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969A -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에따라 수득된 생성물 - Google Patents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에따라 수득된 생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969A
KR20040027969A KR10-2004-7002559A KR20047002559A KR20040027969A KR 20040027969 A KR20040027969 A KR 20040027969A KR 20047002559 A KR20047002559 A KR 20047002559A KR 20040027969 A KR20040027969 A KR 20040027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ized bed
sodium percarbonate
coating
coated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646B1 (ko
Inventor
야콥하랄트
헤쓰베르거발데마르
라티히위르겐
오베르딕랄프
Original Assignee
데구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구사 아게 filed Critical 데구사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27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55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 C01B15/10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55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 C01B15/10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 C01B15/103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containing only alkali metals a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55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 C01B15/10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 C01B15/106Stabilisation of the solid compounds, subsequent to the preparation or to the crystallisation, by additives or by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AM 수치가 낮은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탄산나트륨은 온도(TG) 45 내지 75℃에서 유동층 과립화에 의해 제조하며, 온도(TU) 35 내지 100℃에서 피복 성분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수용액의 유동층에서의 분무에 의해 피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유동층 과립화 후 및 피복 전에, 추가의 건조 단계를 온도 TNT(TNT> TG)에서 실행하거나(a), 유동층 과립화를 적어도 두 개의 단계에서 온도 TG1, TG2및 TGn(TG2또는 TGn> TG1)에서 실행하고, TG1에서 과립의 2/3가 형성되는 경우 추가의 건조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b), 추가의 건조 단계를 과립화 후에 실행하지 않고, 피복한 후, 즉, TUNT(TUNT는 TG보다 20℃ 이상 높다)에서 실행한다.

Description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에 따라 수득된 생성물{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coated sodium percarbonate and product obtained according to said method}
본 발명은 TAM 수치가 낮은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수득한 생성물에 관한 것이며, 당해 생성물은 낮은 TAM 수치(저장 과정에서의 에너지 방출에 대한 마이크로열량 측정치)에 의해 구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은, 유동층 분무 과립화(fluidised-bed spray granulation)에 의해 입상 과탄산나트륨을 제조하는 단계(i) 및 유동층 속의 피복 성분으로 입상 과탄산나트륨을 피복하는 단계(ii)를 포함한다.
산업적 규모에서는 세척제 또는 세정제에서 표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과탄산나트륨(화학식: 2Na2CO3ㆍ3H2O2)의 제조를 위해, 결정화 공정 및 특히 유동층 분무 과립화 공정이 사용된다.
비록 결정화 공정으로부터 수득한 과탄산나트륨이, 그 자체로 TAM 수치가 낮기 때문에 저장이 용이할 수 있지만, 특히, 제올라이트와 같은 세척제 성분의 존재하에서의 활성 산소 안정성은 다공성 표면으로 인하여 만족스럽지 못하다. 비록, 결정화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과탄산나트륨의, 세척제 성분의 존재하에서의 저장 안정성이, 안정화 작용을 갖는 성분으로 과탄산나트륨 코어(core)를 피복하여 개선될 수 있지만, 오늘날 이러한 제품에 대한 요구가 종종 더이상 적절하게 충족되지 않는다.
유동층 분무 과립화 공정으로, 쉘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구형이고 조밀한 과탄산나트륨 입자가 수득되며, 당해 입자는 결정화 공정에 의해 수득한 생성물보다 저장 안정성이 더 높다. 과산화수소 수용액 및 소다 수용액 또는 임의의 소다 현탁액을,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함유하는 유동층(유동층의 직경은 제조되는 입자의 직경보다 작다)에 분무하여 당해 공정을 실행한다. 수성 매질 속에 존재하는 반응물에 분무하는 동안, 물은 유동층의 온도 40 내지 90℃에서 증발된다. 유동층 분무 과립화 공정의 실행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예를 들면, 유럽 특허공보 제0 716 640호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세척제 성분 존재하에서의 활성 산소 안정성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유동층 분무 과립화에 의해 제조된 과탄산나트륨을 안정화 피복물 층(예: 유럽 특허 제0 863 842호에 따르는 황산나트륨 층)으로 피복할 수도 있다.
