주어진 보호의 한계 범위 내에 있다.

Claims (32)

  1. 이송되는 직물이 제 1 스테이션에서 형성되는 직물기계의 바늘로부터 스티치를 제거하고, 제 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 2 작동 스테이션으로 직물을 이송하고, 상기 이송이 직물기계의 바늘로부터 동일한 스티치의 제거를위한 복수의 수단과 상기 스티치를 연결함으로써 작동되고, 제 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 2 스테이션으로 상기 수단을 이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 및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들에 의해 제거되는 스티치를 따라 제거수단의 하나이상의 부분을 일시적으로 보유하는 제 2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에 상기 제 1 및 제 2 스테이션으로부터 이동가능한 제 1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로부터 상기 제거 수단의 하나이상의 부분을 역전가능하게 이송하거나, 스티치의 일시적으로 보유하나 두 이동가능한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사이에서 상기 바늘로부터 동일한 스티치를 제거하는데 포함되지 않는 복수의 수단의 역전가능하게 한 이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스테이션에서 직물을 형성하도록 제공된 수단에 의해 기계(M;MD)의 바늘(2)로부터 상기 스티치를 제거하고, 제 1 스테이션(TS)으로부터 제 2 작동 스테이션으로 직물(1)을 이송하고, 상기 이송이 편직기계(M;MD)의 바늘(2)로부터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수단과 상기 스티치(MA)를 연결함으로써 작동되며, 상기 제 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 2 스테이션으로 상기 수단을 이송하고, 미리설정된 훅업 형태로 위치설정하는 스티치(MA)의 랭크에 의해 경계지워진 직물(1)의 변부를결합 또는 훅업하는 것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티치(MA) 랭크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관형의 편직된 직물의 두 변부를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훅업단계 이전에, 제 1 및 제 2 스테이션과 제거되어지는 스티치(MA)와 함께 제거수단(7)의 부분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제 2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SE)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 1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PE;PE')로부터 상기 제거수단(7)의 부분을 역전가능하게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훅업단계동안, 상기 스티치(MA)를 보유하고 제 3 지지수단(TE;TE')에 장착된 복수의 수단(10)으로 동일한 수단에으해 상기 제 2 지지수단(SE)에 이송되는 제거수단(7)과 연결된 스티치(MA)를 이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테이션이 훅업단계가 수행되는 스테이션(R)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스티치(MA)를 훅업하기 위한 형태가 결합된 직물의 두 변부를 경계 설정하는 최종 편직된 랭크의 스티치(MA)가 병치 및 동축으로 선택적으로 배치된 형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1)이 스타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항 또는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MA)가 스타킹의 발가락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경계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2항 또는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두리(hem)로부터 시작하여 발가락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끝나는 스티킹(1)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직물(1)이 만들어지는 기계가 한-실린더(M) 또는 두-실린더(MD)의 원형 편직 기계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훅업 작업이 뒤집어지는 직물(1)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훅업작업이 겉면상태의 직물(1)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직물이 이루어지고, 편직 기계가 다른 작동 스테이션에 위치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동일한 스티치를 이송하는 기계의 바늘로부터 동일한 스티치를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수단이 형성된 상응하는 직물 기계에의해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 또는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스티치의 일시적인 보유를 위하나 상기 바늘로부터 동일한 스티치의 제거를 포함하지 않는 복수의 수단 또는 스티치 제거수단을 안정적이나 제거가능한 방법으로 수용하기 위해 시트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직물이 만들어지고 복수의 편직 바늘(2), 스테이션(TS)으로부터 동일한 스티치를 이송하는 기계(MA;MD)의 바늘(2)로부터 상기 스티치(MA)를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수단(7)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M;MD)가 다른 작동위치에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상응하는 직물기계(M;MD)에 의해 편직된 관형의 직물(1)의 단말 랭크의 스티치(MA)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안정되나 제거가능한 방법으로 상기 수단(7)을 수용하기 위한 시트(157,191)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PE;PE';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2항 또는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57,191)내에 상기 수단(7)을 연결하고 해제하는 수단(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항 또는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57,191)내에 상기 수단(7)을 연결하고 해제하는 수단(7)이 상기 제 1 캐리어(PE;PE') 및 제 2 캐리어(SE) 둘 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MA)를 제거하는 수단(7)이 로드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7)이 상기 편직 바늘(2)과 마찬기지로 이들사이에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PE), 및 각각 제 2 캐리어(SE)가 이들내붕 안정되나 제거가능하게 상기 제거수단(7)을 수용하는 복수의 시트(157,191)를 경계설정하는 두 동심 요소(150,151;19,191)를 