과탄산나트륨 취급시의 안전성, 특히, 저장고에 저장하는 동안의 증가되는 안전성의 문제를 이유로, 현재까지의 물질에 비하여, 추가로 저하된 TAM 수치에 상응하는, 저장 안정성이 추가로 향상된 과탄산나트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비록 과탄산나트륨을 비활성 물질로 피복하여 과탄산나트륨의 TAM 수치가 특정 범위로 저하될 수는 있지만, 그에 따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다수의 경우 여전히 부적절하다. TAM 수치는 저장 과정에서의 에너지 방출에 대한 마이크로열량 측정치이며, 스웨덴 제펠라(Jarfalla)에 소재한 써모메트릭 AB(Thermometric AB)에서 제조한 TAM®열적 활성도 모니터(Thermal Activity Monitor)에 의해 측정된다.
유동층 분무 과립화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과탄산나트륨의 TAM 수치를 저하시키기 위해 이미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본원의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와 같이, 압축된 인산염 및 황산마그네슘 둘다를 분무용 용액에 가하는 경우, 독일 특허공보 제27 33 935호에 따라 제조된 과탄산나트륨(유동층 분무 과립화에 의해 제조함)은 상대적으로 TEM 수치가 낮음을 발견하였다. 당해 공정의 단점은 첨가하는데 필요한 물질의 양이 많다는 점이다.
아직 공개되지 않은 독일 특허 제100 48 514.6호는 유동층 분무 과립화에 의해 TAM 수치가 낮은, 바람직하게 6μW/g 이하인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를 위한 추가의 공정을 제시하며, 당해 공정에서는 Mg+2이 약 100 내지 1000ppm인 마그네슘 성분 및/또는 선택된 킬레이트제(예: 아미노포스폰산) 200 내지 1000ppm을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분무용 용액에 가하여, TAM 수치를 저하시킨다. 상기에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TAM 수치가 낮은 과탄산나트륨은 또한 일반적으로 안정화 피복물로 피복되어, 세척제 및 세정제 속의 활성 산소 성분의 충분한 저장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TAM 수치는 저장고에 저장하는 과정에서의 안전성의 척도이며, 활성 산소 안정성은 과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세척제 저장의 특히 중요한 척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AM 수치가 낮은, 특히 TAM 수치가 8μW/g 이하, 바람직하게는 5μW/g 이하인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당해 공정을 산업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공정이 되도록 간결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당해 공정의 단계들에는 공지된 유동층 분무 과립화 및 유동층에서의 피복의 경우에서 이미 사용된 단계 이외의 다른 단계는 요구되지 않아야 한다.
추가의 기술 사항에 의해 명백해질 이들 및 기타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탄산나트륨 수용액 또는 탄산나트륨 현탁액 및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Na2CO3대 H2O2의 몰 비를 1:1.4 내지 1:1.8로 하여,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함유하는 유동층 속으로 분무하고, 동시에 물이 증발되는, 유동층 분무 과립화에 의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 단계(i) 및 물의 동시 증발이 수반되는, 피복 성분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액의, 유동층에서의 분무 피복에 의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피복 단계(ii)를 포함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공정이 밝혀졌으며, 당해 공정은, 유동층 분무 과립화를 유동층 온도 TG45 내지 75℃에서 실행하고, 입상 과탄산나트륨은 피복 전에 유동층 온도 TNT60 내지 100℃에서 건조시키며(TNT> TG), 피복을 유동층 온도 TU35 내지 100℃에서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거나(a), 유동층 분무 과립화를 적어도 두 개의 단계로 실행하고, 유동층 온도 TG1는 상기 언급된 TG의 온도 범위이며, 후속적인 단계(들)에서 유동층 온도 TGn는 TNT의 온도 범위이고(TGNT> TG), 제1 단계 과정에서 형성된 과립의 질량의 적어도 2/3 및 수득한 과탄산나트륨 과립을, 건조시키지 않거나 또는 건조시킨 후에, 유동층 온도 TNT내지 TU범위에서 피복시킴을 특징으로하거나(b), TG에서 제조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을 건조시키지 않고 피복시키며, 유동층 온도 TUNT에서 건조시킴(TUNT는 TG보다 20℃ 이상 높다)(c)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코어의 Mg2+함량이 100 내지 1000ppm이고, 코어 및 유동층 분무 과립화에 의해 수득되는 이의 피복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48시간 후에 40℃에서 측정한 TAM 수치가 3μW/g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용된 유럽 특허공보 제0 716 640호에 따르면, 유동층 분무 과립화는 유동층 온도 4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에서 실행할 수 있다. 당해 문헌에는 또한 함수율이 2 내지 10중량%인 과탄산나트륨 유동층 분무 과립을 유동층 장치에서 제거하며, 요구되는 바와 같이, 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건조시키거나 후처리하는 단계를 제시한다. "건조"라는 용어는 해당 시간 동안 분무 용액이 유동층 속으로 주입되지 않는다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유동층에서의 과탄산나트륨의 피복은 "후처리"와 같다. 따라서 당해 문헌에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가들이 피복 전에 유동층 분무 입상을 건조시키기 위한 지시 사항이 없는 반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가들이 건조 단계를 전체 공정의 마지막 단계로 설정하도록(즉, 유동층 속의 입상을 피복한 후에 건조를 실행함) 되어있다. 놀랍게도, 유동층 분무 과립화에 의해 수득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을 승온된 온도에서 피복 전에 건조시키는 경우,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TAM 수치가 실질적으로 저하될 수 있음이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피복 단계에 따르는 추가의 건조 단계에 의해 TAM 수치가 추가로 감소될 수 있으며, 피복물 층의 두께가 얇은 점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매우 짧은 건조 기간으로도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의 과립화 단계를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실행한다. 단일 단계 과정인 경우, 유동층 온도 TG를 4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로 유지하면서, 반응물을 유동층 속에 주입하고 동시에 물을 증발시킨다. 주입은, 하나 이상의 분무 노즐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반응물은 특히 바람직하게 3 내지 4 성분 노즐을 사용하여(예: 유럽 특허공보 제0 716 640 B1호 및 제0 787 682호에 따르는 노즐) 유동층 반응기 속에 주입한다. 과립의 입도별 방출(grading discharge of the granulate)이 있거나 없는 통상의 유동층 반응기에서의, 피복되지 않은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당해 반응기는, 다수개의 챔버들로 분할되고 측벽에 노즐이 배열되어 있는 유동 트러프(flow trough)이다.
유동층 분무 과립화가 실질적으로 유동층 온도를 유지하면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의 제1 양태에 따라, 과립화 단계(i)에 이어, 추가의 수용액 형태 반응물을 주입하지 않고, 온도 TNT(TNT> TG)에서 건조를 실행한다. 건조시키는 동안 TAM 수치가 떨어진다. 건조는 바람직하게 유동층 온도 TNT75 이상 내지 95℃, 특히 90 ±5℃에서 실행한다. TNT는 바람직하게 10 내지 30℃, 특히 20 내지 30℃이며, TG보다 고온이다.
상기 방식의 건조는 단순히 입상 과탄산나트륨을 건조시키는 단계보다 TAM 수치를 더 크게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단계(i)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 TG에서 실행하지 않고, 유동층 온도가 TG1, TG2, ㆍㆍㆍ, TGn(TGn> TG1)로 증가하는 두 개 이상의 단계에서 실행한다. TG1과 TGn사이의 온도 차이는 유리하게 10 내지 40℃, 특히 20 내지 30℃이다. 유동층 분무 과립의 제조는 특히 바람직하게 유동층 온도 TG170 ±5℃ 및 유동층 온도 TG290 ±5℃에서 실행한다. 제2 단계는 과립이 적어도 절반이 형성되는 경우에 실행한다. 유리하게, 제1 단계에서 과립의 질량이 적어도 2/3 생성되고, 제2 단계 또는 추가의 단계(들)에서 과립의 질량이 적어도 1/3 생성된다. 당해 양태에서의 활성 산소 손실이, 과립 형성이 처음부터 더 높은 유동층 온도에서 실행되는 경우보다 저하됨이 밝혀졌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르는 양태는 TAM 수치가 저하된 과립을 수득한다. 2단계 또는 다단계 유동층 분무 과립화에 의해 수득된 과립은 또한, 필요한 경우, 온도 TNT에서 건조시킬 수 있으며, TNT는 유동층 분무 과립화의 최종 스테이지(stage) 온도와 같거나 높다. 따라서, 2단계 유동층 분무 과립화의 경우에서, TNT는 TG2또는 TGn과 같거나 높다.