가진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3항 또는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환상의 개스킷(152)과 상기 수단(7)을 이들의 적절한 시트(157;191)와 연결하고 이들로부터 각각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환상의 개스킷의 직경을 증가시키고 각각 감소할 수 있는 수단이 두 동심 요소(150,151;19,190)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개스킷(152)의 직경을 증가 및 각각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이 상응하는 선형 작동장치와 연결된 환상의 웨지(154)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의 개스킷(152)의 직경을 증가 및 각각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이 유체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스티치(MA)의 상기 제거 수단(7)이 상기 개스킷(152)과 상호작용하는 지점에 상응하는 측면 요홈(72)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가능 캐리어(PE;PE')가 상기 제 1 및 제 2 스테이션으로부터 및 으로 지지하는 샤프트(17)의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상응하는 작동기(172)와 연결된 상응하는 암(1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캐리어(PE;PE';SE)가 다른 작동높이로 위치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암(16)이 상승 및 각각 하강하도록 작동하는 상응하는 선형 작동장치(18)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수단 또는 캐리어(PE')가 모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가 훅업형상내에 배치되는 수단(TE;TE')과 상기 캐리어 또는 지지수단(SE)에 의해 이미 지지되는 스티치위로 이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13항 또는 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티치를 제 2 캐리어로부터 제 3 캐리어로 이송하는 수단이 상기 제 2 및 제 3 캐리어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플랜지(1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13항 또는 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훅업 형상내에서 상기 스티치(MA)를 지지하기위한 수단(TE;TE')이 훅업 스파인(10)의 반원형 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13항 또는 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훅업 형상내에서 상기 스티치(MA)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TE;TE')이 훅업 스파인(10)의 반원형 전면 및 마찬가지로 상기 편직 바늘(2)과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는 로드(9)의 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9)의 전면이 스파인(10)의 전면으로부터 및 으로 이동가능한 지지수단(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13항 또는 3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인(10)의 지지수단(30)과 로드(9)의 지지수단(31)이 힌지(3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상응하는 암(32,3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13항 또는 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7)의 하나 이상의 단부(70,71)가 캡형상 또는 노치가 형성된 형성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7000937A 2001-07-24 2002-07-19 편직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방법 및기구 KR200400289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2001A000143 2001-07-24
IT2001FI000143A ITFI20010143A1 (it) 2001-07-24 2001-07-24 Metodo e dispositivo per manipolare o movimentare le maglie di un manufatto tessile
PCT/IT2002/000475 WO2003010377A1 (en) 2001-07-24 2002-07-19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the stitches of a knitted tubular article to an operating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938A true KR20040028938A (ko) 2004-04-03

Family

ID=1144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937A KR20040028938A (ko) 2001-07-24 2002-07-19 편직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방법 및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26930B2 (ko)
EP (1) EP1417365B9 (ko)
KR (1) KR20040028938A (ko)
CN (1) CN1303272C (ko)
AT (1) ATE363003T1 (ko)
DE (1) DE60220283T2 (ko)
HK (1) HK1069608A1 (ko)
IT (1) ITFI20010143A1 (ko)
WO (1) WO20030103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410A (ko) * 2013-04-12 2015-12-23 스타우블리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관형상 편성 물품을 편성하기 위한 방법 및 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42084A1 (it) * 2004-11-02 2005-02-02 Cesare Colosio S P A Dispositivo di cucitura automatica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per calze
TWI448595B (zh) 2010-04-06 2014-08-11 Da Kong Entpr Co Ltd Sock body deliver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8443633B1 (en) * 2012-09-05 2013-05-21 Da Kong Enterprise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loops from the knitting machine needle
ITMI20130050A1 (it) * 2013-01-16 2014-07-17 Lonati Spa Procedimento per attuare la chiusura automatizzata di un'estremita' assiale di un manufatto tubolare e il suo scarico in assetto a rovesci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esecuzione.