단일 단계 및, 필요한 경우, 다단계 분무 과립화의 경우, 건조 기간은 목적하는 잔류 함수율, 특히, 목적하는 TAM 수치의 저하에 좌우된다. 건조 시간은 일반적으로 1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분이다. 유동화층 반응기의 작동 파라메터에도 좌우되는 최적의 건조 시간은 선행되는 몇가지 적응(orienting) 예비 시험에 의해 측정이 용이할 수 있다.
유동층 분무 입상의 피복은 통상적으로 유동층 온도 TU35 내지 100℃, 특히 40 내지 90℃, 특히 바람직하게 40 내지 70℃에서 실행한다. 피복은, 각각의 경우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한 수용액을 분무하여 상기 형성된 과탄산나트륨 유동층 입상에 피복하고, 이와 동시에, 유입된 물을 증발시키는 하나 이상의 단계로 실행할 수 있다. 피복 성분은 수화물을 형성하는 무기염(예: 황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소다 및 중탄산나트륨) 및 이들 염의 배합물이며, 붕산염 및 킬레이트제 또한 적합한 피복 성분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은 피복 성분(들)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를 함유한다.
TAM 수치의 추가의 감소에 따라, 피복된 유동층 분무 입상을 유동화 온도 TUNT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유동화 온도 TUNT는 통상적으로 TU보다 같거나 높고, TG보다 높다. 일반적으로 피복물 층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중심부가 이미 건조되는 경우, 피복된 물질을 수 분, 예를 들면 2 내지 10분 동안 건조시키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TU가 이미 TG또는 TGn보다 상당히 높은 경우, 예를 들면, 10 내지 30℃ 높은 경우에는 건조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의 양태에 따라, 입상을 제조한 직후에 이들을 피복물질로 피복하며, 여기서, 입상의 제조 동안의 유동층 온도는 TG이고, 피복 동안의 유동층 온도는 TU이다. 당해 양태에서,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은 유동층 온도 TUNT(TUNT> TG또는 TGn)가 적어도 1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건조시킨다. 당해 양태에서, 건조 시간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60분이다.
입상의 제조에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용액, 소다 수용액 또는 소다 현탁액은 통상의 안정제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소다 수용액 또는 소다 현탁액은 규산나트륨을 함유하고, 과산화수소 수용액은 마그네슘염 및 임의로 추가의 안정제를 함유한다. 과산화수소 수용액은 특히 바람직하게,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이 Mg2+100 내지 1000ppm을 함유하는 양과 같이 마그네슘염을 함유한다. 마그네슘염을 첨가함으로써 TAM 수치를 상당히 저하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참조: 독일 특허공보 제100 48 514.6호].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에 의해, TAM 수치가 매우 낮은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부터, TAM 수치가 3μW/g 미만인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또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TAM 수치는 공지된 선행 기술로는 수득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 및 이에 의해 수득되는 생성물이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기술된다.
유동층 분무 과립화 및 피복과 건조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유동층 분무 과립화[단계(i)]를 유럽 특허공보 제0 716 640 B1호에 따라 실험실 유동층 과립기에서 실행한다. 소다 용액과 과산화수소 용액으로 구성된 반응물을, 입자의 직경이 작은 소다 코어(과탄산나트륨 대신에)의 개시 유동층 속으로, 3성분 분무기(atomizer) 노즐에 의해 분무한다. 약 200℃로 가열된 유동화 공기를 팬에 의해 유량 160Nm3/h로 불어 넣는다. 평균 입자 직경이 500㎛에 도달할 때까지 분무를 지속한다. 유동층 분무 과립 속의 출발 유동층으로부터의 소다 함량은 10% 미만이다. 주기적으로 생성물을 일부 제거함으로써, 시험 과정에서 유동층에서의 생성물의 양을 약 5kg으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출발 물질의 처리량은 과탄산나트륨 5kg에 상응한다. 소다는 안정제로서 규산나트륨을 함유하는 30중량%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하고, 과산화수소는 43.5중량% 수용액 형태로 사용한다. Mg2+를 안정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H2O2용액 중의 MgSO4ㆍ7H20 형태로 사용한다. 소다 대 H2O2의 몰 비는 1:1.58이다.
피복 전에 입상을 건조시키는 경우, 건조를 유동층 과립기에서 실행한다.
당해 유동층 분무 과립화에서 목적하는 입자 크기에 도달하면, 건조시키지 않거나 건조시킨 후에, 입상을 추가의 유동층 분무 반응기에서 5% 황산나트륨으로 피복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시킨다.
유동층 온도, 활성 산소 함량 Oa, 40℃에서 48시간 동안 측정한 TAM 수치 및기타 사항들을 표 1에 제시한다. TG는 과립의 형성 동안의 유동층 온도이고, TU는 피복 동안의 유동층 온도이며, TNT는 피복 전 과립의 건조 동안의 유동층 온도이고, TGn은 제2 과립화 단계 동안의 유동층 온도이고, TUNT는 피복된 과립의 건조 동안의 유동층 온도이다.
실시예(번호) 유동층 온도(℃) Oa(%) TAM(μW/g) 비고
TG 1) TNT 2) TU *) TUNT 3)
1 68 - 70 - 70 →60 68 - 70 13.1 11.3 n.i.
2 88 - 90 - 70 →60 68 - 70 12.5 6.8 n.i.
3 68 - 70 88 - 90 70 →60 - 12.8 6.4 i.
4 68 - 70 88 - 90 70 →60 88 - 90 12.8 4.8 i.
5 68 - 70 - 70 →60 68 - 70 13.3 5.1 n.i.; Mg-stab.
6 68 - 70 - 70 →60 88 - 90 13.1 3.6 i.; Mg-stab.
7 68 - 70 88 - 90 70 →60 - 12.8 3.6 i.; Mg-stab.
8 - 88 - 90 70 →60 88 - 90 12.8 2.9 i.; Mg-stab.
1) 과립화 시간: 약 3시간
2) 과립의 건조 시간: 약 0.5시간
3) 피복된 과립의 건조 시간: 0.5시간
i.: 본 발명에 따름
n.i.: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Mg-stab.: Mg2+1000ppm으로 안정됨
*) 출발 온도: 70℃ / 피복 동안의 온도: 약 60℃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비록 유동층 온도 TG의 상승으로 인하여 TAM 수치가 저하되었지만 이와 동시에 활성 산소 함량 Oa가 상당히 감소하였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와 비교한 바와 같이, 공정을 본 발명에 따라 실행하는 경우 Oa의 감소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었다. 또한, 입상을 피복 전에 TNT(TNT> TG)로 건조하는 경우, TAM 수치가 추가로 저하되었다[실시예 3 참조]. TAM 수치의 추가의 감소는, TUNT가 TU보다 높은 경우, 피복된 입상의 건조 단계를 추가하여 달성하였다[참조: 실시예 4]. 마그네슘을 동반한 과탄산나트륨 과립의 코어를 안정시킴으로써, TAM 수치가 추가로 저하되었다[참조:실시예 5 내지 8]. 당해 경우에서, 과립을 형성시킨 다음(즉, 피복 전에) 및/또는 피복시킨 다음에 고온에서 건조시키는 경우 TAM 수치가 추가로 저하되었으며, 여기서, TNT및 TUNT는 TG및 TU보다 고온이다.