TWI539050B (zh) * 2013-11-15 2016-06-21 Da Kong Entpr Co Ltd Sewing sock machine needle plate
TWI509121B (zh) * 2013-11-15 2015-11-21 Da Kong Entpr Co Ltd Socks sewing device
JP5813192B1 (ja) * 2014-08-29 2015-11-17 永田精機株式会社 丸編機の編地移し方法及び装置
TWI589747B (zh) * 2015-03-04 2017-07-01 Coil folding device
CN106037119A (zh) * 2016-07-25 2016-10-26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体鞋面制造方法及一体编织鞋面
CN108677368B (zh) * 2018-05-31 2019-09-06 吉林省德盟欧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摆臂机构
TWI726307B (zh) * 2018-08-20 2021-05-01 大康織機股份有限公司 驅動機構
CN109137287B (zh) * 2018-09-28 2024-03-29 浙江越发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成形袜机袜头缝合装置
IT201900023433A1 (it) * 2019-12-10 2021-06-10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KR20220152188A (ko) * 2020-03-24 2022-11-15 로나티 에스.피.에이. 관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형 양말 편직 기계
CN113737382B (zh) * 2021-08-10 2023-08-15 浙江罗速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袜机用缝齿针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59688B (it) 1992-10-09 1996-03-25 Conti Florentia Srl Metodo e dispositivo per eseguire l'unione di due lembi di un manufatto tubolare tessuto a maglia al termine della sua formazione
IT1265881B1 (it) 1993-07-12 1996-12-12 Fabric & Mfg Principles Metodo e dispositivo per eseguire l'unione di due lembi di un manufatto tubolare tessuto a maglia al termine della sua formazione
IT1262486B (it) * 1993-07-29 1996-06-28 Paolo Frullini Metodo per eseguire l'unione di due lembi di un manufatto tubolare tessuto a maglia al termine della sua formazione.
US5551260A (en) * 1993-07-29 1996-09-03 Fabritex, S.R.L. Method for joining two edges of a knitted tubular article upon completion thereof
EP0679746B1 (en) * 1994-04-26 1998-08-05 Sangiacomo S.p.A. Device for handling knitted products manufactured on circular stocking knitting machines
IT1269117B (it) * 1994-06-16 1997-03-21 Golden Lady Spa Dispositivo per la automatica formazione iniziale di una punta chiusa in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su macchine da maglieria circolari
IT1277395B1 (it) * 1995-07-28 1997-11-10 Matec Srl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calze o simili a punta chiusa con una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ica
IT1281598B1 (it) * 1996-01-08 1998-02-20 Matec Srl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ica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ad elevata versatilita' di impiego
ITFI980039A1 (it) 1998-02-20 1999-08-20 Fabritex Srl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unire i lembi di manufatti tessuti a maglia.
IT1316678B1 (it) * 2000-02-28 2003-04-24 Matec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tubolari,in particolare calze,chiusi in corrispondenza d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410A (ko) * 2013-04-12 2015-12-23 스타우블리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관형상 편성 물품을 편성하기 위한 방법 및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10377A1 (en) 2003-02-06
CN1303272C (zh) 2007-03-07
US20040211226A1 (en) 2004-10-28
DE60220283D1 (de) 2007-07-05
CN1545578A (zh) 2004-11-10
ITFI20010143A1 (it) 2003-01-24
HK1069608A1 (en) 2005-05-27
ATE363003T1 (de) 2007-06-15
EP1417365A1 (en) 2004-05-12
EP1417365B1 (en) 2007-05-23
US6826930B2 (en) 2004-12-07
DE60220283T2 (de) 2008-01-24
EP1417365B9 (en) 2008-04-30
WO2003010377A8 (en)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20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ing edges of knitted articles
KR20040028938A (ko) 편직 직물의 스티치를 조절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방법 및기구
EP0679746B1 (en) Device for handling knitted products manufactured on circular stocking knitting machines
CN108291340B (zh) 用于从圆形针织机拾取管状针织物品的装置和方法
EP3204544B1 (en)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articles
EP2024544B1 (en) Method and integrated system for knitting a stocking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for closing the toe of the stocking
KR20100127217A (ko) 양말 등을 위한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 편물을 픽업하고, 편물에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닛으로 편물을 이송하기 위한 픽업 디바이스
CA2575579C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tubular knitted articles such as socks or the like to perform sewing of the toe
RU2130094C1 (ru) Способ заделывания исходного конца трикотажного изделия, такого как носок и тому подобного издел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220325449A1 (en) Turning device for tubular knitted items and method for turning tubular knitted items
US20040154341A1 (en) Device for picking up a tubular knitted article from a knitting machine and for sewing the toe
US63819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ubular items, particularly hosiery items, closed at an axial end
US6158252A (en) Method and single-cylinder machine for producing socks and the like, for the automatic closure of the final end of a tubular knitted fabric such as a sock
JP2001262449A (ja) 軸方向端部が閉じられた筒物、特に靴下の製造方法及び装置
ITFI970265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la fabbricazione di manufatti tessili tubolari
EP39535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ubular knitted articles with a closed toe
RU2168574C2 (ru) Способ сшивания краев трубчатого вязаного издел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шивания краев трубчатого вязаного изделия
CZ20023028A3 (en) Device for closing toes in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