실시예 9
당해 실시예에서는 과립화를, 과립 생성물의 5/6은 TG에서, 과립 생성물의 1/6은 TGNT(TGNT> TG)에서 2단계로 실행한다. 동시에 과립 코어를 추가로 세척하여,가온에 의한 건조 효과를 달성하고, TAM 수치는 활성 산소의 큰 손실 없이 저하되었다. TNT(TNT> TG)에서의 추가 건조에 의해 TAM 수치를 추가로 저하시켰다. 표 2는 당해 결과를 제시한다. 실시예 9.2 및 9.3에 따르는 생성물을 공지된 방식으로 5% Na2SO4로 피복하였으나, 표 2의 데이터는 Mg 안정제가 없는 피복되지 않은 과립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번호) 과립화시간(분) 유동층 온도(℃) Oa(%) TAM(μW/g)
TG TGNT TNT
9.1 150 70 - - 13.5 9.1
9.2 30 - 90 - 13.6 6.2
9.3 30 - - 90 13.4 5.1

Claims (8)

  1. 탄산나트륨 수용액 또는 탄산나트륨 현탁액 및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Na2CO3대 H2O2의 몰 비를 1:1.4 내지 1:1.8로 하여, 과탄산나트륨 입자를 함유하는 유동층 속으로 분무하고, 동시에 물이 증발되는, 유동층 분무 과립화에 의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단계(i) 및 물의 동시 증발을 수반하는, 피복 성분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액의, 유동층에서의, 분무 피복에 의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피복단계(ii)를 포함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으로서,
    당해 공정이, 유동층 분무 과립화를 유동층 온도 TG45 내지 75℃에서 실행하고, 입상 과탄산나트륨은 피복 전에 유동층 온도 TNT60 내지 100℃에서 건조시키며(TNT> TG), 피복을 유동층 온도 TU35 내지 100℃에서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거나(a), 유동층 분무 과립화를 적어도 두 개의 단계에서 실행하고, 유동층 온도 TG1는 위에서 언급한 TG의 온도 범위이며, 후속적인 단계(들)에서 유동층 온도 TGn는 TNT의 온도 범위이고(TGNT> TG), 제1 단계 과정에서 형성된 과립의 질량의 적어도 2/3 및 수득한 과탄산나트륨 과립을, 건조시키지 않거나 건조시킨 후에, 유동층 온도 TU범위에서 피복시킴을 특징으로 하거나(b), TG에서 제조한 입상 과탄산나트륨을 건조시키지 않고 유동층 온도 TU에서 피복시키고 유동층 온도 TUNT에서건조시킴(TUNT는 TG보다 10℃ 이상 높다)(c)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과립화를 유동층 온도 TG55 내지 75℃에서 실행하고, 건조를 유동층 온도 TNT75 이상 내지 95℃에서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를 유동화에서의 과립의 체류 시간, 15 내지 45분 동안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ii)로부터의 피복된 과립 생성물이 유동층 온도 TUNT75 내지 95℃에서 건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탄산나트륨 과립의 제조에 탄산나트륨과 과산화수소를 Na2CO3대 H2O2의 몰 비 1:1.5 내지 1:1.6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복되지 않은 과탄산나트륨 과립의 유동층 분무 과립화 및 건조를, 다수개의 챔버들로 분할되어 있는 유동 트러프(flow trough)에서 실행하며, 피복 및, 필요한 경우,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건조를 유동 트러프의 하나 이상의 다운스트림 챔버에서 수행하거나 유동 트러프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되어 있는 별도의 유동층 반응기에서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된 과립 과탄산나트륨을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피복 물질로 이루어진 층 하나 이상으로 피복하고, 최외곽 피복물 층은 황산나트륨을 주요 성분으로서 함유하며, 피복물의 총량은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10중량%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8. 코어의 Mg2+함량이 100 내지 1000ppm이고, 코어 및 유동층 분무 과립화에 의해 수득된 이의 피복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40℃에서 측정한 TAM 수치가 3μW/g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된 입상 과탄산나트륨.
KR1020047002559A 2001-08-21 2002-07-04 피복된 과립상 과탄산나트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4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40838.2 2001-08-21
DE10140838A DE10140838A1 (de) 2001-08-21 2001-08-21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triumpercarbonat
PCT/EP2002/007408 WO2003018471A1 (de) 2001-08-21 2002-07-0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anulatförmigem umhüllten natriumpercarbonat und verfahrensgemäss erhältliches produk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969A true KR20040027969A (ko) 2004-04-01
KR100944646B1 KR100944646B1 (ko) 2010-03-04

Family

ID=769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559A KR100944646B1 (ko) 2001-08-21 2002-07-04 피복된 과립상 과탄산나트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241433B2 (ko)
EP (1) EP1419104B1 (ko)
JP (1) JP4351527B2 (ko)
KR (1) KR100944646B1 (ko)
AR (1) AR035470A1 (ko)
AT (1) ATE509889T1 (ko)
BR (1) BR0212033A (ko)
CA (1) CA2457844C (ko)
DE (1) DE10140838A1 (ko)
ES (1) ES2365728T3 (ko)
MX (1) MXPA04001522A (ko)
PL (1) PL202350B1 (ko)
WO (1) WO2003018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0838A1 (de) * 2001-08-21 2003-03-06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triumpercarbonat
DE10320197A1 (de) * 2002-12-20 2004-07-08 Degussa Ag Umhüllte Persauerstoffverbindungen mit kontrollierter Freisetz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r Verwendung
DE50300760D1 (de) * 2003-05-07 2005-08-18 Degussa Umhülltes Natriumpercarbonatgranulat mit verbesserter Lagerstabilität
EP1612186A1 (en) * 2004-06-29 2006-01-04 SOLVAY (Société Anonyme)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their use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1612185A1 (en) * 2004-06-29 2006-01-04 SOLVAY (Société Anonyme)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their use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102004054495A1 (de) * 2004-11-11 2006-05-24 Degussa Ag Natriumpercarbonatpartikel mit einer Thiosulfat enthaltenden Hüllschicht
ATE411375T1 (de) * 2006-07-27 2008-10-15 Evonik Degussa Gmbh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ES2314833T3 (es) * 2006-07-27 2009-03-16 Evonik Degussa Gmbh Particulas envueltas de percarbonato de sodio.
DE502006006898D1 (de) * 2006-07-27 2010-06-17 Evonik Degussa Gmbh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EP1905738A1 (de) * 2006-09-28 2008-04-02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anulatförmigem Natriumpercarbonat
EP1939275A1 (en) * 2006-12-29 2008-07-02 Solvay SA Non-oxidiser percarbonate particles
CN101687640A (zh) * 2007-05-02 2010-03-31 索尔维公司 用于制备包覆的过碳酸钠的方法
CL2008003040A1 (es) * 2007-10-15 2009-10-30 Kemira Chemicals Inc Fluido de tratamiento de pozos que comprende agua, al menos un polimero hidratable y percarbonato de sodio granulado con un revestimiento de liberacion retardada, cuyo revestimiento es un silicato de metal alcalino o una mezcla de acrilato de estireno y acrilato de butilo; y proceso de fracturacion de una formacion subterranea.
EP2080544B1 (de) * 2007-12-19 2010-12-01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mhüllten Natriumpercarbonatpartikeln
WO2017157659A1 (de) 2016-03-18 2017-09-21 Evonik Degussa Gmbh Granulat umfassend einen anorganischen, festen träger, auf dem mindestens ein biotensid enthalten ist
WO2022212865A1 (en) 2021-04-01 2022-10-06 Sterilex, Llc Quat-free powdered disinfectant/sanitiz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0351A (fr) * 1971-11-15 1973-04-20 Solvay Procede de fabrication de percarbonate de sodium
LU75466A1 (ko) 1976-07-27 1978-02-08
US4428914A (en) * 1977-12-23 1984-01-31 Interox Process for making sodium percarbonate granules
FI920318A0 (fi) * 1991-01-25 1992-01-24 Central Glass Co Ltd Kontinuerlig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atriumperkarbonat.
US5560896A (en) * 1993-08-31 1996-10-01 Degussa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roducing granulated sodium percarbonate
DE4329205C2 (de) 1993-08-31 1996-05-23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anulatförmigem Natriumpercarbonat
DE19534274A1 (de) * 1995-09-15 1997-03-20 Degussa Verfahren zur Erniedrigung der Lösezeit bei der Herstellung und/oder Umhüllung von Natriumpercarbonat
DE19544293C2 (de) * 1995-11-28 1998-01-29 Degussa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und deren Verwendung
GB2313368B (en) * 1996-02-29 2000-06-14 Oriental Chem Ind Process for manufacturing granular sodium percarbonate
IT1290477B1 (it) * 1997-03-26 1998-12-04 Solvay Interox Processo per produrre un persale
DE19717729A1 (de) * 1997-04-26 1998-10-29 Degussa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GB9716139D0 (en) * 1997-08-01 1997-10-08 Solvay Interox Ltd Process for stabilishing particulate alkali metal percarbonate
EP0962424A1 (en) * 1998-06-05 1999-12-08 SOLVAY (Société Anonyme)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their use in detergent compositions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19830946A1 (de) * 1998-07-10 2000-01-13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eten Persauerstoffverbindungen
KR100366556B1 (ko) * 2000-04-26 2003-01-09 동양화학공업주식회사 세제용 입상 코티드 과탄산나트륨과 이의 제조방법
DE10048514A1 (de) 2000-09-29 2002-04-11 Degussa Natriumpercarbonat-Wirbelschichtgranula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065953A1 (de) 2000-12-23 2002-07-04 Degussa Verfahren zur Erhöhung der inneren Stabilität von Natriumpercarbonat
DE10140838A1 (de) * 2001-08-21 2003-03-06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triumpercarbon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04967A1 (en) 2003-06-05
CA2457844C (en) 2009-09-15
DE10140838A1 (de) 2003-03-06
ATE509889T1 (de) 2011-06-15
US7241433B2 (en) 2007-07-10
KR100944646B1 (ko) 2010-03-04
EP1419104A1 (de) 2004-05-19
WO2003018471A1 (de) 2003-03-06
CA2457844A1 (en) 2003-03-06
AR035470A1 (es) 2004-05-26
PL202350B1 (pl) 2009-06-30
ES2365728T3 (es) 2011-10-10
JP2005500968A (ja) 2005-01-13
MXPA04001522A (es) 2004-05-31
EP1419104B1 (de) 2011-05-18
BR0212033A (pt) 2004-08-03
PL368593A1 (en) 2005-04-04
JP4351527B2 (ja)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646B1 (ko) 피복된 과립상 과탄산나트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65621B1 (ko) 과탄산나트륨을함유하는조성물
EP0482807B1 (en) Releasably encapsulated active substrates
EP1087907A1 (en)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their use in detergent compositions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1572852B1 (en) Coated peroxygen compounds with controlled release,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WO2006128901A1 (en)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their use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556834A (en) Percarbonate particles stabilized by coating wit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silicate and a boric acid
US20130059765A1 (en) Bleaching agent particles comprising sodium percarbonate and a bleach activator
KR100835548B1 (ko) 유동상 분무 과립화에 의한 과립상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제조한 과립상 과탄산나트륨
US4497757A (en) Energy efficient hydration process
US5603911A (en) Preparing a crystalline, stable sodium percarbonate
EP0643763B1 (en) Releasably encapsulated active substrates
KR100857045B1 (ko) 과탄산나트륨의 내부 안정성 개선방법
EP0654440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briebfestem Natriumpercarbonat mit hoher Lösegeschwindigkeit
KR101069043B1 (ko) 표백활성화제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표백활성화제 입자
PL201271B1 (pl) Sposób wytwarzania granulek nadtlenowęglanu sodu o zwiększonej trwałośc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0